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2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25A
KR20150134825A KR1020140062115A KR20140062115A KR20150134825A KR 20150134825 A KR20150134825 A KR 20150134825A KR 1020140062115 A KR1020140062115 A KR 1020140062115A KR 20140062115 A KR20140062115 A KR 20140062115A KR 20150134825 A KR20150134825 A KR 2015013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air
back cover
butt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885B1 (ko
Inventor
성재현
송종원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85B1/ko
Priority to PCT/KR2015/002704 priority patent/WO2015160099A1/en
Priority to US14/686,395 priority patent/US9307658B2/en
Publication of KR2015013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25A/ko
Priority to US15/052,680 priority patent/US95104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백커버 및 백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며, 백커버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곡률 조절유닛은, 사용자의 하방 가압에 따라 백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버튼부재,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백커버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회전에 따라 백커버의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윙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분야에서는 화면이 휘어지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에게 화면 중앙 또는 측면까지 거의 동일한 시청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더 나은 몰입감이나 임장감(Presence)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43968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또는 그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가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률을 가변하기 위한 모터 등의 자동화 기기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화 기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 곡률 조절 구현을 위한 복잡한 구조의 매커니즘을 수반하므로 제품 생산 비용을 증대시킨다. 화면을 빈번하게 변경하지 않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제품 구입시 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화면을 빈번하게 변경하지 않는 사용자 니즈를 반영하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보다 더 간단한 구조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백커버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사용자의 하방 가압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윙;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백커버의 곡률은 상기 한 쌍의 윙이 서로 가까워질 때 작아지며, 상기 한 쌍의 윙이 서로 멀어질 때 커질 수 있다.
각각의 윙은, 일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버튼부재 및 상기 캠부을 수용하는 조절유닛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유닛 케이싱은, 상기 버튼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재 삽입부; 및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를 수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수평 회전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수용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조절유닛 케이싱의 상부에 노출되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푸시 버튼; 및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재 삽입홀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튼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시 상기 버튼 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벽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는, 상기 버튼 몸체가 삽입되는 내부 중공을 가지며,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본체; 및 일측이 각각의 윙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내부 중공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캠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본체의 내부 중공의 내벽에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캠 풀리는 상기 캠 본체의 회전시 각각의 윙을 상기 캠부 수용 챔버 내부로 당기거나 또는 상기 캠부 수용 챔버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상기 캠 본체의 내부 중공 내에 수용되며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때 상기 버튼 몸체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부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내부 중공의 내벽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 및 각각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을 연결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내부 중공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본체는, 상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부; 및 상기 내부 중공을 노출시키며 상기 원통부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부와 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의 저면 및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캠 본체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패스에는 상기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의 상단부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스토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윙은, 각각의 캠 풀리에 연결되며, 상기 백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부는, 제1 캠부; 및 제2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 수용 챔버는, 상기 제1 캠부를 수용하는 제1 캠부 수용 챔버; 및 상기 제2 캠부를 수용하는 제2 캠부 수용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재 삽입부는, 상기 제1 캠부 수용 챔버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 및 상기 제1 캠부 수용 챔버와 상기 제2 캠부 수용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1 캠부에 연결되는 상측 수평바; 및 상기 제2 캠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하측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보다 더 간단한 구조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조절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조절유닛 케이싱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버튼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캠부의 캠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캠 본체의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캠 본체의 가이드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캠부의 한 쌍의 캠 풀리의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캠 본체의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캠 본체의 가이드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의 캠 본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가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백커버(20) 및 곡률 조절유닛(5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가변 가능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OLED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은 OLED 패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백커버(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같이 곡면 또는 평판으로 가변될 수 있다. 백커버(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 보드(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미도시) 등과 같은 각종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파워 보드 및 제어 보드 등과 같은 부품들은 별도의 케이싱 내 마련되어 백커버(20)의 후방이나 저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곡률 조절유닛(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백커버(20)의 곡률을 조절하며, 백커버(20)의 후면(25)에 장착된다. 곡률 조절유닛(50)의 곡률 조절은 수동 방식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 방식의 사용자 조작은 곡률 조절유닛(50)에 대한 사용자의 하방 가압 방식이다.
곡률 조절유닛(5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게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곡률 조절유닛(50)은 사용자 조작 편의성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에서 사용자 하방 가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높이로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곡률 조절유닛(50)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백커버(20)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유닛(50)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조절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조절유닛 케이싱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버튼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캠부의 캠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캠 본체의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캠 본체의 가이드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2의 곡률 조절유닛의 캠부의 한 쌍의 캠 풀리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곡률 조절유닛(50)은 조절유닛 케이싱(100), 버튼부재(200), 캠부(300), 한 쌍의 윙(900, 1000) 및 탄성부(1100)를 포함한다.
조절유닛 케이싱(100)은 원통 형상으로 버튼부재(200) 및 캠부(300)를 수용한다. 조절유닛 케이싱(100)은 체결부재나 브라켓 등으로 백커버(20, 도 1 참조)의 후면(25, 도 1 참조)에 장착되어 곡률 조절유닛(50)을 백커버(20)의 후면(25)에 고정한다.
조절유닛 케이싱(100)은 버튼부재 삽입부(120) 및 캠부 수용 챔버(150)를 포함한다.
버튼부재 삽입부(120)는 원통 형상으로써, 삽입홀(130) 및 한 쌍의 회전 방지 가이드 홈(140)을 구비한다. 버튼부재 삽입부(120)는 체결부재 및 브라켓 등을 통해 백커버(20, 도 1 참조)의 후면(25, 도 1 참조)에 고정된다.
삽입홀(130)은 버튼부재 삽입부(1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버튼부재 삽입부(120)의 중앙에 마련된다. 삽입홀(130)에는 버튼부재(200)가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회전 방지 가이드 홈(140)은 삽입홀(130)의 상측 내벽에 형성되며, 삽입홀(130)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회전 방지 가이드 홈(140)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230)가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캠부 수용 챔버(150)는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하측에 마련되며, 캠부(300)를 수용한다. 이하, 캠부 수용 챔버(150)에 대해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캠부 수용 챔버(150)는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삽입홀(130) 저부에서 캠부(3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 공간은 캠부(300)의 수평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캠부 수용 챔버(150)의 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슬릿(160)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릿(160)을 통해, 한 쌍의 윙(900, 1000)은 후술하는 슬라이딩시, 캠부 수용 챔버(150) 내로 들어오거나 또는 나갈 수 있다.
버튼부재(200)는 사용자 하방 가압에 따라 백커버(20, 도 1 참조)의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버튼부재 케이싱(100)의 삽입홀(130) 및 캠부(300)에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 버튼부재(200)에 대해서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튼부재(200)는 버튼 몸체(220) 및 푸시 버튼(250)을 포함한다.
버튼 몸체(220)는 실린더 형상으로써,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230) 및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를 구비한다.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230)는 버튼 몸체(220)의 상부(222)에 형성된다. 각각의 회전 방지 리브(230)는 전술한 각각의 회전 방지 가이드 홈(140)에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버튼 몸체(220)의 상하 방향(Y축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시, 버튼 몸체(220)의 수평 방향(XZ축 방향)에서의 회전을 방지한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버튼 몸체(220)의 하부(226)에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후술하는 가이드 홈부(500)에 삽입되며, 버튼 몸체(220)의 상하 방향(Y축 방향)에 따른 슬라이딩시, 가이드 홈부(50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캠부(300)를 수평 방향(XZ축 방향)에서 회전시킨다.
푸시 버튼(250)은 버튼 몸체(222)의 상부(222)에 장착되며,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상부에 노출된다. 사용자는 푸시 버튼(250)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캠부(300)는 버튼부재(200)의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백커버(20, 도 1 참조)의 수평 방향(XZ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캠부(300)는 캠 본체(400) 및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포함한다.
캠 본체(400)는 수평 방향(XZ축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캠부 수용 챔버(150) 내에 수용된다. 캠 본체(400)에는 버튼부재(200)가 삽입되는 내부 중공(410)이 마련된다. 이하, 캠 본체(400)에 대해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캠 본체(400)는 원통부(420),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를 포함한다.
원통부(420)는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를 연결하며, 전술한 내부 중공(410)을 구비한다. 원통부(420)의 내벽(422), 즉, 내부 중공(410)의 내벽(422)에는 가이드 홈부(500)가 형성된다.
가이드 홈부(500)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 홈부(50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를 통해 캠 본체(400)는 수평 방향(XZ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가이드 홈부(500)에 대해서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가이드 홈부(500)의 설명을 위해 도 5의 원통부(420)의 내벽(422)을 개략적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가이드 홈부(500)는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 및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은 원통부(420)의 둘레 방향, 즉, 내부 중공(4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은 캠 본체(400)의 회전을 위해 내부 중공(410)의 내벽(422)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은 제1 내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은 사용자 가압에 따른 버튼부재(200)의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하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1 내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의 상단부(512, 522, 532, 542)는 내부 중공(410)의 중심축에 대해 수평 방향에서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의 상단부(512, 522, 532, 542)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미슬라이딩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한 쌍의 캠 풀리(700, 800)가 캠 본체(400)의 장축에 배치될 때, 각각,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의 상단부(512) 및 제3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30)의 상단부(532)에 각각 배치되며, 한 쌍의 캠 풀리(700, 800)가 캠 본체(400)의 단축에 배치될 때, 제2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20)의 상단부(522) 및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40)의 상단부(542)에 배치된다.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은 각각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을 연결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아울러,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 또한 캠 본체(400)의 회전을 위해 내부 중공(410)의 내벽(422)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은 제1 내지 제4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570, 580, 590)은 후술하는 탄성부재(1200)로 인한 버튼부재(200)의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한편, 제1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의 하단부(562)는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의 하단부(514)보다 낮게 단차지며, 제1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의 상단부(564)는 제2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20)의 상단부(522)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나머지 슬라이드 가이드 홈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가이드 홈부(500) 슬라이딩시, 역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이러한 가이드 홈부(500)에서의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슬라이딩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가 캠 본체(400)의 장축 에 배치될 때,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의 상단부(512) 및 제3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30)의 상단부(532)에 각각 배치된다.
버튼부재(200)로의 사용자 하방(-Y축 방향) 가압이 이루어지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각각,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및 제3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3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의 하단부(564) 및 제3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70)의 하단부(574)에 배치된다. 이후, 탄성부재(1200)가 버튼 부재(200)를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각각, 제1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60) 및 제3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70)의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20)의 상단부(522) 및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40)의 상단부(542)에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240)의 가이드 홈부(500)를 따르는 슬라이딩에 따라, 캠 본체(400)는 수평 방향(XZ축 방향)에서 일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며,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단축에 배치(도 9 내지 도 11 참조)시킨다.
다시, 버튼부재(200)로의 사용자 하방(-Y축 방향) 가압이 이루어지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각각, 제2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20) 및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40)에서 제2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70)의 하단부(574) 및 제4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90)의 하단부(594)로 슬라이딩된다. 이후, 탄성부재(1200)가 버튼 부재(200)를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각각,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3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30)의 상단부(532) 및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의 상단부(512)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캠 본체(400)는 다시 수평 방향(XZ축 방향)에서 일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며,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장축에 배치(도 9 내지 도 11 참조)시킨다.
가이드 홈부(500)에서의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슬라이딩은 사용자 하방 가압에 따라 이러한 사이클을 순환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캠 본체(400)를 살펴보면,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는, 각각, 원통부(42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며, 내부 중공(410)을 노출시킨다.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는 서로 대칭되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의 장축 길이는 캠부 수용 챔버(1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캠부 수용 챔버(150)의 내경을 넘지 않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판부(440) 및 하판부(460)에는, 각각, 캠 본체(400)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패스(620, 660)가 형성된다. 이하, 한 쌍의 가이드 패스(620, 660)에 대해서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가이드 패스(620, 660)는 상측 가이드 패스(620) 및 하측 가이드 패스(660)로 이루어진다.
상측 가이드 패스(620)는 상판부(4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판부(440)의 저면(446)에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 패스(660)는 하판부(46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하판부(460)의 상면(462)에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 패스(660)는 상측 가이드 패스(620)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및 하측 가이드 패스(620, 660)에는 복수 개의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661, 662, 663, 664)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661, 662, 663, 664)은 캠 본체(400)의 회전시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앞선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 520, 530, 540)의 상단부(512, 522, 532, 54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661, 662, 663, 664)은 복수 개의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및 복수 개의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으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은 상측 가이드 패스(620)에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3 상측 스토퍼 홈(621, 623)은 상판부(440)의 장축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2 및 제4 상측 스토퍼 홈(622, 624)은 상판부(440)의 단축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은 하측 가이드 패스(660)에 형성되며,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3 하측 스토퍼 홈(661, 663)은 하판부(460)의 장축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2 및 제4 하측 스토퍼 홈(662, 664)은 하판부(440)의 단축 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1 상측 스토퍼 홈(621)과 제1 하측 스토퍼 홈(661)은 제1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10)의 상단부(51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2 상측 스토퍼 홈(622)과 제2 하측 스토퍼 홈(662)은 제2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20)의 상단부(52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3 상측 스토퍼 홈(623)과 제3 하측 스토퍼 홈(663)은 제3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30)의 상단부(53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4 상측 스토퍼 홈(624)과 제4 하측 스토퍼 홈(664)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540)의 상단부(54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및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은, 각각, 내부 중공(410)의 중심축에 대해 수평 방향에서 서로 9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과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은 Y축 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각각, 서로 쌍을 이루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시 캠부(300)를 살펴보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는 캠 본체(40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된다.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는 캠 본체(400)의 회전시 각각의 윙(900, 1000)을 캠부 수용 챔버(150) 내부로 당기거나 또는 캠부 수용 챔버(150) 밖으로 밀어낸다. 이하,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에 대해서는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는 제1 캠 풀리(700) 및 제2 캠 풀리(800)로 이루어진다.
제1 캠 풀리(700)는 캠 본체(400)의 일측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캠 풀리(700)는 캠 본체(400)의 상판부(440, 도 5 참조) 및 하판부(460, 도 5 참조) 사이 공간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캠 풀리(700)는 풀리 본체부(720) 및 윙 연결부(760)를 포함한다.
풀리 본체부(720)는 캠 본체(400)에 장착되며,한 쌍의 샤프트 돌기(7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샤프트 돌기(730)는 풀리 본체부(720)의 상면(722)과 하면(724)에 각각, 수직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풀리 본체부(720)의 상면(722)에 형성된 샤프트 돌기(730)는 상측 가이드 패스(620)에 장착되며, 풀리 본체부(720)의 하면(724)에 형성된 샤프트 돌기(730)는 하측 가이드 패스(660)에 장착된다.
한 쌍의 샤프트 돌기(730)는, 캠 본체(400)의 수평 회전시, 각각,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및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에서 걸림되며, 걸림된 위치에서 제1 캠 풀리(700)를 고정시킨다.
윙 연결부(760)는 풀리 본체부(720)의 후면(728)에 장착되며, 후술하는 제1 윙(900)의 수평부(930)에 연결된다. 윙 연결부(760)는 풀리 본체부(720)의 수평 회전에 따라 제1 윙(900)의 수평부(930)와 함께 캠부 수용 챔버(150)의 슬릿(160)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부 수용 챔버(150) 내에 배치된다.
제2 캠 풀리(800)는 캠 본체(400)의 타측에서 캠 본체(400)의 상판부(440, 도 5 참조) 및 하판부(460, 도 5 참조) 사이 공간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캠 풀리(800)는 캠 본체(400)의 원통부(420)를 사이에 두고 제1 캠 풀리(700)와 대향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캠 풀리(800)는 풀리 본체부(820) 및 윙 연결부(860)를 포함한다.
풀리 본체부(820) 및 윙 연결부(860)는 제1 캠 풀리(700)의 풀리 본체부(720) 및 윙 연결부(760)와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풀리 본체부(820)는 제1 캠 풀리(700)의 풀리 본체부(720)와 같이 한 쌍의 샤프트 돌기(8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샤프트 돌기(830)는, 캠 본체(400)의 수평 회전시, 각각,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621, 622, 623, 624) 및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661, 662, 663, 664)에서 걸림되며, 걸림된 위치에서 제2 캠 풀리(800)를 고정시킨다.
윙 연결부(860)는 후술하는 제2 윙(1000)의 수평부(1030)에 연결된다. 윙 연결부(860)는 풀리 본체부(820)의 수평 회전에 따라 제2 윙(1000)의 수평부(1030)와 함께 캠부 수용 챔버(150)의 슬릿(160)에 배치되거나 또는 캠부 수용 챔버(150) 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윙(900, 1000)은 캠부(300)의 수평 회전에 따라 백커버(20, 도 1 참조)에서 서로 가까워지나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캠부(300)에 장착된다. 한 쌍의 윙(900, 1000)은 조절유닛 케이싱(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제1 윙(900) 및 제2 윙(100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윙(900)은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좌측 방향(-X축 방향)에 배치되며, 수평부(930) 및 수직부(980)를 포함한다.
수평부(930)는 길다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백커버(20)의 후면(25, 도 1 참조)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캠부(30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수평부(930)의 일단부(932)는 제1 캠 풀리(700)에 연결되고, 수평부(930)의 타단부(936)는 수직부(980)에 고정된다.
수직부(980)는 백커버(20)의 후면(25)에 고정되며, 캠부(300)의 수평 회전을 원할하도록 수평부(930)의 슬라이딩 거리나 조절유닛 케이싱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부(980)는 설계에 따라 수평부(930)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윙(900)은 수평부(930)의 슬라이딩에 따라 백커버(20)의 후면(25)을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Z축 방향)으로 밀거나 또는 후방(-Z축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제2 윙(1000)은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우측 방향(+X축 방향)에 배치되며, 제1 윙(1000)과 같이 수평부(1030) 및 수직부(1080)를 포함한다. 수평부(1030)의 일단부(1032)는 제2 캠 풀리(800)에 연결되며, 수평부(1030)의 타단부(1036)는 수직부(1080)에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부(1030) 및 수직부(1080)는 제1 윙(900)의 수평부(930) 및 수직부(98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부(1100)는 버튼부재(200)의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1100)는 탄성부재(1200) 및 탄성부재 베이스(130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200)는 캠 본체(400)의 내부 중공(410) 내에 배치되며, 버튼부재(200)를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00)는 사용자의 버튼부재(200) 하방 가압시 버튼부재(200)와 탄성부재 베이스(1300) 사이에서 압축되며, 사용자의 버튼부재(200) 하방 가압 해제시 버튼부재(200)를 상측 방향(+Y축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00)는 코일 스프링 또는 탄성을 갖는 기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 베이스(1300)는 탄성부재(1200)를 수용하며, 캠 본체(400)의 저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 베이스(1300)는 캠 본체(400)의 저부에서 내부 중공(410)을 커버하게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곡률 조절유닛(5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선 도면들에서 설명한 일부 구성들에 대해 도면상에서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9 내지 도 11로부터 한 쌍의 윙(900, 1000) 사이의 거리는 곡면 디스플레이 구현시 거리(d1)가 평판 디스플레이 구현시 거리(d2)보다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백커버(20)의 곡률은 한 쌍의 윙(900, 1000)이 서로 가까워질 때 작아지며, 한 쌍의 윙(900, 1000)이 서로 멀어질 때 커진다. 곡률 조절유닛(50)은 사용자 수동 조작으로 한 쌍의 윙(900, 10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을 조절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곡면 디스플레이 제공시, 곡면 조절유닛(50)의 캠 본체(400)는 캠 본체(400)의 장축에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배치시킨다.
곡면 디스플레이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하방 가압이 이루어지면, 버튼부재(200, 도 2 참조)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캠 본체(400)를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킨다. 버튼부재(200)와 캠 본체(400) 사이의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캠 본체(400)의 수평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캠 풀리(700, 800)가 캠 본체(400)의 단축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와 연결된 한 쌍의 윙(900, 1000)의 수평부(930, 1030)가, 각각, 조절유닛 케이싱(100)의 슬릿(160)을 통해 조절유닛 케이싱(100) 내로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의 윙(900, 1000)을 조절유닛 케이싱(100) 방향으로 당겨, 백커버(20)를 평판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평판 디스플레이에서 곡면 디스플레이로 다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도 1과 같은 사용자 하방 가압이 이루어지면, 캠 본체(400)가 다시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되어, 장축에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다시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와 연결된 한 쌍의 윙(900, 1000)의 수평부(930, 1030)가, 각각, 조절유닛 케이싱(100) 밖으로 나와 수직부(980, 108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백커버(20)를 곡면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곡면 디스플레이로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자동 방식 대신 사용자 하방 가압에 따른 수동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자동 방식에 비해 보다 더 간단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자동 방식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곡률 조절을 위한 매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보다 더 간단한 구조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캠 본체의 가이드 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2의 캠 본체의 가이드 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캠 본체(14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캠 본체(4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캠 본체(1400)는 원통부(1420), 상판부(1440) 및 하판부(1460)를 포함한다.
원통부(1420)의 내벽(1422), 즉, 내부 중공(1410)의 내벽(1422)에는 가이드 홈부(1500)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부(1500)에 대해서는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앞선 도 6과 같이 가이드 홈부(1500)의 설명을 위해 도 12의 원통부(1420)의 내벽(1422)을 개략적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가이드 홈부(1500)는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10, 1520, 1530, 1540, 1550, 1560, 1570, 1580) 및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10, 1520, 1530, 1540, 1550, 1560, 1570, 1580)은 제1 내지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10, 1520, 1530, 1540, 1550, 1560, 1570, 158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4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10, 1520, 1530, 1540)의 사이에 제5 내지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50, 1560, 1570, 1580)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제5 내지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50, 1560, 1570, 1580)의 상단부(1552, 1562, 1572, 1582)에도 앞선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 도 2 참조)의 미슬라이딩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는 한 쌍의 캠 풀리(700, 800, 도 2 참조)가 캠 본체(140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 배치될 때, 각각, 제5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50)의 상단부(1552) 및 제7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70)의 상단부(1572)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6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60)의 상단부(1562) 및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80)의 상단부(1582)에 배치된다.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은 제1 내지 제8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4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10, 1620, 1630, 1640)의 사이에 제5 내지 제8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50, 1660, 1670, 1680)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부(1500)에서의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슬라이딩을 살펴 보면, 한 쌍의 가이드 돌기(240)의 슬라이딩은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5 내지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50, 1560, 1570, 1580) 및 제5 내지 제8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650, 1660, 1670, 1680)에서도 이루어진다.
다시, 캠 본체(1400)를 살펴 보면, 상판부(1440) 및 하판부(1460)에는, 각각, 캠 본체(1400)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패스(1720, 1760)가 형성된다. 이하, 한 쌍의 가이드 패스(1720, 1760)에 대해서는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가이드 패스(1720, 1760)는 상측 가이드 패스(1720) 및 하측 가이드 패스(1760)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가이드 패스(1720)는 상판부(14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판부(1440)의 저면(1446)에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 패스(1760)는 하판부(146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하판부(1460)의 상면(1462)에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 패스(1760)는 상측 가이드 패스(1720)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은 복수 개의 상측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 및 복수 개의 하측 스토퍼 홈(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으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상측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은 제1 내지 제8 상측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4 상측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의 사이에 제5 내지 제8 상측 스토퍼 홈(1825, 1826, 1827, 1828)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제5 및 제7 상측 스토퍼 홈(1825, 1827)은 상판부(144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6 및 제8 상측 스토퍼 홈(1826, 1828)은 상판부(144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하측 스토퍼 홈(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은 제1 내지 제8 하측 스토퍼 홈(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4 하측 스토퍼 홈(1861, 1862, 1863, 1864) 사이에 제5 내지 제8 하측 스토퍼 홈(1865, 1866, 1867, 1868)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제5 및 제7 하측 스토퍼 홈(1865, 1867)은 하판부(146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제6 및 제8 하측 스토퍼 홈(1866, 1868)은 하판부(146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5 상측 스토퍼 홈(1825)과 제5 하측 스토퍼 홈(1865)은 제5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50)의 상단부(155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6 상측 스토퍼 홈(1826)과 제6 하측 스토퍼 홈(1866)은 제6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60)의 상단부(156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7 상측 스토퍼 홈(1827)과 제7 하측 스토퍼 홈(1867)은 제7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70)의 상단부(157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8 상측 스토퍼 홈(1828)과 제8 하측 스토퍼 홈(1868)은 제8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1580)의 상단부(1582)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제1 내지 제8 상측 스토퍼 홈(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과 제1 내지 제8 하측 스토퍼 홈(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은 수직 방향(Y축 방향)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각각, 서로 쌍을 이루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캠 본체(1400)의 구조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캠 본체(1400)의 수평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캠 본체(1400)의 장축 및 단축 뿐만 아니라 장축과 단축의 사이에도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2의 캠 본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선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선 도면들에서 설명한 일부 구성들에 대해 도면상에서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15를 참조하면, 앞선 도 9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 제공시, 곡면 조절유닛(70)의 캠 본체(1400)는 캠 본체(1400)의 장축에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배치시킨다. 도 17을 참조하면, 앞선 도 10과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제공시, 곡면 조절유닛(70)의 캠 본체(1400)는 캠 본체(1400)의 단축에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배치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디스플레이 장치(2)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추가의 곡면 디스플레이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하방 가압이 이루어지면, 버튼부재(200, 도 2 참조)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캠 본체(1400)를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캠 본체(1400)는 앞서 설명한 구조로 인해 캠 본체(1400)의 수평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캠 본체(140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윙(900, 1000)의 수평부(930, 1030)는 조절유닛 케이싱(100) 내로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의 윙(900, 1000)을 조절유닛 케이싱(100)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캠 본체(140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로 인해 한 쌍의 윙(900, 1000)의 수평부(930, 1030)는 앞선 실시예에서보다 조절유닛 케이싱(100) 내로 덜 밀려 들어오며, 한 쌍의 윙(900, 1000)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보다 백커버(20)를 덜 당긴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윙(900, 1000) 사이의 거리(d1')는 도 15에서의 한 쌍의 윙(900, 1000) 사이의 거리(d1)보다는 작고, 도 17의 한 쌍의 윙(900, 1000) 사이의 거리(d2)보다는 크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윙(900, 1000)의 슬라이딩에 따라, 백커버(20)는 완전히 평판으로 전환되지 않고 도 15에 도시된 것보다 완만한 곡률을 갖는 형태를 이룬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2)에서 다시 사용자 하방 가압이 이루어지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본체(1400)가 다시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되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캠 본체(1400)의 단축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윙(900, 1000)의 수평부(930, 1030)는 조절유닛 케이싱(100) 내로 더 슬라이딩되면서, 한 쌍의 윙(900, 1000)을 조절유닛 케이싱(100) 방향으로 더 당겨, 백커버(20)를 평판으로 전환시킨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다시, 사용자 하방 가압이 이루어지면, 캠 본체(1400)가 다시 일방향으로 수평 회전되어 한 쌍의 캠 풀리(700, 800)를 캠 본체(1400)의 장축과 단축 사이에 배치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2)는 다시 도 16과 같은 완만한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며, 사용자 하방 가압이 더 이루어지면 다시 도 15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곡면 조절유닛(70)은 사용자 하방 가압에 따른 캠 본체(1400)의 일 방향 수평 회전에 따라 두 개의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 및 평판 디스플레이를 갖도록 백커버(2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설계에 따라 세 개 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는 다단계로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양한 곡률을 갖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는 전술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와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백커버(20) 및 곡률 조절유닛(9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백커버(20)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곡률 조절유닛(90)은 조절유닛 케이싱(2000), 버튼부재(3000), 한 쌍의 캠부(4100, 4200) 및 한 쌍의 윙(5000, 6000)을 포함한다.
조절유닛 케이싱(2000)은 한 쌍의 버튼부재 삽입부(2100, 2200) 및 한 쌍의 캠부 수용 챔버(2600, 27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버튼부재 삽입부(2100, 2200)는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2100) 및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2200)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2100)에는 버튼부재(3000)가 관통 장착된다.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210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버튼부재(3000)의 상측을 노출시킨다.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2200)는 버튼부재(3000)를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며, 한 쌍의 캠부 수용 챔버(2600, 2700) 사이를 연결한다.
한 쌍의 캠부 수용 챔버(2600, 2700)는 제1 캠부 수용 챔버(2600) 및 제2 캠부 수용 챔버(2700)로 이루어진다.
제1 캠부 수용 챔버(2600)는 후술하는 제1 캠부(4100)를 수용하며,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2100) 및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2200)를 연결한다.
제2 캠부 수용 챔버(2700)는 후술하는 제2 캠부(4200)를 수용하며,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2200)의 저부에 형성된다. 제2 캠부 수용 챔버(2700)의 저부에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탄성부가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유닛 케이싱(2000)을 이루는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2100),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2200), 제1 캠부 수용 챔버(2600) 및 제2 캠부 수용 챔버(2700)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거나 또는 설계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부재(3000)는 한 쌍의 캠부(4100, 4200)를 회전 동작 가능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캠부(4100, 4200)는 제1 캠부(4100) 및 제2 캠부(4200)로 이루어진다.
제1 캠부(4100)는 제1 캠부 수용 챔버(2600)에 수용되며, 버튼부재(30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수평 방향(XZ축 방향)으로 회전 동작한다.
제2 캠부(4200)는 제2 캠부 수용 챔버(2600)에 수용되며, 제1 캠부(4100)와 마찬가지로 버튼부재(30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수평 방향(XZ축 방향)으로 회전 동작한다.
한 쌍의 윙(5000, 6000)은 제1 윙(5000) 및 제2 윙(6000)을 포함한다.
제1 윙(5000)은 한 쌍의 수평 바(5100, 5200) 및 수직부(5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평 바(5100, 5200)는 상측 수평 바(5100) 및 하측 수평 바(5200)로 이루어진다.
상측 수평 바(5100)는 제1 캠부(4100)에 연결되며, 하측 수평 바(5200)는 제2 캠부(4200)에 연결된다. 상측 수평 바(5100)와 하측 수평 바(5200)는 상하 방향(Y축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수직부(5300)는 상측 수평 바(5100) 및 하측 수평 바(5200)와 연결되며, 백커버(20)의 후면(25)에 고정 장착된다.
제2 윙(6000)은 제1 윙(5000)과 같이 한 쌍의 수평 바(6100, 6200) 및 수직부(6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평 바(6100, 6200)는 제1 윙(5000)과 같이 상측 수평 바(6100) 및 하측 수평 바(6200)로 이루어진다.
제2 윙(6000)의 상측 수평 바(6100), 하측 수평 바(6200) 및 수직부(6300)는 제1 윙(5000)의 상측 수평 바(5100), 하측 수평 바(5200) 및 수직부(5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에서는 버튼부재(3000)의 상하 방향(Y축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제1 캠부(4100) 및 제2 캠부(4200)가 수평 방향(XZ축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제1 및 제2 윙(5000, 6000)의 상측 수평바(5100, 6100) 및 하측 수평바(5200, 6200)는 각각, 슬라이딩되어 백커버(20)를 잡아 당기거나 또는 밀어 백커버(20)의 곡률을 조절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는 서로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상측 수평 바(5100, 6100) 및 하측 수평 바(5200, 6200)의 슬라이딩을 통해 백커버(20)를 잡아 당기거나 또는 밀게 되므로, 백커버(20)의 곡률 조절시, 백커버(20)의 상측과 하측에서의 곡률 변동폭을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는 백커버; 및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백커버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사용자의 하방 가압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버튼부재;
    상기 버튼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백커버의 수평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는 한 쌍의 윙;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곡률은 상기 한 쌍의 윙이 서로 가까워질 때 작아지며, 상기 한 쌍의 윙이 서로 멀어질 때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윙은, 일단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버튼부재 및 상기 캠부을 수용하는 조절유닛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유닛 케이싱은,
    상기 버튼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재 삽입부; 및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를 수용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수평 회전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조절유닛 케이싱의 상부에 노출되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푸시 버튼; 및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버튼부재 삽입홀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튼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몸체에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시 상기 버튼 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내벽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 방지 리브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회전 방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부는,
    상기 버튼 몸체가 삽입되는 내부 중공을 가지며,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본체; 및
    일측이 각각의 윙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내부 중공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캠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본체의 내부 중공의 내벽에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캠 풀리는 상기 캠 본체의 회전시 각각의 윙을 상기 캠부 수용 챔버 내부로 당기거나 또는 상기 캠부 수용 챔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조절유닛은 상기 캠 본체의 내부 중공 내에 수용되며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 몸체가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때 상기 버튼 몸체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부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내부 중공의 내벽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 및
    각각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을 연결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내부 중공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캠 본체는,
    상기 내부 중공을 갖는 원통부; 및
    상기 내부 중공을 노출시키며 상기 원통부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판부와 하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의 저면 및 상기 하판부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캠 본체의 수평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가이드 패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패스에는 상기 복수 개의 하방 슬라이드 가이드 홈의 상단부와 방사상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스토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윙은,
    각각의 캠 풀리에 연결되며, 상기 백커버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제1 캠부; 및 제2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 수용 챔버는, 상기 제1 캠부를 수용하는 제1 캠부 수용 챔버; 및 상기 제2 캠부를 수용하는 제2 캠부 수용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재 삽입부는, 상기 제1 캠부 수용 챔버 상측에 마련되는 상측 버튼부재 삽입부; 및 상기 제1 캠부 수용 챔버와 상기 제2 캠부 수용 챔버 사이에 마련되는 하측 버튼부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1 캠부에 연결되는 상측 수평바; 및
    상기 제2 캠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하측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2115A 2014-04-15 2014-05-2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15A KR102279885B1 (ko) 2014-05-23 2014-05-23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5/002704 WO2015160099A1 (en) 2014-04-15 2015-03-19 Display apparatus
US14/686,395 US9307658B2 (en) 2014-04-15 2015-04-14 Display apparatus
US15/052,680 US9510469B2 (en) 2014-04-15 2016-02-24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15A KR102279885B1 (ko) 2014-05-23 2014-05-2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25A true KR20150134825A (ko) 2015-12-02
KR102279885B1 KR102279885B1 (ko) 2021-07-22

Family

ID=5488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115A KR102279885B1 (ko) 2014-04-15 2014-05-2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8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00040492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290240B2 (en) 2016-05-27 2019-05-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20200040492A (ko) * 2018-10-10 2020-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885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469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534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34262B2 (en)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N106019602A (zh) 头戴式显示设备
KR1022080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17483B (zh) 一种变焦成像灯调焦结构
CN106324960A (zh) 投影装置及镜头模组
KR201501348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003516A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TWI542215B (zh) 帶有攝像頭的顯示裝置
CN112596190A (zh) 一种镜头调焦组件和投影机
JP2016137111A (ja) 遊技機
CN104433355A (zh) 一种可控制抽屉侧板摆动范围的结构
CN105708193B (zh) 一种用于家具抽屉前面板的可调节限位机构
CN104939546B (zh) 用于抽屉的拉出引导部
KR102140428B1 (ko) 전동 각도조절 책상
CN201096973Y (zh) 一种望远镜调焦机构
CN202161001U (zh) 扶手高低调整结构
US9479668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stand for inclining the apparatus
KR20100013863A (ko) 렌즈 이동 장치
US20190257396A1 (en) Slider for an actuator
KR1021779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1672968B (zh) 镜头调整模块
CN213599168U (zh) 照明装置及其调光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