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894A -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894A
KR20150130894A KR1020140153583A KR20140153583A KR20150130894A KR 20150130894 A KR20150130894 A KR 20150130894A KR 1020140153583 A KR1020140153583 A KR 1020140153583A KR 20140153583 A KR20140153583 A KR 20140153583A KR 20150130894 A KR20150130894 A KR 2015013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data
connection
multicast
broadcas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103B1 (ko
Inventor
김수환
김수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12,469 priority Critical patent/US9693127B2/en
Publication of KR2015013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894A/ko
Priority to US15/616,593 priority patent/US99738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3Stop-and-wai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7Power control of multicast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된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애크가 마이크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면, 상기 반복 전송은 중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한 저전력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or Bluetooth LE)는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로서 클래식 블루투스에 비하여 헬스케어, 피트니스, 보안(security), 홈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통신 범위를 유지하면서 전력 소모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저전력 블루투스는 심볼 속도(symbol rate)를 제한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프로토콜 특성상, 잡음이 있는 환경에서 충분한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재전송으로 인한 전력 소모가 많아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제한된 데이터 속도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보다 적은 전력으로 동일한 음질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와, 마스터 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통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링크 계층의 패킷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및 애크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오디오 송수신을 위한 전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립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액세스 어드레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전송 횟수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및 서브 슬레이브 장치들의 애크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에 의한 재전송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채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 그 헤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블루투스 또는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활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보청기(Hearing Aid)나 헤드셋(Headset)과 같은 초소형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100)와 1개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110,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스터 장치(100)는 전화통화 혹은 라디오나 음악 플레이어와 같은 여러 오디오 소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 폰이나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혹은 카 스테레오 등이 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100)는 내부의 오디오 처리부(Audio processor)에 의해 처리되고 합성된(processed/mixed) 출력을 무선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슬레이브 장치(110,120)으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혹은 저전력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장치(110,120)는 저전력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장치로서, 일 예로 보청기나 헤드셋 등이 될 수 있다. 각 슬레이브 장치(110,120)는 좌측 혹은 우측 사운드를 담당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시한 오디오 장치는 도 1a의 마스터 장치(100) 혹은 각 슬레이브 장치(110,120)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시한 오디오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나, 유사한 설명이 마스터 장치로 동작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장치(110)는 입력부(116)과 오디오 처리부(112)와 출력부(118) 및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6)는 수신되는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12)로 전달하며, 마이크가 될 수 있다. 출력부(118)는 오디오 처리부(112)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12)는 입력부(116)와 통신부(114) 사이 또는 출력부(118)와 통신부(114)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담당한다. 통신부(114)는 마스터 장치(100)로부터의 제어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118)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처리부(112)로 전달하거나, 오디오 신호와 같은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4)는 블루투스, 혹은 저전력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전력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통신부(11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부는 어플리케이션부(210)와 저전력 블루투스 스택(220) 및 링크/물리 계층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부(210)는 오디오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거나 합성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 스택(220)은 저전력(LE) 프로토콜부(222)과 링크계층 제어 적응(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L2CAP)부(224)로 구성된다. 저전력 프로토콜부(222)는 일반 액세스 프로파일(Generic Access Profile)과 속성 프로파일(Generic Attribute Profile)을 관리하며, 속성 프로토콜(Attribute Protocol)과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를 담당한다. L2CAP부(224)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 다중화(higher-lever protocol multiplexing), 패킷 분할 및 재조립(packet segmentation and reassembly), 서비스품질 정보(quality of service (QoS) information)의 전달(conveying)을 지원한다. L2CAP부(224)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이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 즉 L2CAP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을 전송하도록 하며, 또한 흐름 및 재전송 모드의 제어를 통해 채널 흐름별 제어를 수행한다. L2CAP부(224)는 L2CAP 채널들이라 칭하는 논리 채널들을 제공하며, 각 L2CAP 채널은 기본 L2CAP 모드, 흐름 제어 모드 및 재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2)는 저전력 블루투스 스택(220)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거나, 저전력 블루투스 스택(220)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12)는 저전력 블루투스 스택(220)을 거치지 않고 링크/물리 계층부(230)으로 직접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거나, 직접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링크/물리 계층부(230)는 저전력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오디오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링크/물리 계층부(23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에 기반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고,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회로와, 통신 회로에 의한 송신과 수신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링크 계층의 패킷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310)은 1 옥텟의 프리앰블(312)과 4 옥텟의 액세스 어드레스(314)와 2 내지 39 옥텟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316)과 3 옥텟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code)(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리앰블(312)은 동기화를 위한 코드를 담고 있으며, 액세스 어드레스(314)는 데이터 패킷(310)의 타입에 따른 액세스 코드를 포함한다. PDU(316)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페이로드를 운반하며, CRC(318)는 데이터 패킷(310)의 무결성을 지원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PDU(316)는 16 비트의 헤더(322)와 0 내지 27 옥텟의 페이로드 필드(324) 및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32 비트의 메시지 무결성 검사 코드(Message Integrity Check code: MIC)(326)로 구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헤더(322)는 2 비트의 LLID(Link Layer ID)와 1 비트의 NESN(Next Expected Sequence Number) 필드와 1 비트의 SN(Sequence Number) 필드와 1 비트의 MD(More Data) 필드와 3 비트의 RFU(Reserved for Future Use)와 5 비트의 길이 필드와 3 비트의 RF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LID는 PDU(316)의 링크 레이어 상의 타입(데이터 혹은 제어)을 나타내며, NESN 필드는 수신하기를 원하는 다음 패킷의 일련 번호(SN)를 나타내고, SN 필드는 현재 패킷(310)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SN 필드와 NESN은 패킷들의 애크(acknowledgement) 및 흐름 제어를 지원한다. MD 필드는 송신측 장치가 전송할 데이터를 더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길이 필드는 페이로드 필드(324)와 무결성 검사 코드(326)의 길이를 지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및 애크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 및 애크는 주어진 접속 주기(Connection Interval: CI)(402)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접속 주기(402)는 최소 7.5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접속 주기(402)의 시작점에서 송신측은 MD=0으로 설정된 송신 데이터 #1(404)을 송신하며, 수신측은 동일한 접속 주기(402) 내에서 MD=0으로 설정된 데이터 및 애크 #1(406)을 송신하여 송신 데이터 #1(404)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에서 MD=0이므로 현재 접속 주기(402) 내에서 더 이상의 데이터 전송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 접속 주기(410)의 시작점에서 송신측은 송신 데이터 #2를 송신하는데, 수신측이 송신한 데이터 및 애크 #2는 접속 주기(410) 내에 송신측에 도달하지 못하고 유실된다. 그러면 송신측은 다음 접속 주기(420)의 시작점에서 송신 데이터 #2를 다시 전송한다. 동일 접속 주기(420) 내에서 수신측은 데이터 및 애크 #2를 전송하여 송신 데이터 #2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송신 데이터 #2가 MD=1을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송신측은 접속 주기(420) 동안 송신 데이터 #3을 전송한다. 송신 데이터 #3에 대한 애크 #3 또한 동일한 접속 주기(420) 동안 전송된다.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스트리밍의 구현 제한 요건들로는, 1Mbps의 낮은 심볼 속도, 184 비트의 최대 패킷 길이 및 최소 7.5ms 접속 주기의 제한으로 인한 낮은 전송 속도, 프로세스 레이턴시(process latency) 문제로 인한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의 비보장성 등으로 인한 재전송 횟수 제한 등이 있다. 7.5ms 접속 주기에서 32kbps를 얻고자 하는 경우 240 비트의 패킷 길이가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접속 주기 내에서 추가적인 전송을 수행하거나, 길이 확장(length extension)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스트리밍(음성의 경우 모노)을 위한 일반적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2~3mA의 매우 낮은 전력 소모
- 모노에 대해 32kbps, 스테레오에 대해 64kbps의 샘플 속도
- 20 ms 미만의 레이턴시(latency)
접속 주기의 최대 길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Max CI = 20ms - audio encode/decode time - 1 max packet length - 1 packet process delay - jitter marg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전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가지는 좌측 슬레이브 장치 그리고 스피커를 가지는 우측 슬레이브 장치와 마스터 장치 간의 통신을 예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502)는 7.5ms보다 크고 레이턴시에 따른 제한(limited value due to latency)보다는 작은 값을 가지며, 좌측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제1 제한 주기(limited interval)(510)와, 우측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제2 제한 주기를 포함한다. 접속 주기(502)의 시작점, 즉 제1 제한 주기(510)의 시작점에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504)가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되고, 이후 마이크 데이터 및 상기 좌측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크 #1(506)이 마스터 장치로 전송되며, 이후 마이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크 #1(508)이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된다. 제1 제한 주기(510)가 만료되면,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을 위한 제2 제한 주기가 시작한다.
스테레오 음악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마스터 장치와 각 슬레이브 장치 간의 오디오 경로는 좌측 및 우측 사운드를 위한 서로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한다. 모노 리코드 파일, 음성 메일, 통화 등과 같은 모노 오디오/음성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송신측은 동일한 음성 데이터를 복사하여 각 슬레이브 장치에 전송한다.
오디오 장치를 위한 품질 인자는 오디오 품질과 전력 소모를 고려한다. 오디오 품질은 강건성(robustness), 패킷 전송률(packet transfer rate), 재전송률(retransmission rate)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전력 소모는 패킷 길이 및 오버헤드, 더 낮은 패킷 전송 속도, 더 낮은 재전송 시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저전력 블루투스는 클래식 블루투스에 비해 더 낮은 전력 소모와 빠른 접속 시간을 지원하며,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오디오 제어 데이터 및 링크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해야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는 스테레오 음악 데이터(도 6a) 혹은 모노 음성 데이터(도 6b)를 담은 단일 패킷을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6a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600)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각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타임(transaction time)(604,606)을 포함한다. 2개의 슬레이브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각 트랜잭션 타임(604,606)은 CI/2=5ms의 길이를 가진다.
접속 주기(600) 내 첫번째 트랜잭션 타임(604)의 시작점에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이 전송되고, 150us로 정해지는 프레임 간격(Inter Frame Spacing: IFS) 이후에 애크 #1이 전송된다. 이어지는 두번째 트랜잭션 타임(606)의 시작점에서 다른 채널의 다른 데이터를 담은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이 전송되고, 마찬가지로 프레임 간격(IFS) 이후에 애크 #1이 전송된다. 애크를 위한 빈 패킷(empty packet)은 10 옥텟의 길이를 가지며 80us(micro second)의 전송 주기를 점유할 수 있다.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트랜잭션 타임(604,606) 내에서 각 전송은 주어진 채널 마진(600)(일 예로 4.8ms)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채널 마진(600)은 동일 슬레이브로 추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한된 마진을 의미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610)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각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타임(612,614)을 포함한다. 2개의 슬레이브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각 트랜잭션 타임(612,614)은 CI/2=5ms의 길이를 가진다.
접속 주기(610) 내 첫번째 트랜잭션 타임(612)의 시작점에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이 전송되고, 주어진 프레임 간격(IFS) 이후에 마이크 데이터 및 애크 #1이 전송된다. 마이크 데이터 및 애크 #1이 전송되고, 주어진 프레임 간격(IFS) 이후에 애크 #1이 전송된다. 이어지는 두번째 트랜잭션 타임(614)의 시작점에서 다른 채널의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이 전송되고, 마찬가지로 프레임 간격(IFS) 이후에 애크 #1이 전송된다. 애크를 위한 빈 패킷은 80us의 전송 주기를 점유할 수 있다. 채널 마진(620)은 동일 슬레이브로 추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한된 마진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는 64kbps 오디오 전송에서 첫번째 좌측 애크 패킷이 유실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700) 내에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702)가 전송되고, 그에 대응하는 애크 #1L(704)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동일한 접속 주기(700) 동안 마스터 장치는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706)을 전송하며, 그에 대응하는 애크 #1R(708)을 정상적으로 수신한다. 다음 접속 주기(710)의 시작점에서 마스터 장치는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712)을 다시 전송하며, 그에 대응하는 애크 #1L(714)을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마스터 장치는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712) 이후 정해진 시간(일 예로 1.16ms) 이후에 다음 데이터인 좌측 오디오 데이터 #2L(716)을 전송하고, 주어진 타이밍에서 다음 우측 오디오 데이터 #2R(718)을 전송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는 32kbps 음성 전송에서 첫번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첫번째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800) 내에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802)가 첫번째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되고, 그에 대응하는 마이크 데이터 및 애크 #1L(804)가 마스터 장치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동일한 접속 주기(800) 동안 마스터 장치는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806)을 전송하며, 그에 대응하는 애크 #1R(808)을 정상적으로 수신한다. 다음 접속 주기(810)의 시작점에서 마스터 장치는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812)을 다시 전송하며, 마이크 데이터 및 애크 #1L(814)을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받은 마이크 데이터(814)에 대한 애크를 포함하는 다음 데이터인 좌측 오디오 데이터 #2L/ACK(816)을 전송하며, 주어진 타이밍에서 다음 우측 오디오 데이터 #2R(820)을 전송하게 된다.
저전력 블루투스의 경우, 표준에 의해 제한된 심볼 속도와 접속 주기 및 요구되는 오디오 데이터 레이턴시에 의해 재전송 가능 횟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슬레이브로부터 애크를 받지 않고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보다 적은 전력소모로 동일한 오디오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음성 신호와 같은 모노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의 장치들로 전송하게 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데이터가 동일하기 때문에, 좌측 및 우측 헤드 셋을 위해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가 된다. 특히 저전력 블루투스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표준에서의 제약들로 인해 최대 2~3회의 제한된 재전송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전송 가능 횟수를 늘리는 등의 모노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모노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사용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슬레이브를 위해 동일한 데이터를 복사하는 처리와 반복하여 전송하는 처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9는 패킷 손실이 없는 환경에서 재전송 횟수가 0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902)을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다시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904)을 우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대신, 마스터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 #1 L/R(910)을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한꺼번에 전송한다. 특정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마이크 데이터 #1 L에 대한 애크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002)를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다시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1004)을 우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는 대신, 마스터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 #1 L/R(1010)을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한꺼번에 전송한다. 슬레이브 장치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커버(cover)하기 위하여,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들로부터의 애크와 관계없이, 고정된 재전송 횟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예로서 마스터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오디오 데이터 #1 L/R(1012)를 한번 더 전송함으로써 각 슬레이브 장치가 오디오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슬레이브 장치 혹은 특정 슬레이브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1010,1012)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마스터 장치는 특정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마이크 데이터(1014)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한 모노 오디오 전송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여기에서는 동일한 에러 상황(same error case)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11a)와 사용하는 경우(도 11b)의 시간 및 전력 소모를 비교하였다.
도 11a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02)를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다시 동일한 데이터를 담은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1104)을 우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한다.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02) 이후에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02)에 대한 애크를 담은 마이크 데이터 M#1(1106)이 유실되고, 마스터 장치는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1104)에 대한 애크(1108)를 우측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한다. 다음 접속 주기에서 마스터 장치는 애크되지 못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02)과 동일한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12)을 다시 전송하며,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112)에 대한 애크를 포함하는 마이크 데이터 #1(1114)이 수신되면, 마이크 데이터 #1(1114)에 대한 애크를 포함하는 다음 좌측 오디오 데이터 #2L(1116)을 전송한다. 애크(1116)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좌측 슬레이브 장치는 다음 마이크 데이터 M #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12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하며, 특정 슬레이브 장치는 마이크 데이터 M#1(1124)을 전송한다. 다음 접속 주기에서 마스터 장치는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122)과 동일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126)을 재전송하며, 소정 간격 이후 마이크 데이터 #1(1128)를 수신하고, 동일 접속 주기 내에서 다음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130)을 전송한다. 첫번째 전송된 마이크 데이터 M#1(1124)이 유실된 경우라도 마스터 장치는 다음 접속 주기에서 마이크 데이터 M#1(1128)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재전송 횟수의 제한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립(establish)하는 동안 마스터 장치에 의해 지시되거나 혹은 협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마스터 장치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립하기 이전에, 채널 스캐닝을 통해 획득한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재전송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재전송 횟수는 접속 상태 동안 채널 갱신 절차를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실시예로서 다중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의 장치로부터 동일 채널을 이용한 마이크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로 보내야 하는 경우, 다중 슬레이브 장치 중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를 메인 슬레이브로 하고 필요한 마이크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가 메인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중 슬레이브 장치 중 마이크를 구비하고 마이크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장치는 메인 슬레이브 장치가 되고, 나머지 슬레이브 장치(들)은 서브 슬레이브 장치가 된다. 메인-서브 역할은 접속 설정시에 고정되며, 접속 상태 동안에는 미리 정해지는 역할 변경 절차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를 가지는 헤드셋이나 처음으로 접속하는 보청기는 메인 슬레이브 장치가 되고, 다른 오디오 장치들은 서브 슬레이브 장치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메인 슬레이브 장치 만이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애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를 가지는 헤드셋인 경우,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마이크 데이터에 애크를 포함시킬 수 있다.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재전송 횟수만큼 마이크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마이크 데이터는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접속 주기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슬레이브 장치에 의한 마이크 장치의 재전송은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애크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재전송 횟수는 최대 재전송 횟수(maximum retransmission number)보다 적게 결정되어야 한다. 최대 재전송 횟수는 최대 접속 주기(CI)와, 슬레이브 장치들의 개수 및 패킷 전송 시간(packet transfer time)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대 접속 주기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ax CI = max latency - audio encode/decode time - 1 max packet length - 1 packet process delay - jitter margin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 하에서 마이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애크를 전송할 때마다 상기 애크와 함께 마이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감지된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 데이터는 널(null)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애크는 접속 주기 내의 슬레이브 전송 주기 동안 전송될 수 있다. 각 슬레이브 장치들은 미리 알고 있는 재전송 횟수에 따라, 이전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었을 경우 재전송 구간 동안 데이터 수신을 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각 슬레이브 장치는 이전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을 시에만 해당 재전송 구간 동안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재전송을 감시(listen)한다.
마스터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립할 때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위한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는 각 슬레이브를 위한 별도의 유니캐스트 채널 또는 PDU의 헤더나 페이로드에 포함된 L2CAP의 헤더의 채널 ID에 의해 구별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오디오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는 하나의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공유하면서, PDU의 헤더 또는 페이로드에 포함된 L2CAP의 헤더의 채널 ID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RFU의 한 비트는 오디오 데이터를 지시하는 '0', 제어 데이터를 지시하는 '1'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RFU의 한 비트는 채널 타입 지시자로 칭한다. 다른 예로 채널 타입 지시자는 복수 비트로 구성되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를 지시하는 '0', 첫번째 슬레이브를 지시하는 '1', 두번째 슬레이브를 지시하는 '2', ...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립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과정 1205에서 마스터 장치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립하기에 앞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접속을 다중 슬레이브 장치와의 사이에 생성한다. ACL 접속은 블루투스에서 고속이면서 비교적 지연시간에 덜 민감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전송 링크를 의미한다. 과정 1210에서 마스터 장치는 상기 ACL 접속을 통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요청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액세스 어드레스와, 시간 정보, 접속 주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 생성을 위한 제어 PDU는 블루투스 표준에서 예비된 값들 중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제어 PDU는는 0x14~0xFF 중 하나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과정 1215에서 마스터 장치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을 수신함으로서, 상기 응답을 송신한 각 슬레이브 장치를 식별한다. 과정 1220에서 마스터 장치는 상기 응답을 송신한 각 슬레이브 장치와의 사이에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립을 완료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립을 통해 정해진 액세스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연결하고 있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액세스 코드로 사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액세스 어드레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1300)은 프리앰블(1302)와 액세스 어드레스(1304)와 PDU(1306)와 CRC(130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액세스 어드레스(1304)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연결하고 있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에 대해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와 각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액세스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데이터를 다른 유니캐스트 채널의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수립하기 이전에 오디오 채널 타입을 구별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 타입(모노, 양방향(호) 등)과 코덱 구성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전송 횟수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이크를 가지는 좌측 슬레이브 장치이고, 서브 슬레이브 장치는 마이크를 가지지 않는 우측 슬레이브 장치이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재전송은 다른 접속 주기(도 14a) 혹은 동일 접속 주기(도 14b)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하나의 접속 주기(1400)의 시작점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40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하며, 좌측 슬레이브 장치는 동일 접속 주기(1400) 동안 마이크 데이터 #1L(1404)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재전송 횟수가 2로 정해진 경우, 마스터 장치는 다음 접속 주기(1410)의 시작점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412)을 다시 전송한다. 슬레이브에 의한 재전송이 정의된 경우, 좌측 슬레이브 장치는 접속 주기(1410)에서 마이크 데이터 #1L(1414)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주기(1410)을 위한 다음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416) 및 마이크 데이터 #2L(1418)은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412)(혹은 마이크 데이터 #1L(1414))의 전송 이후에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416)의 두번째 전송은 다음 접속 주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재전송 횟수가 2보다 크게 정해진 경우,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은 2 이상의 접속 주기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하나의 접속 주기(1420)의 시작점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42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하며, 좌측 슬레이브 장치는 동일 접속 주기(1420) 동안 마이크 데이터 #1L(1424)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재전송 횟수가 2로 정해진 경우, 마스터 장치는 동일 접속 주기(1420) 내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426)을 다시 전송한다. 슬레이브에 의한 재전송이 정의된 경우, 좌측 슬레이브 장치 또한 동일 접속 주기(1420)에서 마이크 데이터 #1L(1428)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 접속 주기(1430) 동안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432,1436)의 반복 전송 및 마이크 데이터 #2 L(1434,1438)의 반복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재전송 횟수는 접속 주기의 길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해 요구되는 재전송 횟수에 따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수립시 접속 주기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및 서브 슬레이브 장치들의 애크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식 중 메인 슬레이브로부터의 애크를 이용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하나의 접속 주기(1500)의 시작점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50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동일 접속 주기(1500) 동안 마이크 데이터 #1L(1504)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메인 슬레이브가 보낸 마이크 데이터 #1L(1504)가 마스터 장치로 전달되지 못하고 유실되거나 또는 오디오 데이터 #1 L/R(1502)에 대한 애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마스터 장치는 다음 접속 주기(1510)의 시작점에서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512)를 다시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애크를 위해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음성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마이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주기(1510) 동안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1 L/R(1512)에 대한 애크를 포함하는 마이크 데이터 #1L(1514)를 전송한다. 그러면 접속 주기(1510)의 남은 기간 동안 마스터 장치는 다음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516)을 전송하며,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2 L/R(1516)가 접속 주기(1510) 내의 마이크 데이터 #2 L(1518)에 의해 애크된 경우, 마스터 장치는 다음 접속 주기(1520)에서 다음 좌/우측 오디오 데이터 #3 L/R(1522)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에 의한 재전송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슬레이브에 의한 고정 재전송을 사용하는 경우(도 16a)와 메인 슬레이브에 의한 애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16b)를 도시하였다.
도 16a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접속 주기(1600)의 시작점에서 오디오 데이터 #1 L/R(160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접속 주기(1600) 동안 마이크 데이터 #1L(1604)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마이크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 횟수가 2로 정해진 경우,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다음 접속 주기(1610)에서 오디오 데이터 #1 L/R(1612) 이후에 마이크 데이터 #1L(1614)을 다시 전송한다. 접속 주기(1610) 동안 다음 오디오 데이터 #2 L/R(1616)과 마이크 데이터 #2L(1618)이 전송될 수 있다. 각 오디오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애크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는 접속 주기(1620)의 시작점에서 오디오 데이터 #1 L/R(1622)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다중 슬레이브 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접속 주기(1620) 동안 마이크 데이터 #1L(1624)을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며, 마스터 장치는 접속 주기(1620) 내에서 마이크 데이터 #1L(1624)에 대한 애크(1626)을 전송한다.
다음 접속 주기(1630)의 시작점에서 다음 오디오 데이터 #1 L/R(1632)이 전송되지만, 마이크 데이터 #1L은 이전 접속 주기(1620)에서 애크되었으므로 다시 전송되지 않는다. 접속 주기(1636)의 나머지 구간 동안 다음 오디오 데이터 #2 L/R(1636)과 마이크 데이터 #2L(1638)이 전송되지만,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이크 데이터 #2L(1638)에 대한 애크를 수신하지 못한다. 그러면 다음 접속 주기(1640)에서 메인 슬레이브 장치는 마이크 데이터 #2L(1644)을 다시 전송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채널들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모노 오디오 스트리밍으로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접속 주기는 10ms이고, 슬레이브에 의한 유니캐스트 채널의 접속 주기는 100ms인 예를 도시하였다.
도 17을 참조하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데이터(1704)는 10ms 길이인 접속 주기(1700,1710,1720)의 시작점마다 전송된다. 제1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유니캐스트 채널의 데이터(1702,1712)는 100ms 길이인 접속 주기(1730)마다 전송될 수 있으며, 제2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유니캐스트 채널의 데이터(1706,1736)는 100ms 길이인 접속 주기(1740)마다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슬레이브 장치들에 대한 접속 주기들(1730,1740)은 그 시작점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및 제어 데이터와 그 헤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1800) 동안 마스터 장치는 제1 및 제2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1802,1804)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1806)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1802)는 제1 슬레이브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 일 예로서 '1'의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2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1804)는 제2 슬레이브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 일 예로서 '2'의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오디오 데이터(1806)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고유한 값, 일 예로서 '0'의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각 오디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헤더(1850)는 채널 타입 지시자(CH_TYPE)(1852)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채널 타입 지시자(1852)는 RFU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비트가 될 수 있다. 각 슬레이브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의 헤더로부터 채널 타입 지시자(1852)를 식별하고, 채널 타입 지시자(1852)가 자신의 고유한 값이거나 혹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에 할당된 값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된 데이터는 무시 혹은 폐기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1902)를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애크(1904)를 수신한 후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1906)을 전송하고 애크(1908)을 수신하는 대신, 마스터 장치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담은 오디오 데이터 #1L,1R(1912,1914)을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전송한다. 마스터 장치는 주어진 재전송 횟수 만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접속 주기 동안 오디오 데이터 #1L,1R(1912,1914,1922,1924)을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장치들은 데이터를 한번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재전송을 위해 채널을 감시(listen)하지 않고, 해당 나머지 구간 동안 전력 절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각 오디오 데이터는 접속 주기의 길이 및 재전송 횟수에 따라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반복 전송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 동안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2개의 좌측 오디오 데이터 #1L,2L(1932,1936)를 좌측 슬레이브 장치로 전송하고 각각의 애크(1934,1938)를 수신한 후 2개의 우측 오디오 데이터 #1R,2R(1942,1946)을 전송하고 각각의 애크(1944,1948)을 수신하는 대신, 마스터 장치는 한 쌍씩의 오디오 데이터 #1L,1R(1952,1954)과 오디오 데이터 #2L,2R(1956,1958)을 소정 간격을 두고 전송한다. 마스터 장치는 주어진 재전송 횟수 만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접속 주기 동안 각 쌍의 오디오 데이터 #L,R(1952,1954,1956,1958)을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장치들은 데이터를 한번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재전송을 수신하기 위해 채널을 감시(listen)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당 나머지 구간 동안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수 있다. 각 오디오 데이터는 접속 주기의 길이 및 재전송 횟수에 따라 하나의 접속 주기 동안 반복 전송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 동안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과정 2005에서 마스터 장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슬레이브 장치와 접속을 설정하고 채널을 수립한다. 상기 채널을 수립하면서 액세스 어드레스로 사용될 액세스 코드와 채널의 타입, 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인지 혹은 유니캐스트 채널인지가 결정되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로 결정된 경우 재전송 횟수가 정해진다. 상기 재전송 횟수는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모노 혹은 스테레오)와 주어진 접속 주기를 고려하여 정해지거나, 혹은 미리 정해지는 고정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과정 2010에서 마스터 장치는 전송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담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액세스 코드를 액세스 어드레스 필드에 포함하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헤더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라 칭한다. 과정 2015에서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는 마스터 장치와 접속을 설정하고 있는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들로 전송된다.
과정 2020에서 마스터 장치는 수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이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2025에서 마스터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횟수가 상기 정해진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도달한 경우 과정 2010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한다. 반면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과정 2030에서 마스터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의 다음 전송 시점까지 대기한 후, 과정 2015로 복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한다. 상기 다음 전송 시점은 일 예로서 동일 접속 주기 내 혹은 다음 접속 주기 내가 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과정 2105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와 접속을 설정하고 채널을 수립한다. 상기 채널을 수립하면서 액세스 어드레스로 사용될 액세스 코드와 채널의 타입, 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인지 혹은 유니캐스트 채널인지가 결정되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로 결정된 경우 재전송 횟수가 정해진다. 상기 재전송 횟수는 마스터 장치에 의해 지시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지는 고정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장치는 채널을 수립하면서 메인 슬레이브로 동작할 것인지 혹은 서브 슬레이브로 동작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과정 2110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메인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경우, 과정 2115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즉 감지된 음성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존재하는 경우 과정 2120에서 마이크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정 2125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인지를 식별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액세스 코드를 액세스 어드레스 필드에 포함하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헤더 내에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가 아닌 경우, 슬레이브 장치는 과정 2110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데이터인 경우, 과정 2130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고, 만일 오류가 없을 경우 새로운 데이터 전송 시점까지 절약 모드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과정 2110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한다. 반면 마스터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 과정 2135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동일한 데이터의 다음 전송 시점까지 대기한 후, 과정 2110으로 복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다시 수신한다. 상기 다음 전송 시점은 일 예로서 동일 접속 주기 내 혹은 다음 접속 주기 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애크가 수신되면, 상기 반복 전송을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는,
    상기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마이크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횟수는,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혹은 접속 도중 채널 갱신 절차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 및 접속 주기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액세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매 접속 주기의 시작점에서 재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8.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반복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애크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는,
    마이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횟수는,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혹은 접속 도중 채널 갱신 절차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 및 접속 주기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액세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매 접속 주기의 시작점에서 재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방법.
  15.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과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에게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 중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애크가 수신되면, 상기 반복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는,
    상기 메인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마이크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횟수는,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혹은 접속 도중 채널 갱신 절차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 및 접속 주기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액세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매 접속 주기의 시작점에서 재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 장치.
  22.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와,
    마스터 장치와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접속을 설정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지는 재전송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접속 주기 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접속 주기들에서 반복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반복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애크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애크는,
    마이크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횟수는,
    상기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혹은 접속 도중 채널 갱신 절차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 및 접속 주기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액세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헤더 내에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지시하는 채널 타입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매 접속 주기의 시작점에서 재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 장치.
KR1020140153583A 2014-05-14 2014-11-06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28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2,469 US9693127B2 (en) 2014-05-14 2015-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US15/616,593 US9973839B2 (en) 2014-05-14 2017-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6848P 2014-05-14 2014-05-14
US61/996,848 201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894A true KR20150130894A (ko) 2015-11-24
KR102282103B1 KR102282103B1 (ko) 2021-07-27

Family

ID=5484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83A KR102282103B1 (ko) 2014-05-14 2014-11-06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1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9164B2 (en) 2020-02-27 2022-02-2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overhea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audio systems
WO2022119312A1 (ko)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CN115278634A (zh) * 2022-06-30 2022-11-0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蓝牙扫描方法
CN115278634B (zh) * 2022-06-30 2024-05-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蓝牙扫描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10A1 (ko)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591A (ko) * 2000-06-26 2002-04-10 요트.게.아. 롤페즈 비컨을 통한 데이터 전송
KR20030091666A (ko) * 2002-05-28 2003-12-03 오종택 무선통신 영역별 데이터 방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9168A (ko) * 2010-11-30 2012-06-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20257561A1 (en) * 2011-04-08 2012-10-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asting using personal area network "pan" wireless techn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591A (ko) * 2000-06-26 2002-04-10 요트.게.아. 롤페즈 비컨을 통한 데이터 전송
KR20030091666A (ko) * 2002-05-28 2003-12-03 오종택 무선통신 영역별 데이터 방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9168A (ko) * 2010-11-30 2012-06-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20257561A1 (en) * 2011-04-08 2012-10-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asting using personal area network "pan" wireless technolog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9164B2 (en) 2020-02-27 2022-02-2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overhea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audio systems
US11895569B2 (en) 2020-02-27 2024-02-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overhea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audio systems
WO2022119312A1 (ko) * 2020-12-01 2022-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CN115278634A (zh) * 2022-06-30 2022-11-0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蓝牙扫描方法
CN115278634B (zh) * 2022-06-30 2024-05-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蓝牙扫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103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8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udio data
US11463824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of different siz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8159990B2 (en) Wireless audio data distribution using broadcast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US9831988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9819705B2 (en)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favoured frequency band
US11418297B2 (en)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wireless data packet retransmission schemes
JP6891242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のワイヤレス送信の新規な方法
EP2947803B1 (en) A new method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US20230344535A1 (en) Robust broadcast via relayed retransmission
KR102282103B1 (ko) 오디오 데이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17076956A (ja) 第1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と第2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の間で異なるサイズのデータ・パッケージを交換する方法
JP6887769B2 (ja) 優先周波数帯を使用して第1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と第2のポータブル通信デバイスの間でデータ・パッケージを交換する方法
EP3133760B1 (en) A method of exchanging data packa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