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751A -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 Google Patents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751A
KR20150130751A KR1020140057728A KR20140057728A KR20150130751A KR 20150130751 A KR20150130751 A KR 20150130751A KR 1020140057728 A KR1020140057728 A KR 1020140057728A KR 20140057728 A KR20140057728 A KR 20140057728A KR 20150130751 A KR20150130751 A KR 2015013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oard
unit
sens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417B1 (ko
Inventor
김창호
박동훈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엠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4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설치 제어박스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제어박스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전몸체(7)의 센서보드(20)가 터치센싱몸체(71)에 직접 체결되어 표시부 회로기판 (6) 및 제어박스(30)의 제어보드(10)와는 디지털선(6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보드(10)에는 밸브(40)와 전원부(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센서보드(20)에서 직접 터치센싱몸체(71)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몸체(7)에는 생크(8)측으로 LED베이스링(4), 디퓨져 플레이트(5) 및 LED 회로기판(6)의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LED선으로 연결된 터치 회로기판어셈블리의 터미날(1), 터치회로기판 케이스(2) 및 터치 회로기판(3)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TOUCH FAUCET APPARATUS FOR SINK}
본 발명은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설치 터치박스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제어박스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주방 및 욕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전장치의 경우에는 스위치, 적외선센서 및 터치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제어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바, 이러한 센서들은 수전장치의 작동부위에 설치되어 신호가 감지되면 전자식 밸브를 제어하여 토수 또는 지수(shut off)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센서방식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기계적인 구조를 사용하는 스위치방식일 때 접촉점의 한계수명으로 인한 사용주기의 제약이 있으며,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방식은 센서가 감지하는 감지범위나 민감도에 따라 작동 유무가 결정되기에 작동범위에 대한 한계가 존재하여 간혹 작동이 어려워, 사용자의 경우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정전용량의 터치센서는 신체 또는 특정 물체가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터치할 면에 인체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하는 값과 설정 값사이의 차이를 감지하여 주파수방식과 펄스방식으로 최종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주파수방식인 경우에는 외부노이즈 발생시 주파수파형에 영향을 가하여 정상적인 출력 값을 제공하지 못하는 외부노이즈에 취약한 결함이 존재한다. 즉, 전극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시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회로로 나타내면 접촉시 회로상에 일정의 교류부하가 증가한 것으로, 저항이나 인덕턴스와 같이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출력주파수의 변위가 발생한다.
정전용량 변화부분인 경우에는 전도체부분으로 되어 있어 일반 가정의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EMI에 의해 출력주파수에 영향을 미쳐 오류를 수반한 출력 값을 제공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터치센서를 이용한 수전장치의 경우에는 다양한 조건에서도 신뢰성있는 출력 값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164547 호(스마트 터치식 자동수전장치)는 터치 작동영역이 수전의 행거 하우징부분에 국한되어 있어 사용자의 행동 반경에 제약이 존재하였으며, 전원부의 경우에 소모성 부품인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교환해야 하고, 배터리 잔량이 저하될수록 전자식 밸브의 기능 또한 저하되는 불편한 점, 그리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작동 가능성 등의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309073호(터치 센서와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자동 수전장치)는 주방의 싱크대나 화장실의 세면대 등에서 사용자가 수전을 터치할 경우에 변화되는 기준 전압의 진폭을 감지하여 분석한 후 자동으로 급수를 제어하며, AC 전원부 및 배터리부를 구성하며 전원선택을 위한 조작스위치부를 통해 전원 공급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비상급수수단을 통해 비상급수가 가능하며, 신체를 감응하는 고속의 측정주기를 활용하여 획득한 진폭 변화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오작동을 줄이고 고속으로 작동할 수 있는 터치 센서와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자동 수전장치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전장치의 터치방식으로는 적외선 센서, 접점센서, 정전용량 터치 센서 등이 있으나, 수전장치의 기술에서 모두 정전용량 터치센서로써 정전기 측정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은 종래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몸체 확장연결형으로써, 터치 센싱몸체(91)와 발광다이오드의 표시부(92)는 제어박스 (96)의 메인보드(95)에 각각 연결되고, 이 메인보드(95)에는 밸브(93)와 아답터 배터리의 전원부(94)가 각각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몸체(91)는 터치몸체 확장연결선(아날로그 선로)(100)을 통해 센싱처리부(95b)에 연결되고, 발광다이오드의 표시부(92)는 디지털선로를 통해 표시제어부(95a)에, 밸브제어부(95g)는 밸브 (93)에, 전원제어부(95c)는 전원부(94)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메인보드(95)에는 제어컴퓨터부(95d)의 컴퓨팅(95e)과 저장메모리(95f)가 구성되는 한편 환경변수 처리부(95h)로도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구성도에서는 설치 제어박스내의 노이즈에 약하고, 아날로그선로의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이 증가하며, 아날로그 선로의 제약으로 제어박스(96)와 연결선 등 설치시의 길이 및 위치등으로 제약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수전장치의 기술에서는 제어박스(96)의 메인보드(95)와 터치 센싱몸체(91)가 분리되어 있고 서로간에는 아날로그 선로의 연결된 방식임으로, 터치 센싱몸체(91)와 메인보드(95)사이를 연결 위치한 선로(Wire)의 접촉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되기 쉬우므로, 선로터치의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종래와 달리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센서보드를 제어보드로부터 분리하여 수전몸체하부에 근접 설치하고, 또한 상기 센서보드로부터 제어박스의 제어보드까지는 디지털 연결시키게 됨으로 선로를 통한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된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전몸체(7)의 센서보드(20)는 터치센싱몸체(71)에 직접체결되고 표시부회로기판(6) 및 제어박스(30)의 제어보드(10)와는 디지털선(6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보드(10)에는 밸브(40)와 전원부(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센서보드(20)에서 직접 터치센싱몸체(71)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몸체(7)에는 생크(8)측으로 LED베이스링(4), 디퓨져 플레이트(5) 및 LED 회로기판(6)의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LED선으로 연결된 터치 회로기판어셈블리의 터미날(1), 터치회로기판 케이스(2) 및 터치 회로기판(3)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설치박스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제어박스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도록 개선한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해 놓은 블록도,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도시해 놓은 상태도이고, 본 발명은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설치 제어박스 (30)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제어박스(30)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인 것이다.
수전몸체(7)에는 표시부와 터치회로(20)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터치회로(20) 어셈블리와 디지털선(60)으로 연결된 메인보드어셈블리인 제어박스(30)와 전원부(50)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상기 수전몸체(7)에는 생크(SHANK)측으로 LED베이스링(4), 디퓨져 플레이트(5) 및 LED 회로기판(6)의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있으며, LED선으로 연결되는 터치 회로기판어셈블리는 터미날(1), 터치회로기판 케이스(2) 및 터치 회로기판(3)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터치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커넥터(9)를 통해 디지털신호선(60)을 매개로 콘트롤러 어셈블리의 제어박스(30)가 설치되고, 이 제어박스(30)는 상기 수전몸체(7)와 별도의 전원부(50)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의 작동원리는 수전몸체(7)의 도체에 미세한 전류(mA)를 흘려주게 되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는 균일한 주파수형태의 출력이 나타나며, 이 상태를 대기 상태라 명할 수 있다. 즉 미세 전류를 흐를 때, 수전몸체(7)가 하나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이 되면 수전몸체(7)가 가지고 있는 정전 용량값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는 출력값의 차이로 나타나게 되며, 위에서 설명한 주파수형태의 출력이 변화하게 되는데, 한가지는 피크(peak) 값이 변하게 되고, 또하나는 주파수가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변화하는 형태를 메인 제어보드로써 제어박스(30)가 감지하고 프로그램으로 체크해서 사용자 인체의 접촉유무를 판단 제어를 하게 된다. 또한, 접촉을 하지 않고 사용자의 인체가 가까이 가는 경우에도 접촉할 때처럼 정전 용량값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제어박스(30)에서 프로그램적으로 잘 감지해서 제어를 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해 놓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수전몸체(7)에서 터치센싱몸체(71)와 센서보드(20)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설치 제어박스(30)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제어박스(30)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도록 개선한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인 것이다.
즉, 메인보드를 수전 온오프 및 온도조절 제어부의 제어보드(10)와 접촉감지파트의 센서보드(20)로 분리하고, 상기 센서보드(20)는 분리하여 터치센싱몸체(71)와 센서보드(20)의 일체형이라 하고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몸체(7)의 센서보드(20)에는 터치센싱몸체 (71), LED표시부(15) 및 제어박스(30)의 제어보드(10)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보드(10)에는 밸브(40)와 전원부(50)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하게 실현하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싱몸체(71)가 센서보드(20)의 체결부(24)에, LED 표시부(15)가 표시정합부(21)에 각각 연결되고, 제어보드 정합부(22)가 제어보드(10)의 센서보드 정합부(11)에 연결된다. 센서보드 (20)의 센싱처리부(23)는 디지털 변환부(25), 신호처리부(26), 센싱해석부(27) 및 터치판정부(28)로 구성되고 있다.
제어박스(30)의 밸브(40)가 제어보드(10)의 밸브제어부(16)에, 전원부(50)가 전원제어부(12)에 각각 연결되고, 밸브제어부(16)는 센싱제어부(16a), 터치판정부 (16b) 및 밸브드라이부(16c)로 구성되고 있다. 제어보드(10)에는 제어부(13)의 컴퓨팅(14)과 저장메모리(15)와 함께 환경변수 처리부(17)로도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보드(20)의 표시정합부(21)는 선로로 구현가능한 시스템의 동작상태로서 밸브(40)의 상태와 시스템의 준비/비정상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 즉 발광다이오드 LED[ON/OFF, Blink], 벨(Bell)을 제어 정합하는 것으로, 제어보드정합부(22) 또는 센싱처리부(23)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보드 정합부(22)는 제어보드(10)와 정보전달하는 것으로, 터치상태, 밸브상태를 기본으로 주고 받으며, 추가로 각종환경변수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 디지털시그널(터치상태, 밸브상태)이나, 통신(I2C, RS232C, SPI, HDLC등)선로로 구현가능하다.
센서보드(20)의 터치몸체 체결부(24)는 터치몸체 연결체결부로써 전도성도체로, 고리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싱처리부(23)의 정전용량 디지털변환부(25)는 체결부(24)의 정전용량변화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나 그 변형 또는 주파수변환등을 수행한다.
필터등 신호처리부(26)는 디지털변환부(25)의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잡음특성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신호를 강화하기 위한 기능 및 센싱해석을 위한 특성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환경변화 특성(기본잡음 특성 등)을 학습,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싱해석부(27)는 신호처리부(26)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계치 도달여부를 중심으로 터치신호 존재여부를 해석한다(제어보드에 실현가능함).
터치판정부(28)는 센싱해석부(27)의 결과 및 신호처리부(26)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치신호 지속시간, 신호특성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가 밸브(40)의 조작의도로 터치한 것인지 여부를 최종 판정한다(제어보드에 실현가능함).
제어박스에서 제어보드(10)의 전원감시제어부(12)는 전원관리부로써 필요한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DC/DC 변환부와 정전 또는 배터리소진을 감시하며, 잔여전력으로 밸브(40)를 닫을 수 있는 전원감시부와, 센서보드(20)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센서전원 정합부로 구성된다.
센서보드 정합부(11)는 센서보드(20)와 정보 전달하는 것으로, 터치상태, 밸브(40)의 상태를 기본으로 주고 받으며, 추가로 각종 환경변수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디지털 시그널(터치상태, 밸브상태)이나 통신(I2C, RS232C, SPI, HDLC등)선로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보드(10)의 환경변수처리부(17)는 시스템 관련 셋팅값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센서 관련시스템 변수(감도조절, 터치시간 등)나 운영관련(최대 토출시간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보조구성으로 딥스위치(dip switch)나 포텐티오메터(potentiometer) 등으로 사용자 또는 운용자가 셋팅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변수는 비휘발성 저장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보드(10)의 제어부(13)에는 컴퓨팅(14)과 저장메모리(1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제어부(16)에 있는 센싱해석부(16a)는 센서보드(20)의 신호처리부 (26)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계치 도달여부를 중심으로 터치신호 존재여부를 해석한다.
터치판정부(16b)는 센서보드(20)의 센싱해석부(27) 결과 및 신호처리부(26)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치신호 지속시간, 신호특성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가 밸브(40)의 조작 의도로 터치한 것인지 여부를 최종 판정한다.
밸브드라이부(16c)는 센서보드(20)의 터치판정부(28) 결과에 따라 밸브(40)를 여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밸브(40)의 상태관리 및 지정시간이상의 열린상태가 지속되면 강제로 닫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전몸체(7)에 의하면 터치센싱몸체(71)와 센서보드(20)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설치 제어박스(30)내의 노이즈에 강하고 연결선로 터치시 오작동의 위험을 배제함과 더불어 상기 제어박스(30)의 설치시 길이 및 위치의 유연성을 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온오프되도록 개선한 것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는 전원코드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제어부를 통해 도 5 에 도시된 수전몸체의 센서보드와 제어박스의 제어보드에 각각 안정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센서보드의 센싱처리부에서 체결부의 터치센싱몸체를 체크하고 정상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제어박스에서도 밸브를 닫고 시스템을 체크하고 제어보드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보드의 터치센싱은 샘플값을 획득하고, 필터링하여 노이즈 제거함으로 신호의 노이즈비율을 개선한다. 그리고 터치센싱의 판정이나 수도물의 인젝션필터링을 행하고, 밸브(40)의 개폐를 위한 터치인지의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제어박스에서의 전원감시는 전원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을 체크하고, 해당 전압보다 높으면 밸브(40)의 잠금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도 5 에서 센서보드가 정상이 아니거나 제어박스의 제어보드에서 시스템체크가 되지 않으면 표시부의 Halt LED Blink 되고, 센서보드가 정상이거나 제어보드의 시스템체크가 되면 파라미터 초기화하여 셋티파라미터로써 센서보드의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한다.
센서보드의 초기학습으로 초기화되고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어보드의 센서초기화 OK 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보드의 초기화되지 않으면 타임아웃하여 표시부의 Halt LED Blink 되고 있으며, 초기화가 되면 표시부의 LED OFF 되고 있다.
따라서, 센서보드에서의 터치와 제어보드에서 터치를 감지하게 되는 바, 상기 센서보드의 터치는 터칭과, 타임아웃 또는 밸브의 동작순으로 행해지게 되고, 상기 제어보드의 터치여부에 따라 밸브의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
제어보드에서 밸브가 닫히면 밸브오픈(LED ON)되고, 열리면 타임아웃하여 밸브 닫음(LED OFF)되므로 밸브의 상태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어보드의 밸브상태 저장은 표시부의 LED ON/OFF 와 더불어 센서보드로의 밸브상태를 알리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터치센싱몸체와 센서보드의 일체형으로 센서보드를 제어보드로부터 분리하여 수전몸체하부에 근접 설치하고, 또한 상기 센서보드로부터 제어박스의 제어보드까지는 디지털 연결시키게 됨으로 선로를 통한 노이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제어보드
15 : LED 표시부
20 : 센서보드
30 : 제어박스
40 : 밸브
50 : 전원부
71 : 터치센싱몸체

Claims (9)

  1. 수전몸체(7)의 센서보드(20)는 터치센싱몸체(71)에 직접 체결되고 표시부회로기판(6) 및 제어박스(30)의 제어보드(10)와는 디지털선(6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보드(10)에는 밸브(40)와 전원부(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센서보드(20)에서 직접 터치센싱몸체(71)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몸체(7)에는 생크(8)측으로 LED베이스링(4), 디퓨져 플레이트(5) 및 LED 회로기판(6)의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LED선으로 연결된 터치 회로기판어셈블리의 터미날(1), 터치회로기판 케이스(2) 및 터치 회로기판(3)이 터치센싱몸체(7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선(60)을 I2C 또는 RS232C 또는 HDLC 또는 UART등을 통신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몸체(71)가 센서보드(20)의 체결부(24)에, LED 표시부(15)가 표시정합부(21)에 각각 연결되고, 제어보드 정합부(22)가 제어보드(10)의 센서보드 정합부(1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 (20)의 센싱처리부(23)는 디지털 변환부(25), 신호처리부(26) , 센싱해석부(27) 및 터치판정부(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30)의 밸브(40)가 제어보드(10)의 밸브제어부(16)에, 전원부 (50)가 전원제어부(1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밸브제어부(16)는 센싱제어부(16a), 터치판정부 (16b) 및 밸브드라이부(16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10)에는 제어부(13)의 컴퓨팅(14)과 저장메모리(15)와 함께 환경변수 처리부(17)로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12)는 전원관리부로써 필요한 전압으로의 변환을 위한 DC/DC 변환부와 정전 또는 배터리소진을 감시하며, 잔여전력으로 밸브(40)를 닫을 수 있는 전원감시부와, 센서보드(20)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센서전원 정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20)의 센싱처리부(23)에서 디지털 변환부(25), 신호처리부 (26), 센싱해석부(27) 및 터치판정부(28)를 제어보드에서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1020140057728A 2014-05-14 2014-05-14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101601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28A KR101601417B1 (ko) 2014-05-14 2014-05-14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728A KR101601417B1 (ko) 2014-05-14 2014-05-14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51A true KR20150130751A (ko) 2015-11-24
KR101601417B1 KR101601417B1 (ko) 2016-03-08

Family

ID=5484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728A KR101601417B1 (ko) 2014-05-14 2014-05-14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4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9689A (zh) * 2018-01-12 2018-06-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龙头结构
KR20200009268A (ko)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쳐 센서를 이용한 수전장치
KR20210053496A (ko) * 2019-11-03 2021-05-12 제이엠디테크(주) 정전기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접촉식 수도용 개폐 밸브 시스템
KR20220140217A (ko) * 2021-04-09 2022-10-18 손정우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89A (ja) * 1999-06-11 2000-12-19 Kvk Corp 自動水栓ユニット
KR2006006075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엔시스(주) 여러 종류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07274A (ko) * 2008-07-12 2010-01-22 강동혁 전자식 수전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089A (ja) * 1999-06-11 2000-12-19 Kvk Corp 自動水栓ユニット
KR20060060757A (ko) * 2004-11-30 2006-06-05 엘지엔시스(주) 여러 종류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07274A (ko) * 2008-07-12 2010-01-22 강동혁 전자식 수전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9689A (zh) * 2018-01-12 2018-06-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龙头结构
KR20200009268A (ko)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쳐 센서를 이용한 수전장치
KR20210053496A (ko) * 2019-11-03 2021-05-12 제이엠디테크(주) 정전기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접촉식 수도용 개폐 밸브 시스템
KR20220140217A (ko) * 2021-04-09 2022-10-18 손정우 절수 기능을 갖는 수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417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417B1 (ko)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US10247765B2 (en) Detecting actuation of electrical devices using electrical noise over a power line
US20090307505A1 (en) Sensing Socket Assembly
CN102273075B (zh) 电容式传感器系统
CN105790356B (zh) 一种具有充电电路的数据线
KR101164547B1 (ko) 스마트 터치식 자동 수전 장치
EP2450491A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method
EP2801792A2 (en)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EP2926625B1 (en) Long-range ultrasonic occupancy sensor with remote transmitter
KR101666380B1 (ko)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CN205068033U (zh) 一种水位感知装置的检测控制电路
JP5897014B2 (ja) 電力装置を照明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88144B2 (en) Fluid leak detector alarm mechanism
US8004208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20030227387A1 (en) Residential appliance with integrated water monitoring system
KR101309073B1 (ko) 터치 센서와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자동 수전장치
US20180241162A1 (en) Illuminating device
KR101450643B1 (ko) 자동 급수 조절 장치
KR102006234B1 (ko) 무선 반자동 스위치가 구비된 조명등
CN207320406U (zh) 一种物联网插座
KR20160141092A (ko) 부하유형에 따라 출력전원의 온/오프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각구제어 멀티탭
US20190064857A1 (en) Hvac signaling over a two-wire connection
CN201681428U (zh) 感应式门禁系统的开门装置
CN209803580U (zh) 多功能面板及多功能系统
CN221127517U (zh) 用于发光装置的控制电路和商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