KR20150135179A -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179A
KR20150135179A KR1020150162148A KR20150162148A KR20150135179A KR 20150135179 A KR20150135179 A KR 20150135179A KR 1020150162148 A KR1020150162148 A KR 1020150162148A KR 20150162148 A KR20150162148 A KR 20150162148A KR 20150135179 A KR20150135179 A KR 20150135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duct
online
portable terminal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연수
김경환
김주환
김수권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102015016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5179A/ko
Publication of KR2015013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상품에 대한 보관이 요청되면, 상품을 제공한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코드 및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하여, 상기 상품 아이콘을 저장할 저장박스를 결정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함으로써, 이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상기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OODS ON THE INTERNET US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매한 상품을 인터넷 서버에 기록해 두었다가, 고객이 필요한 시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휴대 단말의 대중적인 보급이 이루어져,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 단말을 소지하고 있다. 예전의 휴대 단말은 단순히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었지만, 현재에는 사진, 동영상 촬영이나, 음악 파일 재생, 무선 인터넷 접속과 같이 그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의 기능을 가지면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폰(Smartphone)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은 휴대 단말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기존 휴대 단말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 (Personal Computer)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다. 특히,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프라인에서만 수행되는 업무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휴대 단말보다 자유로워진 스마트폰의 장점을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 온라인 결제 등 인터넷 관련 서비스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가맹점에서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행사를 통해 증정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종 사용자가 직접 증정품을 가져갈 수 없는 일이 발생하고 있어, 증정품 제공에 대한 이익을 실현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생된 이익을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관 요청된 상품에 대해, 상품을 저장할 저장박스를 결정하고, 보관 요청한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기록함으로써,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이 필요할 때 자신의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바코드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언제라도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잔액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잔액과 연관된 저장박스인 금고에 상기 잔액을 적립시켜 상기 잔액의 총계에 한해 언제라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상품 아이콘이 기록된 기록일자에 기초하여 서비스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현재시간이 서비스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을 자동으로 삭제함으로써, 서비스 유효기간이 경과한 상품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 혼란을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장박스의 이용횟수에 따라 저장박스에 대한 표시속성을 조정하여, 저장박스를 게임 아이템과 같이 운영함으로써, 사용자 접근을 유도하여 저장박스 이용을 확대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온라인 홈과 이웃 등록한 다른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홈을 보거나,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홈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은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보관 요청된 상품의 상품코드 및 상기 보관 요청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획득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하고,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저장박스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에 대한 잔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액과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하고, 상기 잔액과 연관된 저장박스로 '금고'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잔액을 적립한 총계가 보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식별정보와 연관된 금융계정으로 상기 보관금액을 이체하고, 상기 총계에서 상기 이체된 보관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저장박스에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체된 보관금액을 포함하는 이체 확인 메시지를 상기 식별정보와 연관된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품 아이콘이 기록된 기록일자에 기초하여 서비스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현재시간이 상기 설정된 서비스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저장박스의 이용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이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박스에 대한 표시속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식별정보와 연관된 제1 휴대 단말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상기 제1 휴대 단말 또는 상기 제1 휴대단말에 의해 선정된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상품 아이콘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사용된 상품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는 제2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의 제2 온라인 홈과 상기 온라인 홈이 이웃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웃 등록된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에게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웃 등록된 제2 휴대 단말의 권한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권한속성이 '열람'인 경우,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허용하고, 상기 권한속성이 '점유'인 경우, 상기 온라인 홈 내 상기 저장박스 이용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와 연관된 제1 휴대 단말로부터 가맹점과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정합성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된 쿠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정보에 대한 저장박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쿠폰정보를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제1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제1 휴대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용 바코드, 또는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USIM 칩에 포함된 식별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은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보관 요청된 상품의 상품코드 및 상기 보관 요청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저장박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요청된 상품에 대해, 상품을 저장할 저장박스를 결정하고, 보관 요청한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과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기록함으로써, 이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이 필요할 때 자신의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바코드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바코드를 이용하여 언제라도 상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매한 상품에 대한 거스름돈인 잔액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잔액과 연관된 저장박스인 금고에 상기 잔액을 적립시켜 상기 잔액의 총계에 한해 언제라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상품 아이콘이 기록된 기록일자에 기초하여 서비스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현재시간이 서비스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을 자동으로 삭제함으로써, 서비스 유효기간이 경과한 상품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박스의 이용횟수에 따라 저장박스에 대한 표시속성을 조정하여, 저장박스를 게임 아이템과 같이 운영함으로써, 사용자 접근을 유도하여 저장박스 이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온라인 홈과 이웃 등록한 다른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홈을 보거나,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홈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홈 활성화에 따라 온라인 홈을 제공하는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과 연관된 제휴 카드의 이용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홈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이용하기 위해 가맹점을 재방문함으로써, 가맹점에서 다른 상품을 추가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홈을 가맹점의 프로모션이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으며, 쿠폰, 행사안내, 제휴 등을 통한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홈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생적 모바일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온라인 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저장박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가맹점에 설치된 TV와 연동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금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제1 가맹점(110)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제1 가맹점(110)은 구매한 상품에 대해 증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증정품을 바로 가져가지 않고, 인터넷 상에 보관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해서도 인터넷 상에 보관을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품, 증정품을 '상품'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품에 대해 보관을 요청한 경우, 제1 가맹점(110)의 점원은 제1 가맹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관 요청된 상품으로부터 상품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상품코드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품에 기록된 바코드일 수 있다. 점원이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에 연결된 리더기로 상기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내면, 바코드로부터 상품코드가 획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점원은 상기 상품을 보관 요청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가 RF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120, 제1 휴대 단말을 의미함)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상품코드와 상기 식별정보를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 이하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이라 함)은 상기 전송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한다. 상품 아이콘은 상기 상품을 표시할 때 나타내는 이미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저장박스를 결정한다. 저장박스는 일반 가정 내에, 상품을 보관하는 매체 중 하나로서, 예컨대, 냉장고, 찬장, 금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상기 상품 아이콘을 냉장고에 기록할지, 찬장에 기록할지, 금고에 기록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한다. 상기 사용자는 미리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가입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홈'을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홈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박스 중,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보관 요청한 상품의 상품 아이콘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박스를 열었을 때, 상품 아이콘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 홈, 저장박스,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제1 가맹점(110) 또는 상기 상품 보관을 요청한 제1 가맹점(110)이 아닌 제2 가맹점(130)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120)을 통해 상기 온라인 홈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20)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홈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120)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때, 다른 사용자(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상품 아이콘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사용된 상품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바코드가 표시된 휴대 단말(120)을 제2 가맹점(130)의 점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맹점(130)의 점원은 제2 가맹점 단말기에 연결된 리더기로 상기 바코드를 읽어들여, 읽어들인 바코드와 연관된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제1 가맹점(110)에서 제공받은 상품을 인터넷 상의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제1 가맹점(110) 또는 제1 가맹점(110)이 아닌 제2 가맹점(130)에서 상기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20), 처리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가맹점(110)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상품 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해 제1 가맹점(110)에서 제공한 증정품(이하에서는 '상품'이라 통칭함)에 대하여 인터넷 상에 보관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제1 가맹점(110)의 점원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관 요청된 상품으로부터 상품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상품코드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품에 기록된 바코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상품을 보관 요청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와 연결된 입력 키패드에 직접 입력하거나, RF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정보는 휴대 단말(120)의 전화번호, 휴대 단말(120)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용 바코드, 또는 휴대 단말(120)의 USIM 칩에 포함된 식별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상품코드와 상기 식별정보를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 상기 제2 가맹점 단말기, 휴대 단말(120), 상기 제2 휴대 단말과 정보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은 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코드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한다. 상품 아이콘은 상기 상품을 표시할 때 나타내는 이미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품 아이콘은 XX 캔커피에 대한 이미지이거나, OO 아이스크림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상기 식별된 상품 아이콘을 저장할 저장박스를 결정한다. 저장박스는 일반 가정 내에, 상품을 보관하는 매체 중 하나로서, 예컨대, 냉장고, 찬장, 금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상기 상품코드에 따라 상기 식별된 상품 아이콘을 냉장고에 기록할지, 찬장에 기록할지, 금고에 기록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품코드는 냉장식품, 냉동식품, 비냉장식품 등을 구분하는 '상품 보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상기 상품코드가 냉장식품과 관련된 경우, 저장박스로 '냉장고'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비냉장식품과 관련된 경우, 저장박스로 '찬장'을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한다. 상기 사용자는 미리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에 가입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홈'을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30)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온라인 홈 내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 박스 중,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보관 요청한 상품의 상품 아이콘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박스를 열었을 때, 상품 아이콘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 홈, 저장박스,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베이스(240)는 식별정보(010-1234-5678, 010-9999-1222)에 상응하는 온라인 홈(즐거운 나의 집, 러브하우스) 내에, 저장박스(냉장고, 찬장, 금고)에 상품 아이콘(A1234, A3477, B1009, D3444, E5678)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박스인 금고에는 상품 아이콘으로 잔액의 총계에 상응하는 현금 수치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코드는 상품 보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보관 식별자 'A'는 냉동식품, 상품 보관 식별자 'B'는 냉장식품, 상품 보관 식별자 'D' 또는 'E'는 비냉장식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상기 상품코드에 'A'가 포함된 경우, 냉동식품과 관련된 냉장고 냉동실을 저장박스로 결정하고, 상기 상품코드에 'B'가 포함된 경우, 냉장식품과 관련된 냉장고 냉장실을 저장박스로 결정하며, 상기 상품코드에 'D' 또는 'E'가 포함된 경우, 비냉장식품과 관련된 찬장을 저장박스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처리부(230)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 홈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상품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는, 처리부(230)는 상기 식별정보로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와 관련된 제휴카드에 대한 카드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카드번호에 상응하여 상기 상품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처리부(230)는 상기 상품 아이콘이 기록된 기록일자에 기초하여 서비스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유효기간은 상기 상품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기록일자로부터 15일, 30일로 설정될 수 있다. 처리부(230)는 현재시간이 상기 설정된 서비스 유효기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을 자동 삭제함으로써, 서비스 유효기간이 경과한 상품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처리부(230)는 상기 저장박스의 이용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이용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박스에 대한 표시속성을 조정 함으로써, 저장박스를 게임 아이템과 같이 운영하여 사용자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박스가 냉장고인 경우, 상기 표시속성으로, 단문형 냉장고, 양문형 냉장고, 단문형 홈바, 또는 양문형 홈바로 구분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이용횟수가 '0회(처음)'인 경우, 단문형 냉장고를 표시속성으로 갖는 단문형 냉장고를 표시하다가, 상기 이용횟수가 많아지면, 양문형 냉장고 -> 단문형 홈바 -> 양문형 홈바로 표시속성을 조정하여 냉장고 외형을 점차 좋게 개선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 제1 가맹점(110) 또는 상기 상품 보관을 요청한 제1 가맹점(110)이 아닌 제2 가맹점(130)에서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120)을 통해 상기 온라인 홈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120)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로,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홈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120)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확인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한다. 또는,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때, 다른 사용자(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30)는 상기 상품 아이콘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사용된 상품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도 4는 온라인 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휴대 단말(120)은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OO 25 My Wallet)을 바탕화면에 설치하고(410),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온라인 홈(44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0)에서 어플리케이션(410)을 처음 실행시키면, 온라인 홈(440)에 들어가기 위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420). 사용자 인증은 온라인 홈(440)을 등록한 사용자와 연관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SMS 인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430). 만약, 온라인 홈(440)이 아직 등록되지 않은 경우,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휴대 단말(120)의 전화번호,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450).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입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가입을 승인할 수 있으며, 승인된 경우, 휴대 단말(120)로 어플리케이션(41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온라인 홈(440)에는 가정의 가전, 가구와 같은 물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거실에는 TV, 소파를 표시하고, 부엌에는 냉장고, 찬장을 표시하며, 거실에는 금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과 유사한 형태의 온라인 홈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저장박스로 냉장고, 찬장, 금고 등을 간단하게 표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저장박스가 존재할 수 있다.
도 5는 저장박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냉장고 문이 열리는 경우, 상기 냉장고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월드콘, 누가바, 콜드, 카페라떼)을 표시할 수 있다(510).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온라인 홈 내의 저장박스(냉장고, 찬장, 금고)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확인함으로써, 사용하기 원하는 상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금고에 적립된 현금에 상응하는 상품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520). 상기 현금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후 남은 거스름돈인 잔액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상품에 대한 잔액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잔액과 연관된 상품 아이콘(현금)을 식별하고, 상기 잔액과 연관된 저장박스로 '금고'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금고에 적립된 상기 잔액의 총계에 한하여, 현금처럼 어느 가맹점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금고에 저장된 상품 아이콘 사용이 요청된 경우, 처리부(230)는 금고에 적립된 상기 잔액의 총계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금고에 저장된 상품 아이콘 사용을 요청할 때, 사용할 금액을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금액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생성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한다. 처리부(230)는 상기 사용된 금액만큼을 상기 잔액의 총계에서 차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잔액을 적립한 총계가 보관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처리부(230)[0066] 는 상기 식별정보와 연관된 금융계정으로 상기 보관금액을 이체하고, 상기 총계에서 상기 이체된 보관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상기 저장박스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금융계정은 은행계좌번호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이체된 보관금액을 포함하는 이체 확인 메시지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함으로써, 보관금액이 이체되었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처리부(230)는 제2 휴대 단말로부터 휴대 단말(120)과 연관된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의 제2 온라인 홈과 상기 온라인 홈이 이웃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 단말은 상기 사용자와 구별되는 제2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의미한다. 처리부(230)는 상기 확인 결과, 이웃 등록된 경우, 상기 제2 휴대 단말에게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홈의 사용자는 이웃 등록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서로 상이한 권한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권한속성은 열람 또는 점유일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30)는 상기 이웃 등록된 제2 휴대 단말의 권한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권한속성이 '열람'인 경우, 상기 온라인 홈 보기를 허용하고, 상기 권한속성이 '점유'인 경우, 상기 온라인 홈 내 상기 저장박스 이용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열람인 경우, 처리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홈을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홈 보기만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점유인 경우, 처리부(230)는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온라인 홈을 보여주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권한속성이 '점유'로 이웃 등록된 제2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상품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상품 아이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의 승인 동의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상품 아이콘 사용을 요청받은 경우, 휴대단말(120)로 상기 사용이 요청된 상품 아이콘의 사용 동의를 문의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휴대 단말(120)로부터 사용 동의에 대한 인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인터페이스부(210)는 휴대 단말(120)로부터 제2 가맹점(130)과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제2 가맹점(130)을 휴대 단말(120)로 촬영한 사진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정합성을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연관된 쿠폰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정보에 대한 저장박스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생성된 쿠폰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기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상기 쿠폰정보 외에도 응모권, 행사정보 등에 관한 정보들을 생성하고, 처리부(230)는 상기 생성된 응모권, 행사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가맹점에서는 TV를 설치하여, 설치된 TV를 통해 가수들의 뮤직비디오, 광고방송 등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TV 화면에는 제공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바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가맹점에 설치된 TV와 연동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휴대 단말(120)은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온라인 홈을 표시할 수 있다(610). 온라인 홈 내의 '동영상 보기'를 선택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TV에 표시된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QR 찍기' 메뉴를 제공한다(620). QR 찍기 메뉴는 휴대 단말(120)에서 바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120)은 상기 표시된 바코드를 읽어,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630). 이 경우, 처리부(230)는 상기 전송된 바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240)에서 식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상기 바코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주소(또는 컨텐츠)를 기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주소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20)은 상기 전송된 주소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가맹점의 TV에서와 동일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20)은 한번이라도 화면을 통해 표시한 컨텐츠에 대하여 'My List'에 추가할 수 있다(640). 또한, 휴대 단말(120)은 My List에 기록된 컨텐츠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읽은 바코드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휴대 단말과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7은 금고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휴대 단말(120)은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온라인 홈을 표시할 수 있다(710).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온라인 홈의 저장박스인 금고에 적립된 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720). 실시예로, 금고에는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과 제휴한 포인트를 기록할 수도 있다. 상기 포인트는 제1 가맹점(110) 또는 제2 가맹점(130)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적립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하루동안 적립된 포인트(730)나, 연별 또는 월별로 적립된 포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740).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810에서,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상품이 구매되거나, 구매된 상품에 대한 증정품을 제공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증정품 포함)에 대한 인터넷 보관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으로부터 획득한 상품코드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식별정보를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는 제1 가맹점에 설치되어, 상품에 대한 결제를 담당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품코드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상품에 기록된 바코드일 수 있다.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가맹점 단말기와 연결된 입력 키패드에 직접 입력하거나, RF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정보는 휴대 단말(120)의 전화번호, 휴대 단말(120)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용 바코드, 또는 휴대 단말(120)의 USIM 칩에 포함된 식별코드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820에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전송된 상품코드와 연관된 상품 아이콘을 식별하고, 상기 상품코드를 고려하여 상기 식별된 상품 아이콘을 저장할 저장박스를 결정한다. 상품 아이콘은 상기 상품을 표시할 때 나타내는 이미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저장박스는 일반 가정 내에, 상품을 보관하는 매체 중 하나로서, 예컨대, 냉장고, 찬장, 금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상품코드에 따라 상기 식별된 상품 아이콘을 냉장고에 기록할지, 찬장에 기록할지, 금고에 기록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품코드는 냉장식품, 냉동식품, 비냉장식품 등을 구분하는 '상품 보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상품코드가 냉장식품과 관련된 경우, 저장박스로 '냉장고'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코드가 비냉장식품과 관련된 경우, 저장박스로 '찬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온라인 홈 내,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상품 아이콘을 기록한다.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온라인 홈을 식별하고, 식별된 온라인 홈에 포함된 복수의 저장박스 중, 상기 결정된 저장박스에 상기 보관 요청한 상품의 상품 아이콘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박스를 열었을 때, 상품 아이콘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온라인 홈, 저장박스,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840에서, 휴대 단말(120, 제1 휴대 단말을 의미함))은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120)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온라인 홈 내 저장박스에 기록된 상품 아이콘을 확인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850에서,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휴대 단말(120)로 전송한다. 또는,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 아이콘의 사용을 요청할 때, 다른 사용자(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도시하지 않음)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상품 아이콘에 상응하는 바코드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상품 아이콘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저장박스에서 상기 사용된 상품 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120) 화면에 표시하여, 제2 가맹점의 점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860에서, 상기 제2 가맹점 내에 설치된 제2 가맹점 단말기는 휴대 단말(120)의 화면에 표시된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단계 870에서, 상기 제2 가맹점에서는 상기 스캔된 바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온라인 상품 관리 시스템
110: 제1 가맹점
120: 휴대 단말
130: 제2 가맹점

Claims (2)

  1. 구매한 상품 또는 증정품을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가 보관 요청한 상품을 제2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제1사용자의 식별정보와 보관 요청된 상품의 상품코드를 전달받아 제1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제1사용자의 온라인 홈 내에 기록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1사용자의 온라인 홈에 기록된 보관 상품의 사용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사용자의 휴대 단말에서 제1사용자의 온라인 홈에 기록된 보관 상품의 사용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상기 보관 요청된 상품의 바코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KR1020150162148A 2015-11-18 2015-11-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5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48A KR20150135179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48A KR20150135179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345A Division KR20120040638A (ko) 2011-03-02 2011-03-02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179A true KR20150135179A (ko) 2015-12-02

Family

ID=5488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148A KR20150135179A (ko) 2015-11-18 2015-11-18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51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94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ratuities to merchants
US10438159B2 (en) Architectur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data standardization and utilization in retail industry applications
TWI556181B (zh) 用於由無線通訊賦能的促銷與商業交易的方法、行動運算裝置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107553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customized order interface
US20090018961A1 (en) Custom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ized merchant rewards program
US201301590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Based Smart Wallet
US20110125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receipts of sales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s
US201502429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oduct information at a merchant location
KR20180043234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78124A1 (en) Anonymous Mobile Payment And Order Delivery System
KR20150135180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7150779A1 (ko) 편의점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KR20150135755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60212507A1 (en) Location-based historical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ntertainment devices
KR101967899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103747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representation of a physical user token in a digital wallet
KR20180042208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517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5181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5754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205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receipt services
KR20150006919A (ko) 중고 컨텐츠를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6290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5060425A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40638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 상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