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255A -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255A
KR20150129255A KR1020140055757A KR20140055757A KR20150129255A KR 20150129255 A KR20150129255 A KR 20150129255A KR 1020140055757 A KR1020140055757 A KR 1020140055757A KR 20140055757 A KR20140055757 A KR 20140055757A KR 20150129255 A KR20150129255 A KR 2015012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detected
address
address typ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577B1 (ko
Inventor
박상길
문종환
최보현
이덕용
이슬기
김민정
노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5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기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HOME SUBSCRIBER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VOLVED PACKET CO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본 발명은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아이피 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중단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비가 많아짐에 따라 기존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체계인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에 의해 할당되는 주소가 고갈되어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비에 더 이상 새롭게 IP 주소를 할당할 수 없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기존의 주소 체계에 따른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IP 주소체계인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이 도입되었다.
IPv6이 IPv4와 다른 점은, IPv4는 32비트 주소체계에 42억 개의 주소수를 가지고 있고, A, B, C, D 클래스 CIDR(등급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로 주소를 할당하는 반면, IPv6은 128비트의 주소체계로 3.4*1038 개의 주소수를 가지고 있고, 주소도 CIDR를 기반으로 계층적으로 할당한다는 점이다.
가장 큰 장점은 IP 주소의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났다는 점인데, 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그밖에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 특정한 패킷 인식을 통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 제공, 헤더 확장을 통한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의 보장 등도 IPv6의 대표적인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는 IPv4에서 IPv6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시기에 해당하므로, IPv4에 따른 연결망과 IPv6에 따른 연결망이 별개로 존재한다.
이 경우 통신 단말기는 IPv4에 따른 IP 주소를 할당받아 IPv4 연결망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고, 또는 IPv6에 따른 IP 주소를 할당받아 IPv6 연결망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IPv4와 IPv6을 모두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가 선보이고 있다.
이 경우 IPv6에 따른 주소 할당 및 통신이 IPv4에 우선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에는 IPv6 연결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IPv4로 전환시키는 적절한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IPv6에 따라 주소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들이 복수 개 있고 IPv6 연결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들에게 새롭게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되도록 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들을 어떻게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되도록 해야 하는지, 또한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들 중 어떠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되도록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제시된 바 없다.
공개특허 제2003-00344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IPv6에 따른 주소가 할당된 상태에서 IPv6 연결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들에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먼저 착신호가 발생하는 통신 단말기에 우선적으로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기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통신 가입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통신 가입자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는,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고,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는, 통신 가입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통신 가입자에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에 IPv6에 따른 주소가 할당된 상태에서 IPv6 연결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들에 IPv4에 따른 주소가 신속히 할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먼저 착신호가 발생하는 통신 단말기에 우선적으로 IPv4에 따른 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가 빈번한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SS와 EPC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HSS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EPC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SS와 EPC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버(200)와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통신 가입자(500)는 통신 가입자(500)가 조작하는 단말기 또는 그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과 같은 통신사에 가입한 가입자를 구별할 수 있는 칩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가입자(50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에 EPC(Evolved Packet Core)(200)를 통해 접속하고, IMS 망은 구비된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300)를 이용하여 타사 IMS 망의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600) 또는 레거시 망의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IMS 망의 CSCF(300)나 타사 IMS 망의 IBCF(600), 레거시 망의 MGCF(700) 등의 연결 관계나 각각의 기능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가입자(500)가 상대방과 통신하는 경로, 특히 EPC(200)와 CSCF(30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아이피 망(400)이 존재할 수 있는데, 통신 가입자(500)에 할당된 아이피 주소의 타입에 따라 복수 개의 아이피 망(400)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상대방과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아이피 망(400)이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에 의해 구성된 망에 해당하는 IPv4 망과,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 의해 구성된 망에 해당하는 IPv6 망인 경우, 통신 가입자(500)에 IPv4에 따른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에는 IPv4를 경유하여 상대 단말기와 통신하고, 통신 가입자(500)에 IPv6에 따른 IP 주소가 할당된 경우에는 IPv6을 경유하여 상대 단말기와 통신하게 되는 것이다.
HSS(10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IMS 망에서 Provisioning을 통해 가입자 정보(ID, 서비스 권한, 인증, 상태 및 iFC정보 등)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HSS(100)는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관리하는데, 이러한 HSS(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의 기능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S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 추출부(120), 판단부(130), 전송부(140), 호 연결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10)는 상술한 EPC(즉, 호 처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고, 복수 개의 아이피 망(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4와 IPv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가입자(500)가 IPv4에 따른 IP 주소를 할당받은 경우의 그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4가 되고, 통신 가입자(500)가 IPv6에 따른 IP 주소를 할당받은 경우의 그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6이 될 수 있다.
저장부(110)는 EPC(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고, 각 아이피 망과 주기적으로 직접 통신하여 특정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 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저장부(110)는 후술하는 전송부(140)가 재접속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EPC(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갱신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10)는 실제 데이터 또는 정보가 저장되는 물리적 저장 공간(미 도시함)은 물론이고, 그러한 물리적 저장 공간에 소정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미 도시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통신 가입자(500)는 상대방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가입자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추출부(120)는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부(110)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판단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저장부(110)에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착신 가입자(500)에 IPv6에 따른 IP 주소가 할당되고 있는 경우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6이 되는데, IPv6 망에 장애가 발생하여 저장부(110)에 IPv6 장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전송부(14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된다고 판단부(130)에 판단한 경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500)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EPC(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송부(140)의 재접속 제어 신호에 따라 EPC(200)와 통신 단말기(500) 간의 통신에 의해 통신 단말기(500)는 망에 재접속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호 연결 제어부(150)는 착신호에 대한 판단부(130)의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착신 가입자(500)에 대응되는 착신 CSCF 주소를 추출하여 발신측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발신측 CSCF(미 도시함)는 INVITE 신호를 착신 CSCF(300)에 전송하여 결국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EPC(200)는 상술한 HSS(100)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200)로서, 통신 가입자(500)의 요청에 따라 IMS과 통신하여 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EPC(200)는 MME, PGW, SGW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세션 관리, 이동성 관리와 같은 호처리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엔티티이고, SGW(Serving Gateway)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eNodeB간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과 다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망간의 핸드오버 시 기준점이 되는 엔티티이며, PGW(PDN Gateway)는 단말과 외부 데이터 망사이의 연결성를 제공하며 LTE 망과 non-3GPP 망간의 핸드오버 시 기준점이 되는 엔티티이다.
이러한 EPC(200)의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도 3에 도시된 각 기능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MME, PGW, SGW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C(200)는 요청 수신부(210), 선택부(220), 할당부(230), 정보 제공부(240), 저장부(250), 재접속 유도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는 통신 가입자(5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가입자(500)의 접속 요청 신호는 최초의 위치 등록 시점,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500)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는 시점에 발생할 수 있다.
선택부(220)는 요청 수신부(210)에 수신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선택부(220)는 통신 가입자(500)가 IPv4와 IPv6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IPv6을 IPv4에 우선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할당부(230)는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통신 가입자(500)에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할당부(230)는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IPv6으로 선택한 경우 IPv6에 따른 아이피 주소를 해당 통신 가입자(500)에 할당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복수 개의 아이피 망(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각 아이피 망과의 주기적인 통신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할당부(230)에 의해 할당된 각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선택부(220)에서 선택된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24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장애 정보를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재접속 유도부(260)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로부터 소정의 통신 가입자(500)에 대한 재접속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통신 가입자(500)에게 재접속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접속 유도 신호는 통신 가입자(500)의 단말기로 하여금 재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유도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신 가입자(500)의 단말기 전원이 꺼졌다가 다시 켜진 후 수행하는 접속 요청 과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재접속 유도 신호를 수신한 통신 가입자(500)로부터 재접속 요청 신호가 요청 수신부(210)에 수신되면, 상술한 선택부(220)는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 타입을 재선택하고, 상술한 할당부(230)는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재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가입자(500)에게 할당하며, 상술한 정보 제공부(240)는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을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C(200)와 HSS(100) 및 통신 가입자(500)에 대응되는 통신 단말기(500)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HSS(100)에 통신 가입자(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이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통신 가입자(500)의 통신 단말기(500)는 IPv4와 IPv6을 모두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통신 가입자의 통신 단말기(500)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새로 전원을 켜는 경우, IPv4와 IPv6 모두 지원한다는 정보(PDN Type : IPv4v6)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Attach Request)를 EPC(200)로 전송한다(단계 S1).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의 접속 요청신호에 따라 HSS(100)에 통신 단말기(500)의 접속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고(ULR)(단계 S3), HSS(100)는 해당 통신 가입자(500) 또는 통신 단말기(500)에 대응되어 기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신 단말기(500)에게 IPv4 또는 IPv6 중 어느 것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라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할당하라는 응답 신호(ULA 신호[APN:IMSv6, PDN Type=IPv4v6])를 EPC(200)에 전송한다(단계 S5).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에서 수신된 정보와 HSS(10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신 단말기(500)에 IPv4에 따른 아이피 주소와 IPv6에 따른 아이피 주소가 모두 할당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 중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IPv6에 따른 아이피 주소를 할당한다(단계 S7).
이어서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로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완료 신호(Attach Accept[IMS,IPv6])를 전송(단계 S9)하는 한편, HSS(100)로 통신 단말기(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NOR[APN:IMSv6,IP=IPv6])를 전송한다(단계 S11).
이에 HSS(100)는 EPC(200)에 응답 신호(NOA)를 전송(단계 S13)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가입자(500) 또는 그 통신 가입자(500)의 통신 단말기(500)에 특정 아이피 주소 타입(본 실시예에서는 IPv6 주소 타입)을 매칭시켜 저장한다(단계 S15).
이처럼 HSS(100)에 각 통신 가입자(500) 또는 그 통신 단말기(500)에 매칭되는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해 놓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IPv6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착신호가 발생하는 착신 가입자(500)로 하여금 신속하게 IPv4에 따른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5는 도 4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미 통신 가입자(즉, 착신 가입자)(500)가 IPv6에 따른 아이피 주소를 할당받은 상태를 전제로 한다.
EPC(200)는 IPv6 망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21), IPv6 장애 상태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단계 S23), HSS(100)에 IPv6 장애 상태를 알린다(단계 S25).
HSS(100)는 소정의 플래그 값을 변경하는 방식 등으로 IPv6 장애 상태를 저장한다(단계 S27).
한편, 발신망으로부터 착신 요청 신호(LIR)가 수신되면(단계 S29), HSS(100)는 착신 가입자(500)의 IP 주소 타입이 장애 발생 IP 망에 대응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1).
본 실시예에서는 IPv6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일 예로 하였으므로, HSS(100)는 착신 가입자(500)의 IP 주소 타입이 IPv6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판단 결과, 착신 가입자(500)의 IP 주소 타입이 장애 발생 IP 망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단계 S31) HSS(100)는 정상처리를 수행하는데(단계 S33), 예를 들어 LIR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CSCF 주소를 포함하는 LIA 신호를 발신망에 전송할 수 있다.
판단결과, 착신 가입자(500)의 IP 주소 타입이 장애 발생 IP 망에 대응되는 경우(단계 S31), 즉 착신 가입자(500)의 IP 주소 타입이 IPv6에 해당하는 경우 HSS(100)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EPC(200)에 전송한다(단계 S35).
HSS(100)로부터 재접속 제어 신호를 수신한 EPC(200)는 착신 가입자(500)에게 재접속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데(단계 S37), 여기서 재접속 유도 신호는 Detach/Reattach 신호로서, 착신 가입자의 단말기(500)로 하여금 재접속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재접속 유도 신호를 수신한 착신 가입자 단말기(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통신 가입자(500)의 통신 단말기(500)는 IPv4와 IPv6 모두 지원한다는 정보(PDN Type : IPv4v6)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신호(Attach Request)를 EPC(200)로 전송한다(단계 S39).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의 접속 요청신호에 따라 HSS(100)에 통신 단말기(500)의 접속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고(ULR)(단계 S41), HSS(100)는 해당 통신 가입자(500) 또는 통신 단말기(500)에 대응되어 기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신 단말기(500)에게 IPv4 또는 IPv6 중 어느 것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라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할당하라는 응답 신호(ULA 신호[APN:IMSv6, PDN Type=IPv4v6])를 EPC(200)에 전송한다(단계 S43).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에서 수신된 정보와 HSS(10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신 단말기(500)에 IPv4에 따른 아이피 주소와 IPv6에 따른 아이피 주소가 모두 할당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 중 현재 IPv6 망에 장애가 있음을 알고 있으므로, IPv4에 따른 아이피 주소를 할당한다(단계 S45).
이어서 EPC(200)는 통신 단말기(500)로 할당된 아이피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완료 신호(Attach Accept[IMS,IPv4])를 전송하는 한편(단계 S47), HSS(100)로 통신 단말기(500)의 아이피 주소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NOR[APN:IMSv6,IP=IPv4])를 전송한다(단계 S49).
이에 HSS(100)는 EPC(200)에 응답 신호(NOA)를 전송(단계 S)51함과 아울러 해당 통신 가입자(500) 또는 그 통신 가입자(500)의 통신 단말기(500)에 특정 아이피 주소 타입(즉, IPv4 주소 타입)을 매칭시켜 저장한다(단계 S53).
한편, HSS(100)는 이처럼 착신 단말기(500)의 재접속 요청에 따라 착신 가입자(500)에게 새로운 아이피 주소 타입이 매칭되어 저장된 이후에 발신망의 LIR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써 LIA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착신 가입자(500)에게 새로운 아이피 주소 타입(IPv4)의 아이피 주소가 할당된 이후에 HSS(100)가 발신망에 LIA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와 즉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착신 가입자(500)에게 새로운 아이피 주소 타입(IPv4)의 아이피 주소가 할당되기 전에 HSS(100)가 발신망에 LIA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발신 단말기는 착신 단말기와 즉시 연결되지는 않지만 추후에 재발신을 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와 즉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EPC와 HSS 사이에는 IPv4 망이나 IPv6망 또는 CSCF 등의 장치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본원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발신측으로부터 통화를 위한 호가 발생한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발신측으로부터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HSS 200 : EPC
300 : CSCF 500 : MGCF
600 : IBCF 110 : 저장부
120 : 추출부 130 : 판단부
140 : 전송부 150 : 호 연결 제어부
210 : 요청 수신부 220 : 선택부
230 : 할당부 240 : 정보 제공부
250 : 저장부 260 : 재접속 유도부

Claims (13)

  1.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는 단계와;
    (b)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c)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추출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기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가입자로의 착신 호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기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되는 착신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주소를 추출하여 발신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4와 IPv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
  4.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통신 가입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통신 가입자에 할당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장애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의 통신 가입자에 대한 재접속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통신 가입자에게 재접속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상기 재접속 유도 신호를 수신한 통신 가입자로부터 재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 타입을 재선택하고 그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재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가입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저장하고,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착신 호가 감지되면 그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한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착신 호에 대응되는 착신 가입자가 재접속하도록 하는 재접속 제어 신호를 상기 호 처리 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재접속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갱신 저장하고,
    새로운 착신호에 대한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착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이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응되는 착신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주소를 추출하여 발신측에 제공하는 호 연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주소 타입은 IPv4와 IPv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11.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호 처리 서버에 있어서,
    통신 가입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통신 가입자에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통신 가입자의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아이피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이피 망에 대한 장애가 감지된 경우 그 장애가 감지된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장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장애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의 통신 가입자에 대한 재접속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하는 통신 가입자에게 재접속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 재접속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유도 신호를 수신한 통신 가입자로부터 재접속 요청 신호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선택부는 장애가 감지되지 않은 아이피 망에 대응되는 아이피 주소 타입을 재선택하고,
    상기 할당부는 상기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에 해당하는 아이피 주소를 상기 재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가입자에게 할당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재선택된 아이피 주소 타입을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KR1020140055757A 2014-05-09 2014-05-09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9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57A KR101596577B1 (ko) 2014-05-09 2014-05-09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57A KR101596577B1 (ko) 2014-05-09 2014-05-09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55A true KR20150129255A (ko) 2015-11-19
KR101596577B1 KR101596577B1 (ko) 2016-02-23

Family

ID=5484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757A KR101596577B1 (ko) 2014-05-09 2014-05-09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5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412A (ko) 2001-10-23 2003-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포트 변환 전이를 이용한 아이피브이6-아이피브이4주소 변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090232022A1 (en) * 2008-03-17 2009-09-17 Teemu Ilmari Savolainen Transition between IP protocol versions
US20120207129A1 (en) * 2011-02-11 2012-08-16 Li-Hsiang Su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412A (ko) 2001-10-23 2003-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포트 변환 전이를 이용한 아이피브이6-아이피브이4주소 변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090232022A1 (en) * 2008-03-17 2009-09-17 Teemu Ilmari Savolainen Transition between IP protocol versions
US20120207129A1 (en) * 2011-02-11 2012-08-16 Li-Hsiang Su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577B1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417B2 (en)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US8787200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pplication terminals in home network
US8606937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home gateway, and home network system
US9537821B2 (en) Method for PCC support for scenarios with NAT in the GW
US20140071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DN Connections
CN109495594B (zh) 一种数据传输方法、pnf sdn控制器、vnf sdn控制器及系统
US10575165B2 (en) Routing based on access point name (APN) information
WO2018085034A1 (en) Sip call continuity upon failure
US8086210B2 (en) Flow based layer 2 handover mechanism for mobile node with multi network interfaces
JP5828952B2 (ja) 通信システム、ノード、フロー制御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5041810A (ja) パケット振り分け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31273B2 (en) Handling of IMS services in a roaming scenario of a user equipment
JP2019518382A5 (ko)
KR101596577B1 (ko)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호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4301450A (zh) 寻址的方法及装置
US9191805B2 (en) Connecting devices to a policy charging rules function device
JP7261759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プレーン間の死活監視方法、pgw-c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30656A1 (en) Dynamic pcrf/pcf selection
JP6582473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1750166B1 (ko) S/p-gw 및 그 제어방법
KR102222478B1 (ko) Lte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pgw, ha와 그 제어방법
EP3016364B1 (en) Duration based routing
WO20161280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with a local device of a local network
JP5516271B2 (ja) 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制御方法、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制御装置、及び、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2019102825A (ja) 呼接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