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966A -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966A
KR20150129966A KR1020140056758A KR20140056758A KR20150129966A KR 20150129966 A KR20150129966 A KR 20150129966A KR 1020140056758 A KR1020140056758 A KR 1020140056758A KR 20140056758 A KR20140056758 A KR 20140056758A KR 20150129966 A KR20150129966 A KR 2015012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driving
vehicle
record
driving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742B1 (ko
Inventor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이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철 filed Critical 이의철
Priority to KR102014005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운행 기록이 저장되는 운행 기록기, 상기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운행 기록기와 상기 제1 서버의 사이에서 상기 운행 기록을 중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기록에는 상기 운행 기록을 생성하는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 운행 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기로부터 전송된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리 장치{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로 인해 차량의 운행 기록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신뢰성 있게 수집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17287호에는 차량의 사고 여부를 관리하는 방안이 개시되고 있으나,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신뢰성 있게 수집하는 방안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17287호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기록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운행 기록이 저장되는 운행 기록기, 상기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운행 기록기와 상기 제1 서버의 사이에서 상기 운행 기록을 중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기록에는 상기 운행 기록을 생성하는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 운행 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기로부터 전송된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복수의 포맷 중 하나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운행 기록기에서 미지의 포맷으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분석하고,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포맷의 상기 운행 기록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운행 기록기에서 생성된 운행 기록이 저장된 외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 저장된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으로 파악된 제2 포맷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외부 메모리에 생성된 폴더의 폴더명으로 상기 제2 포맷을 파악하는 관리 장치.
본 발명의 관리 장치에 따르면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기록의 포맷을 신뢰성 있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기록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 운행 기록을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로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 제1 서버에 로그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에서 제1 서버로 전송되는 운행 기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는 운행 기록기(110), 제1 서버(150) 및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기록기(110)는 차량에 탑재되고 차량의 운행 기록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운행 기록기(110)는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와 통신함으로써 운행 기록을 획득하거나 차량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운행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운행 기록기(110)는 차량의 각종 운행 기록을 설정된 포맷(형식)에 따라 생성 및 기록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는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취합하고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는 교통 안전 공단의 서버일 수 있다. 교통 안전 공단에서는 화물차 등의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각 차량의 소유자 등으로 하여금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보고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소유자(사용자)는 임의의 시점 또는 설정 시점마다 자신의 차량에 마련된 운행 기록기(110)의 데이터를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USB 등의 외장 메모리로 운행 기록기(110)의 데이터를 옮긴 후 외장 메모리를 제1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제1 서버(150)로 운행 기록기(110)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통신 수단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130)일 수 있다.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기(110)와 제1 서버(150)의 사이에서 운행 기록을 중계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30)는 CDMA, Wi-Fi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서버(150)로 운행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30)는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망, 유선 통신망, 외부 메모리를 이용하여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운행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30)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휴대 중인 단말기(130)를 이용해 차량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130)는 특정 차량에 1:1로 매칭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량에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서버(150)가 제1 포맷의 운행 기록만을 수신 및 처리하도록 구성된 경우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한 운행 기록이 어떤 포맷으로 작성된 것인지 알아야 한다.
그런데, 운행 기록기(110)는 각 제조사 및 각 기기별로 운행 기록을 다른 포맷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의 포맷이 무엇인지 모르므로,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포맷으로 해당 운행 기록을 변환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운행 기록기(110)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130)가 마련되는 경우 각 운행 기록기(110)의 포맷을 특정지을 수 있는 방안, 다시 말해 운행 기록기(110)의 포맷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을 생성하는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전송된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운행 기록의 포맷을 이하에서는 제2 포맷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단말기(130)는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130)는 어떤 운행 기록기(110)의 운행 기록을 획득하더라도 제1 서버(150)에서 원하는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는 각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차량의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단말기(130)의 구동과 제1 서버(15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30)에서는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기 위해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가 필요하고, 제1 서버(150)에서는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차량의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운행 기록에는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 및 차량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고, 운행 기록의 포맷으로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단말기(130)에는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이 마련될 수 있다.
분석 알고리즘은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전송된 운행 기록의 포맷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변환 알고리즘은 포맷 분석으로 특정된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은 제2 서버(17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30)가 스마트폰인 경우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은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소위 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기(13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의 관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30)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관리 장치는 복호화부(132), 암호화부(134), 변환부(133), 통신부(135) 및 분석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운행 기록은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암호화된 운행 기로의 포맷을 곧바로 파악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분석부(130)의 전단에는 암호화된 운행 기록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32)가 추가될 수 있다.
운행 기록의 암호화는 3-Way, AES, AES-128, AES-256, Akelarre, 아누비스, 아리아, 블로우피시, 카멜리아, CAST-128, CAST-256, CMEA, CS-Cipher, DEAL, DES, DES-X, FEAL, FOX, FROG, G-DES, GOST, ICE, IDEA, 이라크 블록 암호, KASUMI, KHAZAD, Khufu and Khafre, LOKI89/91, LOKI97, 루시퍼, MacGuffin, Madryga, MAGENTA, MARS, MISTY1, MMB, NewDES, Noekeon, RC2, RC5, RC6, REDOC, Red Pike, S-1, SAFER, SEED, Serpent, SHACAL, SHARK, Skipjack, Square, TEA, Triple DES, Twofish, XTEA 알고리즘 중 하나가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복호화부(132)는 위 알고리즘을 역으로 적용시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호화된 운행 기록은 분석부(131)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부(135)로부터 제1 서버(150)로 전송되는 운행 기록은 암호화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한 운행 기록의 전송 과정에서 해킹 등의 위협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 변환부(133)와 통신부의 사이에는 암호화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암호화부(134)는 제1 서버(150)에서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운행 기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에 적용되는 알고리즘 종류는 제1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변환부(133)는 복수의 포맷 중 하나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통신부(135)는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운행 기록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운행 기록의 포맷을 제2 포맷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133)는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운행 기록은 차량에 마련된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기록에는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은 복수의 제2 포맷 중 하나로 작성된 것이기는 하나 어떤 제2 포맷이 적용되었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도 3은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에는 10진수 포맷으로 작성된 운행 기록이 개시되고 있으나, 포맷에 따라 2진수 또는 16진수 등의 운행 기록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복수의 제2 포맷 중 하나로 작성된 것이기는 하나 어느 제2 포맷이 적용되었는지 파악하기가 곤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운행 기록은 일예로 표 1에 기재된 포맷에 따라 생성된 것일 수 있다.
1항목의 운행기록기 모델명은 운행기록기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표 1의 체크 방식에 따르면, 운행기록기의 식별 정보는 "4TDS0112040103"이다.
2항목의 차대 번호는 모두 0의 값으로 표 1의 포맷에 따르면 에러인 상태일 수 있다.
3항목의 차량 유형은 차량의 용도 또는 차량 소유자의 운수 업종과 관계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16은 전세 버스, 32는 화물차 등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4항목의 차량 등록 번호는 소위 차량의 번호판에 기재된 차량 번호에 해당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에는 차량 등록 번호로 "경북76바XXXX"가 기록되고 있다.
5항목의 운송사업자 등록번호는 사업자등록 번호 또는 법인 등록 번호일 수 있다.
6항목의 운전자 코드는 소위 운전 면허증에 기재된 운전자격증 번호일 수 있다.
6항목의 아래로는 차량의 주행 거리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체크 방식은 분석부(131) 또는 변환부(133)에서 각 항목을 파악하고, 각 항목의 구분에 이용될 수 있다.
항목 자릿수 표기방법 체크방식
1.운행기록기 모델명 20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빈칸은 "#"으로 표기 CR/LF 제거, "#"제거하고
Null string이면 에러
2.차대 번호 17 영문(대문자), 아라비아숫자 전부 표기 CR/LF 제거, "#"제거하고
영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이 아니면 에러
3.차량 유형 2 16: 전세버스 11, 12, 13, 14, 15, 16, 17, 21, 22, 31, 32, 41 이외 코드 에러
4.차량 등록 번호 12 차량 등록 번호 전부 표기(한글 하나에 두자리 차지, 빈칸은 "#"으로 표기) CR/LF 제거 "#"제거하고
한글(4자리)+숫자(2자리)+한글(2자리)+숫자(4자리)=12
한글(4)+숫자(1)+한글(2)+숫자(4)=11
숫자(2)+한글(2)+숫자(4)=8
위 형식이 아니면 에러
5.운송사업자 등록번호 10 사업자등록 번호 전부 표기
(XXXYYZZZZZ)
CR/LF 제거 "#"제거하고
숫자1(3자리)+숫자2(2자리)+숫자3(5자리)=10
100<=숫자1<=621
1<=숫자2<=99
1<=숫자3<=99999
위 형식이 아니면 에러
6.운전자 코드 18 운전자의 자격증 번호로, 빈칸은 "#"으로 표기하고 중간자 "-"는 생략 CR/LF 제거 "#"제거하고 "-"제거하고
null string이면 에러
이하, 본문 내용
이상의 각 항목들을 살펴보면, 운행기록기 모델명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제1 서버(150)에서 차량의 관리에 사용되는 정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항목으로는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운행 기록의 포맷은 운행기록기의 식별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에 포함된 운행기록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행 기록에는 헤더 필드와 본문 필드가 마련될 수 있다. 헤더 필드에는 예를 들어 표 1의 1항목 내지 6항목이 기재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운행 기록의 헤더 필드만을 분석할 수 있다.
변환부(133)는 분석부(131)에서 파악된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에 맞게 변환시킬 수 있다. 운행 기록기(110)에 따라 헤더 필드 및 본문 필드의 형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변환부(133)는 헤더 필드 및 본문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포맷에 맞게 변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변환부(133)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서로 다른 포맷으로 운행 기록을 생성 및 저장하는 n개의 운행 기록기(110)가 마련된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운행 기록의 제1 포맷(1st format)이 첫번째줄에 표 1의 2항목, 두번째줄에 1항목, 세번째줄에 3항목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의 제2 포맷(2nd format) ①은 첫번째줄에 1항목과 2항목이 기재되고, 네째줄에 3항목이 기재되고 있다. 그리고 1항목의 앞에 "#####'이 기재되고 있다.
제2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의 제2 포맷 ②는 첫번째줄에 1항목, 세번째줄에 2항목, 네번째줄에 3항목이 기재되고 있다. 그리고 1항목의 앞에 "&&"가 기재되고 있다.
제n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의 제2 포맷 ⓝ은 첫번재줄에 1항목, 두번째줄에 2항목, 세번째줄에 3항목이 기재되고 있다.
제2 포맷 ①은 변환부(133)에서 실행되는 제1 알고리즘 A1에 의해 제1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1 알고리즘 A1은 "####" 다음의 1항목을 두번째줄로 옮기고, 2항목을 첫번째줄로 옮기며, 네번째줄의 3항목을 세번째줄로 옮기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포맷 ②는 변환부(133)에서 실행되는 제2 알고리즘 A2에 의해 제1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알고리즘 A2는 "&&" 다음의 1항목을 두번째줄로 옮기고, 세번째줄의 2항목을 첫번째줄로 옮기며, 네번째줄의 3항목을 세번째줄로 옮기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제2 포맷 ⓝ은 변환부(133)에서 실행되는 제n 알고리즘 An에 의해 제1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n 알고리즘 An은 첫번째줄의 1항목을 두번째줄로 옮기고, 두번재줄의 2항목을 첫번째줄로 옮기며, 세번째줄의 3항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각 알고리즘은 적절한 포맷에 적용되어야만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고리즘 A1이 제2 포맷 ②에 적용된다면 제1 포맷과 다른 엉뚱한 포맷이 생성되거나 에러가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변환부(133)에서는 어떤 알고리즘을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에 적용할지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에 포함된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로 제2 포맷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부(131)에 따르면 제1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된 운행 기록을 분석하여 제2 포맷 ①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31)로부터 분석 결과를 전달받은 변환부(133)는 해당 운행 기록에 제1 알고리즘 A1을 적용할 수 있다.
변환부(133)는 포맷 변환시 제1 서버(150)의 요구에 따라 헤더 필드의 내용 또는 본문 필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헤더 필드의 내용은 표 1의 1항목 내지 6항목일 수 있으며, 본문 필드의 내용은 차량의 운행 정보일 수 있다.
차량의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일일 주행 거리(표 2의 7항목), 누적 주행 거리(표 2의 8항목), 순간 정보(표 2의 9항목 내지 18항목) 중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순간 정보에는 저장 시간 정보(표 2의 9항목), 차량의 속도(표 2의 10항목), 분당 엔진 회전수(표 2의 11항목), 브레이크 신호(표 2의 12항목), 위치 정보(표 2의 13, 14항목), 위성 항법 장치 방위각(표 2의 15항목), 가속도(표 2의 16, 17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운행 정보는 일예로 도 3과 같을 수 있다.
각 내용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자릿수 표기방법 체크방식
7.일일주행거리(km) 4 00시부터 24시까지 주행한 거리(범위: 0000~9999) 범위 체크
2000보다 크면 에러
8.누적주행거리(km) 7 최초등록일로부터 누적한 거리
(범위: 0000000~9999999)
범위 체크
9.정보발생 일시 14 YYMMDDhhmmssss
(연/월/일/시/분/0.01초)
날짜 범위 체크
0.001초 필드 무시
현재날짜보다 크면 에러
10.차량속도
(km/h)
3 범위: 000~255 범위 체크
택시: 255보다 크면 에러
이외: 180보다 크면 에러
11.분당 엔진회전수(RPM) 4 범위: 0000~9999 범위 체크
12.브레이크 신호 1 범위: 0(off) 또는 1(on) 범위 체크 0, 1이외는 에러
13.차량의 x축 위치 9 10진수로 표기
(예: 127.123456*1000000 →127123456)
GPS의 x축 좌표
상태코드 11 또는 x,y 좌표가 모두 "0"일 경우 검증하지 않음
124 < x < 132 범위외는 에러
14.차량의 y축 위치 9 10진수로 표기
(예: 127.123456*1000000 →127123456)
GPS의 y축 좌표
상태코드 11 또는 x,y 좌표가 모두 "0"일 경우 검증하지 않음
32 < y < 39 범위외는 에러
15.위성항법장치 방위각 3 범위: 0~360
(0~360도에서 1도를 1로 표현)
범위 체크
범위가 360 이상이면 에러
16.가속도(m/sec2)
x벡터 성분
6 범위: -100.0~+100.0 범위 체크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
17.가속도(m/sec2)
y벡터 성분
6 범위: -100.0~+100.0 범위 체크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
18.기기 및 통신 상태 코드 2 00: 운행 기록기(110) 정상
11: 위치추적장치(GPS 수신기) 이상
12: 속도센서 이상
13: RPM 센서 이상
14: 브레이크 신호감지 센서 이상
21: 센서 입력부 이상
22: 센서 출력부 이상
31: 데이터 출력부 이상
32: 통신 장치 이상
41: 운행거리 산정 이상
99: 전원공급 이상
0, 11, 12, 13, 14, 21, 22, 31, 32, 41, 99 이외는 에러
분석부(131)는 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운행 기록의 포맷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부(133)는 변환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은 통신부(135)를 통하여 제2 서버(17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은 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저장부(137)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서버(170)로부터 특정 알고리즘을 수신한 경우 별도의 업데이트가 발생하기 전에는 제2 서버(170)로부터 알고리즘을 수신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통신부(135)는 통신 속도의 개선,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불필요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135)는 표 1의 헤더 정보의 에러 비율과 표 2의 본문 정보의 에러 비율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해당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정보로 이용하기 어려울 만큼 에러가 많은 운행 기록이 제1 서버(150)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6가지 항목 중 에러가 2개 이상이면 통신부(135)는 해당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리 장치에서 제1 서버(150)로 전송되는 운행 기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통신부(135)는 제1 시점 t1과 제2 시점 t2에 제1 서버(150)로 운행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운행 기록은 변환부(133)에서 변환이 완료된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일 수 있다.
제1 시점 t1과 제2 시점 t2는 시간상으로 t2가 t1의 뒤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정한 규칙이 없을 수 있다. 왜냐하면 분석부(131)에서 운행 기록을 획득하는 시점이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부(131) 및 변환부(133)가 마련된 단말기(130)에는 차량 운행기와 정기적으로 통신하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운행 기록기(110)의 운행 기록을 단말기(130)로 옮기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때, 단말기(130)는 시간상으로 어느 기간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해야 할지 판단해야 한다. 기간의 판단이 잘못되면 운행 기록이 누락되거나 중복된 운행 기록이 전송될 수 있다.
중복된 운행 기록이 제1 서버(150)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시점 t2에 제1 서버(150)로 전송되는 운행 기록은 제1 시점 t1부터 제2 시점 t2까지의 제1 운행 기록 R1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부(135)는 제2 시점 t2 후의 제3 시점 t3에서, 제2 시점 t2부터 제3 시점 t3까지의 제2 운행 기록 R2를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기록의 누락과 중복이 방지되도록 제1 운행 기록 R1 및 제2 시점 t2의 시각 정보는 적어도 제3 시점 t3까지 단말기(130)에 보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130)에는 제1 운행 기록 R1 및 제2 시점 t2의 시각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저장부(137)에는 제2 서버(170)로부터 수신된 분석 알고리즘 또는 변환 알고리즘이 추가로 저장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는 도 1에 개시된 관리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다.
먼저,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운행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30)는 분석부(131)를 통해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기(110)에서 미지의 포맷으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분석하고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를 사전에 마련된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30)는 변환부(133)를 통해 운행 기록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133)는 분석부(131)에서 파악된 포맷(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을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30)는 통신부(135)를 통해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운행 기록에 포함된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로 해당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와 다르게 운행 기록에 포함된 차량의 식별 정보로 해당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식별 정보로는 직관적으로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제1 서버(150)와 협력하면 차량의 식별 정보로도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차량의 식별 정보는 표 1의 2항목 내지 6항목과 같이 제1 서버(150)에서 특정 차량의 운행 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통신부(135)는 제1 서버(150)로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150)로부터 위 차량에 대응되는 운행 기록의 포맷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133)는 통신부(135)로 수신된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기록의 포맷을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제1 서버(150)에서 특정 차량에 대응되는 포맷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50)에는 단말기(130)의 통신부(135)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각 차량의 식별 정보와 각 차량에 장착된 운행 기록기(110)의 포맷 종류가 매칭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된 저장부(137), 서버 통신부에서 수신된 차량의 식별 정보를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해당되는 포맷 종류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시누는 추출부에서 추출된 포맷 정보를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단말기(130)의 분석부(131)는 분석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서버(150)와 협력함으로써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동작은 도 7과 같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130)는 차량에 마련된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미지의 포맷으로 작성된 운행 기록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131)를 통해 운행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35)를 통해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는 차량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차량의 이름으로 등록된 포맷의 종류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단말기(13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로부터 해당 운행 기록의 포맷 종류(제2 포맷)가 수신되면 단말기(130)는 변환부(133)를 통해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을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35)를 통해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30)에서 외부 메모리(190)를 통하여 운행 기록기(110)의 운행 기록을 획득할 경우 운행 기록이 아닌 다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USB 메모리 등의 외부 메모리(190)를 통해 운행 기록기(110)로부터 단말기(130)로 운행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외부 메모리(190)에는 차량에 설치된 운행 기록기(110)에서 생성된 운행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부 메모리(190)를 운행 기록기(110)에 꼽아서 운행 기록기(110)의 운행 기록을 외부 메모리(19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행 기록기(110)는 해당 모델 또는 제조사에 따라 독특한 이름의 폴더를 외부 메모리(190)에 생성한 후 해당 폴더에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행 기록기는 외부 메모리(190)에 '4TDS'의 폴더명을 갖는 폴더와 '4TDS'의 하위 폴더인 'Data'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Data' 폴더에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운행 기록기와 모델이 다르거나 제조사가 다른 제2 운행 기록기는 외부 메모리(190)에 'ACE3'의 폴더명으로 폴더를 생성하고 'ACE3' 폴더에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외부 메모리(190)가 단말기(130)에 꼽히면 단말기(130)의 분석부(131)는 외부 메모리(190)가 저장된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131)는 외부 메모리(190)에 생성된 폴더의 폴더명으로 제2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는 외부 메모리(190)의 폴더를 분석하고, 특정 폴더의 폴더명이 '4TDS'이면 해당 폴더 또는 그 하위 폴더에 저장된 운행 기록이 도 4의 제2 포맷 ①로 제작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폴더명이 'ACE3'인 폴더가 검색되면 해당 폴더에 저장된 운행 기록이 도 4의 제2 포맷 ②로 제작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90)로부터 운행 기록을 획득할 경우 분석부(131)는 운행 기록을 획득하기 위해 해당 외부 메모리(190)의 각종 폴더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기록을 찾으면 해당 운행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분석부(131)는 포맷을 파악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외부 메모리(190)에서 운행 기록을 검색하는 1단계 동작, 검색된 운행 기록을 분석하는 2단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폴더명을 이용하여 포맷의 종류 파악이 완료되는 구성에 따르면 운행 기록을 검색하는 1단계 동작만으로 해당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포맷 파악이 가능하다.
다만, 외부 메모리(190)를 이용하여 운행 기록이 전달되는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90)의 특성상 복수의 운행 기록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운행 기록이 제1 서버로 전송되는 대상이 되는지 특정되어야 한다. 일예로 외부 메모리(190)의 루트(root) 폴더에 운행 기록 ⓐ, 4TDS의 하위 폴더 Data에 운행기록 ⓑ, ACE3 폴더에 운행 기록 ⓒ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30)는 운행 기록 ⓐ, ⓑ, ⓒ 중 어느 운행 기록을 포맷 변환하고 제1 서버로 전송할지 알 수 없다.
이를 위해 단말기(130)에는 표시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표시부(139)는 단말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분석부(131)는 외부 메모리(190)에 저장된 모든 운행 기록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39)에는 분석부(131)에서 검색된 모든 운행 기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는 분석부에서 검색된 운행 기록 ⓐ, ⓑ, ⓒ가 표시부(139)에 표시되고 있다.
표시부(139)에 표시된 운행 기록 ⓐ, ⓑ, ⓒ 중 하나가 선택되면 분석부(131)는 선택된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부(133)는 포맷 분석이 완료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의 운행 기록을 획득하고, 획득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편, 제1 서버(150)는 수집된 운행 기록을 관리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의 형태로 각 단말기(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130)의 통신부(135)는 변환부(133)에서 변환된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송신하고, 제1 서버(150)로부터 운행 기록을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는 단말기(130)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단말기(130)로 로그인을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운행 기록을 제1 서버(150)로 전송할 때마다 또는 제1 서버(150)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통신부(135)는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로 제1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기(130)에 마련된 저장부(137)에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말기(130)에서 자동으로 획득된 운행 기록기(110)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로 제1 서버(150)에 로그인이 이루어지므로 별도로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1 서버(150)는 로그인된 단말기(130)의 통신부(135)와 통신함으로써 운행 기록을 수신하고,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서비스 정보는 크게 운수회사/개인사업자 서비스, GIS 분석 서비스, 지역본부/지사업무 서비스, 통계분석 서비스, 정보마당 서비스, 시스템 소개 서비스, 시스템 관리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수회사/개인사업자 서비스는 운수회사 또는 개인사업자, 다시 말해 차량의 소유주 또는 운행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다른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운수회사/개인사업자 서비스는 다음의 표 3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운수회사/개인사업자 종합진단표 회사/개인사업자 별로 위험운전행동 정도를 파악하여 안전운전에 대한 교육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종합진단표 제공
운행기록분석결과 제출된 운행기록자료를 1~2시간내로 분석하여 결과 제공
위험운전대상검색 위험운전행동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회사별, 자동차별, 운전자별 위험수준 순위를 검색
위험운전행동통계 제출된 운행기록자료를 분석한 후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자동차별, 운전자별, 분기별,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정보 제공
자료제출현황 제출된 운행기록자료를 분석한 후 자료제출현황에 대한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일별,월별, 자동차별, 정상/오류 현황 정보 제공
연비통계 제출된 운행기록자료와 등록한 사용 연료량 정보를 바탕으로 월별, 자동차별, 업종별 연비통계 정보 제공
기초정보 관리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인 운전자정보, 자동차정보, 사용연료량 정보를 관리하고, DTG 단말기(130) 장착 현황 정보 제공
배차정보 관리 배차정보를 관리하고 배차정보 등록 현황 정보 제공
해당 서비스는 제1 서버(150)에 접속한 단말기(130)에 표시되는 메뉴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주메뉴에서 운수회사/개인사업자 메뉴가 선택되면 부메뉴로 종합 진단표, 운행기록 분석 결과, 위험 운전 대상 검색, 위험 운전 행동 통계, 자료 제출 현황, 연비 통계, 기초정보 관리, 배차정보 관리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부메뉴 중 하나가 선택되면 표 3에서 "내용(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이 단말기(1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 개시되는 서비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메뉴-부메뉴-내용(설명)과 같이 탐색해 들어가서 이용할 수 있다.
GIS분석 서비스는 다음의 표 4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GIS분석 운행 궤적분석 차량의 주행속도 기준 운행궤적 분석정보 제공
위험운전행동분석 차량의 과속기준 운행궤적 및 위험운전행동 정보 제공
실시간 위치 관제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 제공
사고지점중첩분석 자동차 사고지점과 차량 운행기록의 중첩분석 정보 제공
주제도 광역시도별 100km 당 위험운전행동 통계 주제도 제공
지역본부/지사업무 서비스는 다음의 표 5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지역본부/지사업무 현황판 지역본부 및 지사의 평가용업무 또는 자율업무에 대해 조회시점 기준으로 6개월 전까지의 제출현황추이 및 위험운전행동추이를 요약정보로 제공
업무관리 지역본부 및 지사의 자율업무를 관리하는 기능 제공
업무현황 및 분석 지역본부 및 지사의 평가용업무 또는 자율업무에 대한 현황 및 분석정보를 제공
통계분석(지역본부/지사별) 지역본부 및 지사별로 제출현황, 운행자동차정보,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통계정보 제공
운행정보 전송/
분석결과
각 지역본부 및 지사가 담당하고 있는 운수회사별 운행기록정보 전송 및 분석 결과 제공
통계분석 서비스는 다음의 표 6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통계분석 시스템 이용현황 통계 시스템 이용현황 통계정보를 시도별, 업종별, 연도별, 월별, 일자별로 제공
자동차운행정보
통계
자동차 운행정보 통계를 시도별, 업종별, 연도별, 월별로 제공
위험운전행동통계 위험운전행동 통계 정보를 시도별, 업종별, 연도별, 월별로 제공
정보마당 서비스는 다음의 표 7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정보마당 공지사항 eTAS 운행기록분석 시스템의 알림 및 공지사항 정보 제공
시스템 이용안내 시스템 사용시 도움말 기능 제공
FAQ 사용자가 궁금해 하는 정보를 Q&A 형식으로 미리 제공
묻고답하기 사용자가 궁금한 사항을 질문하면 관리자가 답변을 제공
소프트웨어자료실 소프트웨어 관련 자료 제공
매뉴얼 자료실 매뉴얼 관련 자료 제공
DTG 제작회사 정보 DTG 제작회사 관련 정보 제공
표준 DTG 제품 정보 표준 DTG 제품 관련 정보 제공
활용 동영상 자료 활용 정보를 동영상으로 제공
시스템 소개 서비스는 다음의 표 8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시스템소개 시스템 소개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대한 소개정보 제공
법령 및 지침 운행기록분석시스템관 관련된 법령 및 지침정보 제공
활용방법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의 활용방법 제공
시스템 관리 서비스는 다음의 표 9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메뉴 부메뉴 내용(설명)
시스템관리 시스템 관리 메인 시스템관리자에게 로그인시 바로 회원가입신청 현황와 묻고답하기 등록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회원(승인)관리 운행기록분석시스템 가입/신청 회원을 관리하는 기능 제공
지사 평가그룹 관리 지역본부 및 지사의 평가용 업무를 관리하는 기능 제공
권한관리 회원 권한별 사용할 수 있는 메뉴 관리 기능 제공
메뉴관리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메뉴들을 관리하는 기능 제공
코드관리 웹에서 사용하는 코드를 관리하는 기능 제공
메뉴별방문로그 관리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의 가입된 회원들의 메뉴별 방문로그를 회원권한별, 아이디별, 기간별, 메뉴별로 조회할 수 있는 기능 제공
화이트리스트관리 시스템관리 메뉴를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하는 특정 PC의 IP만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관리기능 제공
팝업관리 공지팝업을 관리하는 기능 제공
콘텐츠 관리 정보마당의 모든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능 제공, 단, 시스템 이용현황 제외
환경설정 배차정보 등록 및 수정 가능기간 설정 기능 제공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운행 기록기 130...단말기
131...분석부 132...복호화부
133...변환부 134...암호화부
135...통신부 137...저장부
139...표시부 150...제1 서버
170...제2 서버 190...외부 메모리

Claims (14)

  1.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차량의 운행 기록이 저장되는 운행 기록기;
    상기 운행 기록을 관리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운행 기록기와 상기 제1 서버의 사이에서 상기 운행 기록을 중계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기록에는 상기 운행 기록을 생성하는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 운행 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기로부터 전송된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분석 알고리즘 및 변환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알고리즘은 상기 운행 기록기로부터 전송된 운행 기록의 포맷 분석에 이용되며,
    상기 변환 알고리즘은 상기 포맷 분석으로 특정된 상기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데 이용되는 관리 장치.
  3. 복수의 포맷 중 하나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제2 포맷으로 특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기록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운행 기록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운행 기록에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포맷을 파악하는 관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기록에는 헤더 필드 및 본문 필드가 마련되고,
    상기 헤더 필드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되고 상기 운행 기록이 저장되는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본문 필드에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헤더 필드만을 분석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포맷을 파악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 포맷으로 형성된 상기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포맷에 맞게 변환시키는 관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운행 기록에는 헤더 필드 및 본문 필드가 마련되고,
    상기 헤더 필드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되고 상기 운행 기록이 저장되는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본문 필드에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헤더 필드 및 상기 본문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자격증 번호,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상기 차량의 소유자의 사업자등록 번호, 상기 차량의 소유자의 운수 업종, 상기 차량의 소유자의 법인 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에는 상기 차량의 일일 주행 거리, 누적 주행 거리, 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상기 순간 정보에는 저장 시간 정보, 상기 차량의 속도,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 위치 정보, 위성 항법 장치 방위각,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는 관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서버로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변환부는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상기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관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는 분석 알고리즘 및 상기 분석된 포맷의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알고리즘을 수신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변환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관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에 상기 제1 서버로 상기 운행 기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제1 서버로 전송되는 운행 기록은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의 제1 운행 기록인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 시점 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시점부터 상기 제3 시점까지의 제2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운행 기록 및 상기 제2 시점의 시각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3 시점까지 상기 저장부에 보존되는 관리 장치.
  12. 운행 기록기에서 미지의 포맷으로 작성된 차량의 운행 기록을 분석하고,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파악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파악된 포맷의 상기 운행 기록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의 운행 기록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운행 기록을 상기 제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운행 기록을 기초로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운행 기록기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로 상기 제1 서버에 로그인하고,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로그인된 상기 통신부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운행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장치.
  14. 차량에 설치된 운행 기록기에서 생성된 운행 기록이 저장된 외부 메모리; 및
    상기 외부 메모리 저장된 상기 운행 기록의 포맷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으로 파악된 제2 포맷을 제1 서버에서 요구하는 제1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외부 메모리에 생성된 폴더의 폴더명으로 상기 제2 포맷을 파악하는 관리 장치.
KR1020140056758A 2014-05-12 2014-05-12 관리 장치 KR10161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58A KR101614742B1 (ko) 2014-05-12 2014-05-12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58A KR101614742B1 (ko) 2014-05-12 2014-05-12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66A true KR20150129966A (ko) 2015-11-23
KR101614742B1 KR101614742B1 (ko) 2016-04-25

Family

ID=5484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758A KR101614742B1 (ko) 2014-05-12 2014-05-12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7915A (zh) * 2018-02-09 2018-09-14 深圳华龙讯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信息管理系统和方法
JP2020102146A (ja) * 2018-12-25 2020-07-02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解析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95B1 (ko) * 2020-05-15 2021-10-14 주식회사 포도 영업용 차량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532B1 (ko) * 2011-05-12 2012-10-16 대덕위즈주식회사 유에스비와 무선 기술을 이용한 차량 디지털 운행 기록기 정보 자동 전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7915A (zh) * 2018-02-09 2018-09-14 深圳华龙讯达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信息管理系统和方法
JP2020102146A (ja) * 2018-12-25 2020-07-02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解析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742B1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2205A1 (en) Autonomous telematics platform
US11900736B2 (en) Electronic logging device (EL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210407221A1 (en) Big telematics data constructing system
US90088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cessing and monitoring parameters used on board aircraft
CN101903914B (zh) 通信控制器和实施传输数据的方法
CN105184539A (zh) 一种互联网物流服务系统
CN109791566B (zh) 控制加密车载数据访问的系统和方法
KR101495319B1 (ko) 지능형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742B1 (ko) 관리 장치
WO2015075736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ata processing and control
KR102358833B1 (ko) 차량에서 기록된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7115283A1 (en) Monitoring operator disablement of vehicle automation systems
CN103957281B (zh) 车载终端移动监控平台系统
EP321769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mobilgerätes mit einem feldgerät
Miller et al. Data Management Life Cycle, Final report
Hoppe et al. IT-forensic automotive investigations on the example of route reconstruction on automotive system and communication data
EP3680799A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managing event data of a vehicle
KR20200086632A (ko) 차량 생성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AU2015100253A4 (en) Rail Systems Mark-Up Language
CN115828314A (zh) 一种无人机运行数据存证方法及系统
CN103886771A (zh) 一种校车的行车管理方法和系统
CN102142161A (zh) 列车自动防护系统记录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CN105373745A (zh) 执法记录仪数据访问控制方法、装置及执法记录仪
CN11433804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车辆事故责任的认定方法及车辆终端
CN103903212A (zh) 基于Android系统的物流车辆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