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191A -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 Google Patents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191A
KR20150129191A KR1020140055122A KR20140055122A KR20150129191A KR 20150129191 A KR20150129191 A KR 20150129191A KR 1020140055122 A KR1020140055122 A KR 1020140055122A KR 20140055122 A KR20140055122 A KR 20140055122A KR 20150129191 A KR20150129191 A KR 2015012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nergy dissipating
vehicle
wedge
dissip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동
고만기
한기장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191A/en
Publication of KR2015012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vehicle crash barrier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shock due to a vehicle crash by replacing an existing fixed nut of an existing substandard vehicle crash barrier into a new eyenut by using a cable fixing means to install a reinforcing cable absorbing initial shock and adding an energy dissipation device using a compressive deformation method of a spring or a buckling distortion method of a steel sheet to disperse crash energy several times. The main purpose of the vehicle crash barrier i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a vehicle in case of a vehicle crash, to minimize damage to the vehicle and injuries of passengers, and to return the vehicle to a normal progress direc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improved vehicle crash barrier providing an effect meeting standard requirement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crash barrier.

Description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a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본 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신 규격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차량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보다 강화된 설계규정에 적합한 방호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강화 케이블과 에너지 소산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차량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a reinforced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vehicle protection fence without applying the latest specification, To a reinforced vehicle protection fence and to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on fence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cable and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further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방호울타리라 함은 '도로법 제3조', '도로법 시행령 제1조의 3'에서 "도로의 부속시설"로 정의되고 있으며, 주행 중 진행방향을 잘못 잡은 차량이 차도 밖, 대향차도 또는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량을 정상 진행방향으로 복원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방호울타리는 주행 중 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보도 등 길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와 차량 파손을 줄이는 목적으로 설치되어진다.The term "guarded fence" is defined as "the accessory of the road" in the "Road Law Act 3" and the "Road Act Enforcement Decree No. 1, 3", and the vehicle that is misguid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outside the roadway, opposite roadway, It is a facility that prevents departure or restores the vehicle to the normal traveling direction. These protective fence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al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road such as the sidewalk while reducing the injury of the passenger and the damage of the vehicle.

이 때문에 국토교통부는 2012년 11월 '도로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을 개정, 기존 7개 등급에서 9개 등급으로 확대하고 충격흡수시설물을 실제 충돌시험을 통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안전기준을 강화하였다.As a result,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revised 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Road Safety Facilities in November 2012, expanded the existing seven grades to nine grades, and strengthened the safety standards to use shock- Respectively.

일례로 SB4 성능등급의 방호울타리 기준규격은 무게 14t 차량이 시속 65㎞의 속도, 15도의 각도로 충돌했을 경우를 견뎌내야 한다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B4 performance grade fencing standard requires that a 14-ton vehicle be able to withstand a collision of 15 km / h at a speed of 65 km / h.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로연장은 2011년 기준 105,931km이나 방호울타리 설치연장은 총 도로연장의 약 20% 수준인 약 21,000km 정도이고 이중 약 19,000km(90%)가 이전의 규격기준이 적용된 방호울타리이다. 이는 2012년 11월 '도로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과 같은 최근의 성능평가 기준이 정립되기 이전의 규격기준이 적용된 미검증 방호울타리로 볼 수 있다.However, the road extension of Korea is 105,931km as of 2011, but the extension of the protection fence is about 21,000km, which is about 20% of the total road extension, and about 19,000km (90%) is the protection fence applied the previous standard. This can be regarded as an unprotected protection fence to which standard specifications were applied before recent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such as 'road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were established in November, 2012.

이러한 미검증 방호울타리의 성능 기준 미달로 인하여 차량이 철제펜스와 가드레일을 뚫고 떨어져 탑승자가 다치는 차량 추락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Due to the lack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such unprotected protective fences, it is a reality that the vehicle frequently breaks through the steel fence and guardrail and the passenger is injured.

상기와 같은 미검증 방호울타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돌시험을 통하여 성능이 검증된 방호울타리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전국적으로 약 3조원, 충청권은 약 4,000억 정도(교체비용 1.5억/km 적용)의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nprotected protection fence described above, when the performance is verified through the collision test, it is about 3 trillion KRW nationwide, and Chungcheong region about 400 billion KRW (replacement cost: 150 million KRW) It is known that a huge budget is needed.

그러므로 한정된 예산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기존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성 있는 개선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guard fence efficiently by using a limited budget, economical improvement techniques are needed.

KR 공개특허공보 A 제10-2007-0008866(2007.01.18.)KR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8866 (January 18, 2007) KR 등록특허공보 B1 제10-1198826(2012.11.01.)KR Patent Publication No. B1 10-1198826 (Nov. 1, 20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기존 방호울타리에 추가로 설치하는 보강 수단인 강화 케이블과 에너지 소산 장치를 통하여 이중 삼중으로 단계별 분산시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fuel cell system and a fuel cell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vehicle shock absorbing f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방호울타리에 강화 케이블을 설치하여 보강하는 방식으로 기 설치된 방호울타리의 해체과정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차량 방호울타리의 개선된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vehicle shock-absorbing security fence of a conventional vehicle security fence by installing reinforced cables in existing security fences and reinforcing them without disassembly of the existing security fences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강화 케이블을 설치 시 추가적인 에너지 소산 장치를 구비하여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ecurity fence by providing an additional energy dissipation device when installing the reinforcing cable.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와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로서, 상기 가드레일은 인접하는 가드레일의 인접 단부를 상기 가드레일 연결구의 양측에 끼우고 나사와 고정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가드레일 연결구의 연결 수단인 상기 고정너트를 아이너트로 대체하고, 상기 아이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가드레일을 따라 가로로 횡단하는 케이블을 설치하여 차량의 충격에 의한 차량 충격 흡수를 보강하는 차량 방호울타리를 개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protection fence including a support and guard rails, wherein the guard rails sandwich the adjacent end portions of the adjacent guard rails on both sides of the guardrail connection port, Wherein the fixing nut is a connecting means of the guard rail connecting port, and the cable is transversely passed through the eye nut to cross the guard rail. Discloses a vehicle protection fence that augments a vehic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의 상기 아이너트는 상기 고정너트와 호환하는 둥근 고리 형태이며, 상기 가드레일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지고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게 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지주 하단부에 장력을 조절하는 턴버클장치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eye n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round ring compatible with the fixing nut and is installed along the side of the guard rail to allow the cable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cable is connected by a turnbuckle device To provide a fixed connection.

본 발명은 상기 아이너트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의 에너지 흡수를 더욱 보강하게 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상기 케이블과 쐐기와 쐐기그립링 및 서포트링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압축 변형하는 스프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for passing the cable and the wedge and the wedge grip ring And a spring device which is coupled by using the support ring and is compressively deformed by the eye nut when a tensile force of the cable is generated due to an impac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상기 케이블과 쐐기와 쐐기그립링 및 서포트링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좌굴 변형하는 강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ble is penetrated, the cable and the wedge are combined using the wedge grip ring and the support ring, and when the tension of the cable is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Wherein the steel pipe is a deformed steel pip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쐐기는 내측은 상기 케이블의 정착력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강하게 정착시킬 수 있고, 외측에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의 지름이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지름보다 작고, 타단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케이블 정착 소켓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쐐기그립링은 상기 쐐기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의 외주 둘레면에 파여진 쐐기둘레홈에 끼워서 상기 케이블을 강하게 결박시키는 케이블 정착 고리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포트링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 보다 내부 지름이 큰 원통형구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갖고, 상기 쐐기와 결합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아이너트에 의한 걸림과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geometric shape so as to increase the fixation force of the cable so that the cable can be fixed firmly. On the outer side, a diameter of one end is set so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an be fitted Wherein the wedge grip ring has a diameter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diameter of the other end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Wherein the supporting ring has a cylindrical sphere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able, and the wedge and the wedge- The combined energy dissipating device may act as a catch and buffer against the eye nut To ensure that the cap can b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지주와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호울타리에 상기 가드레일 연결 기능만을 하는 고정너트를 가드레일 연결기능과 케이블 장작 기능을 위한 아이너트로 대체하는 아이너트 교체단계;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에서 적용된 상기 아이너트에 강화 케이블을 관통 삽입하는 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에서 상기 아이너트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충격 흡수를 보강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를 설치하는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 상기 케이블 끝단을 최 외측 지주 하단부에 연결하고 턴버클 형태의 케이블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고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including a support and a guard rail, wherein a fixing nut that functions only as a guard rail connecting function to the guard fence is replaced with an eye nut for a guard rail connection function and a cable fire function An eye nut replacement step; A cable connecting step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cable into the eye nut applied in the eye nut replacing step; Installing an energy dissipating means for inserting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that penetrates the cable between the eye nuts in the cable connecting step to reinforce impact absorption when a tensile force of the cable is generated; And a cable fixing step of connecting the cable end to the outermost support lower end and adjusting and fixing the tension of the cable by using a turnbuckle type cable fix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는 상기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한 쐐기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쐐기 결합단계, 상기 쐐기에 압축력을 보강하여 상기 케이블을 최종 정착하는 쐐기그립링 결합단계, 상기 쐐기에 의하여 정착된 상기 케이블에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끼움 연결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 연결단계, 상기 쐐기와 연결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에 서포트링을 연결하는 서포트링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dge joining step of passing the cable through a wedge for fixing the cable, a wedge grip ring joining step for reinforcing a compression force on the wedge to final fix the cable, Connect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the cable fixed by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support ring coupling step of connecting the support ring to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wedge. have.

또한,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에서 설치되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쐐기와 쐐기그립링 및 서포트링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압축 변형하는 스프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에서 설치되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고 쐐기와 쐐기그립링 및 서포트링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좌굴 변형하는 강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may be coupled with the cable through a wedge, a wedge grip ring, and a support ring, and when the cable generates a tensile force due to an impact of the vehicle, Where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s inserted through the cable and coupled using a wedge and a wedge grip ring and a support ring, And is a steel pipe device that buckles and deforms by the eye nut when tensile force of the cable is generated due to impact.

본 발명은 종래의 기준 규격 미달 차량 방호울타리를 보강하는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 방호울타리의 고정 너트를 신형 아이너트로 교체하고, 초기 충격을 완충하는 강화 케이블을 배치하여 보강하는 방식으로서, 기존 방호울타리의 해체과정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shock absorbing protective fence that reinforces a conventional standard fence protection fence, replacing a fixing nut of a conventional fence with a new type of cannut, and reinforcing the reinforcing cable to cushion the initial impact , It can be installed without disassembly process of existing security fence, so that it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excellent in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는 추가 에너지 소산 장치로 스프링 압축 변형 또는 강판의 좌굴 변형과 같은 충격 흡수 방식을 이용한 방호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차량 충돌 시 이차적으로 충격 에너지가 분산되고 줄어들어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차량 방호울타리 성능평가 규격기준에 만족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ehicle shock absorbing protective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on device using an impact absorbing system such as a spring compression deformation or a buckling deformation of a steel plate is added to an additional energy dissipating device, so that impact energy is dispersed and reduced secondarily in a vehicle collision, And to provide an effect that satisfi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of the vehicle protection fence.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 보강방법을 이용하여 성능이 향상되고 규격기준에 부합하는 차량 방호울타리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vehicle shock absorbing barrier fenc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vehicle barrier fen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and meeting specifications.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가드레일 형식 방호울타리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너트 결합을 아이너트로 교체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에 있어 스프링장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분해도 및 정착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에 따른 쐐기에 의한 케이블 정착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평면도.
도 4d는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에 따른 강관장치에 있어서 서포트엔드캡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e는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에 따른 강관장치에 있어서 서포트링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을 이용하여 보강된 방호울타리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하단부의 턴버클식 케이블 고정을 보이는 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와 차량 충돌 전 후의 예시를 보이는 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와 차량 충돌 전 후의 예시를 보이는 예시도.
도 10은 서포트링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의 양방향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typical conventional guardrail-style guard fence;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replacement of a fixed nut coupling with an eye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n exploded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showing a spring device attachment method in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fixation by a wedge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of FIG. 4A; FIG.
Figure 4c is a top view of Figure 4a.
4 (d)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the support end cap in the steel pipe device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Fig. 4E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the support ring in the steel pipe device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reinforced security fence using a reinforcing method of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a spring 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lan view of FIG. 7A. FIG.
FIG.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a turnbuckle cable fixture at the lower portion of a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ring 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n example before and after a vehicle coll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eel pipe 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before and after a vehicle collis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coupling state of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a support 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a reinforced vehicle security fence.

차량 방호울타리는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길 밖, 대향차로 또는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도로 줄이고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물이다.The vehicle protection fence prevents the vehicle departing from the normal traveling route during traveling from being out of the way, the opposite lane or the sidewalk,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damage of the occupant and the damage of the vehicle to a minimum and returning the vehicle to the normal traveling direction It is a facility to install.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가드레일 형식 방호울타리를 보인 예시도이고,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ventional guardrail type protective fence,

도시와 같이 일반적인 가드레일 형태의 방호울타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매설하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가드레일(20)을 고정시킴으로써 차량 충격 흡수를 하는 방호울타리로서, 상기 가드레일(20)의 후면에는 인접 단부를 가드레일(20) 연결구의 양측에 끼우고 나사와 고정너트(12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가드레일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주(10)와 가드레일(20)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a general guardrail-type guard fence includes a plurality of struts 10 fixed at regular intervals and fixed in the ground vertically, and a guard rail 20 fixed to the struts 10, As a fence, guard rails (20)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s (20) by guard rails fixing means that are connected by fitting adjacent ends of the guard rails (20) 10 and the guard rail 20 are fixed to each other.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의해 결합된 가드레일 형태만을 갖는 방호울타리가 최신 성능평가 기준이 정립되기 이전의 규격기준이 적용된 미검증 방호울타리라면 성능 기준 미달로 인하여 차량이 철제펜스와 가드레일을 뚫고 떨어져 탑승자가 다치는 차량 추락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general, if a guard fence having only a form of guard rail combined with a support and a support structure is not yet verified as a standard fence before the latest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is established, It is possible that frequent crashes such as a vehicle crash that breaks and breaks the passenger.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차량 충격 흡수를 하는 일반적인 방호울타리의 보강을 통하여 최신 규격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차량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강화 케이블(30)과 에너지 소산 장치를 구비하여 차량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보다 강화된 설계규정에 적합한 방호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einforced cable 30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protection fence without applying the latest standar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general protection fence for carrying out the abov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otective fence that further enhances the performance of the fence or conforms to a more robust design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은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 케이블 연결단계(S200),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 및 케이블 고정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guard fence includes the step of replacing the nut (S100), the step of connecting the cable (S200), the step of installing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S300), and the step of fixing the cable (S400).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는 기존의 방호울타리에서 가드레일 연결 수단인 고정너트(120)를 본 발명의 아이너트(40)로 대체하는 단계로서, 가드레일 연결기능과 케이블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아이너트(40)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The step of replacing an eye nut (S100) is a step of replacing a fixing nut 120, which is a guard rail connecting means, with an eye nu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isting security fence, The nut 40 is applied.

도 3은 도 1의 후면 예시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 후면의 너트 결합을 아이너트로 교체함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에서 가드레일 연결 수단인 기존 고정너트(120)를 아이너트(40)로 대체할 시, 케이블의 배열과 설치 수에 따라 일정 선택되어진 기존 고정너트(120)만을 본 발명의 아이너트(40)로 대체할 수 있다.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and illustrates an example of replacing a nut coupling on a rear surface of a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eye nut. In the eye nut replacing step S100, When replacing the fixing nut 120 with the eye nut 40, only the conventional fixing nut 120 selec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the number of cables can be replaced with the eye nu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상단과 하단에서 2열의 케이블을 연결할 시에 교체되어지는 아이너트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주(10) 반대편에서 교체되는 아이너트(40)는 미도시 되었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n eye nut to be replaced when connecting two lines of cable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eye nut 40 to be replac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10 is not shown.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200)는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에서 교체 적용된 아이너트(40)에 강화 케이블(30)을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단의 아이너트(40)에 1열의 케이블을 관통 삽입하고, 하단의 아이너트(40)에 다른 1열의 케이블을 관통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케이블(30)은 여러 가닥의 강철 철사를 꼬아 만든 강화 와이어이다.The cable connecting step S200 is a step of attaching the reinforcing cable 30 to the in-nuts 40 to be replaced in the in-nut replacing step S100, And the other one row of cables is inserted into the lower-side eye nut 40 by inserting. The cable 30 is a reinforcement wir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of steel wire.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200)에서는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를 포함하여 진행되어진다.In addition, in the cable connection step S200, an energy dissipation means installation step S300 is performed.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는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에서 교체되어진 아이너트(40)의 사이에 본 발명의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 또는 강관장치(6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nstalling step S300 may include installing the spring device 50 or the steel pipe device 60, which i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eye nuts 40 that have been replaced in the eye nut replacing step S100 .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에 있어 스프링장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분해도 및 정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에 따른 쐐기에 의한 케이블 정착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평면도이다.FIG. 4A is an exploded view and a fixing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ring device attachment method in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ectional view of a cable fixation by a wedge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of FIG. , And Fig. 4C is a plan view of Fig. 4A.

또한, 도 4d는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에 따른 강관장치에 있어서 서포트엔드캡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e는 강관장치에 있어서 서포트링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4D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the support end cap in the steel pipe device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Fig. 4E is a top view to be.

이에 도시에 따라,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에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30)과 결합되어진다.Accordingly, in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nstalling step (S300),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cable (30) through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 또는 강관장치(60)에 쐐기(80)와 쐐기그립링(90) 및 서포트링(100)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uses a method of joining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and the support ring 100 to the spring device 50 or the steel pipe device 60 a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

상기 쐐기(80)는 상기 케이블(30)을 내측에서 강하게 정착시킬 수 있고, 외측에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케이블 정착 소켓이다.The wedge 80 is a cable fixing socket capable of fixing the cable 3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fitt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to the outside.

그러므로 상기 쐐기(80)의 내측은 기하학적 형상으로 상기 케이블(30)의 정착력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의 지름이 작고, 타단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켓 구성과, 외측 둘레면에 파여진 쐐기(80)둘레홈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있다.Therefore, the inner side of the wedge 80 is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cable 30 in a geometrical shape, and the outer side has a small diameter at one end so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an be engaged with the other, And a circumferential groove around the wedge 80 that is wor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쐐기그립링(90)은 상기 케이블(30)이 상기 쐐기(80)에 관통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80)의 외주 둘레면에 파여진 상기 쐐기(80)둘레홈에 끼워서 상기 케이블(30)을 강하게 결박시키는 케이블 정착 고리이다.The wedge grip ring 9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round the wedge 8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80 while the cable 30 is connected to the wedge 80, It is a cable fixation ring that strongly ties up.

그러므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쐐기(80)와 상기 쐐기그립링(90)을 통하여 정착되게 된다.Therefore, the cable is fixed through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이후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정착된 상기 케이블(30)에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 또는 강관장치(60)가 상기 쐐기(80)의 일단을 통하여 삽입 연결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쐐기(80)의 외측으로 일단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spring device 50 or the steel pipe device 60 which i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cable 30 fixed by the wedge 80 through one end of the wedge 80. [ At this time,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fixed to one end of the wedge 80 by being inserted into the wedge 80.

이후 상기 서포트링(100)을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에 끼움 결합한다.Then, the support ring 100 is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상기 서포트링(100)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 보다 내부 지름이 큰 관통구와 상기 케이블(30)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갖고, 상기 쐐기(80)와 결합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아이너트(40)에 의한 걸림과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 마개와 같은 원통형 링이다.Wherein the support ring (100) has a through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able (30),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ed with the wedge (80) And a cushion stopper which serves as a cushioning and buffering function.

그러므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와 결합된 상기 서포트링(100)은 끝단이 상기 아이너트(40)의 지름보다 커서 상기 케이블(30)이 차량 충돌에 의한 인장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아이너트(40)에 걸리는 반발에 의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의 압축 변형 또는 강관장치(60)의 좌굴 변형을 가져오게 한다.
Therefore, when the support ring 100 coupled with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has an e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ye nut 40 so that the cable 30 is pulled by a tensile force due to a vehicle collision, The repulsion causes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spring device 50, which i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or buckl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evice 6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은 쐐기 결합단계(S310), 쐐기그립링 결합단계(S320), 에너지 소산 장치 연결단계(S330), 서포트링 결합단계(S340)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mounting step S300 is performed through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joining method includes a wedge joining step S310, a wedge grip ring joining step S320, The device connection step S330, and the support ring connection step S340.

상기 쐐기 결합단계(S310)는 상기 케이블(30)을 정착시키기 위한 상기 쐐기(80)에 상기 케이블(30)을 관통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쐐기그립링 결합단계(S320)는 상기 쐐기(80)에 압축력을 보강하여 상기 케이블(30)을 최종 정착하는 단계이다.The wedge joining step S310 is a step of penetrating the cable 30 to the wedge 80 for fixing the cable 30 and the wedge grip ring joining step S320 is a step for joining the cable 30 to the wedge 80 And reinforcing the compressive force to finally fix the cable 30.

또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연결단계(S330)는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정착된 상기 케이블(30)에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 또는 강관장치(60)를 끼움 연결하는 단계이고, 상기 서포트링 결합단계(S340)는 상기 쐐기(80)와 연결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에 상기 서포트링(100)을 연결하는 단계이다.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ing step S330 is a step of fitting the spring device 50 or the steel pipe device 60 a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the cable 30 fixed by the wedge 80, The supporting ring coupling step S340 is a step of connecting the support ring 100 to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wedge 80. [

또한, 상기 서포트링 결합단계(S340)에서 사용되어지는 상기 서포트링(100)을 대체하여 서포트엔드캡(110)을 사용할 수도 있다.Also, the support end cap 110 may be used in place of the support ring 100 used in the support ring assembling step S340.

상기 서포트엔드캡(110)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 보다 내부 지름이 작은 관통 연결 원통과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아이너트(40)에 의한 걸림과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름이 큰 마개 형태를 갖는 캡이다.The support end cap 110 has a through connecting cylinder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cap having a large diameter so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an act as a hook and buffer by the eye nut 40 It is a cap.

또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은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중간부에서 상기 케이블(30)을 정착시키고 양방향으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관통 결합하고 좌우 끝단에 상기 서포트링(100) 또는 서포트엔드캡(110)을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includes fixing the cable 30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the wedge 80, penetrat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 both directions and connecting the support ring 100 Or the support end cap 110 may be combined to provide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그러므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을 통하여 결합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30)이 쐐기(80) 내부에 정착되고,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상 시, 케이블이 잡아끄는 방향으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이동하되, 상기 서포트링(100) 또는 서포트엔드캡(110)이 상기 아이너트(40)에 의하여 걸리면서, 상기 에너지 소산장치의 압축 변형 또는 좌굴 변형을 가져오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쐐기(80)를 일 끝단에 위치하여 단방향으로 작동되거나, 상기 쐐기를 중앙에서 정착하고 양단으로 에너지 소산 장치를 장착하여 양방향으로 작동되게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서포트링에 의한 에너지 소산 장치의 양방향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Therefore,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ed through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ble 30 is fixed to the wedge 80 by the wedge 80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Where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pulls when the tension of the cable is generated and the support ring 100 or the support end cap 110 is caught by the eye nut 40,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operated in a unidirectional manner by locating the wedge 80 at one end or fixing the wedge at the center, So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an be coupled to operate in both directions. Fig. 10 show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i-directional coupling state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by the support ring.

상기 케이블 고정단계(S400)는 상기 아이너트(40)사이에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포함하여 연결 설치된 상기 케이블(30) 끝단을 최 외측 지주(10) 하단부에 연결하고 턴버클(70)과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30)의 장력을 조절하고 단단히 고정하는 단계이다.
In the cable fixing step S400, an end of the cable 30 includ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eye nuts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most support 10, and a fixing means, such as a turnbuckle 70, The tension of the cable 30 is adjusted and firmly fix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을 이용한 보강된 방호울타리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inforced protective fence using a method for reinforcing a vehicle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FIG.

이에 도 5와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는 케이블(30)과 케이블 고정 수단 및 에너지 소산 장치를 더 포함하여 종래의 가드레일 형태의 방호울타리를 보강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reinforced vehicle protection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ble 30, a cable fixing means, and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reinforce a conventional guardrail-type protection fence .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은 종래의 가드레일(20) 연결구의 양측에서 나사를 체결할 때 사용되어진 가드레일 고정 수단인 고정너트(120)를 아이너트(40)로 대체하여 상기 가드레일(20) 고정 및 상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수단이다.The cabl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lace the fixing nut 120 which is the guard rail fixing means used for fastening the screws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end of the conventional guard rail 20 with the eye nut 40, And fixing the cable 30 to the cable.

또한,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은 상기 케이블(30)의 끝에서 최 외측 지주(10)의 하단부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는 턴버클(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The cable fixing means includes a turnbuckle 7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able 30 by a lower end of the outermost support 10.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인 아이너트(40)는 둥근 고리 형태이고, 와이어 형태의 상기 케이블(30)을 상기 아이너트(40) 내부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가드레일(20)의 측면에 1열 이상 다수의 케이블(30) 배열로 관통 설치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eye nut 40 as the cable fix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round ring and has a plurality of cables in the form of one or more rows on the side surface of the guard rail 20 while passing the cable 30 in the form of a wire into the eye nut 40. [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인 상기 아이너트(40)은 기존의 가드레일(20) 형태의 방호울타리에서 가드레일(20) 연결구의 양측에 끼우고 나사를 체결할 때 사용한 기존 연결 고정너트(120)와 호환이 되게 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기존 연결 너트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상기 아이너트(40)로 교체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가드레일(20) 형태의 방호울타리를 교체하지 않고 한정된 예산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기존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eye nut 40 as the cabl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guard rail 20 in the conventional guard rail 20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guard rail 20 and is used as a conventional connection fixing nut 120 ). Therefore, the cable fixing means can be directly used by replacing the existing connection nut with the eye nu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guard fence by using a limited budget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guard rail type guard fence.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소산 장치를 통하여 방호울타리의 차량에 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더욱 보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에너지 소산이란 차량의 충격 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가 흡수 또는 분산되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고,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30)과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으로 결합하여 충격 흡수를 더욱 보강하는 충격 흡수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of a vehicle through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wherein the energy dissip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impact energy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is absorbed or dispersed and dispersed ,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cable (30) by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to further reinforce shock absorp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로서, 압축 변형하는 스프링장치(50)를 사용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7a에서 지주(10)는 미도시 되었다.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a spring-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plan view of FIG. 7A, showing an example of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using a compression-deforming spring device 50. In Fig. 7A, the support 10 is not shown.

도시와 같이 상기 스프링장치(50)는 방호울타리에서 가드레일(20) 연결구의 양측에 끼워진 상기 케이블 고정 수단인 상기 아이너트(40)의 사이에서, 상기 쐐기(80)와 상기 쐐기그립링(90) 및 상기 서포트링(100)을 통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인장력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스프링장치(50)에 연결된 상기 서포트링(100)이 상기 아이너트(40)에 걸리고, 상기 아이너트(40)와 상기 스프링장치(50)가 서로 반발하여 스프링의 압축 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케이블(30)의 에너지 흡수를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pring device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between the eye nut 40 which is the cable securing means fitted to both sides of the guard rail 20 connector in the protective fence Connected to the support ring (100) and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00) by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to generate a tensile force of the cable when the cabl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The energy absorption of the cable 30 is further reinforced while the elastic member 100 is caught by the eye nut 40 and the eye nut 40 and the spring device 50 are repelled by each other to cause compressive deformation of the spring .

또한, 상기 강관장치(60)는 상기 아이너트(40) 사이에 봉 형태의 강관을 연결하여 강관의 좌굴 변형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산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장치(50)와 동일하게 상기 아이너트(40)의 사이에서 상기 쐐기(80)와 상기 쐐기그립링(90) 및 상기 서포트링(100)을 통하여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인장력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강관장치(60)에 연결된 상기 서포트링(100)이 상기 아이너트(40)에 걸리고, 상기 아이너트(40)와 상기 강관장치(60)가 서로 반발하여 강관의 좌굴 변형이 발생하면서, 상기 케이블(30)의 에너지 흡수를 더욱 보강하는 에너지 소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eel pipe apparatus 60 is connected to a rod-shaped steel pipe between the eye nuts 40 to perform energy dissipation using the buckl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Like the spring device 50, 40 and the wedge grip ring 90 and the support ring 100 between the wedge 80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to generate tensil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The support ring 100 connected to the steel pipe apparatus 60 is caught by the eye nut 40 when the cable is pulled and the eye nut 40 and the steel pipe apparatus 60 are repelled each other, So that energy can be dissipated to further reinforce the energy absorption of the cable 30 while deformation occurs.

상기 좌굴 변형이란 압축부재에 압축력 작용 시 휘어지는 현상이나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상기 스프링장치(50)의 압축 변형과 유사한 기능의 개념이다.
The buckling deform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ompression member is bent or deformed when a compression force acts on the compression member. This is a concept of a function similar to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spring device 5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하단부의 턴버클식 케이블 고정을 보이는 예시도로서,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30) 고정 수단의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블(30)의 끝에서 지주(10) 하단부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고 상기 케이블(30)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턴버클(70)을 이용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other one of the fixing means of the cab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for fixing the turn- And a turnbuckle 70 connected by a lower end of the cable 1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cable 30 and fix the cable 30.

상기 턴버클(70)이란 전선 또는 와이어의 장력을 나사로 조성하는 것으로서 케이블(30)을 설치할 때나 전선의 긴장 작업에서 좌우로 나사막대를 가진 부품으로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로, 다른 쪽의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 암나사가 있는 부품, 즉 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진다. 그러므로 로프나 와이어와 같은 케이블 등을 팽팽하게 당길 때, 중간에 턴버클(70)을 넣고 이것을 돌림으로써 팽팽하게 당길 수가 있다.
The turnbuckle 70 is a screw that forms the tension of a wire or a wire by a screw, and when the cable 30 is installed or when a wire is tightened, the screw has a screw rod. One screw is a right screw, the other screw is a left screw . When a part with a female thread, that is, a nut, is rotated, the two male threads approach each other and the rotation is reversed. Therefore, when a cable such as a rope or a wire is pulled tight, the turnbuckle 70 is inserted in the middle, and it can be pulled up by turning it.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와 차량 충돌 전 후의 예시를 보이는 예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와 차량 충돌 전 후의 예시를 보이는 예시도이다.FIG. 9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ring-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nd after a vehicle collision. FIG. 9B is a graph showing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of a steel pip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술한 바와 도시에 따라, 본 발명의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에 차량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력은 가드레일(20)에 의하여 1차로 충격이 완충되고, 이와 더불어 추가로 설치하는 강화 케이블(30)에 의하여 2차로 충격이 흡수되나, 차량 충격력이 더욱 강하면 차량 충돌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30)이 늘어지는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 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와 결합된 상기 서포트링(100) 또는 서포트엔드캡(110)이 상기 아이너트(40)와의 걸림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장치(50)에 압축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reinforced vehicle protect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ly shock-absorbed by the guard rail 20, and furthermore, the reinforcing cable 30, But if the vehicle impact force is stronger,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which the cable 30 is stretched in the vehicle collision direction. The support ring 100 or the support end cap 110 coupled with the spring device 50, which i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ed with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may be engaged with the eye nut 40, (50).

그러므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인 스프링장치(50)의 압축 변형을 통하여 3차로 충격 흡수를 보강하고, 최종적으로는 지주 최 외측의 턴버클(70)식 케이블 고정 장치에 의하여 충돌 에너지를 흡수시켜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도로 줄이고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차량 충격 흡수 방호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관 형식의 에너지 소산 장치인 강관장치(60)에 의한 차량 충돌 시에도 동일한 절차로 강관장치(60)의 좌굴 변형에 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by the tension device of the spring device 50, which is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by the cable fixing device of the turnbuckle 70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trut, And to provide an improved vehicle shock absorbing protective fence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an impact force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with a view to reducing the damage of the occupant and the breakage of the vehicle to a minimum and returning the vehicle to the normal traveling direction. The energy can be absorbed by the buckl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evice 60 in the same procedure eve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teel pipe device 60, which is a steel pipe type energy dissipating dev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지주
20 : 가드레일
30 : 케이블
40 : 아이너트
50 : 스프링장치
60 : 강관장치
70 : 턴버클
80 : 쐐기
90 : 쐐기그립링
100 : 서포트링
110 : 서포트엔드캡
120 : 고정너트
10: Holding
20: Guard rail
30: Cable
40: Eye nut
50: spring device
60: Steel pipe device
70: turnbuckle
80: Wedge
90: Wedge grip ring
100: Support ring
110: Support end cap
120: Fixing nut

Claims (15)

지주와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로서,
상기 가드레일의 연결 수단은 아이너트이고,
상기 아이너트에는 관통하여 상기 가드레일을 따라 가로로 횡단하는 케이블이 설치되어 차량의 충격에 의한 차량 충격 흡수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A vehicle protection fence comprising a support and a guardrail,
The connecting means of the guard rail is an eye nut,
And cables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guard rails through the eye nuts to reinforce the shock absorp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impact of the vehic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너트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의 에너지 흡수를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에너지 소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eye nuts to reinforce the energy absorption of the cab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탄성 스프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an elastic spring device for wrapping the cab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봉 형태의 강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a rod-shaped steel pipe device that surrounds the cab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되 상기 케이블과 일부분이 결합하여 고정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압축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r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ble is penetrated and a part of the cable is fixedly coupled with the cable, and when the cable is subjected to a tensile force due to an impact of the vehic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는 상기 케이블과 쐐기와 쐐기그립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device is coupled with the cable, the wedge and the wedge grip ring
Vehicle protection fen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장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되 상기 케이블과 일부분이 결합하여 고정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좌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ble is passed through the cable and a part of the cable is fixedly coupled with the cable and is restricted in movement by the eye nut when the cable is pulled due to a shock of the vehic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장치는 상기 케이블과 쐐기와 쐐기그립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el pipe device is coupled with the cable, the wedge and the wedge grip ring
Vehicle protection fence.
제6 항 또는 제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내측은 상기 케이블의 정착력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을 강하게 정착시킬 수 있고, 외측에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의 지름이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지름보다 작고, 타단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케이블 정착 소켓이고,
상기 쐐기그립링은 상기 쐐기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의 외주 둘레면에 파여진 쐐기둘레홈에 끼워서 상기 케이블을 강하게 결박시키는 케이블 정착 고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wedge is formed in a geometric shape so as to increase the fixation force of the cable so that the cable can be fixed firmly. On the outer side, a diameter of one end of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able,
Wherein the wedge grip ring is a cable fixing ring that is fitted in a wedge-shaped groove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dge in a state where the cable passes through the wedge, thereby strongly binding the cable
Vehicle protection fence.
제6 항 또는 제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서포트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링은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 보다 내부 지름이 큰 원통형구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갖고,
상기 쐐기와 결합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가 아이너트에 의한 걸림과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ring,
Wherein the support ring has a cylindrical spher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able,
And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upled with the wedge is a stopper for allow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act as a hook and buffer by the eye nut.
Vehicle protection fence.
제5 항 또는 제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양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에너지 소산 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s capable of engaging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operate in both directions
Vehicle protection fence.
지주(10)와 가드레일(20)을 포함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호울타리에 상기 가드레일(20) 연결 기능만을 하는 고정너트(120)를 가드레일 연결기능과 케이블 장작 기능을 위한 아이너트(40)로 대체하는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
상기 아이너트 교체단계(S100)에서 적용된 상기 아이너트(40)에 강화 케이블(30)을 관통 삽입하는 케이블 연결단계(S200);
상기 케이블 연결단계(S200)에서 상기 아이너트(40)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30)을 관통시켜 상기 케이블의 인장력 발생 시 충격 흡수를 보강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를 설치하는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
상기 케이블(30) 끝단을 최 외측 지주(10) 하단부에 연결하고 턴버클(70) 형태의 케이블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30)의 장력을 조절하고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barrier fence comprising a support (10) and a guardrail (20)
(S100) replacing a fixing nut (120) for connecting the guard rail (20) to the guard fence with an eye nut (40) for a guard rail connecting function and a cable fire function;
A cable connecting step (S200)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cable (30) through the eye nut (40) applied in the eye nut replacing step (S100);
Installing an energy dissipating means (S300) for inserting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that penetrates the cable (30) between the eye nuts (40) in the cable connecting step (S200) to reinforce shock absorption when a tensile force of the cable is generated;
A cable fixing step S400 of connecting the end of the cable 30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most support 10 and adjusting and fixing the tension of the cable 30 using a cable fixing means in the form of a turnbuckle 70 Done by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ve fen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는
상기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한 쐐기(80)에 상기 케이블(30)을 관통시키는 쐐기 결합단계(S310),
상기 쐐기(80)에 압축력을 보강하여 상기 케이블(30)을 정착하는 쐐기그립링 결합단계(S320),
상기 쐐기(80)에 의하여 정착된 상기 케이블(30)에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를 끼움 연결하는 에너지 소산 장치 연결단계(S330),
상기 쐐기(80)와 연결된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의 타단에 서포트링(100)을 연결하는 서포트링 결합단계(S3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nstalling step (S300)
A wedge joining step (S310) of passing the cable (30) through a wedge (80) for fixing the cable,
A wedge grip ring coupling step (S320) of fixing the cable (30) by reinforc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wedge (80)
An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ing step (S330) for connecting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to the cable (30) fixed by the wedge (80)
And a support ring coupling step (S340) of coupling the support ring (100) to the other end of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wedge (80)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ve fen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에서 설치되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30)이 관통되고 쐐기(80)와 쐐기그립링(90) 및 서포트링(100) 또는 서포트엔드캡(110)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30)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40)에 의하여 압축 변형하는 스프링장치(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nstallation step S300 is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able 30 passes through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and the support ring 100 or the support end cap 110 ≪ / RTI >
Is a spring device (50) compressively deformed by the eye nut (40) when a tensile force of the cable (30) is generated by a shock of a vehicle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ve fen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산수단 설치단계(S300)에서 설치되는 상기 에너지 소산 장치는 상기 케이블(30)이 관통되고 쐐기(80)와 쐐기그립링(90) 및 서포트링(100) 또는 서포트엔드캡(110)을 사용하여 결합되며,
차량의 충격에 의한 상기 케이블(30)의 인장력 발생 시, 상기 아이너트(40)에 의하여 좌굴 변형하는 강관장치(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means installation step S300 is installed in the energy dissipating devi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able 30 passes through the wedge 80 and the wedge grip ring 90 and the support ring 100 or the support end cap 110 ≪ / RTI >
And a steel pipe device (60) buckling and deforming by the eye nut (40) when tensile force of the cable (30) is generated due to impact of the vehicle
A method of reinforcing a vehicle protective fence.
KR1020140055122A 2014-05-08 2014-05-08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KR201501291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122A KR20150129191A (en) 2014-05-08 2014-05-08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122A KR20150129191A (en) 2014-05-08 2014-05-08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91A true KR20150129191A (en) 2015-11-19

Family

ID=5484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122A KR20150129191A (en) 2014-05-08 2014-05-08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191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479A (en) * 2018-07-17 2018-11-23 章俊 A kind of highway barrier that municipal works use
CN108867470A (en) * 2018-07-27 2018-11-23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cheable freeway guardrail
CN113512972A (en) * 2021-04-20 2021-10-19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Waveform beam guardrail and reinforcing method
CN115233599A (en) * 2022-08-05 2022-10-25 杨晓青 A protector for wisdom municipal administration bus stop
JP2023158754A (en) * 2022-04-19 2023-10-31 東京製綱株式会社 Protective fence, buff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479A (en) * 2018-07-17 2018-11-23 章俊 A kind of highway barrier that municipal works use
CN108867479B (en) * 2018-07-17 2020-10-30 杭州富彩包装制品有限公司 Highway guardrail that municipal works used
CN108867470A (en) * 2018-07-27 2018-11-23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acheable freeway guardrail
CN108867470B (en) * 2018-07-27 2020-12-08 嘉兴市龙锋市政建设有限公司 Buffering highway guardrail
CN113512972A (en) * 2021-04-20 2021-10-19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Waveform beam guardrail and reinforcing method
CN113512972B (en) * 2021-04-20 2022-05-24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Waveform beam guardrail and reinforcing method
JP2023158754A (en) * 2022-04-19 2023-10-31 東京製綱株式会社 Protective fence, buff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5233599A (en) * 2022-08-05 2022-10-25 杨晓青 A protector for wisdom municipal administration bus st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9191A (en)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KR101598405B1 (en)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US6382583B1 (en) Releasable device and method
KR101022533B1 (en) Wide crash cushion apparatus
KR101905473B1 (en) Net structure for preventing falling rock using shock-absorbing wire rope locking device
KR20060065554A (en) Restorable impact enery absorber for car crush
KR101687830B1 (en)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US7325788B1 (en) Cable system
JP2013119736A (en) Guard fence for vehicle
KR20160013498A (en) Vehicle crash barrier of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d vehicle crash barrier
KR101174619B1 (en) Rockfall protection fence for distributing and absorbing impect energy
KR101672788B1 (en) Falling stone prevention fence of dual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d safety
KR101023123B1 (en) Constructing method an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rockfall preventing net
KR101705885B1 (en) Constructing method and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rockfall preventing net
JP5415641B1 (en) Protection device such as rockfall
KR101280023B1 (en) Guard rail
KR101207714B1 (en) Rockfall protection fence for distributing and absorbing impect energy
KR20140095870A (en) Guardrail reinforcement structure
AU2017200567B2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101422784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f falling stone
KR101149807B1 (en) The Binding Device For Absorbing Impact Of Falling Rock Prevention Wire Rope
KR101506327B1 (en) Fixing and bumper unit cross position of rockfall protecting n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ockfall protection net using this same
CN203782614U (en) Road protective fence
JP2019065683A (en) Function separation type impact absorber
KR200449769Y1 (en) A fixing bracket structure for guard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7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7

Effective date: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