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28A -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28A
KR20150133028A KR1020140059822A KR20140059822A KR20150133028A KR 20150133028 A KR20150133028 A KR 20150133028A KR 1020140059822 A KR1020140059822 A KR 1020140059822A KR 20140059822 A KR20140059822 A KR 20140059822A KR 20150133028 A KR20150133028 A KR 2015013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fire
spray
derivativ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8788B1 (en
Inventor
김해지
신성훈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성훈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78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outlet with a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vided is the outlet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a body which receives a terminal of a plug, a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which is combined with the rear side of the body and extinguishes a fire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the fire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fire extinguishing agent; a spray nozzle which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to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 spray blocking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end of the spray nozzle and blocks the spray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a spray inducer which induces the spray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by removing the spray blocking layer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the fire.

Description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Outlet with Extinguishing Apparatus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provided with an extinguishing device.

옥내 배선측의 접속기인 콘센트에 전원이 연결되고, 전자제품의 케이블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가 콘센트와 접속되면,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제품이 작동될 수 있다.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an outlet which is a connector on the indoor wiring side and a plug formed on the cable end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o the outle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o operate the electronic product.

하나의 콘센트로 다수개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결속되는 결속부를 다수개 형성시킨 멀티탭 등과 같은 콘센트가 많이 사용된다. A plurality of outlets such as a multi-tap or the like having a plurality of binding portions to which the plugs are bound are used in order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with one outlet.

콘센트에 많은 수의 전기장치를 결속시켜 사용하거나 단위시간에 대한 전력소비량이 많은 다리미나 헤어드라이기 등의 전기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콘센트에 많은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선이 훼손되는 합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When an electric device such as an iron or a hair dryer is used for a long time in which a large number of electric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r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consumed per unit time, a lot of heat is generated in the outlet, There was a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에는 상기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하게 전기장치들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ch a conventional socket is not equipped with a device for preparing for the above-mentioned safety accident, so that the electric devices can not be used safely.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391호(2013.06.10 공개, 안전 콘센트)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60391 (published on June, 2013, Safety Outlet).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let hav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extinguishing a fire generated at the rear surface of an outle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러그의 단자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라 소화를 진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방지하는 분사차단막; 및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분사차단막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유도하는 분사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including: a main body in which a terminal of a plug is accommodated;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ceeding with fire occurrence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storage part for storing fire extinguishing agent therein;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A spray blocking layer formed at an end of the spray nozzle to prevent spraying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a spraying derivative for spraying the extinguishing agent by removing the spraying shielding film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outlet being provid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이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차단막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pipe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jetting nozzle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jetting blocking film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pipe and the jetting nozzle.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이동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for restraining the injection derivative when there is no fire and releasing the injection derivative when there is a fire to move the injection derivative toward the injection blocking film.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차단막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injection derivativ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jection nozzl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jection blocking layer.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의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may restrict the injection derivative by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to support the injection derivative.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분사차단막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상기 락킹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jection derivative includes: a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 head formed to face the spray-blocking layer at an end of the body; A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body to be supported by the locking part;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injection nozzle and presses the support portion toward the spray-blocking film.

상기 헤드 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Sectional area of the head end portion may become smaller toward the injection blocking membrane side.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는 락킹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regulator for releasing the injection derivative by moving the lock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jection nozzle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 락킹조절부는, 상기 락킹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 후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includes a wi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unit.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wire;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nsor uni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upon detecting a fire occurr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ram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ix the injection nozzle.

상기 본체 후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rame to insert the insertion protrusion.

상기 본체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자동적으로 진압함으로써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fire can be prevented by automatically suppressing a fire generated at the rear face of the outlet at an early s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와 소화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소화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let hav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fire extinguisher of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n outlet provided with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Exemplary embodiments of an outlet with a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와 소화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의 소화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fire extinguisher of an outlet having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n outlet provided with an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는, 본체(11), 커버(12), 센서부(13), 삽입돌기(14) 및 소화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a recepta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a cover 12, a sensor portion 13, an insertion protrusion 14,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100, . ≪ / RTI >

본체(11)는 플러그(plug) 단자가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커버(12)는 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된다. 센서부(13)는 콘센트(10)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 plug terminal can be receiv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cover 12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sensor unit 13 can sense a fire gene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ceptacle 10.

센서부(13)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광센서일 수 있다. 수광센서는 콘센트(10) 후면의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에 따른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기준값 이상의 빛이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소화장치(100)로 송신한다.The sensor unit 13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sensors, for example, a light receiving sensor.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n sense the illuminance of the fire according to the fire in the closed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receptacle 1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100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light above the reference value is detec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는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13)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부(13)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센서부(13)가 상기 삽입홀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2, the sensor unit 13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f the receptacle 10. The sensor unit 13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minimize the dead zones that the sensor unit 13 can not detect. In this case, a pl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f the receptacle 10, and the sensor portion 13 can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by bolts.

삽입돌기(14)는 소화장치(100)와 끼움결합되는 부분으로, 소화장치(100)의 삽입홈(171)에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protrusion 14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extinguishing unit 10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71 of the extinguishing unit 100.

소화장치(100)는 저장부(110), 분사노즐(120), 분사차단막(130) 및 분사유도체(140)를 포함하고, 락킹부(150), 락킹조절부(160) 및 프레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spray nozzle 120, a spray shield 130, and a spraying derivative 140. The fire extinguisher 100 includes a locking unit 150, a locking controller 160, As shown in FIG.

저장부(110)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카트리지로서,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약제는 불을 끌 수 있는 물질로서, 이산화탄소(CO2),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 is a cartridge for storing the extinguishing agent therein, and can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f the receptacle 10. He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a fire-extinguishing substance, and may include carbon dioxide (CO 2 ), water,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분사노즐(120)은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저장부(110)와 연결되는 노즐이다. 분사노즐(120)에는 분사구(121)가 구비되어 소화약제가 분사구(121)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The injection nozzle 120 is a nozzle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110 to enable the injec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The injection nozzle 120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121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12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20)은 콘센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분사구(121)는 분사노즐(12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121)는 효율적인 화재 진압을 위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에서 양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1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21)는 화재에 취약한 부분을 향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jection nozzle 12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cket 10, and the injection orifices 121 may be formed in the injection nozzle 120 in plurality. The injection port 121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jection nozzle 120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injected to both sides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for efficient fire suppression. Further, the injection port 121 may be positioned so as to inject the extinguishing agent toward a portion vulnerable to fire.

분사차단막(130)은 분사노즐(1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소화약제의 분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차단막(130)에 의하여 소화약제는 저장부(110)에서 분사노즐(120) 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분사차단막(130)은 분사유도체(14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폴리아세탈(POM: Polyacetal, Polyoxymethylene)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pray shield 1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pray nozzle 120 to block spraying of the extinguishing agen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not move from the storage part 110 to the injection nozzle 120 side due to the injection blocking film 130. The injection blocking layer 130 may be formed of a polyacetal (POM) resin so as to be removed by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한편, 저장부(110)와 분사노즐(120) 사이에 이동관(131)이 개재될 수 있다. 이동관(131)은 저장부(110)에서 분사노즐(120)로 소화약제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동관(131)은 필요에 따라 절곡될 수 있으나, 소화약제가 이동하는 데에 있어, 소화약제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선으로 절곡될 수 있다.Meanwhile, a moving pipe 1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moving pipe 13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can move from the storage unit 110 to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moving pipe 131 can be bent as needed, but in moving the extinguishing agent,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bent into a curved line to minimize resistan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는 분사노즐(120)의 양측에 설치되고, 이동관(131) 역시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차단막(130)은 분사노즐(120)과 이동관(13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분사차단막(130)이 제거되기 전까지는 저장부(110) 내의 소화약제가 이동관(131) 내부로 이동하여 머무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torage unit 1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jection nozzle 120, and the moving pipe 131 may also be composed of two. In this case,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jetting nozzle 120 and the moving tube 131, and the jetting agent 130 in the storage unit 110 flows into the moving tube 131 until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is removed. You can stay and move.

분사유도체(140)는 콘센트(10)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는 부분이다. 분사유도체(140)는 고속으로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하여 분사차단막(130)을 관통하여 파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차단막(130)이 제거되면, 압력 차에 의하여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로 고속으로 이동하고 분사구(121)를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The jetting derivative 140 is a part for removing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when there is a fire in the rear surface of the outlet 10. The jetting derivative 140 moves toward the jetting blocking layer 130 at a high speed and can penetrate the jetting blocking layer 130 and break it. Accordingly, when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is removed,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moved to the jetting nozzle 120 at a high spe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nd jetted through the jetting port 121.

락킹부(150)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해제하여 분사유도체(140)를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The locking part 150 restricts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when there is no fire and restrains the incandescent injection 140 having the fire to move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toward the injection blocking layer 130 .

분사유도체(140)는 분사노즐(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사노즐(120) 내에는 분사유도체(140)를 수용하는 수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가 분사노즐(120) 내부에 있다면, 화재 발생 시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파괴하더라도 분사노즐(120) 자체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소화약제를 온전히 분사시킬 수 있다.The injector 14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jector nozzle 120. In this case, the injector nozzle 120 may be provided with a receptacle 122 for receiving the injector 140. If the spraying derivative 140 is located inside the spraying nozzle 120, even if the spraying derivative 140 destroys the spraying blocking film 130 in the event of a fire, the spraying nozzle 120 itself is not damaged, .

또한, 락킹부(150)의 일단은 분사노즐(120)을 관통하여 분사유도체(140)를 지지함으로써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할 수 있다. 락킹부(150)의 일단이 분사노즐(120)을 관통하더라도 락킹부(150)의 일단과 분사노즐(120)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소화약제가 유출되지 않는다.One end of the locking part 150 may pas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20 to support the injection valve 140 to restrict the injection valve 140. Even if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50 passe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20, a gap is not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locking part 150 and the injection nozzle 120,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does not flow out.

분사유도체(140)는 몸체(141), 헤드(142), 지지부(143) 및 탄성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jetting derivative 140 may include a body 141, a head 142, a support 143, and an elastic member 144.

몸체(141)는 분사노즐(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헤드(142)는 몸체(141)의 단부에 분사차단막(130)을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헤드(142)는 실제적으로 분사차단막(130)을 파괴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142)가 분사차단막(130)에 만드는 구멍을 통하여 분사유도체(140)가 이동하기 위하여 헤드(142)의 크기는 몸체(141)의 폭보다 커야 한다.The body 14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head 142 is formed so as to face the end portion of the body 141 with the spray-blocking film 130 therebetween. The head 142 actually serves to break the jetting blocking layer 130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durability. The size of the head 142 should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141 so that the jetting guide 140 moves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by the head 14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42)의 단부의 단면적은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42)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헤드(142)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분사차단막(130)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분사차단막(130)의 중앙)에 분사유도체(140)가 가하는 힘이 강력해질 수 있다. 4,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of the head 142 may become smaller toward the spray-blocking layer 130 side. For example, the end of the head 142 may be pointed or the head 142 may have a rhombic shape. Accordingly, when the fire occurs, the force exerted by the jetting guide 140 on a specific point of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can be strengthened.

지지부(143)는 락킹부(15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 몸체(141)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3)는 몸체(1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락킹부(150)는 헤드(142)와 지지부(143) 사이에 위치하여 지지부(14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43)의 전체 폭은 헤드(14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헤드(142)가 분사차단막(130)에 만든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43 may be formed on the body 141 as a portion supported by the locking portion 150. The support portion 143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41 and the locking portion 1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head 142 and the support portion 143 to support the support portion 143. The entir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14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ead 142 so that the head 142 can pass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jetting shielding film 130.

탄성부재(144)는 분사노즐(120)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부(143)를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압축된 상태로 분사노즐(120)의 수용부(122)에 위치하여 지지부(143)를 가압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44 is disposed inside the injection nozzle 120 and presses the support portion 143 toward the spray blocking layer 130, and may include a spring. The elastic member 144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2 of the injection nozzle 120 in a compressed state to press the supporting portion 143. [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부재(144)는 몸체(141)를 커버(12)할 수 있다. 지지부(143)가 몸체(1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경우, 탄성부재(144)는 지지부(143)의 일면을 가압하고, 락킹부(150)는 지지부(143)의 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분사유도체(140)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44 of the spring can cover the body 141. The elastic member 144 presses on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43 and the locking portion 150 supports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43 have. Thereby, the jetting derivative 140 can be stably restrained.

또한, 탄성부재(144)는 분사유도체(140)가 구속해제 되었을 때, 분사차단막(130) 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더해주므로, 분사유도체(140)가 빠른 속도로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파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분사차단막(130) 파괴의 정확성을 높여주며,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elastic member 144 adds a force to move toward the injection blocking film 130 when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is released from the constraint,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can remove (destroy) the injection blocking film 130 at a high speed ). This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breakage of the injection blocking film 130, and the fire suppression can be rapidly perform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50)는 두 개의 바(bar)가 서로 연결된'H'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바 일단은 분사노즐(120) 내부에 관통되어 헤드(142)와 지지부(14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part 150 may be formed in an 'H' shape in which two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two bars may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injection nozzle 120 and be positioned between the head 142 and the support 143.

락킹조절부(160)는 분사유도체(140)를 구속해제하기 위하여 락킹부(150)를 분사노즐(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락킹조절부(160)는 와이어(161), 회전체(162), 구동부(163)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regulator 160 may move the locking part 15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to release the constraint of the injection derivative 140. [ The locking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wire 161, a rotating body 162, a driving unit 163, and a control unit.

와이어(161)는 락킹부(150)의 타단에 결합되며, 불필요하게 끊어지지 않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어(161)는 도르래(164)에 의하여 이동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도르래(164)를 이용하면, 와이어(161) 이동에 대한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The wire 161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150 and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o as not to be unnecessarily broken. Referring to FIG. 3,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ire 161 may be changed by the pulley 164. By using the pulley 164, space for movement of the wire 161 can be saved.

회전체(162)는 와이어(16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전체(162)가 회전하면 와이어(161)는 와인딩(winding)될 수 있다. 회전체(162)에는 홀(162a)이 형성되어 와이어(161)가 삽입될 수 있다. 와이어(161)는 홀(162a)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162 is a portion to which the wire 161 is coupled. When the rotating body 162 rotates, the wire 161 can be wound. A hole 162a is formed in the rotating body 162 so that the wire 161 can be inserted. The wire 161 can be fitted into the hole 162a.

구동부(163)는 회전체(16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62)와 모터는 끼워맞춤되어 있어 특별한 부품이 없이도 결합되며 모터 회전에 따라 회전체(162)가 회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63 provides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162, and may include a motor. The rotating body 162 and the motor are fitted to each other without any special parts, and the rotating body 162 can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제어부는 화재의 발생에 따라 구동부(163)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콘센트(10) 본체(11)의 후면에 구비된 센서부(13)에 의하여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센서부(13)로부터 신호를 송신받게 되고, 구동부(163)를 구동시킨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163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3 and drives the driving unit 163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3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main body 11. [

제어부는 M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3)와 연결되는 신호선이 자체적으로 끊어지는 경우에는 MCU는 풀다운(pull-down) 저항을 잃게 되어 선이 단락되었다고 인식하여 구동부(163)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배터리(battery)가 장착되어 있어 스스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모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If the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3 is disconnected by itself, the MCU loses the pull-down resistance, recognizes that the line is short-circuited, and drives the driving unit 163 . The control unit is equipped with a battery and can be operated by itself, and the battery provides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batch.

제어부가 센서부(13)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부(163)를 구동시키면, 회전체(162)가 와이어(161)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161)는 락킹부(150)를 당기게 된다. 락킹부(150)가 분사노즐(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사유도체(140)가 구속해제되고, 분사유도체(140)는 분사차단막(130)을 향하여 이동하여 분사차단막(130)을 관통하며 파괴하게 된다. 이 때, 소화약제의 불필요한 유출을 막기 위하여 락킹부(150)가 분사노즐(12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지는 않는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3 and drives the driving unit 163, the rotating body 162 pulls the wire 161, and the wire 161 pulls the locking unit 150. The injector 140 is constrained to be released while the locking part 150 moves away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and the injector 140 moves toward the injection shield 130 and penetrates the injection shield 130 Destroyed. At this time, the locking part 150 is not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to prevent unnecessary leakage of the extinguishing agent.

도 5를 참조하면,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분사유도체(140)의 지지부(143)를 지지하고 있던 락킹부(150)가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143)의 지지가 종료되며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4)가 지지부(143)를 분사차단막(130)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파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spraying derivative 140 removes the spray-blocking layer 130. The supporting part 143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art 150 supporting the supporting part 143 of the injecting derivative 140 and the compressed elastic part 144 is pressed against the supporting part 143 130 so that the spraying derivative 140 can break the spray-blocking layer 130.

분사유도체(140)가 분사차단막(130)을 제거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10) 및 이동관(131) 내에 있던 소화약제가 분사노즐(120)로 이동하여 분사구(12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콘센트(10) 후면에서 발생한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jetting derivative 140 removes the jetting blocking layer 130,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moving pipe 131 moves to the jetting nozzle 120 and flows through the jetting port 121 Can be sprayed. As a result, the fire generat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receptacle 10 can be suppressed.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센트용 소화장치(100)는 프레임(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70)은 분사노즐(120)을 고정시키도록 콘센트(10)의 본체(11)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2 to 4, the outlet fire extinguishing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frame 170. [0031] Referring to FIGS. The frame 17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f the receptacle 10 so as to fix the injection nozzle 12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0)에는 콘센트 본체(11)의 삽입돌기(1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사노즐(120)을 고정하기 위하여 분사노즐(120)을 삽입시키는 개구부(172)가 마련되어 있다.4, the frame 17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71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14 of the receptacle body 11 can be inserted. In addition, an opening 172 for inserting the injection nozzle 120 for fixing the injection nozzle 120 is provided.

또한, 프레임(170)에는 와이어(161)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도르래(164)가 구비되며, 구동부(163)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동부(163)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70)에는 락킹부(150)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가 마련되는데, 상기 가이드는 'H'모양의 락킹부(150)의 두 개의 바(bar)의 타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70 is provided with a pulley 164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161 and a space in which the driving unit 163 is seated to protect the driving unit 163. The frame 170 is provided with a guide for moving horizontally when the locking part 150 moves to the rear side. The guide is provided with two bars of the 'H' shaped locking part 150, And may includ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other ends thereof can pa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에 의하면, 콘센트 후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어 대형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ocket provid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ress the fire generated at the rear face of the socket, thereby preventing a large fir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콘센트
11: 본체
12: 커버
13: 센서부
14: 삽입돌기
100: 소화장치
110: 저장부
120: 분사노즐
121: 분사구
122: 수용부
130: 분사차단막
131: 이동관
140: 분사유도체
141: 몸체
142: 헤드
143: 지지부
144: 탄성부재
150: 락킹부
160: 락킹조절부
161: 와이어
162: 회전체
162a: 홀
163: 구동부
164: 도르래
170: 프레임
171: 삽입홈
172: 개구부
10: Outlet
11: Body
12: cover
13:
14: Insertion projection
100: Fire extinguisher
110:
120: injection nozzle
121:
122:
130: injection blocking film
131:
140: jet derivative
141: Body
142: head
143:
144: elastic member
150:
160:
161: wire
162: rotating body
162a: hole
163:
164: Pulley
170: frame
171: Insert groove
172: opening

Claims (13)

플러그의 단자가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라 소화를 진행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방지하는 분사차단막; 및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분사차단막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소화약제의 분사를 유도하는 분사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A main body in which a terminal of the plug is accommodated; And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xtinguishing agent therein;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A spray blocking layer formed at an end of the spray nozzle to prevent spraying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And a spraying derivative for spraying the extinguishing agent by removing the spraying shielding film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f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이동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차단막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ipe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spray nozzle for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extinguishing agent,
Wherein the spray blocking film is positioned between the moving tube and the spray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고,
화재 발생이 있는 경우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이동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When the fire does not occur, the injection derivative is restrained,
And a lock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injection derivative and moving the injection derivative to the injection blocking membrane side when a fire occu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차단막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jector is housed in the injection nozzl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injection shiel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락킹부의 일단이 상기 분사노즐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유도체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to support the injection derivative, thereby restricting the injection derivati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체는,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분사차단막을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상기 락킹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prayed derivative may contain,
A bod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 head formed to face the spray-blocking layer at an end of the body;
A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body to be supported by the locking part; And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injection nozzle and presses the support portion toward the spray shielding film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단부의 단면적은 상기 분사차단막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 end portion decreases toward the injection blocking membrane 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분사유도체를 구속해제하는 락킹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ock adjusting unit for restraining the injection derivative by moving the locking 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jection nozzle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a fi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조절부는,
상기 락킹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 후면의 화재 발생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k-
A wir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ortion;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wire;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And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upon detecting occurrence of a fire a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 후면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And a fram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to fix the spray nozz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후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 insertion protrusion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frame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KR1020140059822A 2014-05-19 2014-05-19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KR101618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en) 2014-05-19 2014-05-19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en) 2014-05-19 2014-05-19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28A true KR20150133028A (en) 2015-11-27
KR101618788B1 KR101618788B1 (en) 2016-05-09

Family

ID=5484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22A KR101618788B1 (en) 2014-05-19 2014-05-19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78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4765A (en) * 2015-06-30 2015-09-23 张建生 A universal plug provided with a self-fire-extinguishing safety apparatus and used for a welding gun
CN110279960A (en) * 2019-05-29 2019-09-27 陕西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prevent fires from fire extinguishing socket and plug
KR102249270B1 (en)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KR102414919B1 (en)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435728B1 (en)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Fire extinguishing method occurring inside the chamber during battery test using Fire suppression system
KR102484196B1 (en) * 2022-03-23 2023-01-02 이진석 Low-Discharge Battery Charge-Discharge Current Amount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59A (en) 2020-12-04 2022-06-13 장경석 Fire extinguisher for electric outl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59Y1 (en) 2002-03-20 2002-08-13 이종한 Valve open device for fire extinguisher
KR101011709B1 (en) 2007-08-10 2011-01-28 임두만 recepta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4765A (en) * 2015-06-30 2015-09-23 张建生 A universal plug provided with a self-fire-extinguishing safety apparatus and used for a welding gun
CN110279960A (en) * 2019-05-29 2019-09-27 陕西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prevent fires from fire extinguishing socket and plug
KR102249270B1 (en)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KR102414919B1 (en) * 2021-09-14 2022-06-29 류진환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484196B1 (en) * 2022-03-23 2023-01-02 이진석 Low-Discharge Battery Charge-Discharge Current Amount Control System
KR102435728B1 (en) * 2022-03-29 2022-08-24 (주)헤스테크놀로지 Fire extinguishing method occurring inside the chamber during battery test using Fire suppre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788B1 (en)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788B1 (en)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KR101998280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JP6686232B2 (en) Intelligent automatic fire extinguisher
US5936531A (en) Electrical fire sensing and prevention/extinguishing system
RU2609215C2 (en) Methods and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in data processing center hot passage/cold passage
KR101825187B1 (en) Fire Fighting Facility for Inside Cabinet
KR101976752B1 (en) Hydrant box for road tunnel
US20180111014A1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KR101761723B1 (en) Firefighting device having fire hose
KR101797547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KR101982659B1 (en) Emergency firefighting support system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KR101940601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318856B1 (en) Fix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WO2018016995A1 (en)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sprinkler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974074B1 (en) Water-bulwark system
KR20090016346A (en) Receptacle
KR102209985B1 (en) A dry pendent assembly
KR101880036B1 (en) Fire extinguishing firefighting apparatus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KR101273352B1 (en) Portable injection device for solid airosol type fire extinguisher
WO2004098718A1 (en) Combined water spray fire protection system using common piping with gaseous fire protection system
KR101527747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for built-in wall
KR20180046292A (en) nozzle of spraying for fire extinguishing
KR20140131724A (en) Jet nozzle for fire-fighting
KR100791088B1 (en) Switch box of underground line for preventing the accident
RU2005128875A (en) FIR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