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060A -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060A
KR20150128060A KR1020140054806A KR20140054806A KR20150128060A KR 20150128060 A KR20150128060 A KR 20150128060A KR 1020140054806 A KR1020140054806 A KR 1020140054806A KR 20140054806 A KR20140054806 A KR 20140054806A KR 20150128060 A KR20150128060 A KR 2015012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irect drive
drive motor
hall sensor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6636B1 (en
Inventor
정순배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시스텍
(주)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시스텍, (주)스마텍 filed Critical (주)스마트시스텍
Priority to KR102014005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636B1/en
Publication of KR2015012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30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 B62D5/32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for telemo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6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add-on parts, e.g. retro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remote steering device, in which a motor control part coupled to a steering wheel to control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is loaded on a direct drive motor to be integrated to renovate a conventional manned vehicle into an unmanned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remote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ering wheel (10) which controls the driving direction of a vehicle; a direct drive motor which includes a motor core (23) for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10); a motor control part (27) which is loaded on the direct drive motor to be integrated to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 steering wheel coupling part (30) which detachably couples the steering wheel (10) to the direct drive motor to rotate the steering wheel (10) by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remote controller (90)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he motor control part (27) to allow the motor control part (27) to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Description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DESCRIPTION [0002]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유인 차량을 무인 차량으로 개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에 결합되어 원격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한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어 있는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steering dri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steering dri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motor control unit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nd controllable by remote wired /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steering driv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교통체증 해소, 운전자로 인한 사고 위험 요소 제거를 위한 주요 대안으로 10년 내에 무인자동차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미 구글 이외에도 BMW, GM, 폭스바겐 등이 무인 자동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어 멀지 않은 미래에 현실화가 가능할 것이다.It is expected that the era of unmanned automobiles will come within 10 years as a major alternative to eliminating traffic congestion and eliminating the risk of accidents caused by drivers. Already in addition to Google, BMW, GM, Volkswagen and other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unmanned vehicles, and it will be possible in the near future.

현재 기술적으로 운전자가 없는 무인 자동차 구현을 위해서는 GPS를 이용한 도로 상황 인식, 레이저/레이더 등을 이용한 주변 인식, 도로 위의 차량간 통신 기술 등을 발전시켜야 할 기술 분야이고, 가장 큰 기술적 장애는 안전성 확보이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안전기술은 목적과 기능에 따라 주행안전, 사고예방, 운전지원, 사고피해경감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Currently, technologically, it is a technical field to develop unmanned vehicle without driver, to develop road situation recognition using GPS, peripheral recognition using laser / radar, and inter-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road. to be. Safety technologies applied to automobil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purpose and function: driving safety, accident prevention, driving assistance, and accident damage mitigation.

그러나 무인차량으로 첨단 자율 주행에는 현재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기술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자율 주행의 가장 큰 기술적 문제는 카메라에 직사광선이 직접 비출 때 또는 안개가 짙을 때를 포함한 불확실한 상황하의 센서 인식 및 의사결정으로써, 이는 곧 무인 차량의 안전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과 같이 자율 주행 차량에 관한 기술이 발달해 나간다면 자동차에서 요구하는 평균 자율주행 실패거리인 10만 마일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2025년경에 이르러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However, experts say that there is still a limit to advanced autonomous driving with unmanned vehicles. The biggest technical problems of autonomous driving are sensor recognition and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 conditions including direct sunlight directing to the camera or when the fog is deep, which directly affects the safety technology of unmanned vehicles. If the technology for self-propelled vehicles develops like this, it is expected to reach about 2025 in order to meet the average self-driving failure distance of 100,000 miles required by the automobile.

따라서 기존의 수동 차량에서 무인 차량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술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동 차량을 무인 차량으로 개조 혹은 양산화 이전에 기술성/안전성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단계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무인 차량의 주행안전, 사고예방, 운전지원, 사고 피해 경감 기술과 같은 안전 기술의 성능/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수동 차량을 무인화 차량으로 개조가 필요하다. 또한 안전 기술의 시험 평가는 운전자의 지각 능력을 뛰어넘는 가감속 시험 혹은 전복제어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 Therefore, there is a technical limit to develop the existing passive vehicle to the unmanned vehic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echnical / safety before converting the passive vehicle into an unmanned vehicle or mass production. Especially,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 reliability of safety technology such as driving safety of unmanned vehicle, accident prevention, driving support, accident mitiga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nvert existing passive vehicle into unmanned vehicle. In addition, test evaluation of safety technology is extremely dangerous because it is done by acceleration / deceleration test or overturn control beyond the driver's perception ability.

기존 수동 차량을 무인화 차량으로 개조하는 방법에는 차량의 통합 제어기인 ECU이하 하위 제어기 등에 수정을 가하는 방법과 무인화장치(steering/braking/transmission robot) 등을 외부에 추가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을 취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통합 제어기, 센서, 구동기 등 차량 내부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없이 구현이 힘든 단점이 있다. 그러나 무인화장치(steering/braking/transmission robot) 등을 외부에 추가 장착하는 방법은 쉽게 차량에 장착이 가능하고, 차량 시스템에 대한 정보 없이 특정 안전 기술 등을 시험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인화 장치는 주행제어를 위해서 필수적인 조향핸들 구동장치(steering robot)와 가감속 제어를 위한 구동장치(braking robot 및 transmission robot)가 필요하며, 주행 순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센서 및 신호처리장치로 구성되어진다. A method of modifying an existing passive vehicle into an unmanned vehicle includes a method of modifying an ECU or a lower controller, which is an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vehicle, and a method of add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teering / braking / transmission robot. In order to take the former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ou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ternal system such as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vehicle, the sensor, and the driver. However, the method of additionally attaching the steering / braking / transmission robot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test and evaluate a specific safety technology without information on the vehicle system. The unmanned apparatus requires a steering-wheel steering mechanism and a braking robot and a transmission robot for acceleration / deceleration control, which are essential for the running control, and various sensors and signal process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moment Loses.

무인자동차에 적용되는 무인화 장치 중 조향핸들 구동장치로는 대부분 직접 핸들에 부착되며, 설치되는 핸들 구동장치의 구동 메카니즘은 감속기 타입 모터구동장치와 직구동모터 구동장치로 나눌 수 있다. 현재까지 주로 개발되어 있는 조향핸들 구동장치는 감속기 타입 모터구동장치로서 약 20 : 1 이상의 기어비로 인한 구동효율 및 응답속도 성능이 떨어지고, 감속기 채용으로 중량 및 부피 증가로 인해 조향핸들에 탈부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Of the unmanned vehicles applied to unmanned vehicles, the steering wheel drive apparatus is mostly attached to the direct handle, and the drive mechanism of the handle drive apparatus installed can be divided into a reducer type motor drive apparatus and a direct drive motor drive apparatus. The steering wheel drive system, which has been mainly developed so far, is a reducer type motor drive system, and its drive efficiency and response speed performance are degraded due to gear ratios of about 20: 1 or more. It is difficult to detach and attach to the steering wheel due to weight and volume increase .

직구동 조향핸들 구동장치는 핸들의 외형에 직접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형상이나 중량면에서 감속기가 있는 구동장치보다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직구동 조향핸들 구동장치는 직구동 모터의 설계 및 제어기술, 그리고 필요한 토크를 발생하는 모터를 제작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최근 개발되는 차량의 특성을 보면, 전자제어장치의 증대를 중요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즉, 엔진제어기에 변속제어기, 공조제어기, 타이어제어기 등 장치의 편리를 위해 다양한 제어기가 탑재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제어기는 단순히 기계나 기구적인 연결보다는 점차로 제어기와의 제어기간의 통신으로 제어명령 및 센서특성을 주고받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즉 각 장치들은 그 자체로 구동에 필요한 장치, 센서장착, 계측 및 제어 기능 등이 포함되어 개발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The direct drive steering steering wheel drive system has a direct motor mounted on the external shape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drive system having a reduction gear in shape and weight. The direct drive steering steering wheel drive system is required to design and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nd to manufacture the motor that generates the necessary torqu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ly developed vehicles, the increase of electronic control devic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In other words, it is well known that a variety of controllers are mounted on the engine controller for the convenience of devices such as a shift controller, an air conditioner controller, and a tire controller. Controllers applied to automobiles are gradually evolving from a mechanical or mechanical connection to a structure in which control commands and sensor characteristics are communicated through control perio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That is, it is a general phenomenon that each device is developed by itself including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mounting of sensors, and measurement and control functions.

종래의 원격조향구동장치에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104764호(공개일: 2007.10.29.)에서과 같이 원격차량 및 자율차량의 조향장치를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격제어에 의할 경우에는 자동모드로 변환시켜자동조향을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이동 등에 의해 조향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수동 모드로 전환시켜 조향 성능향상, 안전성 확보 및 품질향상을 이루도록 한 수동 및 자동 모드 변환이 가능한 원격조향구동장치가 있다. The conventional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steering apparatus for a remote vehicle and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104764 (published on October 29, 2007) In case of remote control, it can be converted to automatic mode to achieve automatic steering. If it is not necessary to remotely control the steering system by moving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manual mode to improve steering performance, And a remote steering driver capable of manual and automatic mode conversion.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원격조향구동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remote steering drive drive apparatu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현재 개발된 고가의 직구동 조향핸들 구동장치는 제어기가 외부에 설치됨으로서 모터의 구조로 얻는 공간의 장점을 상쇄시키고 있다. First, the currently developed high-speed direct drive steering wheel drive system compensates for the advantages of the space obtained by the structure of the motor because the controller is installed outside.

둘째, 제어기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수동 차량을 무인화 차량으로 개조하기가 불편하고 추가비용이 요구된다. Second, since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controller on the outside, it is inconvenient to convert the existing passive vehicle into an unmanned vehicle, and additional cost is required.

셋째, 수동 및 자동모드 전환을 위한 전환 클러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보 모터에 연결된 기어의 구속력을 유지 또는 해제하기 때문에 별도의 기어가 필요하여 원격조향구동장치의 구조가 복잡해 진다. Thirdly, since the coupling force of the gear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is maintained or released by the switching clutch for manual and automatic mode switching, a separate gear is required, complicating the structure of the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넷째, 조향핸들의 절대 회전각을 측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정밀한 핸들의 조향제어가 곤란하다. Fourth, since means for measuring the absolute turn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steering of the steering wheel.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104764호(공개일: 2007.10.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4764 (published on October 29,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유인 차량을 무인 차량으로 개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에 결합되어 원격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한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어 있는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motor control unit, which is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nd is controllable by remot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s integrally mounted in a direct drive motor so as to convert an existing manned vehicle into an unmanned vehicle I have to.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모터제어부를 직구동모터 주변에 일체형으로 탑재시킴으로서 직구동모터의 제어를 위해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사용하거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steering driv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usi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which is a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trolling a direct drive motor by integrating a motor control unit around a direct drive motor, Communication can be used.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는 주행제어에서 중요한 핸들 또는 직구동모터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원격조향구동부의 하부하우징 내측 원주상에 등간격이 아닌 비정수배로 배치되는 내측홀센서가 설치되고, 핸들 또는 직구동모터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원격조향구동부의 하부하우징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의 홀센서가 설치된다. In order to measure an absolute turning angle of an important steering wheel or a direct drive motor in a running control, the remote steering driv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ner hole dispos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A sensor is installed, and three Hall sensors are install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of the remote steering drive part for measuring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r the direct drive motor.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을 포함하는 직구동모터;와 상기 직구동모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와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 및 상기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와 상기 모터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기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를 포함한다.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for adjusting a running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motor core provided between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for driving the steering wheel so as to be steerable and rotated by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a change in magnetic flux, An inner Hall sensor installed at an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at an irregular number of times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three inner circumferential sensors disposed on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A motor control part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direct drive motor can be controlled remotely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otor controller which is mounted integrally with the direct drive motor, A handle engaging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direct drive motor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integrally;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travel mode changeover switch for enabling the transition of the attractee mode.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부는 크게 직구동모터와 모터제어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원격조향구동부는, 상기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직구동모터;와 직구동모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remote steering driv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and a motor control part. That is, the remote steering driver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coupled to the handle to drive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steering wheel can be steered; and a motor controller integrally mounted to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direct drive motor can be controlled remotely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

여기서, 상기 직구동모터는, 상기 핸들결합부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면의 원주상에 형성되고, 외측벽의 내측에 고정자석이 내설되어 있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제어부가 탑재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어 모터코어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가 설치되어 모터코어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 및 상기 모터코어와 상기 하부하이징 사이에 결합되어 모터코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베어링;을 포함한다. Here, the direct drive motor includes: an upper housing formed on a circumference of an upper surface of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handle coupling portion is fixed, the fixed housing having a fixed magnet inside the outer wall; A motor co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nd rotated by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a change in magnetic flux; And an inner Hall sensor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at a non-fixed number of times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thre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An outer Hall sensor for measuring the Hall sensor; And a plurality of bearings coupled between the motor core and the lower housing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motor core.

게다가,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어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tor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board mounted in the lower housing to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to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to transmit / receive a control signal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제어부는, 상기 내측홀센서 및 상기 외측홀센서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의 회전을 조절한다. 4 to 6, the motor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based on the absolute rotation angle and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measured by the inner hole sensor and the outer hole sensor, respectively .

이때, 상기 내측홀센서는 상기 모터코어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와 제2 내측홀센서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하게 설치된다. The inner Hall sensor includes a first inner Hall sensor and a second inner Hall sensor, each of which is installed at a non-integral multiple of a numb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hall sensors is set more densely than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inside hall sensors.

여기서, 흘센서는 반도체 소자에 4개의 리드선이 붙어 있는 간단한 구조인데 이 중 입력단자가 전류단자이고 출력단자가 홀 단자로 표시되어 있다. 입력 단자간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에 직각 방향으로 센서면에 자기장을 가하면 전류와 자기장 모두에 직각인 방향으로 자기장과 제어 전류의 곱에 비례하는 홀 전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검출하는 센서가 홀센서이다. 이때, 홀 전압은 자기장에 비례하므로,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홀센서는 모터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i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four lead wires are attached to a semiconductor device, of which the input terminal is a curren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is a hall terminal.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sensor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 Hall voltage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control current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And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is a hall sensor. At this time, since the Hall voltage is proportional to the magnetic field, it can be used to measure the magnetic field. Hall sensors can be us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otor rotor.

한편, 상기 유무선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한다. Meanwhi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se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or Bluetooth.

또한, 상기 핸들결합부는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의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The handle coupl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The clamp is formed below the clamp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And protruding fixing protrusions.

또한,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는,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When the switch is O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can remotely transmit / receive a control signal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vel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When the travel mode changeover switch is OFF, Make it possible to drive in the manned mode without opera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에 결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조향구동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원격조향구동부를 차량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steering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coupled to the remote steering driver to support the remote steering driver so that the remote steering driver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fixing par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원격조향구동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Also, a plurality of the support portion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mote steering driver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의 하부하우징의 뒷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조향구동부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of the remote steering driver and a ball joint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to allow the remote steering driver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extend or contract in length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remote steering driv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control method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코어를 포함하는 직구동모터;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와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 및 상기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원격제어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모터제어부의 통신부에 상기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터제어부의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제어부의 제어보드가 상기 직구동모터의 모터코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터코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결합부에 의해 상기 직구동모터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핸들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control method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mote steering driving apparatus comprising a direct drive motor including a handle for adjusting a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motor core for driving the handle so as to be steerabl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direct drive motor to be rotatab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wired / A motor control unit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a handle coupling unit coupling the handle and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handle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handle and the direct drive motor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tor control unit remotely by the motor control unit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nd (b)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tor control un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 board of the motor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core of the direct drive motor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c) when the motor core is rotated, And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handle integrally joined to the handle.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직구동모터가 상기 모터코어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 및 상기 모터코어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제어부가 상기 내측홀센서 및 상기 외측홀센서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의 회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 in the step (b), the direct drive motor further includes an inner hall sensor for measuring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an outer hall sensor for measuring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based on an absolute rotation angle and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measured by the inner hole sensor and the outer hole sensor,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내측홀센서는, 상기 모터코어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와 제2 내측홀센서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하게 배치된다. The inner Hall sensor includes a first inner hall sensor and a second inner hall sensor, each of which is provided at a non-integral multiple of a numb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inner hall sensors is arranged more densely than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inner hall sensors.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터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기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가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urther, the step (a) may further include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for enabling switching between an unmanned mode and an attended mode by turning on / of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or control unit and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switch is O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vehicle can travel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When the switch is OFF, the wired /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격조향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기존 유인 차량을 무인 차량으로 개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핸들에 결합되어 원격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한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될 뿐만 아니라, 핸들의 절대 회전각을 내측홀센서 및 외측홀센서를 이용하여 계측하여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의 회전 제어에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remote steering driv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control unit, which is coupled to a steering wheel and can be controlled by remot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rits by measuring the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using the inner hall sensor and the outer hall sensor and using the motor control unit for rotation control of the direct drive motor.

첫째, 기존의 제어기가 외부에 설치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에 비해서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됨으로써 기존 유인 차량의 핸들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First, compared to a remote steering drive device in which a conventional controll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the motor control par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on a handle of an existing manned vehicle.

둘째,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됨으로써 모터제어부 설치를 위해서 별도의 설치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수동 차량을 무인화 차량으로 개조하기가 편리하고 추가비용이 필요 없다. Second, since the motor control uni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is no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motor control unit.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convert the existing passive vehicle into the unmanned vehicle, and no additional cost is required.

셋째,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부품의 설치 없이 원격 통신을 단순히 ON/OFF 방식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인모드 및 유인모드의 변환을 손쉽게 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the unmanned mode and the attracting mode by simply controlling the remote communication by the ON / OFF method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parts by using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넷째, 핸들의 절대 회전각 및 상대 회전각을 각각 내측홀센서 및 외측홀센서를 이용하여 계측하여 모터제어부가 직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때문에 핸들의 정밀한 조향제어가 가능하다. Fourth, since the absolute rotation angle and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re measured by using the inner hall sensor and the outer hall sensor, respectively, and the motor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direct drive motor, accurate steering control of the steering wheel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원격조향구동부에 대한 상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부의 내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exploded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plan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원격조향구동부에 대한 상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부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부의 내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2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3 is a detailed exploded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ternal plan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3 is a detailed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FIG.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는 크게 핸들(10), 직구동모터와 모터제어부(27)로 구성되는 원격조향구동부(20), 핸들결합부(30), 원격제어기(90),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6, the remote steering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steering wheel 10, a remote steering driver 20 including a direct drive motor and a motor control unit 27, a handle coupling unit 30, A controller 90, and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9)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23)와,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하부하우징(29)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23)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28)을 포함하는 직구동모터;와 상기 직구동모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30); 및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90);와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원격제어기(90)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를 포함한다. The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wheel 10 for adjusting a running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steering shaft 1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9 for driving the steering wheel 10 so as to be steerable, A motor core 23 that rotates by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core 23 and an inner Hall sensor 23 that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at a non- And an outer Hall sensor (28)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to measure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 motor control unit 27 which is integrally mounted on a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direct drive motor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motor control unit 27 which is connected to the handle 10 so that the handle 10 can be rotated integrally by the direct drive motor. And the direct drive motor Attaching the handle coupling portion 30 for coupling to enable; And a remote controller 9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27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that enables switching between an unattended mode and an attracted mode by turning on / of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90 and the controller 9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부(20)는 크게 직구동모터와 모터제어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는, 상기 핸들(1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10)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직구동모터;와 직구동모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27);를 포함한다. 3 to 5,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and a motor control unit. That is,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coupled to the handle 10 to drive the steering wheel 10 so as to be steerable, and a direct drive motor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direct drive motor remotely through wired / And a motor control unit 27 integrally mounted on the motor.

여기서, 상기 직구동모터는, 상기 핸들결합부(30)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상면의 원주상에 형성되고, 외측벽의 내측에 고정자석(21a)이 내설되어 있는 상부하우징(21);과 상기 상부하우징(21)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제어부(27)가 탑재되는 하부하우징(29);과 상기 상부하우징(21)과 상기 하부하우징(29)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23); 및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어 모터코어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22);와 상기 하부하우징(29)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가 설치되어 모터코어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28); 및 상기 모터코어(23)와 상기 하부하이징(29) 사이에 결합되어 모터코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다수의 베어링(25);을 포함한다. The direct drive motor includes an upper housing 21 having a fixing groove on which the handle coupling portion 30 is fixed and a fixed magnet 21a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A lower housing 29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21 and having the motor control unit 27 mounted thereon and a lower housing 29 disposed between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9, A rotating motor core (23); And an inner Hall sensor (22) installed at an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at an irregular number of times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an inner hall sensor An outer Hall sensor (28)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eth for measuring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And a plurality of bearings (25) coupled between the motor core (23) and the lower hinge (29)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motor core.

게다가, 상기 모터제어부(27)는,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부에 탑재되어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27a);와 상기 하부하우징(29)의 외면에 설치되어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7b);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tor control unit 27 includes a control board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lower housing 29 for controlling the direct drive motor to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And a communication unit 27b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9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제어부(27)는, 상기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외측홀센서(28)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23)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을 조절한다. 이때 외측홀센서(28)는 더 높은 분해능을 얻기 위해 GMR(Giant Magneto-Resistance)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4 to 6, the motor control unit 27 calculates an absolute rotation angle and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measured by the inner hall sensor 22 and the outer hall sensor 28, respectively, And adjusts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23 based on the angle. At this time, the outer Hall sensor 28 may use a GMR (Giant Magneto-Resistance) sensor to obtain a higher resolution.

이때, 상기 내측홀센서(22)는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22a)와 제2 내측홀센서(22b)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22a)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22b)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원주상에 제1 내측홀센서(22a)는 10.5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내측홀센서(22b)는 17.5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hall sensor 22 includes a first inner hall sensor 22a provided at an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nd the second inner hole sensor 22b. However,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inner hall sensors 22a is set to be dens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inner hall sensors 22b. For example, the first inner hole sensors 22a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10.5 degrees and the second inner hole sensors 22b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17.5 degrees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여기서, 흘센서는 반도체 소자에 4개의 리드선이 붙어 있는 간단한 구조인데 이 중 입력단자가 전류단자이고 출력단자가 홀 단자로 표시되어 있다. 입력 단자간에 전류를 흘리고 전류에 직각 방향으로 센서면에 자기장을 가하면 전류와 자기장 모두에 직각인 방향으로 자기장과 제어 전류의 곱에 비례하는 홀 전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검출하는 센서가 홀센서이다. 이때, 홀 전압은 자기장에 비례하므로, 자기장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홀센서는 모터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 i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four lead wires are attached to a semiconductor device, of which the input terminal is a curren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is a hall terminal.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sensor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 Hall voltage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control current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And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is a hall sensor. At this time, since the Hall voltage is proportional to the magnetic field, it can be used to measure the magnetic field. Hall sensors can be us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otor rotor.

한편, 상기 유무선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한다. Meanwhil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se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or Bluetooth.

또한, 상기 핸들결합부(30)는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의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21)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The handle coupling portion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handle 10 so that the handle 10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ed to be coupled 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21. [

또한,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는,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When the vehicle is in the ON state,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transmits / receives a control signal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travel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Whe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is OFF, This enables the vehicle to run in the attended mode without operating the motor.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에 결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와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를 차량에 고정하는 고정부(50);와 상기 지지부(40)와 상기 고정부(5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6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steering driv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40 coupled to the remote steering driver portion 20 and supporting the remote steering driver portion 2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fixing part 50 for fixing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to the vehicle and a connecting part 60 for connecting the supporting part 40 and the fixing part 50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Also, a plurality of the support portions 40 are provided so that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여기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의 하부하우징(29)의 뒷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41);과 상기 지지프레임(41)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볼 조인트(45);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40 includes a support frame 41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9 of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and a support frame 41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41, And a ball joint 45 for rotating the ball joint 45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원격조향구동부(20)의 회전에 따라 길이가 연장 또는 수축 가능하다.
The connecting portion 60 may be extended or re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emote steering driver 2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mote steering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코어(23)를 포함하는 직구동모터;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27a)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7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30); 및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90);를 포함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원격제어기(90)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모터제어부(27)의 통신부(27b)에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터제어부(27)의 통신부(27b)가 상기 원격제어기(9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7)의 제어보드(27a)가 상기 직구동모터의 모터코어(2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결합부(30)에 의해 상기 직구동모터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핸들(10)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control method of a remote steering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 drive motor including a steering wheel (10) for adjusting a running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motor core (23) for steering the steering wheel (10) A control board 27a for controlling the direct-drive motor to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controller area network (RS) communication or Bluetooth, A motor control unit 27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27b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and from the handle 10 so that the handle 10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10) and the direct drive motor (10) so as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And a remote controller (9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27) remotely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 the remote controller 90 remote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section 27b of the motor control section 27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section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B) a control board 27a of the motor control unit 27 is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direct drive motor 27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90 by the communication unit 27b of the motor control unit 27, (C) rotating the core (23)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c) rotating the motor core (23) And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handle (10) The.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직구동모터가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모터코어(23)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상기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외측홀센서(28)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23)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tep (b), the direct drive motor includes an inner Hall sensor (22) for measuring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nd an outer Hall sensor (22) and the outer hall sensor (28), and the motor controller (27) controls the absolute rotation angle and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measured by the inner hole sensor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23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23.

여기서, 상기 내측홀센서(22)는,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22a)와 제2 내측홀센서(22b)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22a)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22b)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하게 배치된다. The inner hall sensor 22 includes a first inner hall sensor 22a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to measure the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nd the second inner hole sensor 22b, and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first inner hall sensors 22a is arranged more densely than the arrangement pitch of the second inner hall sensors 22b.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원격제어기(90)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가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p (a) may include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that enables switching between an unmanned mode and an attended mode by turning on / of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or control unit 27 and the remote controller 90; Whe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is O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remotely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vehicle can travel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Whe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is OFF, the wired / And allowing the vehicle to travel in the attended mode without operating the direct drive moto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핸들
20: 원격조향구동부
21: 상부하우징, 21a: 고정자석
22: 내측홀센서, 22a: 제1 내측홀센서, 22b: 제2 내측홀센서
23: 모터코어
25: 베어링
27: 모터제어부, 27a: 제어보드, 27b: 제어통신부
28: 외측홀센서
29: 하부하우징
30: 핸들결합부
40: 지지부
41: 지지프레임
45: 볼 조인트
50: 고정부
60: 연결부
70: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
90: 원격제어기
10: Handle
20: remote steering driver
21: upper housing, 21a: stationary magnet
22: inner Hall sensor, 22a: first inner Hall sensor, 22b: second inner Hall sensor
23: Motor core
25: Bearings
27: motor control unit, 27a: control board, 27b: control communication unit
28: outer Hall sensor
29: Lower housing
30: handle coupling portion
40: Support
41: Support frame
45: ball joint
50:
60: Connection
70: Travel mode changeover switch
90: remote controller

Claims (10)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10);
상기 핸들(10)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9)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23)와,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하부하우징(29)의 외측 원주상의 일부분에 3개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코어(23)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28)을 포함하는 직구동모터;
상기 직구동모터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27);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30);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90); 및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원격제어기(90)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A handle (10)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motor core 23 provided between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9 for rotating the handle 10 in a steerable manner and rotated by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a change in magnetic flux, An inner hall sensor 22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at a non-fixed number of times to measure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nd an outer Hall sensor (28) for measuring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 motor control unit (27)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direct drive motor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A handle coupling portion (30) detachably coupling the handle (10) and the direct drive motor so that the handle (10)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A remote controller 9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27 remotely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nd
And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for enabling switching between an unmanned mode and an attended mode by turning on / of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or control unit (27) and the remote controller (90) Dr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부(27)는,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부에 탑재되어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27a);와
상기 하부하우징(29)의 외면에 설치되어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board (27a) mounted inside the lower housing (29) and controlling the direct drive motor to be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27b)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9)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제어부(27)는,
상기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외측홀센서(28)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23)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23 is adjusted based on the absolute rotation angle and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measured by the inner hall sensor 22 and the outer hall sensor 28 To the steering wh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홀센서(22)는,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22a)와 제2 내측홀센서(22b)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22a)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22b)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ner hall sensor (22)
A first inner hall sensor 22a and a second inner hall sensor 22b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to measure the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rst inner hall sensors (22a) is denser than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inner hall sensors (22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결합부(30)는,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의 테두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21)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The handle coupl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A clamp detachably coupled to a rim of the handle 10 so that the handle 10 can be integrally rotated by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under the clamp and protruding to be engaged with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는,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And when it is O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remotely so that it can travel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and when it is OFF,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released,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차량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이 조향 가능하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9) 사이에 설치되어 자속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기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코어(23)를 포함하는 직구동모터;와 유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직구동모터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27a)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7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직구동모터에 일체형으로 탑재되는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핸들(1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10)과 상기 직구동모터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핸들결합부(30); 및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90);를 포함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상기 원격제어기(90)가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모터제어부(27)의 통신부(27b)에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직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모터제어부(27)의 통신부(27b)가 상기 원격제어기(9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제어부(27)의 제어보드(27a)가 상기 직구동모터의 모터코어(2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핸들결합부(30)에 의해 상기 직구동모터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핸들(10)의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
A steering wheel 10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 electric motor 2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9 for driving the steering wheel 10 so as to be steerable, A control board 27a for controlling the direct-drive motor to be rotatab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direct-drive motor including a motor core 23, And a communication section (27b)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by communication, the motor control section (27) being integrally mounted on the direct drive motor; and a motor control section A handle engagement portion (3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handle (10) and the direct drive motor to each other; And a remote controller (9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to / from the motor control unit (27) remotely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motor control unit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As a result,
(a)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90) so that the motor controller (27) can control the direct drive motor to the communication section (27b) of the motor controller (27)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remotely; Wow
(b)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90 by the communication unit 27b of the motor control unit 27, the control board 27a of the motor control unit 27 is connected to the motor core 23 of the direct drive motor )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c)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handle (10) integrally coupled to the direct drive motor by the handle engagement portion (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core (23)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ering of the steering whe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직구동모터가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모터코어(23)의 상대 회전각을 계측하는 외측홀센서(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제어부(27)가 상기 내측홀센서(22) 및 상기 외측홀센서(28)에서 각각 계측된 상기 모터코어(23)에 대한 절대회전각 및 상대회전각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코어(23)의 회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tep (b)
Wherein the direct drive motor further comprises an inner Hall sensor (22) for measuring an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and an outer Hall sensor (28) for measuring a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The motor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motor core 23 based on the absolute rotation angle and the relativ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measured by the inner hall sensor 22 and the outer hall sensor 28, And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홀센서(22)는,
상기 모터코어(23)의 절대회전각을 계측하기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29)의 내측 원주상에 다수개가 비정수배로 설치되는 제1 내측홀센서(22a)와 제2 내측홀센서(22b)로 이루어지되 제1 내측홀센서(22a)의 배치 간격이 제2 내측홀센서(22b)의 배치 간격보다 더 조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nner Hall sensor (22)
A first inner hall sensor 22a and a second inner hall sensor 22b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housing 29 to measure the absolut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core 23, ,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irst inner hall sensors (22a) is denser than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second inner hall sensors (22b).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터제어부(27)와 상기 원격제어기(90) 사이의 유무선통신을 ON 또는 OFF하여 무인모드와 유인모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모드 변환 스위치(70)가 ON일 때는 원격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직구동모터에 의해 무인모드로 주행 가능하고, OFF일 때는 유무선통신이 해제되어 상기 직구동모터의 작동 없이 유인모드로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향구동장치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tep (a)
And a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for enabling switching between an unmanned mode and an attended mode by turning on / off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or control unit (27) and the remote controller (90)
When the traveling mode change-over switch 70 is O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remotely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traveled in the unmanned mode by the direct drive motor. When the travel mode changeover switch 70 is OFF, And allowing the vehicle to travel in an attended mode without operation.
KR1020140054806A 2014-05-08 2014-05-08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6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06A KR101586636B1 (en) 2014-05-08 2014-05-08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06A KR101586636B1 (en) 2014-05-08 2014-05-08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60A true KR20150128060A (en) 2015-11-18
KR101586636B1 KR101586636B1 (en) 2016-01-19

Family

ID=5483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06A KR101586636B1 (en) 2014-05-08 2014-05-08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6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4408A1 (en) * 2018-01-29 2019-08-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Remote control
KR20210018622A (en) * 2019-08-07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Apparatus for tuning an operating part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17B1 (en) * 2019-07-24 2020-10-08 동서콘트롤(주) BLDC control system for industrial vehicles
KR102406545B1 (en) * 2021-10-15 2022-06-08 주식회사 긴트 System for automatically rotating a sterring wheel of an agricultural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64A (en)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로템 Remote steering apparatus of the unmanned vehicle where the conversion of manual operation and automatic mode is possible
KR20080074089A (en) * 2005-08-19 2008-08-12 오칼리도 아카쉰노 어버세스보 "카르스키 자보다 에레크트로닉스 이즈드리" Car steering wheel electromechanical boo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089A (en) * 2005-08-19 2008-08-12 오칼리도 아카쉰노 어버세스보 "카르스키 자보다 에레크트로닉스 이즈드리" Car steering wheel electromechanical booster
KR20070104764A (en)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로템 Remote steering apparatus of the unmanned vehicle where the conversion of manual operation and automatic mode is possi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4408A1 (en) * 2018-01-29 2019-08-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Remote control
KR20210018622A (en) * 2019-08-07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Apparatus for tuning an operating part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636B1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636B1 (en) Remote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70819B1 (en) Remote Steering Apparatus
JP4154883B2 (en) Brake device
US8965691B1 (en) Position and direction determination using multiple single-channel encoders
JP64191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ehicle motion data to an external navigation system
JP64528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car to a target position
JP6694424B2 (en) Sensor calibration in parking facilities
US10654522B2 (en) System for actively monitoring the steering angle of a vehicle using a kingpin sensor
US8655504B2 (en) Safety test carrier controlled by external guidance system
CN108407892B (en) Automatic driving automobile based on universal chassis
KR20100010608A (en) Steering angle sensor and vehicle system having the steering angle sensor
CN108698629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eering wheel contact
US20230311596A1 (en) Angle and orientation measurements for vehicles with multiple drivable sections
JP2021049845A (en) Remote parking system
KR101246128B1 (en) Automatic vehicle driving system
US20200198395A1 (en) Wheel hub transmission unit for a wheel hub of a vehicle, wheel hub, and an auxiliary driven vehicle
JP7048623B2 (en) Load motor for chassis dynamometer
KR101146744B1 (en) Steering apparatus providing manual steering mode, automatic steering mode, and remote steering mode
KR101877998B1 (en) Apparatus for sensing wheel speed for in-wheel motor
CN103069197A (en) Closed-loop transmission integration with forward and/or reverse assist system
KR20180023862A (en) Power supplying system for sensor mounted on the wheels of a vehicle using wireless power transfer
CN207466561U (en) A kind of automobile-used flexible axle encoder apparatus
CN211477623U (en) Unmanned vehicle test system
CN215360930U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vehicle
CN203126526U (en) Electronic parking control system of automobi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