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488A - 부상식 공중화장실 - Google Patents

부상식 공중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488A
KR20150131488A KR1020140058135A KR20140058135A KR20150131488A KR 20150131488 A KR20150131488 A KR 20150131488A KR 1020140058135 A KR1020140058135 A KR 1020140058135A KR 20140058135 A KR20140058135 A KR 20140058135A KR 20150131488 A KR20150131488 A KR 2015013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upler
socket
hol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522B1 (ko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to KR102014005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5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수위가 높아질 경우 수면에 부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부상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면 가장자리에 가이드 포스트가 다수 세워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대응하는 포스트 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화장실이 설치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화장실의 급수 사용처에 연결된 급수관과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호스와, 상기 호스와 상기 상수도관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커플러와, 상기 화장실의 배수관과 정화조에 연결된 하수배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플랙시블 관 및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배수관이나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하수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부상식 공중화장실{Floating type public toile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설치장소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수면에 부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부상됨으로써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 등에 의한 경제적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면 부상식 공중화장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유원지, 야영지, 야외의 공공장소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공중의 편의를 위해 공중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근래에는 강변, 큰 시냇가, 야지 등과 같이 저지대가 공원화되면서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세수를 하거나 용변 등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저지대에도 공중화장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저지대에 설치되는 공중화장실의 경우 기상이변 현상으로 인한 소나기성 장마를 비롯하여 국지성, 돌발성, 게릴라성 등의 폭우 및 집중호우 시 또는 상류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을 방류 시 침수 및 유실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의 손실 등 경제적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4703호(20090.12.3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665호(2011.09.19)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 공중화장실이 갖는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부상하거나 하강하는 과정에서 유속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공중화장실을 개발하고자 각고한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침수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부상이나 하강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상면 가장자리에 가이드 포스트가 다수 세워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대응하는 포스트 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화장실이 설치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화장실의 급수 사용처에 연결된 급수관과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호스와, 상기 호스와 상기 상수도관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커플러와, 상기 화장실의 배수관과 정화조에 연결된 하수배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플랙시블 관 및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배수관이나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하수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집중호우, 홍수 등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력에 의해서 수면에 자동으로 부상되어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이나 하강 과정에서 유속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1커플러는, 상기 호스의 하단부에 고정된 소켓과, 상기 상수도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은,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구멍이 다수 형성된 중공형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의 볼구멍에 각각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스톱볼과, 상기 소켓관의 바깥쪽 면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강에 따른 접촉 간섭으로 상기 스톱볼이 상기 소켓관의 볼구멍을 통하여 상기 소켓관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거나 상기 소켓관의 중공 밖으로 이동되도록 접촉 간섭을 해제하는 잠금구와, 상기 소켓관과 상기 잠금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톱볼이 상기 소켓관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게 가압하도록 상기 잠금구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소켓관 내의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소켓핀과, 상기 소켓관 내에 고정되고 상기 소켓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제1지지구 및 상기 소켓핀과 제1지지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핀이 상기 소켓관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소켓관의 중공에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 상기 스톱볼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중공형 플러그관과, 상기 플러그관 내의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플러그핀과, 상기 플러그관 내에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제2지지구 및 상기 플러그핀과 제2지지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핀이 상기 플러그관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2커플러는, 양측에 각각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중공 내로 돌출되는 캠레버가 구비된 중공형 암커플러와, 상기 암커플러의 중공에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 상기 암커플러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캠레버와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캠홈이 형성된 중공형 수커플러 및 상기 암커플러의 중공 내에 상기 수커플러와 접합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진 개스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는, 상기 수커플러에 대응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수배관의 내부로 강물, 오폐수, 오니(sludge),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커플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커플러는, 각각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커플러의 캠홈과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캠레버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설치장소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체가 자체 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상하여 화장실을 수면 위로 위치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장소로 이동 없이도 화장실이 침수되거나 유실 또는 파손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와 가이드 롤러의 상호 구름운동에 의해 부력체와 화장실의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부력체와 화장실의 승강에 따른 접촉 간섭이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한층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승강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체가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유속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될 수 있다.
게다가 화장실의 급수관과 상수도관을 연결하는 호스가 제1커플러에 의해 간편하고 용이하게 밀폐 및 밀봉된 상태로 탈리되고, 화장실의 배수관과 하수배관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관이 제2커플러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리되며, 아울러 하수배관은 캡커플러에 의해 밀폐 및 밀봉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화장실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수면보다 높은 위치로 부상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수도관과 하수배관으로 강물이나 오폐수 혹은 오니나 오물이 유입되어 막히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이 부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가이드 포스트와 가이드 롤러 부분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제1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제1커플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제2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반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제2커플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반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캡커플러와 제2커플러의 수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국부 반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은 크게 베이스(10), 가이드 포스트(11), 부력체(20), 가이드 롤러(30), 호스(40), 제1커플러(50), 플랙시블 관(70) 및 제2커플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지면 위에 콘크리트 타설 등의 방법으로 상면이 평평하도록 시공되어 그 상면의 가장자리에 세워진 다수 개의 가이드 포스트(11)를 견고하게 지지 및 지탱한다.
여기서 베이스(10)는 터파기를 한 후 콘크리트 타설 등의 기초공사를 통해 지면에 한층 더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상면은 지면과 동일선상 또는 지면보다 약간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상면에는 평상 시 부력체(20)를 일정 높이로 떠받치는 받침대(미부호)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되어 있다.
즉, 받침대는 부력체(20)가 베이스(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안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침수 시 강물에 떠내러와서 베이스(10)의 상면에 쌓이는 각종 쓰레기 등로 인해 부력체(20)가 베이스(10)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포스트(11)는 부력체(2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며, 그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포스트(11)는 베이스(10)의 가장자리 중 사방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하여 사각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체(20)는 부력을 갖는 구조물로써 베이스(10)의 상측에서 가이드 포스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가장자리 중 사방의 코너 부분에 가이드 포스트(11)와 대응하는 포스트 홀(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화장실(25)이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짐 등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력체(20)는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다수로 분할 및 구획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체(20)의 저면에는 화장실(25)이 완만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면서 그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하강 시 베이스(10) 등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완충부재로는 코일스프링, 공기주머니, 탄성고무 등과 같이 충격흡수력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부력체(20)와 화장실(25)의 승강 동작을 방해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라면 다양한 완충재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롤러(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20)가 가이드 포스트(11)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승강 가능하도록 부력체(20)의 포스트 홀(21)들 각각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가이드 롤러(30)는 포스트 홀(21)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가이드 포스트(11)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상하 양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30)의 바깥쪽 면 둘레 즉, 가이드 포스트(11)의 바깥쪽 면 둘레와 접촉되는 면은 부력체(20)의 한층 더 원활한 승강 작동을 위해 가이드 포스트(11)의 바깥쪽 면 둘레와 대응하도록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곡선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개의 가이드 롤러(30)와 가이드 포스트(11) 사이는 약 1~3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25)의 급수 사용처에 연결된 급수관(26)과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27)을 연결하도록 화장실(25)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40)는 침수 시 상수도관(27)과 연결 부분을 탈부착할 때 조작이 용이하도록 자유롭게 휘어지는 가요성 및 내압력이 높은 고무, 비닐, 헝겊 따위로 만든 관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커플러(50)는 호스(40)와 상수도관(27) 사이에 구비되어 물이 이동하는 호스(40)와 상수도관(27)을 탈부착 가능하게 관이음 방식으로 연결시켜 준다.
여기서 제1커플러(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40)의 하단부에 고정된 소켓(51)과, 상수도관(27)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일부가 소켓(51)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61)로 이루어진다.
즉, 소켓(51)은 중공형 소켓관(53)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볼구멍(52)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볼구멍(52)에는 스톱볼(54)이 각각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소켓관(53)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승강에 따른 접촉 간섭으로 스톱볼(54)이 볼구멍(52)을 통하여 소켓관(53)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거나 소켓관(53)의 중공 밖으로 이동되도록 접촉 간섭을 해제하는 잠금구(55)가 소켓관(53)에 대하여 일정 거리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관(53)과 잠금구(55) 사이에는 스톱볼(54)이 소켓관(53)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게 가압하도록 잠금구(55)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56)이 장착되어 있고, 소켓관(53)의 중공 내에는 그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소켓핀(57)이 장착되어 있고, 또 소켓핀(57)이 이동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안내공(58)이 형성된 제1지지구(59)가 고정되어 있으며, 소켓핀(57)과 제1지지구(59) 사이에는 소켓핀(57)이 소켓관(53)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6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관(53)의 중공 안쪽 면 둘레에는 플러그(61)의 바깥쪽 면 둘레와 틈 사이를 막아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P)이 끼워져 있다.
아울러 플러그(61)는 중공형 플러그관(63)의 바깥쪽 면 둘레 중 소켓관(53)의 중공에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는 스톱볼(54)이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62)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관의 중공 내에는 그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플러그핀(64)이 장착되어 있고, 또 플러그핀(64)이 이동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안내공(65)이 형성된 제2지지구(66)가 고정되어 있으며, 플러그핀(64)과 제2지지구(66) 사이에는 플러그핀(64)이 플러그관(63)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67)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스프링(56)(60)(67)으로는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제1커플러(50)는 소켓(51)과 플러그(61)를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톱볼(54)이 플러그의 끼움홈(62)에 걸릴 때까지 소켓(51)과 플러그(61)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 넣으면, 소켓핀(57)과 플러그핀(64)이 상호 접촉에 의해 가압되면서 각각의 제2 및 제3스프링(60)(67)을 압축하면서 제1 및 제2지지구(59)(66)의 안내공(58)(65)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켓핀(57)과 플러그핀(64)이 소켓관(53)과 플러그관(63) 내의 유체통로를 각각 개방시킨 상태로 소켓(51)과 플러그(61)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소켓(51)과 플러그(61)를 탈리할 경우에는 스톱볼(54)이 플러그의 끼움홈(62)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잠금구(55)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잠금구(55)는 제1스프링(56)을 압축하고 스톱볼(54)은 볼구멍(5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렇게 되면 소켓(51)과 플러그(61)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어 서로 분리되며, 이때 소켓핀(57)과 플러그핀(64)은 제2 및 제3스프링(60)(6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소켓관(53)과 플러그관(63) 내의 유체통로를 각각 폐쇄하게 된다.
플랙시블 관(70)은 화장실의 오수(좌변기에서 배출되는 물)와 생활하수(세면대에서 배출되는 물)가 배출되는 배수관(28)과 별도의 정화조에 연결된 하수배관(29)을 연결하도록 화장실(25)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플랙시블 관(70)으로는 침수 시 배수관(28) 및 하수배관(29)과 연결 부분을 탈부착할 때 조작이 용이하도록 자유롭고 유연하게 휘어지는 가요성 및 내압력이 높은 동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만든 벨로즈(bellows) 타입의 신축곡관 또는 금속 박판을 특수한 모양으로 구부려 코일과 같이 조합하고 고무 또는 석면을 사이에 삽입하여 기밀을 유지하며 자유롭게 굽힐 수 있는 가요성 금속관(flexible metallic conduit)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커플러(80)는 플랙시블 관(70)과 배수관(28) 및 플랙시블 관(70)과 하수배관(29)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하수가 이동하는 플랙시블 관(70)과 배수관(28) 및 플랙시블 관(70)과 하수배관(29)을 탈부착 가능하게 관이음 방식으로 연결시켜 준다.
여기서 제2커플러(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암커플러(83)와 중공형 수커플러(85)로 이루어지며, 암커플러(83)의 양측에는 각각의 힌지핀(8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그 중공 내로 돌출되는 캠레버(82)가 구비되어 있고, 수커플러(85)의 바깥쪽 면 둘레 중 암커플러(83)의 중공 내로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는 캠레버(82)를 접고 펼치는 조작에 따라 캠레버(82)와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면서 암커플러(83)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캠홈(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커플러(83)의 중공 내에는 수커플러(85)와 접합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개스킷(86)이 끼워져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 시 플랙시블 관(70)과 하수배관(29) 사이의 암커플러(83)를 서로 탈리한 후 하수배관(29)의 상단부 즉, 수커플러(85)에는 하수배관(29)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 및 밀봉하는 구조의 캡커플러(90)를 씌워서 결합함으로써 침수 시 강물, 오폐수, 오니(sludge), 오물 등이 하수배관(29)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캡커플러(90)는 수커플러(85)와 대응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각각의 힌지핀(9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그 중공 내로 돌출되면서 수커플러(85)의 캠홈(84)과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캠레버(9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식 공중화장실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수위가 낮은 평상 시에는 부력체(20)가 부상되지 않고 베이스(1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장실(25)에서 세수를 하거나 용변 등을 편리하게 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 홍수 등에 의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여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부력체(20)가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화장실(25)이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침수를 방지함은 물론 강물에 떠내려오는 부유쓰레기와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 포스트(11)와 가이드 롤러(30)는 회전에 의한 상하 미끄럼 운동으로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부력체(20)가 한층 원활하게 상승되도록 안내함은 물론 부력체(20)가 유속이나 파동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기울어지거나 전후좌우로 흔들림 없이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상승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부력체(20)는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가이드 포스트(11)와 가이드 롤러(30)에 의해 완만하게 하강하므로 그 과정에서 충격이 화장실(25)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화장실의 급수관(26)과 상수도관(27)을 연결하는 호스(40)가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제1커플러(50)에 의해 상수도관(27)과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침수 시 호스(40)와 상수도관(27)의 연결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부력체(20)와 화장실(25)이 자연스럽게 부상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제1커플러(50)가 자동으로 상수도관(27)을 밀폐 및 밀봉하므로 강물이나 오폐수 혹은 오니나 오물이 상수도관(27)으로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화장실의 배수관(28)과 외부의 하수배관(29)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관(70)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제2커플러(80)에 의해 하수배관(29)과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침수 시 플랙시블 관(70)과 하수배관(29)의 연결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부력체(20)와 화장실(25)이 자연스럽게 부상할 수 있다.
또한, 하수배관(29)은 캡커플러(90)로 밀폐 및 밀봉함으로써 하수배관(29)으로 강물이나 오폐수 혹은 오니나 오물이 유입되어 막히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1: 가이드 포스트
20: 부력체 21: 포스트 홀
25: 화장실 26: 급수관
27: 상수도관 28: 배수관
29: 하수배관 30: 가이드 롤러
40: 호스 50: 제1커플러
51: 소켓 52: 볼구멍
53: 소켓관 54: 스톱볼
55: 잠금구 56: 제1스프링
57: 소켓핀 58: 안내공
59: 제1지지구 60: 제2스프링
61: 플러그 62: 끼움홈
63: 플러그관 64: 플러그핀
65: 안내공 66: 제2지지구
67: 제3스프링 70: 플랙시블 관
80: 제2커플러 81: 힌지핀
82: 캠레버 83: 암커플러
84: 캠홈 85: 수커플러
86: 개스킷 90: 캡커플러

Claims (5)

  1. 상면 가장자리에 가이드 포스트가 다수 세워진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가장자리에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대응하는 포스트 홀이 다수 형성되고, 상면에 화장실이 설치된 부력체;
    상기 부력체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 홀의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된 가이드 롤러;
    상기 화장실의 급수 사용처에 연결된 급수관과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호스;
    상기 호스와 상기 상수도관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커플러;
    상기 화장실의 배수관과 정화조에 연결된 하수배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구비된 플랙시블 관; 및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배수관이나 상기 플랙시블 관과 상기 하수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커플러;
    를 포함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는, 상기 호스의 하단부에 고정된 소켓과, 상기 상수도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 결합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은, 안쪽 면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볼구멍이 다수 형성된 중공형 소켓관;
    상기 소켓관의 볼구멍에 각각 위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스톱볼;
    상기 소켓관의 바깥쪽 면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승강에 따른 접촉 간섭으로 상기 스톱볼이 상기 소켓관의 볼구멍을 통하여 상기 소켓관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거나 상기 소켓관의 중공 밖으로 이동되도록 접촉 간섭을 해제하는 잠금구;
    상기 소켓관과 상기 잠금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톱볼이 상기 소켓관의 중공 안으로 돌출되게 가압하도록 상기 잠금구를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상기 소켓관 내의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소켓핀;
    상기 소켓관 내에 고정되고 상기 소켓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제1지지구; 및
    상기 소켓핀과 제1지지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핀이 상기 소켓관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소켓관의 중공에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 상기 스톱볼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중공형 플러그관;
    상기 플러그관 내의 유체통로를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하는 플러그핀;
    상기 플러그관 내에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핀이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제2지지구; 및
    상기 플러그핀과 제2지지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핀이 상기 플러그관 내의 유체통로를 탄력적으로 폐쇄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
    을 포함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는,
    양측에 각각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중공 내로 돌출되는 캠레버가 구비된 중공형 암커플러;
    상기 암커플러의 중공에 삽입되는 바깥쪽 면 둘레에 상기 암커플러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캠레버와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캠홈이 형성된 중공형 수커플러; 및
    상기 암커플러의 중공 내에 상기 수커플러와 접합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진 개스킷;
    을 포함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플러에 대응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수배관의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부상식 공중화장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플러는,
    각각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수커플러의 캠홈과 선택적으로 접촉 간섭을 일으켜 상기 수커플러와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캠레버가 구비된 부상식 공중화장실.
KR1020140058135A 2014-05-15 2014-05-15 부상식 공중화장실 KR10160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35A KR101608522B1 (ko) 2014-05-15 2014-05-15 부상식 공중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35A KR101608522B1 (ko) 2014-05-15 2014-05-15 부상식 공중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488A true KR20150131488A (ko) 2015-11-25
KR101608522B1 KR101608522B1 (ko) 2016-04-01

Family

ID=5484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135A KR101608522B1 (ko) 2014-05-15 2014-05-15 부상식 공중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40A (zh) * 2017-07-21 2017-11-2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大型液化天燃气模块非滑道区建造场地的找平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0357B (zh) * 2017-10-16 2018-12-21 台州市路桥德建电机有限公司 一种桥梁限高装置
KR102399536B1 (ko) 2022-02-23 2022-05-19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수면 부상형 시설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431A (ja) * 2009-08-25 2011-03-10 Fullness Japan Corp カムアーム式ホースカプラ
KR101128394B1 (ko) * 2011-10-24 2012-03-23 태조건설 주식회사 경사 부상식 수변 시설물 기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6240A (zh) * 2017-07-21 2017-11-2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大型液化天燃气模块非滑道区建造场地的找平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522B1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522B1 (ko) 부상식 공중화장실
JP6682065B2 (ja) 排水配管
CN103643726A (zh) 一种长效全封闭水封防臭同层排水地漏
CN111945851A (zh) 一种城市水利工程道路用排水装置
CN105135006A (zh) 小型泵站截流新装置
CN105569143B (zh) 一种座便器水箱给排水装置
CN107476248B (zh) 浮球摆杆驱动的埋入式防洪墙
CN211523442U (zh) 一种市政工程下水道防臭井盖
CN105804212A (zh) 一种防臭防返流地漏
CN110295663B (zh) 一种自封式地漏管道
CN205475634U (zh) 一种防臭防返流地漏
CN112983092A (zh) 地下室人防结构及施工方法
US9566622B2 (en) Automatic vacuum sewerage solids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CN211172311U (zh) 一种建筑装饰用地漏
JP2009299308A (ja) 逆流防止構造及び排水施設
CN201261910Y (zh) 同路水道落差防溢窨井盖
CN113175040A (zh) 便器溢流装置、便器水箱及便器
JP2007120012A (ja) 浸水防止用人工地盤
CN209412958U (zh) 一种自动封闭的地漏
CN202181586U (zh) 一种防返污接管
JP5514481B2 (ja) 逆流防止構造
CN106400845B (zh) 一种防止污水倒灌的城市道路用窨井盖装置
CN209941623U (zh) 一种具有排污功能的液压拦河坝
CN107023057B (zh) 一种自动冲水便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