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289A - 콘택트 렌즈 안정화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안정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289A
KR20150130289A KR1020157024617A KR20157024617A KR20150130289A KR 20150130289 A KR20150130289 A KR 20150130289A KR 1020157024617 A KR1020157024617 A KR 1020157024617A KR 20157024617 A KR20157024617 A KR 20157024617A KR 20150130289 A KR20150130289 A KR 2015013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hickness
zone
peripheral zon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에르만
브리엔 앤써니 홀덴
Original Assignee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15013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4Lenses comprising decentered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6Special ophthalmologic or optometric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콘택트 렌즈들 및 콘택트 렌즈들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방법들이 개시된다. 콘택트 렌즈들은 가변 두께를 갖는 두께 윤곽을 갖는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구역을 포함한다. 두께 윤곽은 수용자 눈에 적용될 때 콘택트 렌즈를 회전 배향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두께 윤곽은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곡선형 라인들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은 수용자의 눈꺼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부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안정화{CONTACT LENS STABILISATION}
본 발명의 분야는 콘택트 렌즈 및 콘택트 렌즈의 설계 및 제조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정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정 콘택트 렌즈 설계는 회전 안정화를 필요로 한다. 일 예는 수용자 눈의 난시를 교정하도록 설계되는 원환체 콘택트 렌즈이다.
안정화의 방법은 콘택트 렌즈의 주변 영역 내에 웨지형 두께 윤곽을 제공하는 것이다. 렌즈의 주변 영역은 광 교정이 적용되는 중심 광 구역 외부의 영역이다. 일부 기존 렌즈 설계에서, 수직 웨지 윤곽은 수평 자오선 주변에서 대칭적이며, 렌즈는 중심 수평 자오선에서 아래로 그리고 위로 얇아진다. 다른 기존 렌즈 설계에서, 웨지 윤곽은 프리즘 밸러스트(ballast)의 형태로 제공되며, 두께는 아래로 증가한다.
안정화 메커니즘을 갖는 콘택트 렌즈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및 그에 상응하여 개선되거나 유용한 대안적인 안정화 메커니즘에 대한 계속되는 관심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종래 기술에 대한 참조는 이러한 종래 기술이 임의의 관할 지역들에서의 통상의 일반적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이러한 종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것으로 규명되고, 이해되고, 간주될 것으로 타당하게 기대될 수 있다는 인정 또는 시사의 임의의 형태로 주어지지 않고 주어지지 않아야 한다.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들을 갖는 콘택트 렌즈들의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콘택트 렌즈는 전방면, 후방면, 및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는 에지를 포함한다. 전방면 및 후방면은 중심 광학 구역 및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형성한다. 주변 구역은 콘택트 렌즈를 타겟 배향으로 회전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변 두께를 갖는 두께 윤곽을 가질 수 있다(회전 안정화 메커니즘). 두께 윤곽은 렌즈가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정한 두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곡선형 라인들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일정한 두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곡선형 라인들은 수용자, 또는 모집단, 부분 모집단 또는 그룹 평균의 눈꺼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실질적으로 부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콘택트 렌즈는 주변 구역과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주변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주변 구역은 주변 구역의 외부 말단과 에지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이되는 두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일정한 두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상이한 회전 각도들에서의 평면과 콘택트 렌즈의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의 교차 지점을 따라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평면은 렌즈 후방에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콘택트 렌즈는 광학 구역이 회전 비대칭적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중심 광학 구역이 난시의 교정을 위한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을 포함하는 특정 응용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전방면, 후방면 및 에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를 위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은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달라지는 두께 윤곽을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 윤곽은 수용자 눈에 적용될 때, 콘택트 렌즈를 타겟 회전 배향으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콘택트 렌즈 상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께 윤곽은 렌즈가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친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수용자의 눈꺼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비직선형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방면, 후방면, 및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는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중심 광학 구역 및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포함한다. 주변 구역 내에서, 렌즈는 앞선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선택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두께 윤곽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콘택트 렌즈는 주변 구역 주변에 외부 주변 구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주변 구역은 에지로 연장되며, 방법은 주변 구역의 외부 말단과 에지 사이에 두께의 원활한 전이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두께 윤곽을 갖는 외부 주변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추가의 양태들은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정면 직각 투영의 개략도(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이다.
도 1b는 도 1a에서의 콘택트 렌즈의 수직 중심을 통한 두께 윤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이중 슬래브 오프(slab-off) 밸러스트 타입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정면 직각 투영의 개략도(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이다.
도 2b는 도 2a에서의 콘택트 렌즈의 수직 중심을 통한 두께 윤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측면 직각 투영을 도시하고 콘택트 렌즈에 대한 두께 윤곽을 식별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는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측면 직각 투영을 도시한다.
도 5a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직선형 및 곡선형 라인들의 조합을 갖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정면 직각 투영의 개략도(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이다.
도 5b는 단편적 형태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 중 일부를 갖는 콘택트 렌즈의 일 실시예의 정면 직각 투영의 개략도(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설명을 위해, 기준이 되는 프레임은 도시된 콘택트 렌즈들을 착용하고, 직립해 있고, 바로 앞을 보는 사람에 관하여 도 1 및 도 2에 대해 정의되며, 그로써 페이지 밖의 방향은 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페이지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은 수직으로 위를 나타낸다. 콘택트 렌즈들이 그것들의 바람직한 배향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본원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콘택트 렌즈에 대한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의 목적은 수용자의 눈에 맞추어질 때 렌즈를 특정 배향으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안정화 메커니즘은 렌즈가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두께 윤곽이 꺼풀 가장자리을 따라 (또는 꺼풀 가장자리에 아주 근접하여) 비교적 큰 면적에 걸쳐 압력의 균등한 (또는 실질적으로 균등한) 확산을 야기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변하는 콘택트 렌즈의 두께 윤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압력의 균등한 확산을 달성하기 위해,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을 갖는 콘택트 렌즈가 제조될 수 있다. 곡선형 두께 윤곽은 수용자의 눈꺼풀들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을 직선형 수평 두께 윤곽보다 더 근접하게 닮을 수 있다. 눈꺼풀들의 가장자리들의 형상은 개방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는 눈꺼풀들을 참조하거나, 깜박임 동안 움직이고 있는 눈꺼풀들을 참조하거나, 움직이지 않는 눈꺼풀과 움직이고 있는 눈꺼풀 둘 다를 참조하여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렌즈의 상부 및/또는 하부 영역은 움직이지 않는 눈꺼풀과 비슷한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중심의 영역들은 렌즈의 중심 영역을 통과하는 깜박임 동안 눈꺼풀 형상과 비슷한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렌즈 형상은 예를 들어, 관련 있는 눈꺼풀 형상이 깜박임 동안 평평해지면, 곡률의 정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들 사이에서 전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곡선형 두께 윤곽은 상이한 회전 각도에서의 수평 평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 사이의 교차 지점의 라인들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렌즈 두께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은 렌즈 후방에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다. 즉, 두께는 각 거리(회전축)의 결정의 지점이 콘택트 렌즈 후방에 있는 경우, 렌즈의 중심 수평 자오선으로부터 일정한 각 거리를 한정하는 라인들을 따라 비교적 일정하다. 회전축은 수용자의 상부 눈꺼풀에 대해 한정되는 회전축과 비슷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수용자는 특정 개인, 또는 예를 들어, 수용자들의 모집단, 부분 모집단 또는 다른 지정된 그룹으로부터의 데이터 및 회전축 및/또는 이러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선택되는 곡선형 두께 윤곽을 한정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정의되는 관념적 수용자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두께 윤곽을 갖는 콘택트 렌즈(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콘택트 렌즈(100)의 전방측의 조망을 도시하고 도 1b는 콘택트 렌즈(100)의 수직 중심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콘택트 렌즈(100)는 하드 콘택트 렌즈(예를 들어, 강성의 가스 투기성 RGP), 소프트 콘택트 렌즈(예를 들어, 히드로겔 또는 실리콘 히드로겔), 또는 단단하고 연한 재료들(예를 들어, 중심에 연한 주변 껍질로 몰딩된 단단한 재료들)로 형성되는 조합 렌즈일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볼록한 전방면(1), 오목한 후방면(2) 및 전방면과 후방면(1, 2)을 연결하는 에지(3)를 포함한다. 에지(3) 내에, 일반적으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이한 구역이 구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외부 주변 구역(4), 내부 주변 구역(5) 및 중심 광학 구역(6)인, 3개의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중심 광학 구역(6)은 임의의 적절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광학 구역(6)은 대략 3 ㎜와 대략 8 ㎜ 사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주변 구역(5)은 본원에 설명되는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이 내부 주변 구역(5)에 구비되는 경우, 곡선형 수평 두께 윤곽이 적어도 직립해 있고, 바로 앞을 보는 수용자에서의 사용 동안 렌즈를 배향하는데 효과적인 회전력을 제공할 충분한 양만큼 중심 광학 구역(6)보다 치수가 더 크면, 대략 15 ㎜까지의 직경으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구비된다면, 외부 주변 구역(4)은 내부 주변 구역(5) 외부에 구비되고 렌즈의 치수를 대략 0.5 ㎜ 내지 대략 2 ㎜ 연장시킬 수 있다.
외부 주변 구역(4)은 에지(3)와 내부 주변 구역(5) 사이에 원활한 전이를 제공할 수 있고 콘택트 렌즈가 균일한 에지 두께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b에서 가장 양호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콘택트 렌즈는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렌즈이며,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렌즈는 렌즈의 하단 쪽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므로 회전 안정화를 제공한다. 도 1에서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주변 구역(4)은 상단에서보다 렌즈의 하단에서 더 넓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는 내부 주변 구역(5)의 비교적 더 두꺼운 하단과 주변부(3) 사이에 더 큰 전이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외부 주변 구역(4)의 외부 말단은 원활한 에지(3)를 생성하도록 만곡될 수 있으며, 이는 편안함을 향상시키고/거슬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내부 주변 구역(5)은 렌즈를 눈에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드러진 회전 안정화 힘을 제공하는 것이 이러한 구역이다. 이러한 구역에서 콘택트 렌즈(100)의 두께는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에 대한 필요 조건들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역에서 렌즈의 두께는 0.08 ㎜ 내지 0.4 ㎜ 사이(예를 들어, 0.08 ㎜ 내지 0.2 ㎜ 사이, 0.08 ㎜ 내지 0.3 ㎜ 사이, 0.1 ㎜ 내지 0.2 ㎜ 사이, 0.1 ㎜ 내지 0.3 ㎜ 사이, 0.1 ㎜ 내지 0.4 ㎜ 사이, 0.15 ㎜ 내지 0.25 ㎜ 사이, 0.15 ㎜ 내지 0.3 ㎜ 사이, 0.15 ㎜ 내지 0.35 ㎜ 사이, 또는 0.15 ㎜ 내지 0.4 ㎜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내부 주변 구역의 두께는 대략 0.1㎜, 0.15 ㎜, 0.2 ㎜, 0.25 ㎜, 0.3㎜, 0.35 ㎜ 또는 0.4 ㎜ 만큼 변할 수 있다. 거슬림 또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불연속점을 피하기 위해, 임의의 주어진 반 자오선을 따른 내부 주변 구역(5)의 외부 말단 및 외부 주변 구역(6)의 내부 말단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고, 렌즈 설계 공정은 이러한 구역들 사이의 전이에서 이러한 두께의 동일성을 생성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활한 전이 구역 예를 들어, 대략 0.2 ㎜ 내지 대략 0.5 ㎜ 사이의 범위 내의 반경폭의 전이 구역이 구역들 사이에서 한정될 수 있다. 동일한 접근법이 내부 주변 구역(5)과 중심 광학 구역(6) 사이의 전이에 대해 취해질 수 있다.
중심 광학 구역(6)은 시력 교정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을 제공한다. 시력 교정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은 수용자에 대한 필요 조건들에 따라 본원에 설명되는 실시예들 사이에서 폭넓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 교정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은 근시, 원시, 난시, 코마의 임의의 조합을 교정하고/하거나 노안에 대한 다초점 렌즈를 제공하거나 근시 진행에 대처하기 위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정화 메커니즘들은 시력 교정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이 회전 비대칭적일 때, 특정 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밸러스트화된 렌즈들은 '프리즘 없는 광학' 타입일 수 있거나 프리즘 광학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전자는 반드시 평행한 중심 광학 구역(6)을 통한 수직 두께 윤곽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후자는 내부 주변 구역(5)의 두께 윤곽과 거의 부합하는 하위 부분을 향해 증가하는 두께 윤곽을 갖는다.
중심 광학 구역(6)이 도 1 및 도 2에서 원형이거나 디스크-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형상은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대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환체 콘택트 렌즈의 경우, 구형 배율을 포함하는 전면 광학 구역은 원형일 수 있지만, 원통형 배율을 갖는 배면 광학 구역의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가 안정화 메커니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통상적 상황은 시력 교정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이 특정 배향에서 보다 효과적일 때이다. 이것이 일어날 수 있는 통상의 시나리오는 난시를 교정하는 원환체 렌즈이다. 또한 본원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예시적 렌즈에 대한 특정 배향은 (즉, 착용자에 대해 수직으로 위쪽이 페이지의 상단을 향한 방향과 정렬된다고 가정하면) 페이지 상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a를 상세하게 참조하면, 대시 기호로 표시된 일반적인 수평 라인은 일정한 두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을 나타낸다. M-M으로 표시되는 중심 수평 자오선을 따르는 것을 제외하고,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곡선형이다. 렌즈의 상부 반구에 대한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은 A-A로 표시되고 렌즈의 하부 반구에 대한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은 B-B로 표시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라인들(A-A) 중 일부 또는 모두가 동일한 두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상응하는 라인(B-B)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지만, 라인들(A-A 및 B-B)은 상이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곡선형 라인들은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이 직선형인 경우에 비하여 콘택트 렌즈(100)의 전방면(1) 상에 사람 착용자의 눈꺼풀의 가장자리의 윤곽과 더 근접하게 부합한다. 윤곽과의 더 근접한 부합으로 인해, 눈꺼풀들과 렌즈 사이의 압력은 특히 렌즈가 바람직한 배향으로 있거나 바람직한 배향에 근접할 때, 보다 폭넓게 분포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되는 예들로부터 이해될 것인 바와 같이, 대시 기호로 표시된 일반적인 수평 라인들은 렌즈의 일반적인 두께 윤곽을 나타내고, 실시예들은 곡선 라인들에 의해 여전히 형성되거나 특성화되면서, 도시된 라인들과 형상이 다른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가질 것이다.
도 1a에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A-A, B-B 및 M-M)은 내부 주변 구역(5)을 너머 연장되어 또한 외부 주변 구역(4) 및 중심 광학 구역(6)을 통과한다. 그러나, 이는 라인들(A-A 및 B-B)의 곡선형 형상을 더 양호하게 도시하게 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외부 주변 구역(4) 및 중심 광학 구역(6) 내에서, 렌즈의 두께는 라인들(A-A, B-B 및 M-M)을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두께는 내부 주변 구역(5)과 에지(3) 사이에서 전이되는 외부 주변 구역(4)의 경우에 그리고 이러한 구역의 필요한 굴절 특성들에 따른 중심 광학 구역(4)의 경우에 다를 수 있다. 즉, 특정 실시예들에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내부 주변 구역(5)에만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논의되는 도 2는 중심 광학 구역(6) 또는 외부 주변 구역(4)이 아닌, 내부 주변 구역에 포함되는 일정한 두께를 나타내는 대시 기호로 표시된 라인들을 도시한다.
도 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콘택트 렌즈(200)를 도시한다. 콘택트 렌즈(200)는 이중 슬래브 오프 타입 콘택트 렌즈이며, 이중 슬래브 오프 타입 콘택트 렌즈에서 렌즈 두께가 중심 자오선으로부터 렌즈의 상단 및 하단을 향해 감소되어버린다. 콘택트 렌즈(200)는 에지(3), 외부 주변 구역(4), 내부 주변 구역(5) 및 중심 광학 구역(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역들은 콘택트 렌즈(100)에 대해 본원에 설명되는 구역들과 유사하고 이것들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역들의 상세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고 유사 참조 부호들이 유사 특징들을 나타내도록 도 1 및 도 2에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이중 슬래브 오프 타입 콘택트 렌즈의 실시예는 수평 중심 자오선에 걸쳐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두께 윤곽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 주변 구역(4)은 콘택트 렌즈(200) 주변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내부 주변 구역은 실질적으로 콘택트 렌즈(200) 상에 중심 위치된다. 특정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이중 슬래브 오프 타입 콘택트 렌즈와 일부 프리즘 밸러스트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비대칭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 곡선형 라인들(A-A 및 B-B)의 식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식별 방법이 도 2에 도시된 콘택트 렌즈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콘택트 렌즈(300)의 일 실시예의 단면 및 지형도를 도시한다.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회전 안정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300)는 도 1에 도시된 타입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300)는 에지(3), 및 중심 광학 구역(6) 외부의 주변 구역(8)을 갖는다. 중심 광학 구역(6)과 주변 구역(8) 사이에서 혼합되는 실질적으로 원활한 제1 전이 구역(10)이 중심 광학 구역(6)과 주변 구역(8) 사이에 있다. 마찬가지로, 주변 구역과 에지 사이에서 혼합되는 제2 전이 구역(12)이 주변 구역(8)과 에지(3) 사이에 구비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예를 들어, 도 1에서의 라인들(A-A 및 B-B))은 평면(C)과 콘택트 렌즈(300)의 교차 지점에 의해 형성되며, 평면은 회전축(D) 주변의 상이한 각 위치들에 위치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렌즈들의 두께 윤곽은 두께 윤곽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일정한 렌즈들과 다르다(이 경우에 평면들(C)이 서로 평행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뜨고 감을 때 눈꺼풀들이 회전하는 축의 근사치로서의 회전축(D)은 고정된다. 안구는 완전한 구형이 아니고 눈꺼풀들은 모든 깜박임과 함께 신장되고 변형되는 상당한 순응을 갖는 연한 조직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다 정확한 근사치가 전방-후방 그리고 상위-하위 방향으로의 깜박임 모션과 함께 회전축(D)이 주변에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꺼풀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 사이의 제곱 거리들의 합계를 최소화하는 판단을 통해서와 같은 최상의 맞춤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수용자/수용자 그룹의 상이한 시선 위치들에서의 곡률이 측정될 수 있고 회전축(D)이 용인할 수 있는 맞춤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수용자 또는 수용자 그룹에 대한 다양한 대안적인 맞춤 기법들이 곡선형 라인들을 생성하도록 채용될 수 있고 그보다도 렌즈가 꺼풀 가장자리들 및 꺼풀 가장자리들의 움직임들의 실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어, 렌즈들이 제조될 수 있는 정확성에 따라 렌즈와 다르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회전축은 콘택트 렌즈 후방에 대략 5 내지 14 ㎜(회전축의 위치가 정수 간격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지만, 예를 들어,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사이에 일반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 윤곽의 한정은 주변 구역(8)에 걸친 총 필요한 두께 변화 및 곡선형 라인들(A-A 및 B-B)의 조합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증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 증가율은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의 비교적 더 두꺼운 기반을 제공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곡선형 라인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의 교차 지점에 의해 한정될 수 있거나, 다른 기법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이는 압력이 직선형인 두께의 일정한 라인들로 렌즈들에 대하여 달성되는 면적의 증가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에서, 평면들(C)의 회전축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회전축의 위치는 수평 중심 자오선 위의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과 수평 중심 자오선 아래의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회전축의 위치는 특정 수용자 또는 모집단, 부분 모집단 또는 다른 그룹의 평균으로서 중 어느 하나가 상부 눈꺼풀과 하부 눈꺼풀 사이의 윤곽의 차이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곡선형 라인들은 실제 눈꺼풀 경계들의 측정값들을 유념하여 한정될 수 있으며, 곡선형 라인들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콘택트 렌즈가 눈에 위치될 때의 위치와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기준 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때 예를 들어, 눈꺼풀들의 영상을 찍음으로써 포착될 수 있다. 영상은 그 다음 깜박임 동안 복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눈꺼풀 경계의 형상을 그리고 그러한 경계와 부합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한정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분석될 수 있다. 기준 콘택트 렌즈는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을 갖는 렌즈에 포함되어, 렌즈가 적용될 때 안착할 것 같은 각막 상의 위치에 대한 근사치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타입의 밸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 윤곽의 한정이 결정되고 광학 구역(6)에 대한 굴절 특성들로 유발되는 형상 필요 조건들이 결정되고 수용되면, 그 다음 렌즈는 통상적 기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것들은 기계 라싱(lathing) 및 이중 또는 단일 측면의 몰딩을 포함한다. 상술한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은 예를 들어, 제조 허용 오차들 또는 다른 요인들로 인해 일부 변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라인들은 렌즈의 동일한 부분에 걸친 수평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할 때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수용자의 눈꺼풀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보다 근접하게 부합한다.
도 4는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렌즈(300)는 더 얇은 영역들(301, 303), 중심 중간 두께 영역들(305, 307) 및 더 두꺼운 영역들(309, 311)을 포함하는 다르고 변화하는 두께를 갖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4에서의 렌즈(300)는 에지(3), 및 주변 구역과 에지(3) 사이의 전이 구역(312)을 갖는다.
두께 윤곽은 등고선들(321, 323, 325, 327, 329)로 도시된다. 앞서 주목된 바와 같이, (타겟 배향을 참조하여) 렌즈에 걸쳐 수직으로 가장 얇은 것에서 가장 두꺼운 것까지의 일반적 변화가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또한 등고선들(321, 323, 325, 327)의 무릎 부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3)에 접근하면서 렌즈의 후방 부분에서 렌즈의 두께의 일반적 감소가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렌즈는 전이 구역(312)에의 경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의 특정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두께는 렌즈의 가장 얇은 영역에 제공되는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영역들(301, 303, 305, 307, 309, 311) 각각에서 렌즈(300)의 두께는 각각의 영역 전체에 걸쳐 일정하지 않고, 인접한 영역들과 점진적이고 원활한 전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개별 영역들(301, 303, 305, 307, 309, 311) 각각은 특정 두께를 나타내지 않고, 대신에 두께들의 범위를 나타낸다. 렌즈(300)의 단면 두께가 단면(331)에 의해 추가로 도시되며, 렌즈(300)의 단면 두께는 가장 두꺼운 영역(311) 주변에서 가장 두껍고, 가장 얇은 영역(301) 주변에서 가장 얇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등고선들은 곡선형 라인들의 그것들의 전체 특성을 유지하면서 어느 정도까지 평면들(C)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예를 들어, 등고선들(321 및 329)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고선들의 일반적 각도와 평면(C)의 일반적 각도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들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특징부들의 일부를 포함하고 유사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포함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차이는 중심 영역 주변의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자오선(M-M)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직선형 라인에 더하여, 중심 자오선(M-M) 위의 그리고 아래의 근위 영역들에서 렌즈의 두께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이는 예를 들어, 중심 자오선(M-M) 위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직선형 라인(C-C), 그리고 중심 자오선 아래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직선형 라인(D-D)에 의해 도시된다.
중심 자오선(M-M) 위의 그리고 아래의 근위 영역들을 넘는 위치들에서, 라인들(A-A 및 B-B)과 같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곡선형이다. 이것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하다. 근위 영역들은 중심 광학 구역(6)의 대략 50% 내지 100% 사이 예를 들어, 중심 광학 구역(6)의 50%, 60%, 70%, 80% 또는 90%를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 중 일부는 중심 광학 구역(6)의 대략 50% 내지 100% 사이를 포함하는 상술한 근위 영역들의 단편적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심 자오선(M-M) 위의 근위 영역에서의 라인(E-E)를 참조하면, 라인은 중심 광학 구역(6)에 근접한 위치들에서 실질적으로 직선형 부문(521), 뒤이어 외부 주변 구역(4)에 근접한 위치들에서 일탈 부문(523)을 갖는다. 일탈 부문은 예를 들어, 곡선형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심 자오선(M-M) 아래의 근위 영역에 위치되는 라인(F-F)은 실질적으로 직선형 부문(525) 뒤이어 일탈 부문(527)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라인들(E-E 및 F-F)은 일정한 두께의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움직이지 않을 때 그리고/또는 깜박임 동안에 눈꺼풀의 형상을 더욱 보다 근접하게 따를 수 있다. 또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광학 구역(6) 외부의 렌즈의 상부 및 하부 영역들은 단편적 형태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에 의해 특성화될 수도 있다.
중심 자오선(M-M) 위의 그리고 아래의 근위 영역들을 넘는 위치들에서, 라인들(A-A 및 B-B)과 같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곡선형이다. 중심 자오선(M-M)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라인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다. 이러한 라인들(A-A, B-B 및 M-M)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라인들과 유사하다.
전술한 설명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대한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역들 사이의 경계들의 위치는 변화될 수 있고, 구역들의 형상들은 일반적으로 원형/환형에서 달라질 수 있고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을 갖는 두께 윤곽은 외부 주변 구역(4)뿐만 아니라 내부 주변 구역(5)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이 경우에 렌즈는 에지(3)에 예를 들어, 대략 0.2 내지 0.5 ㎜ 사이의 좁은 전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 하드 콘택트 렌즈들에서, 외부 주변 구역(4)은 생략될 수 있다. 외부 주변 구역(4)이 생략되면, 렌즈는 내부 주변 구역(5)의 외부 말단에서 에지(3)에 좁은 전이 구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곡선형 두께 윤곽이 다른 것은 아닌 렌즈의 하나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이 상부 눈꺼풀이 이동하는 영역에 걸쳐 렌즈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눈꺼풀이 이동하는 영역의 경우, 상이한 접근법 예를 들어,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직선형 라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및 하부 반구들 중 일부는 본원에 설명되는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이 구비될 수 있고 나머지는 상이한 두께 윤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부 및/또는 하부 반구들의 대략 20%, 대략 25%, 대략 30%, 대략 35% 또는 대략 40%는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한 두께의 곡선형 라인들을 갖는 부분(들)은 (렌즈가 바람직한 배향으로 있을 때) 렌즈의 상부 및 하부 에지들 쪽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수용자들/수용자 그룹들의 경우에, 유효한 피벗축은 렌즈의 수직 중심에 이를 수 없고, 도시된 수평축 아래에 또는 위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회전축(D)은 상응하여 이동될 수 있고, 중심 자오선(M-M)이 결과적으로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게다가 특정 수용자들/수용자 그룹들의 경우, 유효한 피벗축은 렌즈의 중심 축에 수직이 아닐 수 있으며, 즉 렌즈의 좌측 상의 피벗 지점은 우측 상의 피벗 지점과 상이한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변형들에서, 렌즈는 대칭적이 될 것이고 왼쪽의 그리고 오른쪽의 버전들이 제조되고 갖추어져야 할 수 있다. 식별을 위해, 좌측 및 우측 렌즈들은 예를 들어, 렌즈들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에지 근처에 상이한 색상 착색 또는 구별 표시를 배치하는 것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정의되는 실시예들이 텍스트 또는 도면들로부터 언급되거나 분명한 개별 특징들 중 2개 이상의 모든 대안적 조합들로 확장된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상이한 조합들 모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적 양태들을 구성한다.

Claims (22)

  1. 전방면;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는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은 중심 광학 구역 및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형성하며;
    상기 주변 구역은 콘택트 렌즈를 타겟 배향으로 회전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변 두께를 갖는 두께 윤곽을 가지며, 상기 두께 윤곽은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곡선형 라인들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구역과 상기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주변 구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변 구역은 상기 주변 구역의 외부 말단과 상기 에지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이되는 두께 윤곽을 갖는, 콘택트 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학 구역과 상기 주변 구역 사이에 0.2 내지 0.5 ㎜의 전이 구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중심 광학 구역의 외부 말단과 상기 주변 구역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이되는 두께 윤곽을 갖는, 콘택트 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은 상이한 회전 각도들에서의 평면과 상기 콘택트 렌즈의 상기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의 교차 지점을 따라 실질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렌즈 후방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회전축을 갖는, 콘택트 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 및 후방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중심 광학 구역은 원형이고 상기 주변 구역은 환형인, 콘택트 렌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학 구역은 난시의 교정을 위한 광학 기기 구성 부분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윤곽은 프리즘 밸러스트 타입 렌즈를 제공하는, 콘택트 렌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윤곽은 이중 슬래브 오프 타입 렌즈를 제공하는, 콘택트 렌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연한 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10. 전방면, 후방면 및 에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를 위해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 사이에서 달라지는 두께 윤곽을 한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 윤곽은:
    수용자 눈에 적용될 때, 상기 콘택트 렌즈를 타겟 회전 배향으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콘택트 렌즈 상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친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기 수용자의 눈꺼풀들 중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의 비직선형 라인들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자 눈은 눈들의 모집단, 부분 모집단 또는 그룹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명목상의 눈인,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두께의 비직선형 라인들은 상기 렌즈의 적어도 상부 반구를 통해 제공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중심 광학 구역 및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한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께 윤곽을 상기 주변 구역에 제공하고 상기 중심 광학 구역에 제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구역 주변에 외부 주변 구역을 한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 주변 구역은 상기 에지로 연장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구역의 외부 말단과 상기 에지 사이에 두께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상기 외부 주변 구역에서의 두께 윤곽을 한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방면,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는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는 적어도 중심 광학 구역 및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구역 내에서 상기 렌즈는 제13항에 따라 선택되는 파라미터를 갖는 두께 윤곽을 갖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주변 구역 주변에 외부 주변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주변 구역은 상기 에지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 주변 구역은 상기 주변 구역의 외부 말단과 상기 에지 사이에 두께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두께 윤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광학 구역과 상기 주변 구역 사이에서 전이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중심 광학 구역과 상기 주변 구역 사이에 두께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 따라 제조되는 콘택트 렌즈.
  19. 전방면;
    후방면; 및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는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면 및 후방면은 중심 광학 구역 및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외부의 주변 구역을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주변 구역 내에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수용자 눈에 적용될 때, 상기 콘택트 렌즈를 타겟 회전 배향으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콘택트 렌즈 상의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두께 윤곽을 가지며, 상기 두께 윤곽은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 눈꺼풀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 눈꺼풀들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상기 두께 윤곽은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위의 적어도 상기 영역에 존재하는, 콘택트 렌즈.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 눈꺼풀들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상기 두께 윤곽은 상기 중심 광학 구역 위의 그리고 아래의 적어도 상기 영역들에 존재하는, 콘택트 렌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상기 타겟 배향으로 있을 때, 상기 렌즈에 걸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 자오선에 걸쳐 연장되는 직선형 라인들과 비교하여 상기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 눈꺼풀들의 가장자리들의 접촉 라인들과 더 근접하게 부합하는 일정한 두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상기 두께 윤곽은 상기 중심 광학 구역의 위의, 아래의 그리고 측부들에의 상기 영역들에 존재하는, 콘택트 렌즈.
KR1020157024617A 2013-02-13 2014-02-13 콘택트 렌즈 안정화 KR20150130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200761 2013-02-13
AU2013200761A AU2013200761A1 (en) 2013-02-13 2013-02-13 Contact lens stabilisation
PCT/AU2014/000122 WO2014124493A1 (en) 2013-02-13 2014-02-13 Contact lens stab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89A true KR20150130289A (ko) 2015-11-23

Family

ID=5135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617A KR20150130289A (ko) 2013-02-13 2014-02-13 콘택트 렌즈 안정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50370090A1 (ko)
EP (1) EP2956817B1 (ko)
JP (2) JP2016507083A (ko)
KR (1) KR20150130289A (ko)
CN (1) CN105026990A (ko)
AU (3) AU2013200761A1 (ko)
CA (1) CA2900962A1 (ko)
HK (1) HK1212045A1 (ko)
TW (1) TW201443511A (ko)
WO (1) WO2014124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8560B (zh) 2012-04-05 2017-06-21 布萊恩荷登視覺協會 用於屈光不正之鏡片、裝置、方法及系統
US9201250B2 (en) 2012-10-17 2015-12-01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AU2013332247B2 (en) 2012-10-17 2018-11-29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Lense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refractive error
JP6646531B2 (ja) 2016-06-20 2020-02-14 Hoya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74751B2 (en) * 2016-07-05 2019-04-30 Bausch & Lomb Incorporated Prism ballasted contact lens
US10786959B2 (en) * 2016-07-18 2020-09-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 for contact lens with non-rotationally symmetric rim or edge
US11029537B2 (en) 2019-05-14 2021-06-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oft contact lens with new stabilization zones for improved angular stability and comfort
US11327341B2 (en) * 2019-06-14 2022-05-1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oric contact lens stabilization design based on thickness gradients orthogonal to eyelid margin
CN112684612A (zh) * 2019-10-18 2021-04-20 鸥博科技有限公司 抗转动光学镜片
CN116057458A (zh) * 2020-06-10 2023-05-02 董晓青 周边象限设计隐形眼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4385A4 (en) * 1983-05-26 1985-10-14 Internat Hydron Corp HYDROPHILE CONTACT LENS WITH THREE CURVED BEAMS AND THEIR PRODUCTION PROCESS.
US4854089A (en) * 1985-04-05 1989-08-08 Sola U.S.A. Inc. Method of making a rigid gas permeable bifocal contact lens
CN100510847C (zh) * 2000-03-31 2009-07-08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贴目镜片
US6467903B1 (en) * 2000-03-31 2002-10-22 Ocular Sciences, Inc.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CN1177243C (zh) * 2000-06-27 2004-11-24 佳视科学公司 隐形眼镜,配制,设计及改变角膜形状的方法
US6773107B2 (en) * 2000-08-17 2004-08-10 Novartis Ag Soft translating contact lens for presbyopia
US6652095B2 (en) * 2000-11-17 2003-11-25 Hsiao-Ching Tung Orthokeratology and bi-focal contact lens
AU2003260369A1 (en) * 2002-08-06 2004-02-25 Novartis Ag Contact lenses
US7036931B2 (en) * 2003-01-29 2006-05-02 Novartis Ag Ophthalmic lenses
US6939005B2 (en) * 2003-08-20 2005-09-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TW200630662A (en) * 2005-02-23 2006-09-01 Novartis Ag A toric lens design
US7866815B2 (en) * 2009-03-30 2011-01-11 Dorothy Mai Win-Hall Accommodating or focusable contact lens
AU2011312605B2 (en) * 2010-09-27 2014-08-0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anslating presbyopic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03697B2 (en) 2020-02-27
CN105026990A (zh) 2015-11-04
EP2956817B1 (en) 2018-07-25
US20150370090A1 (en) 2015-12-24
JP2016507083A (ja) 2016-03-07
JP2019061274A (ja) 2019-04-18
CA2900962A1 (en) 2014-08-21
AU2014218324B2 (en) 2018-03-01
AU2014218324A1 (en) 2015-09-03
EP2956817A4 (en) 2016-11-09
AU2013200761A1 (en) 2014-08-28
TW201443511A (zh) 2014-11-16
HK1212045A1 (en) 2016-06-03
AU2018203697A1 (en) 2018-06-14
EP2956817A1 (en) 2015-12-23
WO2014124493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697B2 (en) Contact lens stabilisation
CN106896522B (zh) 具有优化性能的截短平移式接触镜片和设计方法
US8113653B2 (en) Scleral contact le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04246631B2 (en) Contact lens with shaped periphery
JP4442927B2 (ja) 傾斜装用型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752935B1 (ko) 토릭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N109073914B (zh) 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KR20130108370A (ko) 비대칭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KR20130139939A (ko)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KR20130139940A (ko)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KR101870142B1 (ko) 노안용 콘택트렌즈
KR101359721B1 (ko) 향상된 단초점 안경렌즈
US11733544B2 (en) Orthokeratology lens with displaced shaping z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