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19B1 -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 Google Patents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19B1
KR102414919B1 KR1020210122188A KR20210122188A KR102414919B1 KR 102414919 B1 KR102414919 B1 KR 102414919B1 KR 1020210122188 A KR1020210122188 A KR 1020210122188A KR 20210122188 A KR20210122188 A KR 20210122188A KR 102414919 B1 KR102414919 B1 KR 10241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ipe
case
elastic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진환
Original Assignee
류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진환 filed Critical 류진환
Priority to KR102021012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9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는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와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화재시 인출되어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의 상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 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측면부분과, 상기 측면부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바닥부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장치가 안착하는 안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단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제1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장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일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양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또는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여 상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에는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저장부분과, 일단이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이동되는 주름관 형태의 이동호스와,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압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착부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인출부분의 일단과 대응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분이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바닥부분에 고정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끊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탈락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은 상기 커버가 탈락한 후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고압펌프는 상기 인출부분이 인출된 후 작동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에는 고압으로 이동된 소화분말이 분출되는 분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and coupled to the multi-outlet,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pulled out in case of a fire to extinguish a fire, , The case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 bottom portion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outlet, a sid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at a certa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edge, and a plurality of the side portions has a fire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o detect whether a fire exists,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bottom portion to seat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located at the seating portion and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ase A pair of first pipe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ides, a second pip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ipes to correspond to the long sides of the case,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pipe in the case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bodi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bodi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case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and having elastic force, and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t is provided at one end, and it moves elastically by the first elastic body or the second elastic body and has a lead-out part drawn out from the bottom part, and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hav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storage part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to store the extinguishing powder, one end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withdrawal part to move the extinguishing powder and a corrugated pipe-shaped mobile hose,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 high-pressure pump for moving the fire extinguishing powder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is provided, an opening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ing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withdrawal portion, and an opening provided in the opening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n a compressed state, and a cover for positioning the pull-out portion on the seating portion, and fixing the cover to the bottom portion so that the cover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 fixing part for maintaining a rained state is provided, the fixing part is cut off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opening, and the pull-out part closes the opening after the cover is removed is withdrawn through the flexible, and the high-pressure pump is operated after the withdrawal portion is withdrawn so that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and the ejection port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powder moved at high pressure is ejected is provided in the withdrawal portion can

Description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Electric fire extinguishing system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반응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extinguishing fire early in response to a fire occurring in a multi-outlet.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품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멀티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한다.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used in homes, offices, factories, etc. are used by connecting multi-outlets to outlets installed in buildings to receive power.

그러나 멀티콘센트에 먼지와 습기가 쌓여 전기가 통하는 길이 만들어지고 이때 발생한 열과 불꽃으로 발생하는 트래킹 화재는 허용 전류량 이하인 상태에서도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dust and moisture accumulate in the multi-outlet to create a path for electricity to pass through, and tracking fires caused by heat and sparks generated at this time can cause fires even when the amount of current is less than the allowable current.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초기에 발화지점 근처에서 소화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장 소화 효과가 우수하다.In general, when a fire occurs, it is best to extinguish the fire near the ignition point in the early stage of the fire.

따라서 멀티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발화점에서의 진화를 위해 내부에 소화장치를 내장하여 화재 초기에 소화를 행할 수 있는 콘센트에 대한 기술이 일부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at a multi-outlet, some technologies for an outlet that can extinguish a fire in the early stage by embedd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inside for extinguishing the ignition point have been proposed.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진화를 위해 콘센트 내부의 압축용기에 소화가스를 충진하는 기술은 보관이나 운반 사용중 흔들림에 의해 압축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소화가스가 유출될 우려가 있고 차단부재의 설치부위 등에서 압축가스의 미세한 누설이 발생할 경우 실제 화재 시에 소화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evolve this technology, the technology of filling the compressed container inside the outlet with fire extinguishing gas has a risk of leakag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ompressed container rises due to shaking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and use, and the installation part of the block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function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in case of an actual fire if a minute leakage of compressed gas occurs.

화재는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 번만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기능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Fires do not occur often, but even if they occur once, they can cause irreversible damag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7396호(2018.08.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87396 (2018.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반응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extinguishing it early in response to a fire occurring in a multi-outl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는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와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화재시 인출되어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의 상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 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측면부분과, 상기 측면부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바닥부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장치가 안착하는 안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단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제1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장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일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양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또는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여 상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에는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저장부분과, 일단이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이동되는 주름관 형태의 이동호스와,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압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착부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인출부분의 일단과 대응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분이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바닥부분에 고정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끊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탈락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은 상기 커버가 탈락한 후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고압펌프는 상기 인출부분이 인출된 후 작동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에는 고압으로 이동된 소화분말이 분출되는 분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se that is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and coupled to the multi-outlet, and is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withdrawn in case of a fir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is provided, wherein the case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provided on a bottom portion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outlet, and is provided on an upp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to extend a certain height upward along the edge A side portio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portion to detect whether a fire exists,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bottom portion to seat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first pipes positioned in the seat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short 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pip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ipes to correspond to the long side of the case;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bodi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ipe in the case direction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bodies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pipe in the cas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nd is moved elastically by the first elastic body or the second elastic body and has a lead-out part drawn out from the bottom part, and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have A storage part provided insid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o store the extinguishing powd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side the withdrawal part to move the extinguishing powder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A hose and a high-pressure pump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to move the fire extinguishing powder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are provid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part and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withdrawal part. an opening, a cover provided in the opening so that the lead-out part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part in a compressed state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nd the cover is placed on the bottom part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over to maintain a state provid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fixing part is cut off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opening, and the withdrawal part is After the cover is removed, it is elastically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and the high-pressure pump is operated after the withdrawal part is withdrawn so that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and the withdrawal part is moved at high pressure. An outlet through which the digestive powder is ejected may be provided.

상기 측면부분에는 다수의 화재감지센서 사이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고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빛이 점멸형태로 발광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A warn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ide portion betwee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to notify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e, and the warning device is the fire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n LED that emits light in a flickering form when a fire is detected, and a speaker that emits a warning sou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의하면, 멀티콘센트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반응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e spread can be prevented by extinguishing the fire early in response to the fire occurring in the multi-out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가 멀티콘센트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의 소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인출부분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outlet.
2 and 3 are plan views showing the extinguishing device of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wing part shown in Figures 2 and 3 operates.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shown in Figure 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가 멀티콘센트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outle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는 멀티콘센트(20)와 결합하여 멀티콘센트(20)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이를 감지하여 조기에 소화함으로써 멀티콘센트(20)에서 발생한 화재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multi-outlet 20 to detect when a fire occurs in the multi-outlet 20 and extinguish it ear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e occurring in the multi-outlet 20 from spreading.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는 멀티콘센트(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멀티콘센트(20)와 결합하는 케이스(100)를 구비할 수 있다.Looking at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apparatus 10 in detail,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case 100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20 and coupled to the multi-outlet 20 .

케이스(100)는 멀티콘센트(20)의 크기나 길이에 맞게 제작될 수 있으며, 멀티콘센트(20)가 상단에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향후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 또는 멀티콘센트(20)를 교체하고자 할 시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ase 100 may be manufactured to fit the size or length of the multi-outlet 20, and the multi-outlet 2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mbined in a way that it is fitted from the top, so that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10 or multi When the outlet 20 is to be replaced, it can be easily replaced.

이를 위해, 케이스(100)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멀티콘센트(20)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바닥부분(110)과, 바닥부분(110)의 상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 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측면부분(120)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ase 1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110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outlet 20 ,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0 to a certa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edge. An extended side portion 120 may be provided.

케이스(100)는 바닥부분(110)과 측면부분(120)에 의해 상단이 개방된 형태가 되고, 멀티콘센트(2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The case 100 has an open top by the bottom part 110 and the side part 120 , and the multi-outlet 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top to be coupled to the case 100 .

그리고 케이스(100)에는 측면부분(120)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화재감지센서(130)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멀티콘센트(20)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즉각적으로 감지해낼 수 있다.And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30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portion 120 to detect whether a fire exists, and through this, when a fire occurs in the multi-outlet 20, it is detected immediately. can do it

또한, 케이스(100)에는 바닥부분(110)의 내부에 후술할 소화장치(200)가 안착하는 안착부분(140)이 구비되며, 소화장치(200)는 화재감지센서(130)와 연계되고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작동되어 화재를 소화함으로써 화재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40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inside the bottom portion 110 , a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is connected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and fires. It is activated when detected and extinguishes the fir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다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소화장치(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의 소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인출부분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and 3 are plan views showing the extinguishing device of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awing-out part shown in FIGS. 2 and 3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는 멀티콘센트(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멀티콘센트(20)와 결합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화재시 인출되어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4 ,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20 and coupled to the multi-outlet 20 and the case 100 and the cas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provided inside the 100 and pulled out in case of a fire to extinguish the fire may be provided.

그리고 소화장치(200)는 안착부분(140)에 위치하여 케이스(100)의 단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파이프(210)와, 한 쌍의 제1파이프(210) 사이에 구비되어 케이스(100)의 장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220)와, 제1파이프(210)의 케이스(100) 방향 일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탄성체(230)와, 제2파이프(220)의 케이스(100) 방향 양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체(240)와, 제1탄성체(230) 및 제2탄성체(24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탄성체(230) 또는 제2탄성체(2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여 바닥부분(110)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분(250)을 구비할 수 있다.A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ipes 210 and the pair of first pipes 210 which are positioned on the seating portion 140 to correspond to the short side of the case 100 . The second pipe 220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ng side of the case 100, and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bodies 230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ipe 210 in the case 100 direction to have an elastic force. ) and a second elastic body 240 having an elastic forc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pipe 220 in the case 100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23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0 . Each is provided in the first elastic body 230 or the second elastic body 240 to move elastically may be provided with a lead-out portion 250 drawn out from the bottom portion (110).

한 쌍의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는 'I'자 형태로 구비되어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제1탄성체(230)에 연결된 인출부분(250)은 제1파이프(2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제2탄성체(240)에 연결된 인출부분(250)은 제2파이프(22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A pair of the first pipe 210 and the second pipe 220 is provided in an 'I' shape and is provided integrally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and the lead-out portion 250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body 230 is It moves elastically from the first pipe 210 , and the lead-out part 250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body 240 can move elastically from the second pipe 220 .

그리고 제1파이프(210) 및 제2파이프(220)에는 제1파이프(210) 및 제2파이프(2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저장부분(260)과, 일단이 저장부분(260)과 연결되고 타단이 인출부분(2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이동되는 이동호스(270)와, 저장부분(260)과 연결되어 소화분말이 이동호스(270)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압펌프(26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ipe 210 and the second pipe 220 have a storage part 260 provided inside the first pipe 210 and the second pipe 220 to store the extinguishing powder, and one end of the storage part ( 26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side the draw-out part 250 to move the extinguishing powder, and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260 so that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270. A high-pressure pump 260 may be provided.

이동호스(270)는 제1탄성체(230) 또는 제2탄성체(240)의 내측에 위치하며,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어 인출부분(250)이 제1탄성체(230) 및 제2탄성체(2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이동호스(27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인출부분(250)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더라도 소화분말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hose 27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elastic body 230 or the second elastic body 240 ,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draw-out part 250 is attached to the first elastic body 23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0 . By allowing the length of the moving hose 270 to increase when it is moved elastically by the evaporator, the extinguishing powder can be easily moved even when the lead-out part 250 moves elastically.

한편, 케이스(100)를 형성하는 바닥부분(110)의 외측면에는 안착부분(140)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인출부분(250)의 일단과 대응되는 개구부(111)와, 개구부(111)에 구비되어 제1탄성체(230) 및 제2탄성체(240)가 압축된 상태로 인출부분(250)이 안착부분(140)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112)와, 커버(112)를 바닥부분(110)에 고정하여 커버(112)가 개구부(111)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분(113)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10 forming the case 10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portion 140 and is provided in an opening 111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lead-out portion 250 and the opening 111 . The first elastic body 23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0 are compressed, and the lead-out part 250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part 140, and the cover 112 is attached to the bottom part 110. 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113 for fixing the cover 112 to maintain the state provided in the opening (111).

커버(112)는 개구부(111)보다 소정 크기 작게 구비되어 제1탄성체(230) 및 제2탄성체(240)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부(111)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하도록 하며, 고정부분(113)에는 화재감지센서(130)와 연계되어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를 감지했을 시 고정부분(113)에 외력을 가해 고정부분(113)이 끊어지도록 하는 파괴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112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ize smaller than the opening 111 so as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opening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23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0, and the fixed part 113 has a fire. In connection with the detection sensor 130,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a fi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ortion 113 to break the fixing portion 113 may be provided with a destructive device (not shown).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소화장치(200)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based on the above is as follows.

우선, 평상시 인출부분(250)은 커버(112)와 고정부분(113)에 의해 안착부분(140)에 위치하게 되고, 제1탄성체(230)와 제2탄성체(240)가 압축력을 받은 상태를 유지한다.First, the normal draw-out portion 250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portion 140 by the cover 112 and the fixing portion 113, and the first elastic body 23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0 receive a compressive force. keep

화재가 발생했을 시에는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를 감지한 후 고정부분(113)이 끊어지게 되어 커버(112)가 개구부(111)로부터 탈락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인출부분(250)이 개구부(111)를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된다.When a fire occurs, the fixing part 113 is cut off after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detects a fire, so that the cover 112 is removed from the opening 111, and at the same time, the pull-out part 250 is opened It is elastically withdrawn through (111).

이때,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에 각각 구비되는 고압펌프(280)는 인출부분(250)이 인출된 후 작동되어 소화분말이 이동호스(270)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고압으로 이동된 소화분말은 인출부분(250)에 구비되는 분출구(251)를 통해 분사되어 화재의 소화작용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pump 280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pipe 210 and the second pipe 220 is operated after the withdrawing part 250 is withdrawn so that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270 . 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ing powder moved at high pressure may be sprayed through the outlet 251 provided in the draw-out part 250 to extinguish the fir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화장치(200)가 작동됨에 따라 멀티콘센트(20)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즉각적으로 소화작용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when a fire occurs in the multi-outlet 20, the fire extinguishing action can occur immediately,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재감지센서(130)와 고압펌프(280)는 별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전원장치는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케이스(100)의 크기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and the high-pressure pump 280 are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upply to receive power and operate, and the power supply is preferably built into the case 100, but the case 100 )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size.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will be omitted.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10)의 케이스(100)를 형성하는 측면부분(120)에는 다수의 화재감지센서(130) 사이사이에 구비되고 화재감지센서(130)와 연결되어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고장치(300)가 구비되고, 경고장치(300)는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빛이 점멸형태로 발광하도록 하는 LED(310)와, 화재감지센서(130)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32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5 , the side portion 120 forming the case 100 of the early fire extinguish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30 . A warning device 300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to notify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and the warning device 300 is provid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An LED 310 that emits light in a flashing form when a fire is detected, and a speaker 320 that emits a warning sou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130 may be provided.

경고장치(300)는 화재가 발생했을 시 주변 사람에게 화재가 발생했음을 즉각적으로 알림으로써 후속조치 또는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 큰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the warning device 300 immediately informs people around that a fire has occurred, so that a follow-up action or a quick evacuation can be made, thereby preventing further damage to life or property from occurring.

그리고 LED(310)는 청각장애인이 거주하는 곳에 사용되어 시각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고, 스피커(320)는 시각장애인이 거주하는 곳에 사용되어 청각적으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림으로써 후속조치 또는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 큰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the LED 310 can be used in a place where the hearing impaired live to visually inform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the speaker 320 is used in a place where the visually impaired live to audibly notify that a fire has occurred, so that a follow-up or prompt action is taken. By allowing evacu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casualties or property damag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고장치(300)는 별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전원장치는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케이스(100)의 크기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warning device 300 is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upply and operates by receiving power, and the power supply is preferably built into the case 100 , bu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se 100 . It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1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tion,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is also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20: 멀티콘센트
100: 케이스 110: 바닥부분
111: 개구부 112: 커버
113: 고정부분 120: 측면부분
130: 화재감지센서 140: 안착부분
200: 소화장치 210: 제1파이프
220: 제2파이프 230: 제1탄성체
240: 제2탄성체 250: 인출부분
251: 분출구 260: 저장부분
270: 이동호스 280: 고압펌프
300: 경고장치 310: LED
320: 스피커
10: Early fire extinguishing device 20: Multi-outlet
100: case 110: bottom part
111: opening 112: cover
113: fixed part 120: side part
130: fire detection sensor 140: seating part
200: fire extinguishing device 210: first pipe
220: second pipe 230: first elastic body
240: second elastic body 250: draw-out portion
251: outlet 260: storage part
270: mobile hose 280: high pressure pump
300: warning device 310: LED
320: speaker

Claims (2)

멀티콘센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시 이를 감지하여 조기에 소화하는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는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와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화재시 인출되어 화재를 소화하는 소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멀티콘센트의 하면과 맞대어지는 바닥부분과, 상기 바닥부분의 상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테두리를 따라 상 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측면부분과, 상기 측면부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바닥부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장치가 안착하는 안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단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제1파이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장 변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일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기 케이스 방향 양면에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또는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여 상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에는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저장되는 저장부분과, 일단이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인출부분의 내부에 구비되어 소화분말이 이동되는 주름관 형태의 이동호스와, 상기 저장부분과 연결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압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분의 외측면에는 상기 안착부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인출부분의 일단과 대응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인출부분이 상기 안착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바닥부분에 고정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끊어져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탈락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은 상기 커버가 탈락한 후 상기 개구부를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고압펌프는 상기 인출부분이 인출된 후 작동되어 소화분말이 상기 이동호스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인출부분에는 고압으로 이동된 소화분말이 분출되는 분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In the electric fire early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to detect and extinguish a fire at an early stage when a fire occurs in the multi-outlet,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case provided under the multi-outlet and coupled to the multi-outlet,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pulled out in case of a fire to extinguish a fire,
The case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and has a bottom part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outlet, a side part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art and extending at a certain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edge, and a plurality of the side part A fire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to detect a fire, and a seat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loor portion to seat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first pipes positioned at the seat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short side of the case, and a first pip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ipes to correspond to the long side of the case. A second pipe,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ipe in the case direction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a plurality of second pip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ipe in the case direction to have elastic force A second elastic body, each of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nd is elastically moved by the first elastic body or the second elastic body, and is provided with a draw-out part drawn out from the bottom part,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have a storage part provided inside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to store the extinguishing powde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side the withdrawal part A corrugated pipe-shaped mobile hose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nd a high-pressure pump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to move the extinguishing powder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bile hose are provide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part and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lead-out part, and the lead-out part is provided in the opening so that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compressed, and the lead-out part is seated in a compressed state. A cover to be positioned in the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ver to the bottom portion to maintain the state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The fixed part is cut off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sensor so that the cover is removed from the opening,
The withdrawal portion is elastically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after the cover is removed,
The high-pressure pump is operated after the withdrawal part is withdrawn so that the extinguishing powder is mov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moving hose,
The electric fire early extingui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spout through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owder moved at high pressure is ejected at the withdrawal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분에는 다수의 화재감지센서 사이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고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빛이 점멸형태로 발광하도록 하는 LED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시 경고음을 내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arn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ide portion betwee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s to notify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detects a fire,
The warning device includes an LED that emits light in a flashing form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a speaker that emits a warning sound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Device.
KR1020210122188A 2021-09-14 2021-09-14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414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88A KR102414919B1 (en) 2021-09-14 2021-09-14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88A KR102414919B1 (en) 2021-09-14 2021-09-14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919B1 true KR102414919B1 (en) 2022-06-29

Family

ID=8227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88A KR102414919B1 (en) 2021-09-14 2021-09-14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9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414B1 (en) * 2023-01-04 2023-10-25 (주)수 Multi-tap with fire extinguishing fun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185A (en) * 2009-11-26 2011-06-01 이영우 Fire prevention terminal box with Co2 automatic injector
KR20150133028A (en) * 2014-05-19 2015-11-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KR20160126683A (en)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에단 Safety concentric plug apparatus with fire-extinguishing function
KR101887396B1 (en) 2017-07-11 2018-08-10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re Prevent Consent
KR102242698B1 (en)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Safety apparatus for electricity of apartment house
KR102249270B1 (en)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185A (en) * 2009-11-26 2011-06-01 이영우 Fire prevention terminal box with Co2 automatic injector
KR20150133028A (en) * 2014-05-19 2015-11-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Outle having extinguishing device
KR20160126683A (en) * 2015-04-24 2016-11-02 주식회사 에단 Safety concentric plug apparatus with fire-extinguishing function
KR101887396B1 (en) 2017-07-11 2018-08-10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re Prevent Consent
KR102249270B1 (en) * 2019-12-16 2021-05-07 이진국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KR102242698B1 (en) * 2021-02-08 2021-04-22 (주)한승이엔씨 Safety apparatus for electricity of apartment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414B1 (en) * 2023-01-04 2023-10-25 (주)수 Multi-tap with fire extinguish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919B1 (en) 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US3713491A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US20070215362A1 (en) Fire sprinkler system
KR102048799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1853291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s for ceiling
JP2010505561A (en) Case fire extinguisher
JP6845582B2 (en) Sprinkler head
KR101503705B1 (en) Explosion apparatus for positive pressure
TWI635264B (en) Pressure indicating device
KR20140103456A (en) Concentric Plug with Fire-Extinguishing Function
CA2927401A1 (en) Fire suppression device
KR102023998B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underground line
KR102331467B1 (en) Auto Extinguisher device for sever rack and Operation method of Auto Extinguisher device
KR101273352B1 (en) Portable injection device for solid airosol type fire extinguisher
WO2004096370A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and electric panel
US4183409A (en) Automatic fire-extinguishing system
KR100214092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or gas range hood
KR102316192B1 (en) Connection device for safe connec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or convenient inspection work
KR101384253B1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small space
KR101289761B1 (en) Automatic exhauster for rechargeable odorant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N208401208U (en) Safety socket
KR10128976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exhausting and indicating odorant and extinguishing agents of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2274833B1 (en) Fire extinguishing container can be prevented Ceiling Fire Extinguisher System
KR200385997Y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working together of a wire
JP2000059985A (en) Simplified explosion-proof system in hazardous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