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537A -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 Google Patents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537A
KR20150129537A KR1020140056691A KR20140056691A KR20150129537A KR 20150129537 A KR20150129537 A KR 20150129537A KR 1020140056691 A KR1020140056691 A KR 1020140056691A KR 20140056691 A KR20140056691 A KR 20140056691A KR 20150129537 A KR20150129537 A KR 2015012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und
footbridge
land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8615B1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615B1/en
Publication of KR201501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bridge lifting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tbridge lifting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footbridge by keeping the footbridge by sliding the footbridge on the ground when the footbridge is not in use. The footbridge lifting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bridge connector formed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sea; a footbridge unit, which is a plate member capable of connecting the ground and a marine structure and includes a plate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ootbridge connector to rotate the other end vertically; and a rotating means capable of vertically rotating the plat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fact that the plate is capable of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round to be seated on the ground while the plate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ans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Description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본 발명은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육상의 지면 상으로 슬라이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악천후 시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caused by damage to a pedestrian bridge in case of bad weather, Lifting device.

일반적으로 도교는 항만 및 부두 등에 설치되어 선박 또는 잔교 등과 같은 수상구조물에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수행한다.In general, Taoism is installed in ports and docks, and acts as a bridge for people or vehicles to move to a water structure such as a ship or a pier.

이러한 도교는 대부분 철골 등으로 트러스나 거더 구조 형태로 된 일체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Most of these pedestrian bridges consist of integral structures such as steel or girder structures.

도교는 고정체인 항만 및 부두와 이동체인 선박 또는 잔교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일측이 부두에 힌지 등으로 연결되고, 타측의 자유단부는 선박의 갑판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부두와 선박을 연결한다.For example, one side is connected to a pier by a hinge and the free end of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the deck bottom of the ship to connect the pier and the ship.

이와 같이 도교는 고정체와 이동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으로부터 일정공간을 형성하며 떠 있으므로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특히 강우에 의한 홍수나 파도 또는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한 수면의 높이변화에 도교가 대응하지 못하여 안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waterfall because the floodgate is floated by forming a certain space from the water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fixed body and the moving body are connected. Especially,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difference of flood, It is not safe and has a disadvantage.

또한, 도교는 일반적으로 철골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도교의 자유단부가 선박 또는 잔교의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도교와 선박 또는 잔교 사이에는 큰 마찰저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footbridge is generally made of steel or the like, a free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ootbridge and the ship or the pier due to the free end of the footbridg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hip or the pier.

이와 같이, 도교와 선박 또는 잔교 간의 마찰저항을 갖는 상태에서 파도 및 간만의 차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요동치게 되는 경우 도교와 선박 또는 잔교에 마모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이나 파랑의 영향으로 도교 자체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한 도교의 육상연결부인 콘크리트 부착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is way, when continuously fluctuating due to differences in waves and tides in the state of having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a footbridge and a ship or a pier, not only damage such as abrasion occurs on a footbridge and a ship or a pier, but also a strong wind The breakage of the bridge itself frequently occurs, and the concrete attachment portion which is the land connection portion of the bridge is damag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15385호(등록일자: 2013. 09. 30)에 "절첩식 도교"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lding type footbridge" has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publication No. 10-1315385 (registered on March 30, 2013).

상기 종래기술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설치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도교와; 상기 제1도교의 전방에 형성하는 절첩축을 중심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제2도교와; 상기 제1도교 및 제2도교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인양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도교의 하부 일측과 상기 제2도교의 전방 일측에는 지지롤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2도교의 전방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보조도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ior art includes a post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first trough which is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bout a hinge ax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ost; A second trough which is foldable about a folding ax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trough; And a lifting member for lifting or lowering the first and second traverse coats, respectively, wherein support rollers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traverse and a front side of the second traverse, And an auxiliary pedestal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상기 도교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시켜 두도록 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도교를 보관하게 되면 선박 또는 잔교의 마찰에 의한 도교의 파손은 막을 수 있으나, 태풍 등의 강한 바람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도교가 상하좌우로 지속적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도교 자체는 물론 육상연결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when the footbridge is not used, the footbridge is held in a state of being lifted upwards. When the footbridge is stored in such a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damage of the footbridge due to friction of the ship or the bridge can be prevented However, when a strong wind such as a typhoon occurs, the pedestrian will be continuously shaken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herefor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pedestrian bridge itself is destroyed as well as the land conn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이나 파랑의 영향으로부터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육상의 지면 상으로 도교를 슬라이딩시켜 보관함으로써 도교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도교의 지속적인 흔들림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육상연결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a pedestrian from being damaged due to a strong wind or a wave such as a typho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from being damaged due to continuous shaking of the pedestrian bridge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land connection part frequently caused by continuous shaking of the pedestrian brid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는, 해상과 인접한 육상에 구비되는 도교연결체와; 육상과 해상구조물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판부재로, 일단부가 해상으로부터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도교연결체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교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육상의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육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tbridge lif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disaster from occurring, comprising: a footbridge connecting body provided on the ground adjacent to a sea; A plate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land and the sea structure and including a plate hinged to the pedestal link at the other end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from the sea; A rotating means for vertically rotating the plate; Wherein the plate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ground so as to be seat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the plate is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on the ground by the rot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상기 도교연결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과 평행한 힌지핀이 구비되고,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육상의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힌지핀에서 분리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의 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connecting body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and the pedestal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And an annular coupling member fitted into the hinge pin to allow the plate to be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when the plate is slid rearward in a state rota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개의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tbridge of the footbridge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상기 회동수단은, 육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세워진 한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기둥과 인접되어 육상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를 순환한 후 상기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voting means of 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ground and erected in an upward direction, a pulley provided on the pillar, And a wi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ate and circulating the pulley and connected to the win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육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타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gonal part of 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late extending in the land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be vertically rotatab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는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이나 파랑의 영향으로부터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육상의 지면 상으로 상기 도교를 슬라이딩시켜 보관함으로써 상기 도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도교의 지속적인 흔들림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육상연결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a pedestrian from being damaged due to a strong wind or a wave such as a typhoon, 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using the pedestrian bridg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pedestrian bridge, and also to prevent breakage of a land connection part frequently caused by continuous shaking of the pedestrian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슬라이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roop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liding process of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슬라이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liding process of a pedestrian lif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일반적으로 도교는 육상과 해상의 선박 또는 잔교 등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연결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리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바다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부력체에 의해 해상에 떠 있는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된다.In general, Taoism connects maritime and maritime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such as piers, and acts as a bridge for people or vehicles to move. Here, the pier is widely used as part of the port facility floating on the sea by the buoyant body so as to facilitate the berthing of the ship regardless of the sea level change in the sea where the difference of the tide interval is large.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종래의 도교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는 육상에 구비되는 도교연결체(10)와, 육상과 해상의 구조물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플레이트(21)를 포함하는 도교부(20), 상기 플레이트(21)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disaster relief apparatus for preventing a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bridge connecting body 10 provided on the land and a plate 21 connecting between land and sea structures, (20), and a rotating means (30) for vertically rotating the plate (21).

상기 도교연결체(10)는 해상과 인접한 육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수와 닿는 부두의 말단부 지면(G)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교연결체(10)는 지면(G)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dge connecting body 10 is provided on the land adjacent to the sea, and is fixed to the ground surface G of the wharf contacting the seaw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otbridge 10 is firmly fixed to the ground G to secure a supporting force.

상기 도교연결체(10)는 추후 상세히 설명할 상기 도교부(20)의 플레이트(21)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21)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힌지핀(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edestal bridge 10 includes a hinge pin 12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21 so that the plate 21 of the pedestal 20 can be hinged, .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도교연결체(10)는 지면(G)에 상기 플레이트(21)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에 상기 힌지핀(12)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2, the pedestal connector 10 includes a pair of support members (not shown)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G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21 11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pin 12.

상기 도교부(20)는 육상과 해상구조물(S)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플레이트(21)에 구비되는 결합구(22), 이동바퀴(23), 보조 플레이트(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edestal 2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22, a moving wheel 23 and an auxiliary plate 24 provided on the plate 21 connecting between the land and the sea structure S.

상기 플레이트(2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보행자 및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 및 차량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te 21 is preferably made of a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so that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can pass therethrough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not to be deformed or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즉, 상기 플레이트(21)는 보행자 및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late 21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a strong supporting force can be secured so that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can move safely.

또한, 상기 플레이트(21)에 폭방향의 양측에 보행자 및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21 may include a pedestrian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handrail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vehicle from falling.

상기 플레이트(21)는 일단부가 선박 또는 잔교 등의 해상구조물(S)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육상의 지면(G)에 구비되는 상기 도교연결체(10)에 연결되어 보행자 및 차량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plate 21 is connected to the sea structure S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marine structure S such as a ship or a pi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edestrian bridge 10 provided on the ground G, Let's do it.

상기 플레이트(21)는 선박 또는 잔교 등의 해상구조물(S)에 연결되는 일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도교연결체(10)의 힌지핀(12)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는 해상구조물(S) 또는 해상구조물(S)이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높이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is hinged to the hinge pin 12 of the footbridge 10 so that one end of the plate 21, which is connected to a marine structure S such as a ship or a bridge, can be turned up and down. Accordingly, when the height of the sea structure (S) or the sea structure (S) having various heights is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ide interval,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change.

이때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회동수단(3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1)의 일단부가 상하 회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plate (21) can be vertically rotated by the rotation unit (30).

또한,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해상구조물(S)과 연결되는 일단부 저면에 지지롤러(211)가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21)가 상기 해상구조물(S)과 맞닿으면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The plate 21 has a support roller 211 formed at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sea resisting structure S so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plate 21 abuts against the sea resisting structure S Can be reduced.

상기 도교부(20)는 상기 플레이트(21)가 상기 회동수단(30)에 의해 육상의 지면(G)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육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G)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결합구(22) 및 상기 이동바퀴(23)가 더 구비된다.The footing part 2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paper surface G so that the plate 21 can be seated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21 is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surface G by the pivoting means 30 The coupling means 22 and the moving wheels 23 are further provided for this purpose.

상기 결합구(22)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타단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21)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핀(12)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플레이트(21)가 육상의 지면(G)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힌지핀(12)에서 분리 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으로 형성된다.The coupling member 2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and is fitted to the hinge pin 12 so that the plate 21 can be rotated. And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n opening to be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12 when it is slid rearward.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22)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타단부 저면에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12)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21)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플레이트(2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핀(12)에서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and is inserted into the hinge pin 12, So that the hinge pin 1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12 when the plate 21 moves backward.

상기 이동바퀴(23)는 상기 플레이트(21)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21)의 저면에 복수개로 구비된다.The moving wheels 23 are provided for facilitating sliding movement of the plate 2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the moving wheels 23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21.

상기 플레이트(21)의 전후 이동경로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면(G)에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동바퀴(23)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구를 수 있도록 레일바퀴(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A rail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ground G in order to keep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path of the plate 21 constant. At this time, the moving wheel 23 is seated on the rail, (Not shown).

또한, 상기 플레이트(21)를 전후 이동시는 방법으로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타단부에 손잡이(미도시) 또는 로프(미도시)를 구비시켜 사람의 힘으로 상기 플레이트(2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람의 힘으로 상기 플레이트(21)를 이동시키기 힘든 경우라면 상기 플레이트(21)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미도시)을 구비시켜 이용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moving the plate 21 back and forth, a plate (not shown) or a rop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to move the plate 21 by human force (Not shown) that can move the plate 21 if it is difficult to move the plate 21 by human force.

상기 도교부(20)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타단부에서 육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면(G)에 지지되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edestal 20 further includes the auxiliary plate 24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ground G. [

상기 보조 플레이트(24)는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21)의 타단부에 힌지(241) 결합되어 상기 힌지(241)를 회전중심으로 타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One end of the auxiliary plate 24 is coupled to a hinge 241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2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241 is vertically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center.

상기 보조 플레이트(24)는 상기 플레이트(21)의 두께 및 상기 이동바퀴(23)에 의한 상기 지면(G)과의 높이 차이로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auxiliary plate 24 is a means for solving the inconvenience caused when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are mov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between the plate 21 and the ground G by the moving wheel 23. [

상기 보조 플레이트(24)의 타단부 저면에는 지지롤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24)가 지면(G)에 맞닿을 경우 이를 지지함은 물론 지면(G)과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A support roll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plate 24 to support the auxiliary plate 24 when the auxiliary plate 24 abuts the ground 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that occurs while touching.

한편,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플레이트(21)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unit 30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lifting or lowering the plate 21.

상기 회동수단(30)은 육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세워진 한쌍의 기둥(31)과, 상기 기둥(31)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32)와, 상기 기둥(31)과 인접되어 육상에 설치되는 윈치(33)와, 상기 플레이트(2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32)를 순환한 후 상기 윈치(33)에 연결되는 와이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voting means 30 includes a pair of pillars 31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erected in an upward direction, a pulley 32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illars 31, And a wire 34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ate 21 and connected to the winch 33 after the pulley 32 is circul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윈치(33)로 상기 와이어(34)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플레이트(21)를 상하 회동되게 함으로써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해상구조물(S)의 높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3, the rotation unit 30 rotates the plate 21 up and down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34 with the winch 33, so that the marine structure (S).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플레이트(2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21)가 지면(G)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플레이트(21)를 안전하게 육상으로 이동시켜 안착되게 할 수 있다.4, when the plate 21 is slid rearward, the rotation unit 30 can keep the plate 21 horizontal with the ground G, Can be safely moved to the ground to be seated.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의 상기 도교부(20)가 육상에 안착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in which the footbridge 20 of the footbridge lif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isa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land.

우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21)를 육상의 지면(G)과 수평을 이루도록 끌어올린다.First, as shown in Fig. 4 (a), the plate 21 is pulled up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ground G using the pivoting means 30.

상기 플레이트(21)가 지면(G)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1)를 사람의 힘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21)에 구비되는 구동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 플레이트(24)를 상부로 회전시켜 둠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1)가 이동시 지면(G)으로부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b),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21 is horizontal with the paper surface G, the plate 21 is moved by the force of a person or by a drive And is slid rearward using means (not shown).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auxiliary plate 24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te 21 from interfering with the ground G when moving.

또한, 상기 플레이트(2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회동수단(30)의 와이어(34)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윈치(33)로 상기 와이어(34)를 감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 34 is wound around the winch 33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e 34 of the pivoting means 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plate 21 is moved backward.

끝으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1)가 육상으로 이동을 마친 후 상기 보조 플레이트(24)를 다시 하부로 회전시켜 둔다. 이로써 상기 플레이트(21)가 육상에 안착되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와이어(34)가 상기 윈치(33)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져 있게 되므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4 (c), after the plate 21 has moved to the ground, the auxiliary plate 24 is rotated back downward. As a result, the plate 21 can be seated on the ground and safely stored. In this state, the wire 34 is pulled up by the winch 33 so that the wire 34 can be stably fixed unless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는 도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도교부(2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육상의 지면(G) 상에 보관함으로써 악천후 및 수면의 높이변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도교의 파손을 방지하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a pedestrian bridge is not used, 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moves the pedestrian bridge 20 backward and stores it on the ground 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footbridge caused by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pedestrian lifting device for preventing disasters 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도교연결체
11 지지부재
12 힌지핀
20 도교부
21 플레이트
211 지지롤러
22 결합구
23 이동바퀴
24 보조 플레이트
241 힌지
30 회동수단
31 기둥
32 도르래
33 윈치
34 와이어
G 지면
S 해상구조물
10 Tao bridge connector
11 support member
12 Hinge pin
20 Taoist section
21 plate
211 support roller
22 connector
23 wheels
24 auxiliary plate
241 Hinge
30 rotation means
31 pillars
32 pulleys
33 Winch
34 wire
G floor
S offshore structures

Claims (5)

해상과 인접한 육상에 구비되는 도교연결체와;
육상과 해상구조물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판부재로, 일단부가 해상으로부터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도교연결체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교부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육상의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육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A bridge connecting body provided on the land adjacent to the sea;
A plate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land and the sea structure and including a plate hinged to the pedestal link at the other end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from the sea;
A rotating means for vertically rotating the plate; Including,
Wherein the plate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ground so as to be seated on the ground while being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on the ground by the rotat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교연결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폭방향과 평행한 힌지핀이 구비되고,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육상의 지면과 수평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힌지핀에서 분리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의 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parallel to a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Wherein the plate is fitted to the hinge pin such that the plate is rotatable, and when the plate is slid rearward in a state rota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plate is separated from the hinge pin Wherein the tongue-lif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nnular coupl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개의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edestrian par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on a bottom surface of th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육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방향으로 세워진 한쌍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기둥과 인접되어 육상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를 순환한 후 상기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vo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colum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land, a pulley provided on the pillar, a winch provided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pillar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ate, And a wire connected to the winch after the pulley is circu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육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면에 지지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타단부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late in the land direction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erein one end of the auxiliary plate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plat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e up and down.
KR1020140056691A 2014-05-12 2014-05-12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KR101658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691A KR101658615B1 (en) 2014-05-12 2014-05-12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691A KR101658615B1 (en) 2014-05-12 2014-05-12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37A true KR20150129537A (en) 2015-11-20
KR101658615B1 KR101658615B1 (en) 2016-09-22

Family

ID=5484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691A KR101658615B1 (en) 2014-05-12 2014-05-12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8683A (en) * 2020-10-27 2021-01-29 招商局邮轮制造有限公司 Automatic raw material feeding device for ship assembly line manufacturing worksh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445A (en) * 2011-03-31 2012-11-01 Sankyu Inc Ship embarkation/disembarkation device
KR101315384B1 (en)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Bridge of rotary type
KR101325525B1 (en)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Footbridge apparatus and floating pier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1445A (en) * 2011-03-31 2012-11-01 Sankyu Inc Ship embarkation/disembarkation device
KR101325525B1 (en) * 2013-04-11 2013-11-07 (주)하나 Footbridge apparatus and floating pier comprising the same
KR101315384B1 (en) * 2013-04-15 2013-10-08 (주) 뉴텍 Bridge of rotary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8683A (en) * 2020-10-27 2021-01-29 招商局邮轮制造有限公司 Automatic raw material feeding device for ship assembly line manufacturing worksh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615B1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018B1 (en) Floating pier
US7509916B1 (en) Floating dock with integrated boat lift
JPH02189298A (en) Floating dock system
US4441449A (en) Port ramp for access to a roll-on roll-off ship
US11214937B2 (en) Offshore platform embarkation facility and offshore platform
KR101555362B1 (en) Floating structure
KR101325525B1 (en) Footbridge apparatus and floating pier comprising the same
KR101658615B1 (en) Footbridge lift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KR101127624B1 (en) Lifting devices for the boat docked floating platform
US20100196097A1 (en) Device for pulling out a ship
US7600946B2 (en) Mooring arrangement provided with floating mobile systems for moving booms
US20090067961A1 (en) Raised marina
US6904857B1 (en) Boat lift securing device
KR101322088B1 (en) A pontoon for small ship wharf
KR101415488B1 (en) Anchoring installation of the floated generating apparatus among the sea
KR102295306B1 (en) Class-movable bridge apparatus
KR20160005930A (en) Electrical telescopic system for accommodation ladder and its method, and the vessel or offshore platform including the same
KR102188615B1 (en) An elevating fixing type floating platform facility
JP2001088779A (en) Floating pier for raising and lowering of boat
KR102028419B1 (en) Foot bridge having auto-lifting device used in floating pier
CN106379495A (en) Wharf pile foundation underwater maintenance operation device with self-propulsion capability
KR20170123953A (en) footbridge lifting apparatus
KR102613908B1 (en) A floating platform equipped with a conveyor
US20050257727A1 (en) Floating dock lift
CN214573689U (en) Self-adaptive tidal range floating whar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