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747A -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747A
KR20150132747A KR1020140058970A KR20140058970A KR20150132747A KR 20150132747 A KR20150132747 A KR 20150132747A KR 1020140058970 A KR1020140058970 A KR 1020140058970A KR 20140058970 A KR20140058970 A KR 20140058970A KR 20150132747 A KR20150132747 A KR 20150132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sink device
multimedia contents
respon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아람
신인영
이주호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2747A/ko
Publication of KR201501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EDIA CONTENTS IN A WIRELESS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무선 디스플레이를 통해 동영상, 음악 및 인터넷 서비스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러링(Mirrorling) 또는 공유(Sharing)를 지원한다.
이러한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인터넷 접속 등을 통해 웹(Web) 상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 타블릿(Tablet) 디바이스, 컴퓨터 및 셋탑박스(Set-top box)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미러링 또는 공유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로서, 스마트 폰, 타블릿 디바이스, 텔레비전, 차량용 헤드유닛(Head Unit) 디바이스 및 기타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는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러링 또는 공유하거나, 또는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러링 또는 공유하거나, 또는 복수의 싱크 디바이스들에 복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미러링 또는 공유한다.
본 발명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싱크 디바이스들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특정 싱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는,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서,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특정 싱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중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특정 싱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100)와 적어도 하나의 싱크 디바이스(110~130)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각각의 싱크 디바이스(110~130)에 서로 다른 세션을 설정하고, 각각의 싱크 디바이스(110~13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받으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각각의 싱크 디바이스(110-~130)에 미러링 또는 공유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 UI(User Interface) 또는 제어 UI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스마트 폰은 싱크 디바이스들에 해당하는 차량용 헤드유닛 디바이스, 뒷좌석용 디스플레이(Rear Seat Display) 디바이스 및 차량 탑승자의 타블렛 디바이스 각각과 복수개의 세션을 맺으면, 스마트 폰에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싱크 디바이스에 미러링 또는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면, 상기 차량용 헤드유닛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세션을 맺은 뒷좌석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또는 챠량 탑승자의 타블렛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무실 또는 회의장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타블렛 디바이스는 싱크 디바이스들에 해당하는 다수의 스마트 폰, 타블렛 디바이스, 모니터, 텔레비젼 및 노트북 각각과 복수개의 세션을 맺으면,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타블렛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싱크 디바이스에 미러링 또는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면, 싱크 디바이스인 하나의 스마트 폰은 소스 디바이스와 세션을 맺은 다수의 스마트 폰, 타블렛 디바이스, 모니터, 텔레비젼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반적인 가정환경에서 소스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스마트 폰, 컴퓨터, 타블렛 디바이스 또는 셋탑박스는 싱크 디바이스들에 해당하는 다수의 스마트 폰, 타블렛 디바이스, 모니터, 텔레비전, 노트북 및 주방용 모니터와 같은 가정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각각과 복수개의 세션을 맺으면, 스마트 폰, 컴퓨터, 타블렛 디바이스 또는 셋탑박스에서 제공되는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른 싱크 디바이스에 미러링 또는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면, 싱크 디바이스인 가정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와 세션을 맺은 다수의 스마트 폰, 타블렛 디바이스, 모니터, 텔레비전 및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싱크 디바이스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2개 이상의 싱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100), 제1 싱크 디바이스(110) 및 제2 싱크 디바이스(120) 각각은 입력부(101, 111, 121), 표시부(103, 113, 123), 제어부(105, 115, 125), 송수신부(107, 117, 127) 및 메모리부(109, 119, 129)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07, 117, 127)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RF) 처리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며, 제어부(105, 115, 125)의 제어에 의해 신호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기 메모리부(109, 119, 1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109, 119, 129)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입력부(101, 111, 121)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3, 113, 12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부(101, 111, 121)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03, 113, 123)는 입력부(101, 111, 121)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01, 111, 121)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표시된 제어 UI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키를 입력한다.
상기 표시부(103, 113, 12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3, 113, 12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입력부(101, 111, 121)와 함께 단말을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03, 113, 123)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한다. 특히 제1 싱크 디바이스(110) 및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 포함되는 표시부(113, 123)는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 및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 포함되는 표시부(113, 123)는 도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표시부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13, 123)는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는 네비게이션에 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러링(a) 중 제어부(115, 125)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13, 123) 전체에 제어 UI를 표시(b)하거나, 표시부(113, 123)의 일 부분에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는 네비게이션에 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하여 미러링하고, 다른 부분에 제어 UI를 표시(c)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5, 115, 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100), 제1 싱크 디바이스(110) 및 제2 싱크 디바이스(120) 각각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일 예로, 사용자가 제1 싱크 디바이스(110)를 이용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의 제어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0)를 통해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입력을 받으면,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17)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명령 세트(command set)이며, 추가적으로 정보 s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5)는 송수신부(107)를 통해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07)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5)는 상기 수신된 제어 요청 메시지의 확인 결과, 상기 요청메시지에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간의 세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UI를 제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이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5)에서 생성된 제어 UI는 제1 싱크 디바이스(110)에서 미러링 또는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05)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의 확인 결과,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간의 세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command set으로 통합하고, 통합된 command set를 제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세션의 상태 정보는 영화/음악/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미러링 또는 공유 중인 콘텐츠의 종류, 해당 콘텐츠의 제목과 부가정보(일 예로, 음악 - 앨범제목, 가수 명 등, 영화 - 감독 및 주연과 같은 부가정보, 어플리케이션 - 버전 정보 등의 부가정보), 해당 콘텐츠에 대한 가능한 제어 정보(일 예로, 음악/영화 - 정지, 재생, 다음 콘텐츠, 이전 콘텐츠, 소리 키움, 소리 줄임, 어플리케이션 - 종료, 상태 전환, 모드 전환 등) 및 영화/음악등의 콘텐츠의 경우 재생가능 한 플레이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ommand set은 재생, 정지, 일시정지, 소리 키움 및 소리 줄임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의 제어부(115)는 송수신부(117)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어 UI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에 제어 UI가 포함되어 있으면 포함된 제어 UI를 표시(즉, 미러링)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에 command set이 포함되어 있으면 command set을 이용하여 제어 UI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UI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3)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13)에 표시된 제어 UI를 이용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서 소스 디바이스(100)인 하나의 스마트 폰이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인 차량 헤드유닛과 제2 싱크 디바이스(120)인 무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각각과 세션을 맺고, 스마트 폰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차량 헤드유닛에 미러링하는 동시에 스마트 폰의 영화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뒷좌석 탑승자의 무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미러링하는 상황에서, 사용자는 차량 헤드 유닛에 표시된 제어 UI를 이용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무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즉, 영화 영상)를 정지하거나 음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중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요청을 확인한다(401). 그리고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 요청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403). 여기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을 위한 command set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405).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제어 UI 또는 command set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에 제어 UI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 UI를 표시부(113)에 미러링하고,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에 command set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command set을 근거로 제어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UI를 표시부(113)에 표시한다(407).
그리고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제어 UI를 통해 제어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된 제어 요청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달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409). 여기서 사용자는 표시부(113)의 터치 입력, 마우스 및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부(111)를 통한 입력, 제1 싱크 디바이스(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차량의 노브(Knob) 또는 차량용 휠(Wheel)의 조작 버튼을 통한 입력 및 제1 싱크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기타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버튼을 통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가 입력된 제어 요청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달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소스 디바이스(100)에서 UIBC(User Input Back Channel) command를 이용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싱크 디바이스(110)가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100)로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501).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와 제2 싱크 디바이스(120)간에 연결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제어 UI를 생성한다(503). 그리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상기 생성된 제어 UI가 제1 싱크 디바이스(110)에서 미러링 또는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포함하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505).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UI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제어 UI를 통해 제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507). 그리고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입력된 제어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일 예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지)을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509). 그러면,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일 예로, 정지)한다(513).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업데이트된(일 예로, 정지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싱크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513). 일 예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정지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싱크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면,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는 정지된 멀티미티어 콘텐츠가 미러링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다시 수집하여 제어 UI를 업데이트하고(515), 업데이트된 제어 UI를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517). 일 예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 미러링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지를 재생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세션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은 업데이트된 제어 UI를 통해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정지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UI를 종료하는 입력을 수신하면(519), 제어 UI 종료 command를 포함하는 제어 종료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521). 이때,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어 UI 종료 command를 UIBC command 형태로 소스 디바이스(521)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어 UI를 종료하고,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제1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한다(523).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제어 요청 메시지가 command set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소스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command를 이용하여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싱크 디바이스(110)가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소스 디바이스(100)로 command set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601). 이때,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기존 미러링 화면에 대한 스케일링이 필요한 경우 스케일링하고자 하는 변경 스케일 값을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와 제2 싱크 디바이스(120)간에 연결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한다(603).
상기 command set은 영화/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러링 또는 공유하는 세션의 경우, 영화/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항목(ex: Play/Pause/Stop/Volume-up/Volume-down/앞으로 건너뛰기/뒤로 건너뛰기/다음 컨텐츠 재생/이전 컨텐츠 재생 등)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ex: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You Tube 등)을 미러링 또는 공유 중인 세션의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 항목(ex: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 경로 취소, 어플리케이션 종료 등)을 포함하며, 소스 디바이스(100)에서 재생가능 한 영화/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 및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set은 영화/음악/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미러링 또는 공유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 및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목과 부가정보(ex: 음악 - 앨범제목, 가수 명 등, 영화 - 감독 및 주연과 같은 부가정보, 어플리케이션 - 버전 정보 등의 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607). 또한 이때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가 전송한 변경 스케일 값에 따라 무선 디스플레이 세션을 미러링 또는 공유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제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형태의 제어 UI를 생성한다(607).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제어 UI를 통해 제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609). 그리고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입력된 제어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일 예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소리 키움)을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611). 그러면,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서 제공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일 예로, 소리 키움)한다(613).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업데이트된(일 예로, 소리가 키워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싱크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615). 일 예로,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소리가 키워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싱크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면, 제2 싱크 디바이스(120)에는 소리가 키워진 멀티미티어 콘텐츠가 미러링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다시 수집하여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하고(617), 업데이트된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619). 이에 따라, 추후 제1 싱크 디바이스(110)은 command set 및 정보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 UI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UI를 종료하는 입력을 수신하면(621), 제어 UI 종료 command를 포함하는 제어 종료 메시지를 소스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623). 이때,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상기 제어 UI 종료 command를 UIBC command 형태로 소스 디바이스(521)에 전송할 수 있따. 그리고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110)는 소스 디바이스(100)에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의 스케일 값에 따르는 디스플레이를 미러링 또는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디바이스(100)는 제어 UI를 종료하고,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제1 싱크 디바이스에 제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하여 전송한다(625).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명령 세트(command set)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가 상기 명령 세트 및 상기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기 명령 세트 및 상기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제어 UI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U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7.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명령 세트(command set)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가 상기 명령 세트 및 상기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기 명령 세트 및 상기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제어 UI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 U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3.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에서,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UI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명령 세트(command set)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명령 세트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17.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에서,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제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는,
    제어 UI(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정보 또는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어 UI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UI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가 상기 제어 UI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 간에 형성된 세션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구성된 명령 세트(command set)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명령 세트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싱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정보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KR1020140058970A 2014-05-16 2014-05-16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32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70A KR20150132747A (ko) 2014-05-16 2014-05-16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970A KR20150132747A (ko) 2014-05-16 2014-05-16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747A true KR20150132747A (ko) 2015-11-26

Family

ID=5484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970A KR20150132747A (ko) 2014-05-16 2014-05-16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27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938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CN108141629B (zh) 在显示设备上呈现虚拟操作系统用户界面的方法、系统和介质
US1172744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JP5728227B2 (ja) サービス配信プラットフォームへの接続性を有するデバイスのた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700834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60704B1 (ko) 휴대용 장치, av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113468B (zh) 一种移动计算设备以及实现的方法、计算机存储介质
US201600069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21066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189357A1 (en) Multimedia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synchronizing screen, and method for same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KR10228377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6287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US20230053256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dynamic media sessions with audio stream expansion features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95049A1 (en)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59655B1 (ko) 서버, 단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76082A (ja) 仮想チャンネル管理の方法、仮想チャンネル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記憶媒体
KR20150132747A (ko)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92223B1 (ko)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55038A1 (en) Handheld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TV
WO2015063872A1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視聴装置、ネットワーク視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