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321A -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321A
KR20150131321A KR1020157029712A KR20157029712A KR20150131321A KR 20150131321 A KR20150131321 A KR 20150131321A KR 1020157029712 A KR1020157029712 A KR 1020157029712A KR 20157029712 A KR20157029712 A KR 20157029712A KR 20150131321 A KR20150131321 A KR 20150131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ductive
drive
display
contac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198B1 (ko
Inventor
디렉 데그델렌 유이살
제프리 레인 웰스
에드워드 홀컴
Original Assignee
프란웰,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웰,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프란웰,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3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3Structures for supporting or mounting cells, e.g. frames or bezels
    • G02F2001/167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온 주입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매스 분해 애퍼쳐(mass resolving apertur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매스 분해 애퍼쳐는 분절되고, 조종 가능하고, 및/또는 애퍼쳐를 칠(strike) 다가오는 이온 종들에게 곡선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또한 폐쇄 플라스마 통로 (closed plasma channel, CPC), 또는 보손 에너지 전달 시스템을 통해 충전된 입자들의 유동을 여과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2013년 3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789,373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미국 가출원의 모든 그림, 표 또는 도면을 포함하는 전체가 참고로서 본 문서에 포함된다.
전자 종이(e-종이), 또는 전자 잉크는 인기리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빛을 발하는 종래의 후면발광 평면 디스플레이와 달리, e-종이 디스플레이는 보통 종이처럼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일기가 더 편리하다. e-종이 표면은 또한 종래의 후면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더 넓다.
많은 e-종이 기술들은 전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정지 상태의 문자와 이미지들을 영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e-종이의 앞면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안료들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물질 또는 필름으로, 인가된 전기장을 바탕으로 이동되는 작은 캡슐 또는 물리적인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후면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들로 이루어지며, 안료들을 유인하고 산란하기 위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후면을 구동한다. 콘트롤러와 같은 지지 플랫폼 기술이 발생시켜야 하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필요한 전압차와 전류를 공급하도록 후면을 구동한다.
전기 영동 앞면을 갖는 디스플레이는 인가된 전기장을 사용해 충전된 안료 입자들을 재배치함으로써 가시적인 이미지들을 형성한다.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오일 탄화수소에 분산된, 직경이 약 1 마이크로미터인 이산화티탄 (티타니아)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있다. 계면활성제와 대전제들과 함께 어두운 색 염료가 첨가되어 입자들로 하여금 전하를 띠도록 한다. 이 혼합물은 1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평행한 전도판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 두개의 판에 전압이 인가되면, 입자들은 입자들과 반대 전하를 갖는 판으로 전기 영동적으로 이동한다. 입자들이 디스플레이의 정면(보여지는)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흰색으로 보이는데, 이는 높은 지수의 티타니아 입자들에 의해 빛이 독자에게 다시 산란되기 때문이다. 입자들이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입사광이 색이 있는 염료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이다. 후면 전극이 다수의 작은 화소 (픽셀)들로 나뉘면, 디스플레이의 각 영역에 적합한 전압을 인가하여 반사 영역들과 흡수 영역들로 이루어진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충전 입자들은 매우 작은 마이크로캡슐 안의 색을 띤 오일 안에 부유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캡슐들은 점성 유체에 부유하는 양극으로 충전된 흰색 입자들과 음극으로 충전된 흑색 입자들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 대신, 마이크로컵(microcup) 또한 SiPi e-종이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2색 정면(bichromal frontplanes)에서, 다른 색의 두 개의 반구를 갖는 미세한 플라스틱 비드(bead)들이 오일 주머니 안에 압축된다. 양극 또는 음극 충전된 구들은 e-종이에 인가된 전기장을 바탕으로 플라스틱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음극 충전 반구는 양극 충전 전극과 함께 정면을 향하게 되고, 이 반대도 가능하다. e-잉크는 후면발광 기술에서처럼 재생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미지는 다음 전기 충전까지 제자리에 머무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는 지속적인 재생이 필요한 디스플레이에 비해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며 0까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e-종이 디스플레이는 후면을 위해 활성 매트릭스, 분절된, 및/또는 수동 매트릭스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후면을 포함하고, 대형의 픽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픽셀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어레이가 제어하게 된다. 시중에 사용 중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의 예로는 아마존 킨들 e-리더(Amazon Kindle e-reader)에 사용 중인 고해상도의 활성 매트릭스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E 잉크 코퍼레이션이 제조한 전기 영동 이미징 필름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유리는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내장하는데 흔하게 사용되는 기판인데,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에 필요한 고온을 유리가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 시 저온을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가 최근에 개발됨으로써, 후면에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배경에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면, e-종이 디스플레이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후면을 위해 플라스틱 기판과 플라스틱 전자 부품들을 사용해 가요성 e-종이를 만들 수 있다.
소매업체들은 진열대(shelf)에 판매할 물건들을 올려놓고 그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잠재 구매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진열대 엣지(edge)에 진열대 태그를 배치한다. 소매업체들은 진열대 엣지에 배치된 가격 태그에 표시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모색해왔다. 전자 진열대 라벨 (Electronic Shelf Label, ESL) 기술은 소매업체들이 사람의 개입이 있거나 개입이 없어도 물건의 가격을 원격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각 제품에 대한 라벨에 ESL을 적용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식료품점인 푸드 마케팅 인스티튜트(Food Marketing Institute)는 주어진 시간에 38,718 가지 다른 제품을 전시하는데, 즉 식료품점마다 제품마다 다른 ESL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천 개의 ESL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ESL 하나 당 높은 가격을 생각하면, ESL 기술은 소매업체들에게는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저가 제품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소매업체들이 진열대 엣지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그러한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비용이 낮고, 소비 전력이 낮고, 지속성이 있는 해결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기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소매업체에서 진열대 엣지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비용이 낮고, 소비 전력이 낮고, 지속성이 있는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소매업체들이 e-종이 기술과 무선 통신을 사용해 진열대 엣지에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적으로, 자동 업데이트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실시 예들은 유리 후면이 없는 e- 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e-종이를 구동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가요성 e-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e-종이 필름 및 e-종이의 층들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e-종이에 쓰고 있는 상태의 롤러 접촉 요소(roller contact element)와 e-종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US 6,222,513에 기재된 전하 보유 섬(charge retention islands)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US 6,222,513에 기재된 교류 전하 보유 섬(alternate charge retention islands)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8" × 1.75" e-종이 디스플레이 및 한 섹션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진열대 부착/디스플레이 홀더, e-종이 디스플레이, 그리고 구동부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 가지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구동부가 e-종이를 둘러싼 방식 및 구동부에 부착된 바퀴가 e-종이를 옆에서 옆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e-종이 위를 이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구동부에 부착된 와이퍼(wiper)가 캡슐화 구현을 위해 구동부의 정면 패널을 지지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 예에 따른, e-종이에 전하를 전달하는 전도성 요소는 롤러를 도시한 도면으로, 서로 다른 정도성/비전도성 패턴들을 갖는 원통형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 예에 따른, e-종이에 전하를 전달하는 전도성 요소는 롤러를 도시한 도면으로, 전도성 비드(bead)들 및 전도성 비드들 사이에 비전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정면판에 내장된 두 개의 전도판의 위치 및 디스플리에의 측면에 위치된 전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홀더를 지지하고 구동부가 표면 위를 더 잘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박막 플라스틱층을 갖는 폼(foam)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구동부가 움직일 때 폼을 뒤로 밀고 더 용이한 이동을 위해 빈공간(cavity)를 만드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충격과 환경 손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상부에 보호 장벽을 구비한 e-종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e-종이와 함께 구동부를 보호하는 외함(enclosure)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PCB 기판에 연결된 구동부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충전 가능한 전도성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홀더와 연결부를 사용한, PCB를 구비한 원통형 요소의 또 다른 연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US 20130162511에 기재된 e-종이 디스플레이의 열과 행 전극들의 평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19는 롤러 요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기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 예들은 소매업체 환경에서 진열대 엣지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들은 비용이 낮고, 소비 전력이 낮고, 지속성 있는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소매업체들이 e-종이 기술과 무선 통신을 사용해 진열대 엣지에 정보를 표시하고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실시 예들은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후면이 없는 e-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 예들은 하나 이상의 e-종이를 구동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가요성 e-종이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들은 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들은 또한 전자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e-종이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들은 활성 매트릭스 후면을 사용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가요성 e-종이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 예들은 진열대 엣지 전체를 e-종이 디스플레이로 덮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종래의 가격 태그 및 진열대 태그가 각 제품에 대해 보여주는 정보를 모두 보여줄 수 있고, 종래의 진열대 태그들이 위치한 곳 사이의 공간에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진열대 엣지의 반 이상은 비어있기 때문에, 실시 예들에 따라 진열대 엣지가 정보 및 마케팅 표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고객들의 쇼핑 경험을 증대시키고 소매업체들을 위해 추가적인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e-종이 디스플레이는 표시 목적에 따라 너비와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진열대 엣지의 일 특정 실시 예는 길이가 4 피트이고 너비는 적어도 1/2 인치인 반면, 광고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예는 길이가 6 피트이고 너비가 3 피트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 예들은 길이가 적어도 1 피트, 적어도 2 피트, 적어도 3 피트, 그리고 적어도 4 피트일 수 있고, 너비는 적어도 1/2 인치, 적어도 3/4 인치, 적어도 1 인치일 수 있다. e-종이는 읽기가 쉽고, 거의 모든 각도에서 읽을 수 있고, 가볍고, 내구성이 있고, 흑백으로 이루어지거나 색깔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US2013/0162511에 기재된 e-종이와 같은 도트 매트릭스를 사용한 e-종이, 세그먼트로 나눠어지고 및/또는 수동 매트릭스 기술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제품 가격, 다양한 이미지, 애니메이션 및 그 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활성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는 후면을 포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 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대형 픽셀 어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유리는 가령 제조 과정에 필요한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등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트랜지스터들을 내장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기판이다. 저온을 사용하는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가 최근에 개발되어 후면에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유연성과 내구성의 장점을 갖는데, 유연성과 내구성은 e-종이 기술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러나, 후면에 가요성 물질을 사용하면 e-종이의 정면과 정면에 잉크를 구동하는 후면을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해진다. 픽셀들과 TFT 어레이는 항상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하는데, 가요성 물질을 사용하면 이러한 정밀하게 정렬하는 것이 어렵고, 대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특히 더하다. 유리 기판은 단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나, 유리 기판은 가격이 비싸고 깨지기 쉽다.
도 1을 일 예로 참조하면, 실시 예들은 매우 작은 마이크로캡슐(14)들 안의 색이 있는 오일에 부유되는 전기 충전된 입자들을 포함하는 픽셀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캡슐(14)은 점성 유체(16)에 부유되는 양극으로 충전된 흰색 입자(17)들과 음극으로 충전된 검은색 입자(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영역(12)들에 전하를 인가함으로써, 전극 영역(12)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전극(10)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요성 디스플레이(50)는 마이크로캡슐들을 포함하는 영역의 제1 측면에, 전극 역할을 하는 전도층 또는 출력물을 표시하기 위한 그 외 구조, 및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영역의 반대 측면에 전극들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전도성 영역(22)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 예들은 TFT를 구비한 후면을 갖지 않는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정면은 디스플레이(50)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e-잉크 구동부를 사용해 제어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부(60)는 인쇄 헤드(print head)이 종이에 잉크를 인쇄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위를 이동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0)는 구동부(60)를 지나간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부(60)와 디스플레이(50)의 결합으로 구동부가 디스플레이(50)의 서브 섹션들을 순차적으로 다시쓰기함으로써 디스플레이(50)를 다시쓰기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50)와 구동부(60)의 결합을 통해, 지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게 되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e-종이 구동부(60)는 RF, 지그비, 및/또는 와이파이 등의 유무선 기술을 사용해 서버나 그 외 하드웨어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나 그 외 하드웨어는 디스플레이의 원하는 영역에 표시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원(100)은 구동부(60)에 배치할 수 있고, 구동부(60)는 고정부(stationary unit)로부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종래 기술을 통해 구동부(60)에 전력을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100)은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energy harvesting device), 교체 가능한 배터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또는 전기 콘센트(electric outlet) 일 수 있다.
다음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으로, 여기에 사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팝엣지(POPedge)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60)를 포함한다.
1) 팝엣지는 진열대 엣지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진열대의 위, 아래 또는 근처의 제품들, 및/또는 다른 제품들에 대한 가격, 설명, 브랜드, ID 번호 (바코드, QR 코드 등), 구입 가능성, 위치, 유효 기간, 및/또는 판매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e-종이 디스플레이다.
2) 팝엣지는 인쇄 헤드와 유사한 e-잉크 구동부를 사용해 정면에 정보를 업데이트하므로, 후면이 필요없다.
3) 상점의 한 개 통로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을 수 있다. 팝엣지는 디스플레이 부분(50)들을 한데 결합할 수 있는 모듈식 유닛으로 구현되어, 하나의 구동부(60)가 해당 통로 전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이 독립형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
4) 구동부(60)가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구동부(60)에 전원(100)이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의 엣지에 배치된 스테이션(station)이 구동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5) 통신 프로토콜은 소매업체의 인프라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단일 팝엣지 장치는 다중 통신 기술도 제공할 수 있다.
6) 다양한 전원(100)을 통해 팝엣지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들)은 구동부, 디스플레이 및/또는 진열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전원(100)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a) 에너지 하베스팅 유닛(energy harvesting unit)
i. 태양 전지판
ii. RF 전력 하베스팅 유닛
iii. 운동 에너지 하베스팅
b)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교체 가능하고 및/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c) 전기 그리드(grid)
도 2는 e-종이와 롤러 접촉 요소(20)을 활용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롤러 접촉 요소는 e-종이와 접촉한 상태이고, e-종이는 보호층(26), 마이크로캡슐(14), 전도 영역들 (또는 전극 영역들)(22), 및 전도층(또는 전극)(24)을 포함한다. 도 3은 US 6,222,513에 기재된 전하 보유 섬(30)(charge retention islands)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US 6,222,513에 기재된 교류 전하 보유 섬(40)(alternate charge retention islands)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8" × 1.75" 팝엣지, 디스플레이 및 한 섹션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제품들에 대한 판촉 정보, 광고, 추가 정보 뿐만 아니라 가격 정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6은 진열대 부착/디스플레이 홀더(62), e-종이 디스플레이(50), 및 구동부(60)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종이(50)를 둘러싼다. 대안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부가 e-종이(50)를 둘러싸지 않아도 된다 (가령, 투명한 정면이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고 구동부는 디스플레이와 결합하여 잘 접촉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효과적인 전하 전달을 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항상, 전도성 요소들과 정면판 사이에, 충분하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접촉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유연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이다. 구동부(60)에 부착된 구동부 바퀴(70)들에 의해서, 구동부가 디스플레이를 밀면(push off), 구동부는 e-종이(50)를 가로질러 옆에서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구동부 바퀴들은 e-종이를 밀거나, 디스플레이의 후면을 밀 수 있고, 이로써 바퀴들을 미는 디스플레이의 후면에서, 바퀴들과의 효과적인 마찰력 및 e-종이와 구동부 사이의 접촉을 촉진할 힘을 제공하게 된다. 대안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따라 움직이고 구동부를 부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디스플레이 안에 구현할 수 있다. 종래 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들 중 하나는 전도성 요소와 e-종이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전도성 요소(들) 닳는 것이었다. 캡슐화 루프(encapsulating loop)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도성 요소들이 너무 빨리 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성 요소들과 e-종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부의 전도성 요소(들)과 e-종이의 전도성 요소들 사이의 압력을 최적으로 유지한다.
구동부에 부착된 와이퍼(8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화를 위해 구동부(60)의 정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와이퍼들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움직이는 부분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픽셀 상의 정보를 지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와이퍼(80)들은 어느 한쪽에서 이동하는 동안 구동부가 e-종이(50)를 업데이트하도록 양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와이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와이퍼(80)들은 구동부(60)와 e-종이(50) 사이의 접촉을 더 좋게 하기 위해 e-종이 상의 먼지를 쓸어낼 수도 있다. 지지 와이퍼(80)들은 e-종이(50)가 판들과 구동부(60)의 제2 부분 사이에 유지되도록 e-종이(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촉의 완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종이의 유연성으로부터 기인한 주름들이 펴질 수 있다.
e-종이에 전하를 전달하는 전도성 요소 (e-종이 상의 전도성 영역들(22))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촉 요소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과 비전도성 물질로 순차적으로 덮인 롤러일 수 있다. 이 롤러는 원통형으로 재단된 얼룩말 무늬(9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도성 영역과 비전도성 영역(92)들을 포함하는 필름을 원통 위에 굴려서 입힌 형태일 수도 있고, 전도성 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을 서로 겹치게 적층한 후 원통형 커터로 재단하거나, 작은 비드(94)들을 비전도성 물질(96)과 분리하여 일렬로 배치한 형태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전도성 스트립(strip) 또는 전도성 영역은 구동부 안의 PCB에 부착된 (또는 PCB에 접촉하는) 구동부 IC 또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PCB에 대한 다른 대체수단을 사용하여, 접촉 요소에 의한 이송을 위해, 필요한 전하를 제공할 수 있다. 롤러 위의 패턴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도 9의 좌측의 패턴(90)이 구현하기가 용이하다. 롤러 대신 종래의 스위핑 구성 요소(sweeping components)를 사용해도 된다.
두 개의 전도판(102, 104)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판 안에 내장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 판들은 구동부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는 진열대 위, 디스플레이의 측면, 또는 다른 편리한 위치에 배치된 전원(10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동부 안이 아닌 곳에 전원을 배치함으로써 구동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부의 에너지 효율과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소비 전력과 필요한 전력의 종류에 따라 구동부 안에 전원이 마련될 수도 있다. 가령, 전력 하베스팅 장치(power harvesting apparatu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전력부가 워낙 작아서 구동부에 전력부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홀더(160)는 폼(foam)(110) 등과 같이 구동부를 e-종이 쪽으로 밀기 위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 물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폼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박막 플라스틱층(112) 등의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구동부가 폼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폼(110)은 e-종이를 앞으로 밀고 안쪽이 뜨는 것을 막음으로써 진열대에서 잘 정렬되고 깔끔해 보이도록 한다. 폼(110)은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구동부(60)가 움직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는 폼(110)을 뒤로 밀면서 빈공간을 만들어서 더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에서는 구동부(60)와 PCB 기판(150)과의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PCB 상의 전도성 부분들, 가령 패드들은 각각 제어부에 의해 충전된다 (즉, 트랜지스터에 의해 충전되거나 마이크로칩에 의해 직접 충전된다). 원통형 접촉 요소, 또는 롤러(20)는 PCB 기판(150)에 배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 대신, 롤러(154) 상의 전도성 요소들이 PCB 상의 전도성 패드(152)들과 접촉하며, e-종이 측에 동시 접촉하는 전도성 요소들을 통해 e-종이의 전도성 영역들로 전류 (또는 전하)를 전달한다. 도 17에서는 e-종이의 전도성 영역들이 패턴을 이룬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영역들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바람직한 패턴이나 디자인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롤러(20)는, 가령 e-종이(50)와 롤러(20) 사이의 마찰 및/또는 롤러(20)와 PCB 기판(150)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손상 때문에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쉽게 교체가 가능한 수동 소자이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0)는 그 안에 구동부 IC들을 포함할 수 있고, 롤러는 구동 구성 요소들과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US20130162511에 기재된 수동 매트릭스 구동 방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유형의 e-종이 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US201301625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종이의 잉크층은 상부는 행 전극들로, 그리고 바닥층은 열 전극들로 캡슐화됨으로써, 열 전극들과 행 전극들의 교차 영역들이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US20130162511에 기재되고 도 18에 도시된 전극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도 18의 전극 구조를 사용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있다. 롤러 요소가 한쪽 엣지에서 움직이면서 전극들을 충전하는 전극 구조이다. e-종이와 접촉하는 롤러의 표면은 도 9에서처럼 패턴을 가지지 않아도 되고, 대신 표면의 전체 표면 또는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롤러 자체 (원통형 또는 구형)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구동부는 이동 방향이 전극들과 직각을 유지하기만 하면 e-종이의 어느 쪽 엣지를 따라 이동하든 상관없다. 구동부가 이동하고 전극을 충전 또는 방전함에 따라, 다른 층에 있는 전극들은 동일한 전압으로 충전됨으로써, 교차 영역(다른 말로는 이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색도 같게 유지되거나, 다른 전압으로 충전됨으로써, 교차 영역의 색이 바뀌게 된다.
롤러 요소의 구동 등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등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구성 요소,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게다가, 당업자라면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전자 제품,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와 함께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용 가능한 컴퓨터-시스템 및 컴퓨터 네트워크는 개수와 상관없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운영 환경들을 비롯한 특정 하드웨어 장치들, 프로그램 언어들, 구성 요소들, 프로세스들, 프로토콜들, 그리고 많은 세부 사항 등이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다른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모호하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 보다는 구조들, 장치들 및 프로세스들이 블록도의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들, 서버들, 워크스테이션들, 및 그 외 기계들이 가령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을 비롯한 통신 매체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다른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실시 예, 소프트웨어 실시 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실시 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에 구현되는 컴퓨터-사용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갖는다.
컴퓨터-독출 가능 매체는 휘발성 매체 및 비휘발성 매체, 삭제 가능 매체 및 삭제 불가 매체,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스위치, 및 그 외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들에 의해 독출 가능한 컨템플레이트(contemplate) 매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 가능한 컴퓨터 독출 가능 매체는 정보 저장을 위해 어떠한 방법 또는 기술로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저장된 정보의 예로는 컴퓨터에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및 그 외 데이터 표현들이 포함된다. 사용 가능한 매체의 예로는 정보전달 매체, RAM, ROM, EEPROM, 플래시메모리 또는 그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홀르그램 매체 또는 그 외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및 그 외 자기 저장 장치들이 포함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술들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거리-처리 장치들에 의해 업무가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는, 프로그램 모듈들이 국부 저장 장치 및 메모리 저장 장치들을 비롯한 원거리 컴퓨터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은 입력 소스에 따라 컴퓨터가 반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명령어들은 다른 코드 세그먼트들과 협력해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해 수신한 데이터의 소스와 함께 다양한 업무를 시작한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라우터, 서버,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요소들을 연결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연결된 공공 및/또는 민간 네트워크들을 갖는 멀티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통신 네트워크들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형태 및 통신 프로토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가출원 및 공개문 등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내용과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모든 도면과 표를 비롯해 그 전문을 참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들과 실시 예들은 도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뿐 그에 대한 다양한 변형 또는 변호가 당업자에게는 당연하게 이해될 것이며, 본 출원의 정신과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29)

  1. e-종이 시스템으로서,
    독립적으로 전하를 수신하고, 유지하며, 제거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전극 영역들을 구비한 e-종이로서,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 영역들로 전하를 전달 및/또는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 영역들로부터 전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e-종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e-종이;
    구동부로서,
    제어부;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로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구동부 접촉 부분을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충전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 및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을 구비한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기계적 구동부로서, 상기 e-종이에 대해 상기 구동부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e-종이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은 상기 e-종이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에 대해 변경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상기 e-종이를 따라 형성되는 선형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e-종이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 영역들로 전하를 전달하는, 기계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는 회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요소는 상기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e-종이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할 때 상기 회전 요소는 회전하고, 상기 회전 요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은 상기 e-종이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에 대해 변경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롤러 접촉 요소의 회전 위치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상기 e-종이를 따라 형성되는 선형 위치를 기초로 상기 e-종이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전극 영역들로 전하를 전달하고,
    제1 회전 위치와 제1 선형 위치에서, 상기 롤러 접촉 요소의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 중 전도성 요소들의 제1 부분집합이 복수의 PCB 접촉 부분들 중 PCB 접촉 부분들의 제1 부분집합을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전극 영역들의 제1 부분집합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 회전 위치와 제2 선형 위치에서, 상기 롤러 접촉 요소의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 중 전도성 요소들의 제2 부분집합은 상기 복수의 PCB 접촉 부분들 중 PCB 접촉 부분들의 제2 부분집합을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 중 전극 영역들의 제2 부분집합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의 전도성 영역들이 먼저 충전되고, 상기 회전 요소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 요소가 상기 e-종이 상의 복수의 전도성 영역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는 필름을 구비한 원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원통의 표면을 둘러싸는 순차적인 전도성 및 비전도성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는 순차적인 전도성 및 비전도성 층들을 포함하는 원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요소의 표면은 전도성 및 비전도성 영역들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의 전도성 영역들은 마찰력이 낮은 전도성 물질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요소의 포면은 이격된 전도성 영역들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요소는 전도성 비드(bead)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비드들 사이에는 비전도성 요소들이 함께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구동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e-종이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로부터 전하를 제거하는 와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상기 e-종이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은 상기 e-종이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은 상기 e-종이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제2 부분은 상기 e-종이의 제2 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제2 부분은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과 상기 e-종이의 제1 측면 사이에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e-종이의 제2 측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은 상기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과 상기 복수의 전극 영역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도성 요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 및 상기 구동부의 제2 부분은 상기 e-종이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전도성이 있고 상기 구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가 상기 e-종이에 접촉하면 상기 와이퍼가 상기 e-종이 상의 이미지를 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종이는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진열대의 엣지에 부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열대의 엣지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e-종이는 상기 e-종이 위의 상기 진열대의 엣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18. e-종이 디스플레이로서,
    제1항에 따른 e-종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디스플레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e-종이 디스플레이는 상기 e-종이가 상기 진열대의 엣지에 대해 고정되도록 상기 진열대의 엣지에 부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e-종이 위의 상기 진열대의 엣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디스플레이.
  20. 정보 표시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e-종이 디스플레이로서, 각각 e-종이와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함께 정렬된 하나 이상의 e-종이 위에 쓰기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e-종이 디스플레이;
    상기 e-종이 위에 무엇을 쓸지에 대한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제2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e-종이 위에 쓰도록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명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전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전력은 상기 구동부의 이동으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전력은 주위의 빛으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구동부 바깥에 위치하며, 상기 e-종이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전원을 연결할 접촉 부분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e-종이와 구동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e-종이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상기 e-종이와 구동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e-종이 위에 쓰기를 수행하고, 상기 구동부의 제1 부분은 상기 e-종이의 제1 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의 제2 부분은 상기 e-종이의 제2 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e-종이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e-종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회전 접촉 요소로서, 상기 회전 접촉 요소 상의 전도성 요소들은 상기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을 제1 회전 위치에서의 e-종이 표면의 열상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 요소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요소는 상기 PCB 상의 복수의 구동부 접촉 부분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하고, 상기 회전 접촉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회전 위치에서 상기 e-종이의 복수의 전극 영역들과 접촉하는, 회전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e-종이 디스플레이는 진열대의 엣지에 부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e-종이는 상기 진열대의 엣지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e-종이 위의 상기 진열대의 엣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종이 시스템.
KR1020157029712A 2013-03-15 2014-03-17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89373P 2013-03-15 2013-03-15
US61/789,373 2013-03-15
PCT/US2014/030715 WO2014145875A1 (en) 2013-03-15 2014-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321A true KR20150131321A (ko) 2015-11-24
KR102214198B1 KR102214198B1 (ko) 2021-02-09

Family

ID=5152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712A KR102214198B1 (ko) 2013-03-15 2014-03-17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68303A1 (ko)
EP (1) EP2973531B1 (ko)
JP (1) JP6480412B2 (ko)
KR (1) KR102214198B1 (ko)
HK (1) HK1219341A1 (ko)
WO (1) WO2014145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9309B2 (en) 2015-10-05 2019-04-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istent display device with power harvesting
WO2018217939A1 (en) * 2017-05-24 2018-11-29 Clearink Display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static images and video for tir-based image displ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044A (ja) * 2003-12-18 2005-07-07 Xerox Corp 電気的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0497B2 (en) * 2001-10-16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US6778198B2 (en) * 2002-01-18 2004-08-17 Xerox Corporation Glass substrate printed wiring board printhead for electric paper
JP2005321738A (ja) * 2004-05-11 2005-11-17 Fuji Xerox Co Ltd 採光機能付き画像表示装置
EP1839085A1 (en) * 2005-01-07 2007-10-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leaved electrodes in a passive matrix display
US20080224993A1 (en) * 2005-10-14 2008-09-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Plane Switching Display Devices
FI20095743A0 (fi) * 2009-06-30 2009-06-30 Maricap Oy Järjestelmä opastamiseksi ohjaamiseksi ja varoittamiseksi
US8493319B2 (en) * 2011-06-15 2013-07-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paper with semiconducting coating
CN102566190A (zh) 2011-12-23 2012-07-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纸装置
CN102929065B (zh) * 2012-10-19 2016-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纸打印装置以及打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044A (ja) * 2003-12-18 2005-07-07 Xerox Corp 電気的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3531A4 (en) 2016-10-26
US20140268303A1 (en) 2014-09-18
JP2016514851A (ja) 2016-05-23
WO2014145875A1 (en) 2014-09-18
HK1219341A1 (zh) 2017-03-31
KR102214198B1 (ko) 2021-02-09
JP6480412B2 (ja) 2019-03-13
EP2973531A1 (en) 2016-01-20
EP2973531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0091B2 (en) Writing electronic paper
US20160026032A1 (en) ELECTRONIC SHELF (eShelf)
US8810525B2 (en) Electronic information displays
CN104903782B (zh) 具有双驱动模式的有源矩阵显示器
US11644732B2 (en) Display device
US20060244718A1 (en) Robust position detection for a multi-stroke electronic brush display
US99336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KR20150131321A (ko)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76269A1 (en) Activation of electronic paint with registration codes
US10969649B2 (en) Display device
Masuda et al. A reflective‐display QR‐LPD®
EP3100107B1 (en) Display device
WO2017074340A1 (en) Passive e-paper imaging
JP2002006344A (ja) 点灯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0266539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128436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2010271510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