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188A -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0188A KR20150130188A KR1020140057449A KR20140057449A KR20150130188A KR 20150130188 A KR20150130188 A KR 20150130188A KR 1020140057449 A KR1020140057449 A KR 1020140057449A KR 20140057449 A KR20140057449 A KR 20140057449A KR 20150130188 A KR20150130188 A KR 20150130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print
- portable terminal
- signature
- terminal apparatus
- determin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Hand-related biometrics; Hand pose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06V10/243—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compensating for image skew or non-uniform image deform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50—Maintenance of biometric data or enrolment thereof
- G06V40/53—Measures to keep reference information secret, e.g. cancellable biome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휴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을 등록하는 단계와.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된 지문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지문 서명 중에서 지문 영상 데이터와 대응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 단말장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단말장치란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형 및 경량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게임,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 개의 입력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크기가 작으므로 입력 키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의 정보 입력수단으로서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이 이용된다.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가 표시된 위치에 신체를 접촉하면 대응되는 키 값을 휴대 단말장치가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에 점차 보다 큰 터치스크린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단말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장치에는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센서가 휴대 단말장치에 포함된다. 이러한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을 등록하는 단계와.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된 지문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지문 서명 중에서 지문 영상 데이터와 대응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문 서명들을 등록하는 단계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결정된 지문 서명이 왼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1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결정된 지문 서명이 오른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2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을 회전시키며 복수의 지문 서명들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과 지문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지문의 회전 각도를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조작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 및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인 경우,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를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따라서 가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세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휴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는,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를 등록하는 지문 데이터베이스와,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모듈과, 복수의 지문 서명 중에서 지문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고,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하고, 제어부는 결정된 지문 서명이 왼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1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결정된 지문 서명이 오른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2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을 회전시키며 복수의 지문 서명들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과 지문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며,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지문의 회전 각도를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 및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인 경우,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에 휴대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를 부팅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따라서 가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세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장치.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전술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가 지문을 등록하기 위해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지문 서명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지문의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가 휴대 단말장치의 상태 및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가 지문을 등록하기 위해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지문 서명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지문의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가 휴대 단말장치의 상태 및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또는 “터치 입력”이라 함은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예를 들어, 2 cm 이내)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터치 입력”은 입력 수단에 따라서 다른 입력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0)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68), 제어부(110) 및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홈 버튼, 측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광학식 또는 반도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인식 모듈의 외부에 접촉됨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유선(ridge)인지 고랑(valley)인지를 나타내는 이진화 데이터로 이루어진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는 지문 영상 데이터가 어떤 지문인지 판단하기 위한 지문 서명이 등록될 수 있다.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물리적으로 휴대 단말장치(100)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휴대 단말장치(100) 내부의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휴대 단말장치(100) 외부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최초 구동 시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지문 서명으로서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의 지문 인식 기능을 최초로 실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입력된 지문을 지문 서명으로서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사용자(1)가 휴대 단말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선택한 후 입력된 지문을 지문 서명으로서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된 지문 서명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등록’이란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지문 서명이 어떤 지문 서명인지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지문 서명이 어느 손가락의 지문인지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의해 저장되는 지문 서명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는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구분하기 위한 명령어나 식별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와 각각의 지문 서명들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관관계 값은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서명이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지문 서명을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로부터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가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 및 지문 입력 모듈(16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가 지문을 등록하기 위해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에 왼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 지문을 입력하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왼손 지문을 입력하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지문 인식 모듈(168)에 입력된 지문을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에 오른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 지문을 입력하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오른손 지문을 입력하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지문 인식 모듈(168)에 입력된 지문을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1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가상 키패드(key pad),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icon) 목록 또는 메뉴 버튼 등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1)가 지문 인식 모듈(168)에 오른손의 지문을 접촉한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 내의 A 영역(9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A 영역(900-A)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900-B) 또는 C 영역(900-C) 내에는 본래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지문 인식 모듈(168)에 왼손의 지문을 접촉한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 내의 A 영역(10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A 영역(1000-A)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000-B) 또는 C 영역(1000-C) 내에는 본래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1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웹 브라우저를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1)가 지문 인식 모듈(168)에 오른손의 지문을 접촉한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 내의 A 영역(12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A 영역(1200-A)내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가 보다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된 조작 영역은 디스플레이부(90) 전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넓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진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90) 내의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부(90) 내의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링크 정보의 목록을 형성하고, 링크 정보만을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200-B) 또는 C 영역(1200-C) 내에 본래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200-B) 내에 조작 영역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버튼(12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가 조작 버튼(1210)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작 영역 내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일부가 조작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전체 중에서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C 영역(1200-C)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200-B) 또는 C 영역(1200-C) 내에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는 화면의 축소 비율을 표시할 수도 있다. B 영역(1200-B) 또는 C 영역(1200-C) 내에 표시되는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지문 인식 모듈(168)에 왼손의 지문을 접촉한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 내의 A 영역(13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A 영역(1300-A)내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가 보다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된 조작 영역은 디스플레이부(90) 전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넓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진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부(90) 내의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일부만이 디스플레이부(90) 내의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링크 정보의 목록을 형성하고, 링크 정보만을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300-B) 또는 C 영역(1300-C) 내에 본래 표시될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300-B) 내에 조작 영역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버튼(12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가 조작 버튼(1210)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작 영역 내에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일부가 조작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전체 중에서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C 영역(1300-C)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B 영역(1300-B) 또는 C 영역(1300-C) 내에 조작 영역 내에 표시되는 화면의 축소 비율을 표시할 수도 있다. B 영역(300-B) 또는 C 영역(1300-C) 내에 표시되는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조작 영역은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왼손 지문이 지문 인식 모듈(168)을 통해 입력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영역(14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1)의 오른손 지문이 지문 인식 모듈(168)을 통해 입력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영역(1500)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장치(100)일 뿐이며, 휴대 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유사한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 PC(도시되지 않음) 및 서버(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 1 카메라(151) 및 제 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출력 모듈(160)은 지문 인식 모듈(168)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112) 및 휴대 단말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 PC(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을 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 IEEE802.11x를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방식 등 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151) 및 제 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151) 또는 제 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151)는 상기 휴대 단말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 2 카메라(152)는 상기 휴대 단말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 1 카메라(151)와 제 2 카메라(152)는 인접하게(예를 들어, 간격이 1 cm보다 크고, 8 cm 보다 작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지문 인식 모듈(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않음), 볼륨버튼(도시되지 않음)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5)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휴대 단말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않음)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캐피드(도시되지 않음)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홈 버튼, 측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광학식 또는 반도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인식 모듈의 외부에 접촉됨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유선(ridge)인지 고랑(valley)인지를 나타내는 이진화 데이터로 이루어진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모듈(168)은 입/출력 모듈(16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모듈(168)은 복수의 버튼들(162) 중 홈 버튼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버튼을 누를 때, 지문 인식 모듈(168)은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휴대 단말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의 회전, 휴대 단말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듈(168)은 입/출력 모듈(160)이 아닌 센서 모듈(1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75)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75)는 지문 서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휴대 단말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장치(100)의 각 부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터치 입력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입력이라 함은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을 통한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 입력(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과 신체 간의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ultrasound wave)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X 좌표 및 Y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잇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도시되지 않음)을 선택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을 등록할 수 있다(S410). 지문 서명은 지문 영상 데이터가 어떤 지문인지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68)을 통해 생성된 지문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문 서명을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서명이 어느 손가락의 지문인지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는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68)을 이용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20).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홈 버튼, 측면부 및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광학식 또는 반도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인식 모듈(168)은 사용자의 지문이 지문 인식 모듈의 외부에 접촉됨에 따라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유선(ridge)인지 고랑(valley)인지를 나타내는 이진화 데이터로 이루어진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할 수 있다(S430).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와 각각의 지문 서명들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관관계 값은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서명이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지문 서명을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장치(100)는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S44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로부터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가 S440 단계에서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430 단계에서 생성된 지문 영상 데이터가 오른손의 지문인 경우, S440 단계에서 휴대 단말장치(100)는 도 9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S440 단계에서 휴대 단말장치(1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하는 실시 예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S440 단계에서 휴대 단말장치(100)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는 휴대 단말장치(100)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장치(100)는 왼손 약지의 지문이 인식된 경우,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나, 외부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가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68)을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S710). S710 단계에서 지문 인식 모듈은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된 지문 서명들 각각을 비교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서명들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된 지문이 어떤 지문인지 판단할 수 있다(S72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720 단계에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장치(100)는 상관관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등록된 지문 서명들 중에서 S710 단계에서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73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720 단계에서 획득된 상관관계 값 중에서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지문 서명이 존재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등록된 지문 서명들 중에서 S710 단계에서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을 재입력 받을 수 있다(S715). S715 단계에서, 휴대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지문이 다시 입력되면, 휴대 단말장치(100)는 새롭게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S7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등록된 지문 서명들 중에서 S710 단계에서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이 존재하는 경우,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서명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S740). 지문 서명의 종류는 지문 서명이 사용자(1)의 어떤 지문인지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서명은 제 1 지문 서명, 제 2 지문 서명 및 제 3 지문 서명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지문 서명은 지문 서명이 사용자(1)의 왼손의 엄지의 지문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문 서명은 지문 서명이 사용자(1)의 오른손의 엄지의 지문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3 지문 서명은 지문 서명이 제 1 지문 서명 및 제 2 지문 서명이 아닌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서명이 제 1 지문 서명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왼손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서명이 제 2 지문 서명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른손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서명이 제 3 지문 서명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9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지문의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지문 서명(1620)과 상응하는 손가락의 지문이라 하더라도, 사용자(1)가 지문 인식 모듈(168)에 접촉하는 지문의 방향 및 위치는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지문 영상 데이터(1610)와 지문 서명(1620)을 비교하기 위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1610) 또는 지문 서명(1620)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4의 S430 단계에서,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기 위해, 지문 영상 데이터를 회전시킨 후, 지문 영상 데이터와 지문 서명을 비교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1610)와 지문 서명(1620)이 일치하기 위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1610) 또는 지문 서명(1620)이 회전된 각도(1630)를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지문 영상 데이터(1610)가 회전된 각도는 지문 영상 데이터(1610)에서 지문이 본래 인식된 방향으로부터 회전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지문 서명(1620)이 회전된 각도(1630)는 지문 데이터베이스(175-1)에 저장된 지문 서명(1620)으로부터 지문 서명(1620)이 회전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1610)를 1도씩 회전시키며 지문 서명과 회전된 지문 영상 데이터(1610)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관관계 값을 반복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회전 각도를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지문 인식 모듈(168)을 이용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도 4의 S440 단계에서 실행할 프로세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의 방향이 사용자(1)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A 영역(17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110)는 A 영역(1700-A)에 가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지문의 방향이 사용자(1)가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되는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A 영역(900-A 또는 1000-A)을 조작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110)는 A 영역(900-A 또는 1000-A)에 세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장치(100)가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 및 인식된 지문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휴대 단말장치(100)의 제어부(110)는 동일한 지문이 인식된 경우에도,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는 휴대 단말장치(100)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전원 상태, 휴대 단말장치(100)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또는 휴대 단말장치(100)에 표시된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는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 및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100)의 상태 및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에, 휴대 단말장치(100)는 휴대 단말장치(100)를 부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a)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지문 인식 모듈(168)을 통해서 사용자(1)의 지문이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8의 (b)에서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는 휴대 단말장치(100)를 부팅(Booting)하여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휴대 단말장치(100)의 주기억장치에 적재하기 전에, 휴대 단말장치(100)의 일부 기능만을 구동하여 휴대 단말장치(100)는 카메라 기능만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장치(100)는 카메라 기능이 구동된 이후에 휴대 단말장치(100)를 부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RAM과 같은 휘발성 및 ROM 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 휴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문 데이터베이스에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된 지문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 중에서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와 대응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들을 등록하는 단계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이 상기 왼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1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이 상기 오른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2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을 회전시키며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들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과 상기 지문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상기 지문의 회전 각도를 상기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조작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인 경우, 상기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를 부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따라서 가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세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휴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복수의 지문 서명들(fingerprint signatures)를 등록하는 지문 데이터베이스;
지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 모듈;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 중에서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지문 서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데이터베이스는,
왼손의 지문 서명과 오른손의 지문 서명을 구분하여 등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이 상기 왼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1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이 상기 오른손의 지문 서명인 경우 제 2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을 회전시키며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들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문 서명들 각각과 상기 지문 사이의 상관관계 값을 획득하며, 상기 상관관계 값이 가장 높은 상기 지문의 회전 각도를 상기 지문의 방향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의 조작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결정된 조작 영역 내에 표시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 및 상기 결정된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상태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인 경우, 상기 지문 서명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를 부팅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문의 방향에 따라서 가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세로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449A KR20150130188A (ko) | 2014-05-13 | 2014-05-13 |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
CN201580019404.8A CN106170754A (zh) | 2014-05-13 | 2015-04-07 | 使用指纹识别控制移动终端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
EP15792290.7A EP3143485A4 (en) | 2014-05-13 | 2015-04-07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PCT/KR2015/003444 WO2015174632A1 (en) | 2014-05-13 | 2015-04-07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US15/310,758 US20170076139A1 (en) | 2014-05-13 | 2015-04-07 |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449A KR20150130188A (ko) | 2014-05-13 | 2014-05-13 |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0188A true KR20150130188A (ko) | 2015-11-23 |
Family
ID=544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7449A KR20150130188A (ko) | 2014-05-13 | 2014-05-13 |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076139A1 (ko) |
EP (1) | EP3143485A4 (ko) |
KR (1) | KR20150130188A (ko) |
CN (1) | CN106170754A (ko) |
WO (1) | WO201517463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3599A1 (en) * | 2016-09-30 | 2018-04-05 | Intel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use biometric sensors to control an orientation of a displ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0758B2 (en) | 2015-12-30 | 2017-09-12 | Synaptics Incorporated | Determining which hand is being used to operate a device using a fingerprint sensor |
WO2017113380A1 (zh) * | 2015-12-31 | 2017-07-0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指纹识别的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
US10437829B2 (en) * | 2016-05-09 | 2019-10-08 | Level 3 Communications, Llc | Monitoring network traffic to determine similar content |
US20180054534A1 (en) * | 2016-08-19 | 2018-02-22 | Kabushiki Kaisha Toshiba |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based device handedness accommodation |
CN107193455B (zh) * | 2017-04-27 | 2020-08-28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 |
US10305874B2 (en) * | 2017-06-16 | 2019-05-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ulti-factor execution gateway |
CN107908382B (zh) * | 2017-11-10 | 2020-03-0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
JP2019212116A (ja) * | 2018-06-06 | 2019-12-12 | 株式会社ケアコム | 携帯端末の画面表示制御装置 |
JP2019219904A (ja) * | 2018-06-20 | 2019-12-26 | ソニー株式会社 | プログラム、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
CN111610921A (zh) * | 2019-02-26 | 2020-09-01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手势识别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19622B1 (en) * | 2003-04-25 | 2009-11-25 | Fujitsu Limited | Fingerprint matching device, fingerprint matching method, and fingerprint matching program |
KR100856203B1 (ko) * | 2006-06-27 | 2008-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US20080016371A1 (en) * | 2006-07-14 | 2008-01-17 | Arachnoid Biometrics Identification Group Corp. |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Fingerprint, for Setting a Login Method of an Application, and for Logining in the Application |
US20080080751A1 (en) * | 2006-10-02 | 2008-04-03 | Wison Technology Corp. | Method of capturing fingerprint image |
US8023700B2 (en) * | 2007-07-26 | 2011-09-20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ccess to functions |
TW200935320A (en) * | 2008-02-01 | 2009-08-16 | Acer Inc | Method of switching operation modes of fingerprint sensor,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fingerprint sensor thereof |
EP2192519B1 (en) * | 2008-12-01 | 2015-02-25 | BlackBerry Limited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iometric quick launch |
KR101549558B1 (ko) * | 2009-03-18 | 2015-09-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20100310136A1 (en) * | 2009-06-09 | 2010-12-09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Distinguishing right-hand input and left-hand input based on finger recognition |
KR101678812B1 (ko) * | 2010-05-06 | 201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EP2710582A4 (en) * | 2011-05-17 | 2014-12-31 |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 DIGITAL FOOTPRINT SENSORS |
US20130101140A1 (en) * | 2011-10-25 | 2013-04-25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US9030440B2 (en) * | 2012-05-18 | 2015-05-12 | Apple Inc. | Capacitive sensor packaging |
US11284251B2 (en) * | 2012-06-11 | 2022-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9841944B2 (en) * | 2013-10-28 | 2017-12-12 | Lenovo (Beijing) Co., Ltd. |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
-
2014
- 2014-05-13 KR KR1020140057449A patent/KR201501301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04-07 WO PCT/KR2015/003444 patent/WO201517463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4-07 CN CN201580019404.8A patent/CN106170754A/zh active Pending
- 2015-04-07 US US15/310,758 patent/US2017007613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4-07 EP EP15792290.7A patent/EP3143485A4/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3599A1 (en) * | 2016-09-30 | 2018-04-05 | Intel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use biometric sensors to control an orientation of a disp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74632A1 (en) | 2015-11-19 |
EP3143485A1 (en) | 2017-03-22 |
EP3143485A4 (en) | 2017-11-29 |
CN106170754A (zh) | 2016-11-30 |
US20170076139A1 (en) | 2017-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30188A (ko) | 지문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장치 | |
US10123366B2 (en) | Wireless connection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out-of-band channel | |
US9261995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 |
US946551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 |
US1010187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o select object with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 |
CN109871166B (zh) |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中的多个窗口的方法 | |
AU2013264497B2 (en) | Multiple display method with multiple communication terminals,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9874312B (zh) |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 |
US20150077362A1 (en) | Terminal with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through fingerprint reader | |
CN112068762B (zh) | 应用程序的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US20140033119A1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232035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 |
US2014009230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dditional object information | |
US20140282204A1 (en) |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 |
KR20150007082A (ko) |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US9411399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remaining amount of electric power of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11051147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 |
JP7236551B2 (ja) | キャラクタ推薦方法、キャラクタ推薦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1125601A (zh) | 文件传输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 |
WO2020253129A1 (zh) | 歌曲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20140348334A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 |
CN113095163B (zh) |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US1037289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 |
US20190155343A1 (en) | Multi-panel computing device having integrated magnetic coupling structure(s) | |
KR20140068585A (ko) | 터치스크린에서 손 터치와 펜 터치의 구별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