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382A -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 Google Patents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382A
KR20150133382A KR1020140059909A KR20140059909A KR20150133382A KR 20150133382 A KR20150133382 A KR 20150133382A KR 1020140059909 A KR1020140059909 A KR 1020140059909A KR 20140059909 A KR20140059909 A KR 20140059909A KR 20150133382 A KR20150133382 A KR 2015013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rotective
inclined surface
body member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4005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382A/ko
Publication of KR2015013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화장실의 변기의 일측부에서 온수 세정기 내 변좌 및 변좌 뚜껑과 결합하고 변기의 일측부로부터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을 향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본체 부재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경사면 상에서 경사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덮개와,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 주변에서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에 대하여 본체 부재를 격리시키는 보호 벽을 가지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PROTECTION MEMBER MOUNTED ON MAIN BODY MEMBER OF BIDE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수 세정기에서 변좌 및 변좌 뚜껑과 결합하는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기(bidet)는 숙박 업소, 공공 시설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위치해서 좌변 설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이용자의 용변 후에 노즐 어셈블리를 통하여 이용자의 항문 및/ 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시켜서 이용자의 신체로부터 용변 관련 더러움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용자가 남자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는 용변 시에 화장실의 바닥 상에 위치해서 신체로부터 변기를 향해서 소변을 배출한다. 상기 소변이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소변은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 또는 변기의 테두리를 향해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소변이 변기의 테두리 상에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소변은 변기의 테두리로부터 온수 세정기의 본체부에도 튈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노즐 어셈블리와 노즐 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구성 요소들을 갖는다. 상기 본체부의 형상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03469 호 (2013.01.09일) 에 '살균 모듈을 구비한 비데 및 변좌' 라는 제목에서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소변은 이용자의 용변 후에 본체부의 표면 상에 얼룩을 형성한다. 상기 얼룩은 본체부의 노즐 어셈블리의 구동을 저하시키고 그리고 본체부를 통해서 온수 세정기의 미관을 저해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용자가 소변을 배출시키는 동안에, 변기의 테두리에서 본체 부재로 소변의 튐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의 구동 저하와 온수 세정기의 미관 저해를 방지하는데 적합하도록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앞서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보호 부재는, 화장실의 변기의 일측부에서 온수 세정기 내 변좌 및 변좌 뚜껑과 결합하고 상기 변기의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을 향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본체 부재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면 상에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덮개와, 상기 변기의 상기 용변 수용 공간 주변에서 상기 변기의 상기 용변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기 본체 부재를 격리시키는 보호 벽을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경사면을 통해서 상기 본체 부재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안착면을 편평하게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안착면 상에 요철(凹凸) 패턴들을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제 1 안착면을 편평하게 가지고, 상기 제 1 안착면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무늬 패턴을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제 1 안착면 상에 요철(凹凸) 패턴들과, 상기 제 1 안착면의 반대 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 상에 무늬 패턴들을 갖는다.
상기 보호벽은 상기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구를 갖는다.
상기 보호 하우징은 합성 수지와 면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보호 부재가 온수 세정기 내 변좌 및 변좌 뚜껑과 결합하는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어서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으로부터 본체 부재를 격리시키기 때문에,
상기 보호 부재는 본체 부재 상에서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으로부터 본체 부재를 격리시켜 이용자의 변기의 이용 동안에 변기의 테두리에서 본체 부재로 소변의 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와 소변의 접촉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어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와 소변의 접촉을 방지시켜서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의 구동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변기 상에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서 'D' 방향으로 보여지는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는 도 1 내지 도 13 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를 개시하면서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변기 상에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는(220)는 화장실 내 변기(5) 상에 위치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본체 바디(110), 조작 패널(190), 변좌(200)와 변좌 뚜껑(2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바디(110)는 도 2 의 건조/ 탈취 장치(60)와 도 5 의 노즐 어셈블리(79)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패널(190)은 본체 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건조/ 탈취 장치(60)와 노즐 어셈블리(79)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 패널(190)은 복수 개의 버튼(butt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변좌(200)는 본체 바디(110)에 회전 결합되어서 변기(5)의 테두리, 예를 들면,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의 테두리 상에 위치해서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7)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상기 변좌 뚜껑(210)은 본체 바디(110)에 회전 결합되어서 변좌(200)를 덮거나 변좌(20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도 2 는 도 1 의 온수 세정기의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건조/ 탈취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본체 바디(110)에 건조/ 탈취 장치(60)를 도 2 와 같이 포함한다. 상기 건조/ 탈취 장치(60)는 도 3 에서 서로 연통하는 흡입대(10), 체류대(20), 건조대(40)와, 탈취대(5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대(10)는 도 1 에서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으로부터 공기를 제 1 흐름선(F1)을 따라 흡입하는 공기 흡입 통로(도면에 미 도시)를 갖는다.
상기 체류대(20)는 제어부(30)를 통해서 흡입대(10)의 공기를 건조대(30) 또는 탈취대(50)로 보내는 공기 체류 통로(도면에 미 도시)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30)는 모터(도면에 미 도시)와 송풍팬(35)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송풍팬(35)을 제 1 방향(R1)으로 회전시켜서 흡입대(10)의 공기를 건조대(30)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송풍팬(35)을 제 2 방향(R2)으로 회전시켜서 흡입대(10)의 공기를 탈취대(50)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송풍기(35)는 제 2 흐름선(F2)을 따라서 건조/ 탈취 장치(6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추가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건조대(40)는 내부에 가열기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대(40)는 흡입대(10)와 체류대(20)를 통해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건조대(40)는 공기를 가열해서 제 3 흐름선(F3)을 따라 가열된 공기를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으로 분사하는 공기 건조 통로(도면에 미 도시)를 갖는다. 상기 탈취대(50)는 내부에 탈취제를 포함한다. 상기 탈취대(50)는 흡입대(10)와 체류대(20)를 통해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탈취대(50)는 공기 중 불쾌한 냄새를 탈취해서 제 4 흐름선(F4)을 따라 탈취된 공기를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으로 분사하는 공기 탈취 통로(도면에 미 도시)를 갖는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본체 바디(110), 변좌(130)와, 변좌 뚜껑(140)을 갖는다. 상기 본체 바디(110)는 본체 부재(95)와 보호 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부재(95)는 도 1 의 변기(5) 상에서 변기(5)의 일측부로부터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을 향해서 터이퍼진(tapered)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본체 부재(95)는 제 1 부재(70), 제 2 부재(80)와, 힌지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재(70)는 제 2 부재(80)를 둘러싼다. 상기 힌지부(90)는 제 2 부재(80)를 관통해서 제 2 부재(80)에 위치된다. 상기 보호 부재(100)는 제 1 부재(70) 상에 위치된다. 상기 보호 부재(100)는 제 1 부재(7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 경우에, 상기 제 1 부재(70)와 보호 부재(100)는 제 1 관통구(H1), 제 2 관통구(H2)와, 제 3 관통구(H3)를 갖는다. 상기 제 1 관통구(H1)는 도 3 의 건조대(40)의 공기 건조 통로와 마주한다. 상기 제 2 관통구(H2)는 도 3 의 탈취대(50)의 공기 탈취 통로에 연통된다. 상기 제 3 관통구(H3)는 노즐 어셈블리(79), 예를 들면 노즐(nozzle)을 출입시킨다. 상기 변좌(200)와 변좌 뚜껑(210)은 힌지부(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는 도 4 의 온수 세정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에서, 상기 본체 부재(95)는 도 1 의 변기(5) 상에서 변기(5)의 일측부로부터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을 향해서 경사면(S1)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 부재(95)는 경사면(S1)을 편평하게 가지는 제 1 부재(70)와,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으로부터 경사면(S1)의 상부를 향해서 돌출하며 변좌(200)와 변좌 뚜껑(210)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부재(80)를 갖는다.
상기 제 1 부재(70)는 경사면(S1)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들에 각각 위치되는 삼각 형상의 측면(71)들과, 측면(71)들 사이에서 경사면(S1)과 측면(71)들에 연결되어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을 향하는 전면(73)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S1)은 제 2 부재(80)의 양 측부들로부터 전면(73)을 향해서 'H' 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71)들은 경사면(S1)과 전면(73) 사이에 위치 조정 돌출부(75)들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전면(73)은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을 향해서 개방되는 건조 공기 분출구(H11), 탈취 공기 분출구(H21)와, 노즐 출입구(H31)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73)은 건조 공기 분출구(H11) 및 탈취 공기 분출구(H21) 중 하나와, 노즐 출입구(H31)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전면(73)은 경사면(S1)의 테두리들 사이의 중앙 영역보다 경사면(S1)의 테두리들 주변의 주변 영역에서 더 돌출된다.
상기 온수 세정기(220)에서, 상기 보호 부재(100)는 본체 부재(95)의 경사면(S1)을 덮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 부재(100)는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경사면(S1)과 전면(73)을 덮는 보호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하우징(102)은 합성 수지와 면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하우징(102)는 보호 덮개(104)와 보호 벽(106)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덮개(104)는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 상에서 경사면(S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104)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안착면(S2)과 제 2 안착면(S3)을 편평하게 갖는다. 상기 보호 벽(106)은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 주변에서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으로부터 제 1 부재(70)의 전면(73)을 차폐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 벽(106)은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 주변에서 변기(5)의 용변 수용 공간(7)에 대하여 본체 부재(95)를 격리시킨다. 상기 보호벽(106)은 제 1 부재(70)의 전면(73)의 건조 공기 분출구(H11), 탈취 공기 분출구(H21)와, 노즐 출입구(H31)에 각각 대응되는 유도구들(H12, H22, H32)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벽(106)은 제 1 부재(70)의 전면(73)의 건조 공기 분출구(H11) 및 탈취 공기 분출구(H21) 중 하나와, 노즐 출입구(H31)에 각각 대응되는 유도구들(H12 또는 H22, H32)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보호벽(106)은 제 1 부재(70) 상에서 제 1 부재(70)의 전면(73)과, 측면(71)들의 위치 조정 돌출부(75)들에 접촉된다. 상기 건조 공기 분출구(H11), 탈취 공기 분출구(H21), 노즐 출입구(H31)와, 유도구들(H12, H22, H32)은 도 4 의 관통구들(H1, H2, H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부재(70)는 경사면(S1)을 통해서 보호 부재(100)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끼움 결합을 위해서, 상기 경사면(S1)은 제 2 바디(80)의 양 측부들에서 제 1 부재(70)의 측면(71)들과 제 2 부재(80) 사이에 끼움 돌기(77)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보호 덮개(104)는 경사면(S1)의 끼움 돌기(77)들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 홀(108)들을 갖는다. 상기 끼움 홀(108)들은 보호 덮개(104)를 관통한다. 상기 보호 부재(100)는 끼움 결합을 통해서 제 1 부재(70)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된다.
도 6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 은 도 4 및 도 5 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를 대체하는 보호 부재(10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100)와 보호 부재(100A)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보호 부재(100A)의 보호 덮개(124)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의 보호 덮개(104)와 다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 덮개(124)는 도 5 의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과 마주하는 제 1 안착 면(S2)을 편평하게 가지고, 제 1 안착면(S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S3)에 한 종류의 무늬 패턴(128)들을 가지며, 경사면(S1)의 끼움 돌기(77)들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 홀(108)들을 갖는다.
도 7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 은 도 4 및 도 5 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를 대체하는 보호 부재(100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100)와 보호 부재(100B)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보호 부재(100B)의 보호 덮개(132)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의 보호 덮개(104)와 다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 덮개(132)는 도 5 의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과 마주하는 제 1 안착 면(S2)을 편평하게 가지고, 제 1 안착면(S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S3)에 두 종류의 무늬 패턴들(134, 136) 또는 세 종류의 무늬 패턴들(134, 136, 138)을 가지며, 경사면(S1)의 끼움 돌기(77)들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 홀(108)들을 갖는다.
도 8 은 도 5 의 보호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에서 'D' 방향으로 보여지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8 및 도 9 는 도 4 및 도 5 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 세정기(220)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를 대체하는 보호 부재(100C)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보호 부재(100C)의 보호 덮개(144)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의 보호 덮개(104)와 다르다. 그러나, 상기 보호 부재(100C)의 보호 덮개(144)는 도 5 의 보호 부재(100)의 보호 덮개(104)와 다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호 덮개(144)는 도 5 의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과 마주하는 제 1 안착면(S2)에 엠보싱 패턴(148)들을 가지고, 제 1 안착면(S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S3)을 편평하게 가지며, 상기 경사면(S1)의 끼움 돌기(77)들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 홀(108)들을 갖는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보호 덮개(144)는 제 1 부재(70)의 경사면(S1)과 마주하는 제 1 안착 면(S2)에 엠보싱 패턴(148)들을 가지고, 제 1 안착면(S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S3)에 도 6 또는 도 7 의 무늬 패턴들을 가지며, 경사면(S1)의 끼움 돌기(77)들에 각각 결합되는 끼움 홀(108)들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 변기, 60; 건조/ 탈취 장치
70; 제 1 부재, 79; 노즐 어셈블리
80; 제 2 부재, 90; 힌지부
95; 본체 부재, 100, 100A-100C; 보호 부재
110; 본체 바디, 200; 변좌
210; 변좌 뚜껑, 220; 온수 세정기,

Claims (9)

  1. 화장실의 변기의 일측부에서 온수 세정기 내 변좌 및 변좌 뚜껑과 결합하고 상기 변기의 상기 일측부로부터 상기 변기의 용변 수용 공간을 향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본체 부재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경사면 상에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보호 덮개와, 상기 변기의 상기 용변 수용 공간 주변에서 상기 변기의 상기 용변 수용 공간에 대하여 상기 본체 부재를 격리시키는 보호 벽을 가지는 보호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경사면을 통해서 상기 본체 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보호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안착면을 편평하게 가지는 보호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안착면 상에 요철(凹凸) 패턴들을 가지는 보호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제 1 안착면을 편평하게 가지고, 상기 제 1 안착면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무늬 패턴을 가지는 보호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는 제 1 안착면 상에 요철(凹凸) 패턴들과, 상기 제 1 안착면의 반대 편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면 상에 무늬 패턴들을 가지는 보호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은 상기 본체 부재의 노즐 어셈블리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구를 가지는 보호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합성 수지와 면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호 부재.
KR1020140059909A 2014-05-19 2014-05-19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KR20150133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909A KR20150133382A (ko) 2014-05-19 2014-05-19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909A KR20150133382A (ko) 2014-05-19 2014-05-19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82A true KR20150133382A (ko) 2015-11-30

Family

ID=5486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909A KR20150133382A (ko) 2014-05-19 2014-05-19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730A (ko) * 2016-05-19 2017-11-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0730A (ko) * 2016-05-19 2017-11-2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65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UV generator
CN106958277B (zh) 冲水大便器
JP4781287B2 (ja) 電気洗濯機
EP3346061A1 (en) Toilet deodorizing method, toilet, and toilet deodorizing device
WO2006058374A1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US20090133185A1 (en) Toilet seat cleaning system
TW201619474A (zh) 水洗式馬桶
KR20150133382A (ko) 온수 세정기의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
ITMO20010180A1 (it) Dispositivo automatico perfezionato di lavaggio della ciambella del water
KR20150133381A (ko) 본체 부재 상에 안착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1103765B1 (ko)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KR20160080129A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190076840A (ko) 변좌 장치 및 토일렛 장치
KR200466633Y1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102261861B1 (ko) 스마트 변좌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기 시스템
JP4495625B2 (ja) 機能部ケースの蓋体脱着構造
KR20100079263A (ko) 좌변기용 비데
KR102157307B1 (ko) 살균기능을 포함하는 변기커버
KR20020065160A (ko) 작업장용 신체 소독 시스템
CN110732447A (zh) 雾化装置和洗衣机
KR20160074790A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19112817A (ja) 便座装置
KR20170128815A (ko) 소변기 사용자 근접위치 유도구
JPH0354220Y2 (ko)
US11096549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mechanism for modifying o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