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811A -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811A
KR20150132811A KR1020150154902A KR20150154902A KR20150132811A KR 20150132811 A KR20150132811 A KR 20150132811A KR 1020150154902 A KR1020150154902 A KR 1020150154902A KR 20150154902 A KR20150154902 A KR 20150154902A KR 20150132811 A KR20150132811 A KR 2015013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tank
nutrient solution
supplie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춘
황주천
진영돈
배민지
김진기
빈철구
정용모
이병정
신현열
최복경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15015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2811A/ko
Publication of KR2015013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미를 재배하기 위하여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원수충전탱크(60)와,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원수탱크(10)와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원수충전탱크(60)에 모인후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배액회수통(50)에 모인후 배액수위조절센서(52)에 의해 원수충전탱크(60)로 회수된 후 작물에 재공급 순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며, 원수와 비료농축액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circulating hydroponic culture method using automatic supplying water for cultivating rose}
본 발명은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충전탱크와 배액회수통을 설치하여 배양액의 배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수와 양액에 의해 작물을 재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고,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92369호에는 원수가 저장되는 원수탱크와, 양액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탱크와, 원수가 배출되도록 일단이 상기 원수탱크에 연결된 이송배관과,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원수가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이송배관상에 설치된 펌프와, 상기 원수탱크와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이송배관상에 설치된 벤투리관과, 각각 상기 벤투리관을 원수가 흐름으로써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양액이 상기 양액탱크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벤투리관을 흐르는 원수로 배출되도록 각각의 일단은 상기 양액탱크 각각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벤투리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액흡입관과,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용액을 여과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상에 설치된 여과기와, 상기 이송배관의 타단에 연결된 분기관과, 각각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입된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용액을 토양으로 배출하도록 지상으로 배관되거나 지중에 매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관,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공급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190139호에는 지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며 양액전용화분을 안착하기 위한 화분안착홀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양액재배통과, 양액탱크에 있는 양액을 최상단의 양액재배통으로 이송시키는 펌프와, 상단의 양액재배통과 그 하단에 있는 양액재배통을 연결하며 내부에는 상단의 양액재배통에 있는 양액이 일정량만 남고 그 하단에 있는 양액재배통으로 이송되게 하는 파이프니플이 설치된 제1 배관파이프와, 상기 양액탱크에 설치되어 양액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양액재배통에 설치되어 양액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블로어와, 상기 양액재배통에 양액을 이송하는 펌프의 가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시간을 카운트하게 설치되는 타이머 및 양액재배통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액식물에 LED광을 조사하는 LED조명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액식물 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액재배통은, 횡방향으로 다수를 배치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양액재배통들은 제3 배관파이프로 연결하며, 상기 양액탱크의 양액이 최상단의 양액재배통으로 이송되게 제3 배관파이프에 제4 배관파이프를 연결하고, 양액재배통으로 이송된 양액은 각 제1 배관파이프를 거쳐 제2단의 양액재배통들에 이송되게 제1 배관파이프로 연결설치하며, 제2단의 양액재배통에 있는 양액은 제3단의 양액재배통과 제4단의 양액재배통을 순서대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양액탱크에 모이게 각각 제1 배관파이프로 연결하여 다단으로 설치하며; 상기 양액재배통에 담겨져 있는 양액의 흐름을 억제하고 방류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 배관파이프의 내부에 설치하는 양액스토퍼와; 상기 펌프를 가동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솔라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식물 재배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사용된 배양액을 버리거나 회수하더라도 일정한 관리가 되지 않아서, 재사용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원수와 비료농축액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미를 재배하기 위하여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원수충전탱크(60)와,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원수탱크(10)와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원수충전탱크(60)에 모인후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배액회수통(50)에 모인후 배액수위조절센서(52)에 의해 원수충전탱크(60)로 회수된 후 작물에 재공급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며, 원수와 비료농축액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계통도
본 발명은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미를 재배하기 위하여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원수충전탱크(60)와,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원수탱크(10)와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원수충전탱크(60)에 모인후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배액회수통(50)에 모인 후, 일정수위가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배액회수펌프가 작동하여 배액회수통(50)에서 원수충전탱크(60)로 배액이 회수된 후 작물에 재공급하여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시간마다 배양액의 영양소간 균형이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원수공급펌프(11) 및 배액회수펌프(51)의 전원을 차단한 후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으로 전환하되, 상기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은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계통도이다.
본 발명은 장미를 재배하기 위하여 원수탱크와 비료농축액탱크 그리고 상기 원수탱크와 비료농축액탱크와 연결된 양액기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탱크에서 공급된 원수가 원수충전탱크에 모인후 양액기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에는 비료농축액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인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원수탱크와 원수충전탱크 사이에는 원수공급장치인 원수공급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원수충전탱크 내부에는 관용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원수충전탱크가 일정수위이하이면 센서가 감지하여 원수공급펌프가 작동하여 원수탱크에서 원수가 공급되고 일정수위가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펌프가 정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배액회수통에 모인 후, 일정수위가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배액회수펌프가 작동하여 배액회수통에서 원수충전탱크로 배액이 회수된 후 순환되는 것이다.
곧, 상기 배액회수통과 원수충전탱크 사이에는 배액회수장치인 배액회수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배액회수통 내부에는 관용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일정수위가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배액회수펌프가 작동하여 배액회수통에서 원수충전탱크로 배액이 회수된 후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펌프가 정지된다.
한편,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이 배액회수통에 모이는 것은 작물트래이의 위치가 배액회수통이 있는 위치보다 높게 배치하므로, 자연수위차에 의해 하부의 배액회수통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시간마다 양액기에서는 배양액의 영양소간 균형이 재설정되는 것으로, 배양액 농도 기준은 EC 1.0~1.2dS/m이며, 뿌리부분의 배양액 농도 기준은 EC 1.8~2.2dS/m 으로 정한다.
그러므로 장미의 근권(배액)의 배양액농도가 1.8dS/m이하로 떨어지면 급액 EC를 1.2dS/m로 조정하고, 근권(배액)의 배양액농도가 2.2dS/m이상으로 올라가면 급액 EC를 1.0dS/m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근권의 배양액 농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작물생육에 바람직하며, 상승 혹은 하락폭이 커지면 작물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장미에 대한 배액율을 30%로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배액율은 작물에 배양액을 공급할 때 작물이 흡수하고 배출되는 양을 말하며, 온실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미에 대한 배액율이 30% 미만이 되면 근권(배액)의 EC가 상승폭이 커져, 수분 및 염류 스트레스 유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배액율이 30%를 초과하여 많아지면 근권 과습에 의한 스트레스 유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본 발명의 원수충전 탱크 용량은 3t/3,300㎡으로 설정한다.
곧, 겨울에는 하루 2번, 여름에는 하루 3번 원수가 원수충전 탱크에 채워진다.
그리고 단위면적(3,300㎡)당 장미 식물체가 20,000본 정도 심겨지고, 이 장미 식물체가 하루 동안 흡수하는 물의 양은 5t(겨울)~10t(여름)정도이다. 그리고 겨울에는 하루 5번, 여름에는 하루 10번 정도를 나누어 공급한다. 그러므로 년 평균 1회 공급량은 1t이라고 할 수 있고, 최대 하루 3번 원수충전탱크가 채워지는 경우를 생각하면 원수충전탱크 용량은 3t이 적정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학적인 살균 방식으로서 원수를 이산화염소 1ppm을 사용하여 처리하며 이러한 이산화염소 살균을 월 2회 실시한다.
곧, 이산화염소 처리를 농도 1ppm으로 월2회 정도 원수에 대한 살균 처리를 한다.
본 발명 장미에 대한 순환식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가 배액 살균 문제인데, 이산화염소를 1ppm을 초과하여 농도를 높이거나 월2회를 초과하여 자주 처리하면 염소에 의한 작물피해가 나타나고, 1ppm 미만으로 월 2회 미만이 되면 살균효과가 지속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원수공급펌프(11) 및 배액회수펌프(51)의 전원을 차단한 후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상기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은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며, 원수와 비료농축액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원수탱크 60 : 원수충전탱크
20 : 비료농축액탱크 30 : 양액기
50 : 배액회수통
11 : 원수공급펌프 51 : 배액회수펌프
12 : 원수수위조절센서 52 : 배액수위조절센서

Claims (2)

  1. 장미를 재배하기 위하여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원수충전탱크(60)와,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원수탱크(10)와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원수충전탱크(60)에 모인후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되,
    상기 원수탱크(10)와 원수충전탱크(60) 사이에는 원수공급장치인 원수공급펌프(11)가 설치되어 있고, 원수충전탱크(60) 내부에는 원수수위조절센서(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원수충전탱크(60)가 일정수위 이하이면 원수수위조절센서(12)가 감지하여 원수공급펌프(11)가 작동하여 원수탱크(10)에서 원수가 공급되고 일정수위가 되면 원수수위조절센서(12)가 감지하여 원수공급펌프(11)가 정지되는 것이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배액회수통(50)에 모인 후 배액수위조절센서(52)가 배액회수통(50)의 배액이 일정수위가 되는 것을 확인하면, 배액이 원수공급펌프(11)에 의해 원수충전탱크(60)로 회수된 후 작물에 재공급하여 순환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되면, 원수공급펌프(11) 및 배액회수펌프(51)의 전원을 차단한 후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으로 전환하되, 상기 비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은 원수탱크(10)와, 상기 원수탱크(10)와 연결된 비료농축액탱크(20) 및 상기 비료농축액탱크(20)와 연결된 양액기(30)로 구성되어 상기 원수탱크(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양액기(30)에 공급되되, 상기 양액기(30)에는 비료농축액탱크(20)의 비료농축액이 공급되어, 상기 원수와 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이 된후 작물트래이의 작물에 공급되며, 상기 작물트래이에서 배수된 배액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양액기(30)에서는 일정시간마다 배양액의 영양소간 균형이 재설정되는 것으로, 배양액 농도 기준은 EC 1.0~1.2dS/m이며, 뿌리부분의 배양액 농도 기준은 EC 1.8~2.2dS/m 으로 정하여,
    장미의 뿌리부분의 배양액농도가 1.8dS/m이하로 떨어지면 급액 EC를 1.2dS/m로 조정하고, 뿌리부분의 배양액농도가 2.2dS/m이상으로 올라가면 급액 EC를 1.0dS/m로 조정하는 것이며,
    장미에 대한 배액율을 30%로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배액율은 작물에 배양액을 공급할 때 작물이 흡수하고 배출되는 양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원수를 이산화염소 1ppm을 사용하여 살균처리하며 상기 이산화염소 살균처리를 월 2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KR1020150154902A 2015-11-05 2015-11-05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KR20150132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02A KR20150132811A (ko) 2015-11-05 2015-11-05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02A KR20150132811A (ko) 2015-11-05 2015-11-05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258A Division KR101578925B1 (ko) 2013-11-20 2013-11-20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811A true KR20150132811A (ko) 2015-11-26

Family

ID=5484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902A KR20150132811A (ko) 2015-11-05 2015-11-05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28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5501A1 (en) Soil enrich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339204B1 (ko)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순환식 수경재배 방법
KR101192139B1 (ko) 수경재배용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CN102219332A (zh) 一种新农村生活污水处理技术
CN106857220B (zh) 一种潮汐式无土栽培槽
CN203388038U (zh) 一种立体式多层育苗装置用的营养液自动循环系统
CN107027613A (zh) 一种封闭循环式岩棉栽培系统及控制方法
JP2015065828A (ja) 水耕栽培装置
KR20190018182A (ko) 다단적층 수경식물 재배장치
CN203563477U (zh) 一种封闭式管道基质栽培装置
KR101224110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400689B1 (ko) 수경재배용 베드 및 수경재배용 베드의 이송수단이 포함된 다단적층 식물재배장치
KR101578925B1 (ko)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KR101797212B1 (ko) 폐양액 재순환 시스템
CN104221834B (zh) 具有通气栽培装置的栽培系统
CN110402805A (zh) 一种适合密植型植物的水培系统及水培方法
KR20110010141A (ko) 유로를 형성한 적층식 자동 수경재배기
CN105993709A (zh) 潮汐式灌溉栽培温室大棚
KR101265571B1 (ko) 광천수와 탄소알갱이를 이용한 수경재배 장치
JP2004073003A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この植物栽培ユニット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
KR101714025B1 (ko) 식물공장용 고효율 양액재순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물공장
KR20120138055A (ko) 자동 순환급수 방식 채소 재배상자
KR20140025986A (ko)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20150132811A (ko) 장미재배용 원수충전 순환식 수경재배방법
JP6737602B2 (ja) 栽培システム、栽培方法及び植物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