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054A -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 Google Patents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054A
KR20150128054A KR1020140054791A KR20140054791A KR20150128054A KR 20150128054 A KR20150128054 A KR 20150128054A KR 1020140054791 A KR1020140054791 A KR 1020140054791A KR 20140054791 A KR20140054791 A KR 20140054791A KR 20150128054 A KR20150128054 A KR 2015012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opening
bus fare
plat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5088B1 (en
Inventor
김승기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4005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088B1/en
Publication of KR2015012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h deposit of a bus fare receipt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receipt box and a receipt cover of the cash deposit from being opened at random and thus can prevent loss or robbery of the cash stored in the cash deposit, and can convert the cash deposit into a locking state of a mounted storage box of the bus fare receipt apparatus, by preparing: a bus fare receipt apparatus for settling a bus fare with cash or a card; a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on an upper part of a space part where the cash deposit is installed in the bus fare receipt apparatus; and the cash deposit which stores the cash inserted into the bus fare receipt apparatus by opening an opening/closing board by the fixing member according as being attached to the space part of the bus fare receipt apparatus.

Description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The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본 발명은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요금 수납기에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 등 현금의 분실 또는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h register of a bus fare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h register of a bus fare receiver that can prevent the loss or theft of cash such as a coin or a bill inserted into a bus fare receiver.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고객의 요금을 수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버스 요금함이 사용되고 있다. 버스 요금함은 요금 투입구로 요금을 넣으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고, 별도의 레버를 작동시켜 요금 투입함의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요금 투입함의 하측 개구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요금 수거함으로 요금을 최종 수납하고 있다.
Generally, buses use various types of bus fare boxes to collect customer charges. The bus fare box is used to check the driver's fee when the user puts the fare into the fare input port and to op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charge input door by operating a separate lever so that the fare is finally stored in the fare collection box provided with the opening .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 first bill receiving apparatus for a bus fare box ".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는 요금함 본체에 요금 투입함, 요금 차액 지불함, 요금 수거함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 투입함에 승객이 투입한 요금을 확인하기 위한 1차 요금 수거통이 구비된 버스 요금함으로서, 상기 1차 요금 수거통의 하부에 힌지축으로 하측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 요금받이, 상기 1차 요금 수거통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요금받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버스 문에 인접한 차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버스문의 자동 개폐 동작을 감지하며 그 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로 전달하는 버스 문 개폐 감지수단, 상기 1차 요금받이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1차 요금받이를 항시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In the first fare receiver driving device of the bus fare box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described below,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fee charging system, a fee difference charging system, and a fee collection box, A first charge bang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arge banger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downward with a hinge axis, a first charge bang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charge banger, A bus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vehicle body adjacent to the bus door for detecting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bus door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olenoid, There is disclosed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rimary tariff in one direction at all times.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2127호(2000년 11월 18일 등록)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2127 (Registered November 18, 2000)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는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 사이의 요금받이는 힌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데, 요금받이는 힌지 결합만 되어 있으므로 요금투입구 측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쉽게 개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요금이 최종 투입된 요금수거함의 경우 버스 요금함은 버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금 수거함이 버스요금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운행이 끝난 버스에서 버스 운전자가 직접 이를 분리하여 운반하므로 요금을 임의로 꺼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first charge receiving drive device of the bus charg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the charge receiver between the charging charge and the charge collection box is hinged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solenoid valve, and the charge receiver is hinged only. The bus fare box is fixed to the bus so that the fare box is always opened when the fare box is accommodated in the bus fare box,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s driver can directly take out the fare from the bus on which the bus has been ope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요금 수납기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도난 또는 분실 되지 않도록 잠금(록킹) 상태를 유지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h storage box of a bus fare receiver that keeps a locked state so that cash inputted from a bus fare receiver is stolen or l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현금 보관함을 버스 요금 수납기에 장착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h storage box of a bus fare receiver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s a driver mounts the cash register in the bus fare recei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 요금 수납기에서 징수된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h storage of a bus fare receiver that can safely store cash collected from a bus fare recei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이 장착되는 공간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cash depository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ace where the cash deposit box of the bus fare receiver is mounted, And a cash storage box in which the open / close board is opened by the fixing member as it is detach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bus fare receiver, and cash stored in the bus fare receiver is stored.

상기 현금 보관함은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잠금장치, 상기 개폐판이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 상기 덮개 본체의 양측에 상기 개폐판이 닫히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장착된 수납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h storage box includes a storage box for storing cash inputted into the bus fare receiver, a cover body formed to op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so as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A fastener for restoring the locking devi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held by the locking device, and a housing lid having elastic spring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id body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

상기 잠금장치의 상측에 상기 개폐판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device.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cludes a protrus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and protrudes so as to move the opening / closing plate.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소정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요동부재, 상기 개폐판의 일면에 상기 요동부재의 걸림홈에 걸리는 이동핀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swinging member rotatably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locking pin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of the swinging member on one surface of the locking plate, And a control unit.

상기 요동부재는 상기 덮개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 본체의 내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ng member includes a rotation pin fixed to the lid body, a sw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pin, and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swing plat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

상기 잠금부재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이동핀이 왕복 이동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홈부가 형성된 이동핀, 상기 이동핀의 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이동핀과 직교되게 장착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이 탄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상기 이동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 버튼, 상기 이동핀이 수평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member has a cas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hole formed on both sides for allowing the moving pin to reciprocate, a moving pin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se and formed with a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spring provided below the retaining plate so that the retaining plate has elasticity, a push button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retaining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retaining plate, And a second spring mounted so that the moving pin moves horizontally.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잠금장치에 돌출된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핀을 해정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sten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i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device, and a return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 to untie the moving pi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의하면, 현금 보관함의 수납함과 수납 덮개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어 현금 보관함에 저장된 현금의 분실 또는 도난의 우려가 없으며, 현금 보관함을 버스 요금 수납기에 장착 또는 분리함에 따라 개폐판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이루어지며, 버스 요금 수납기에 탈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현금 보관함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sh register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ossible to arbitrarily open the storage box and the lid of the cash register, and there is no fear of loss or theft of the cash stored in the cash register. The opening / closing plate is automatically 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mounting or dismounting of the cash dispenser on the bus holder, and the cash storage box can b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by a simple operation of detaching the bus fare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 및 현금 보관함을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수납 덮개를 보인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잠금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이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개폐 상태를 보인 측면도.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h register of a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s fare receiver and a cash regi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lid of a cash regi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of a cash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cash storag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cash storag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n / closed state of a cash storage bo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ash deposit box of a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 및 현금 보관함을 보인 입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h register of a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fare receiver and a cash regi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10),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되는 공간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2)에 의해 개폐판(43)이 개폐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30)을 포함한다.The cash register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s fare receiver 10 for accounting for bus fare by cash or a card, A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by the fixing member 12 as it is detach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a cash inserted into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a cash storage box 30 to be stored.

버스 요금 수납기(10)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 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가 현금으로 버스 요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 투입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교통카드 등으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카드 단말기(14)가 마련되어 있다.The bus fare receiver 10 is mounted o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uch as a bus so that the passenger can receive the bus fare by cash. As shown in FIG. 2, the bus fare receiver 10 is a cash input port 13, and a card terminal 14 that charges a bus fare by a traffic card or the like is provided.

아울러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현금 투입구(13)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되며,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이 탈착 되도록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us fare receiver 10 is equipped with a cash storage box 30 in which cash inputted into the cash input port 13 is stored, and a space portion 11 is formed so that the cash storage box 30 can be detached.

또 공간부(11)의 내측에는 현금 보관함(30)의 탈착 시 현금 보관함(30)의 개폐판(43)을 개방시키는 고정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는 개폐판(43)의 돌출판(44)이 걸리도록 공간부(11)의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A fixing member 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11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of the cash storage box 30 when the cash storage box 30 is detached. The fixing member 12 is protrud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pace portion 11 so as to engage with the protrusion 44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수납 덮개를 보인 저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잠금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FIG. 3 is a bottom plan view showing a storage lid of a cash storag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of a cash storag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은 현금이 보관되는 수납함(31)과 상면이 개방된 수납함(31)을 개폐시킴은 물론 개폐되는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개폐판(43)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수납 덮개(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ash storage unit 30 includes a housing 31 in which cash is stored, a housing 31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cash dispenser 10 Closing plate 43 is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n the state of Fig.

또 수납함(31)에는 수납 덮개(40)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32)가 마련되며, 수납함(31)의 전면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현금 보관함(30)을 분리시키는 탈착 버튼(33)이 마련된다.The storage box 31 is also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32 for locking the storage lid 40.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box 31 is kept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A detachable button 33 for detaching the detachable button 33 is provided.

또한 수납 덮개(40)는 개폐판(43)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와 개방된 개폐판(43)이 닫히도록 잠금장치(50)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를 포함한다.The storage lid 40 also includes a locking device 50 for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and a fixing device 70 for replacing the locking device 50 so that the open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closed.

수납 덮개(40)는 수납함(31)과 대응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덮개 본체(41)로 이루어지며, 개폐판(43)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부(42)는 개폐판(43)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되면 개폐판(43)이 폐쇄됨은 물론 개폐판(43)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The housing lid 40 is formed of a lid body 41 having a bottom open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using box 31 and ha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42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part 42 is opened or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which is opened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when the bus fare receiver 10 is separated from the bus fare receiver 10, Of cours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kept in a locked state so as not to be arbitrarily opened.

이러한 개폐판(43), 잠금장치(50) 및 고정구(70)는 모두 덮개 본체(41)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열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개폐판(43), 잠금장치(50) 및 고정구(70)는 모두 현금 보관함(30)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he locking device 50, and the fixing device 70 are al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body 41 so that they can not be opened by external force.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he locking device 50, and the fastener 70 are both installed inside the cash storage box 30.

아울러 현금 보관함(30)은 외부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손쉽게 파손되거나 해체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되어 있는 현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ash storage box 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it can not be easily broken or disassembl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This is to prevent the theft or loss of the cash stored in the cash storage box 30.

개폐판(43)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고정부재(12)에 대응되는 돌출판(44)이 돌출 형성되며, 돌출판(44)은 고정부재(12)에 걸려 현금 보관함(30)의 장착에 따라 개폐판(43)을 개방되게 한다.A protrusion 44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12 of the bus fare receiver 10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board 43 and the protrusion 44 is hooked on the fixing member 12,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opened according to the mounting.

또 덮개 본체(41)의 저면에는 개폐판(43)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개폐판(43)이 보다 안정되면서도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부재(45)가 고정되며, 안내부재(45)는 덮개 본체(41)의 저면에 맞대는 제1 부재(45a)와 제1 부재(45a)의 저면에 맞댄 상태에서 볼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되는 제2 부재(45b)를 포함한다.An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movab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body 41 and the guide member 45 is fix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moved more smoothly and smoothly. A first member 45a abutt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41 and a second member 45b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ember 45a by fixing means (not shown) such as bolts or rivets do.

즉, 제1 부재(45a)는 제2 부재(45b)에 의해 고정되며, 제2 부재(45b)는 덮개 본체(4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안내부재(45)는 덮개 본체(41)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That is, the first member 45a is fixed by the second member 45b, the second member 45b is fixed to the lid body 41 by fixing means such as a bolt, (41).

또 덮개 본체(41)의 양측 내측면에는 각각 일정 폭을 갖는 고정판(46)이 고정되며, 덮개 본체(41)와 고정판(46)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47)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들 롤러(47)에는 스프링(48)이 장착된다.A plurality of rollers 47 are rotatably fixed between the lid main body 41 and the fixed plate 46. The plurality of rollers 47 are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41, A spring (48) is mounted on the roller (47).

스프링(48)의 일단은 덮개 본체(41)에 걸리게 되고, 스프링(48)의 타단은 개폐판(43)에 걸리게 되며, 스프링(48)은 개폐판(43)을 항시 원위치 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한다.One end of the spring 48 is engaged with the lid body 41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48 is caught b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and the spring 48 gives an elastic force to always retur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to its original position .

즉, 스프링(48)은 개폐판(43)이 항시 개폐부(42)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43)을 초기 위치(닫힌 상태)로 끌어 당기게 된다.That is, the spring 48 pulls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o the initial position (closed state)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can always keep the opening / closing unit 42 closed.

또한 개폐판(43)에는 2개의 잠금장치(50)가 마련되며, 잠금장치(50)는 개폐판(43)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임의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개폐판(43)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provided with two locking devices 50.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kept closed so that it can not be arbitrarily opened from the outside 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

이러한 잠금장치(50)는 덮개 본체(41)에 고정되는 요동부재(51)와 개폐판(43)에 고정되는 잠금부재(60)를 포함한다.This locking device 50 includes a swinging member 51 fixed to the lid body 41 and a locking member 60 fix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요동부재(51)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板)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동판(52), 요동판(5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53), 요동판(52)을 덮개 본체(41)에 고정시킴과 함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핀(55) 및 요동판(52)을 항상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56)을 포함한다.The swinging member 51 includes a swinging plate 5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 engagement groove 53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winging plate 52, a swinging plate 52, And a torsion spring 56 for always returning the rotation pin 55 and the swing plate 52 to a fixed position.

요동판(52)에는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려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홈(53)이 형성되며,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54)이 형성된다.The swinging plate 52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53 for locking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member 60.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member 6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53, A sloped surface 5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afer W to the wafer W is formed.

또 토션 스프링(56)의 일단은 요동판(52)에 고정되며, 토션 스프링(56)의 타단은 덮개 본체(41)에 고정된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56)은 요동판(52)을 수평 위치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 이동될 때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되도록 탄성을 부여한다.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56 is fixed to the swing plate 52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56 is fixed to the lid body 41. This torsion spring 56 keeps the swinging plate 52 in a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 member 60 is not released and the moving pin 62 is moved to the engaging groove 53 Thereby imparting elasticity to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54. As shown in Fig.

잠금부재(60)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길이 방향 양측에 구멍(61a)이 형성된 케이스(61), 케이스(61)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되는 이동핀(62), 이동핀(62)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걸림판(63), 걸림판(63)의 하측에 장착되어 걸림판(63)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64), 걸림판(63)의 상측에 장착되어 걸림판(63)을 해정시키는 누름 버튼(65) 및 이동핀(62)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66)을 포함한다.The locking member 60 has a case 6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provided with holes 61a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moving pin 62 which is mov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61, A first spring 64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atch plate 63 for applying elasticity to the latch plate 63 and a latching plate 63 mounted on the latch plate 63, A push button 65 for unlocking the movable pin 62 and a second spring 66 for applying elasticity to the moving pin 6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60)의 케이스(61)에는 길이 방향의 좌우 양측에 구멍(61a)이 형성되고, 케이스(6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핀(62)이 구멍(61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4, the case 61 of the lock member 60 is provided with a hole 61a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moving pin 62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se 61 And is movably mounted between the holes 61a.

이동핀(62)에는 소정 위치에 걸림판(63)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홈부(62a)가 형성되며, 걸림판(63)에는 홈부(62a)보다 큰 구멍(63a)이 형성된다.The moving pin 62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62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by the engaging plate 63 and the engaging plate 63 is formed with a hole 63a larger than the groove portion 62a.

즉, 홈부(62a)는 걸림판(63)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판(63)이 하강됨에 따라 이동핀(62)은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핀(62)이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groove portion 62a is kept locked so as not to be moved by the latching plate 63. As the latching plate 63 is lowered, the movement pin 62 is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And becomes horizontally movable.

아울러 걸림판(63)의 장착되는 제1 스프링(64)은 걸림판(63)이 항상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며, 누름 버튼(65)은 관리자에 의해 이동핀(62)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걸림판(63)의 상측에 장착된다.The first spring 64 to which the locking plate 63 is attached is provided with elasticity so that the locking plate 63 can always be moved upward and the push button 65 is released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ing plate 63 so that the latching plate 63 can be moved.

또한 제2 스프링(66)은 이동핀(62)의 일측에 장착되며, 이동핀(62)에 탄성을 부여하며, 미 설명된 도면부호 67은 제2 스프링(66)의 탄성이 가해지도록 이동핀(62)에 끼워지는 와셔이다.The second spring 66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in 62 to impart elasticity to the moving pin 62. Reference numeral 67 denotes a second spring 66, (62).

또한 덮개 본체(41)의 저면 내측에는 개폐판(43)의 이동에 따라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을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가 고정된다. 고정구(70)는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릴 수 있도록 원위치시키는 것으로, 2개의 이동핀(62)이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71), 2개의 잠금부재(60)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이동핀(62)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72) 및 수납 덮개(40)를 수납함(31)에 록킹 되도록 록킹장치(32)에 대응되는 잠금구멍(73)이 형성된다.
A fastener 70 for fixing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device 5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body 4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The fastener 70 is used to bring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device 50 into the retaining groove 53 of the swinging member 51 so that the two moving pins 62 can move naturally A returning portion 72 for returning the moving pin 62 to the initial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locking members 60 so as to be locked to the housing 31 of the housing lid 40, A lock hole 73 corresponding to the lock hole 32 is formed.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ash register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ash register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parate cash register 30 for storing cash in the bus fare receiver 10.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현금 보관함(30)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11)를 형성하며, 공간부(11)에는 현금 보관함(30)의 개폐판(43)을 이동시키는 고정부재(12)를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2)는 도 2에서와 같이 공간부(11)의 상측에 마련한다.The bus fare receiver 1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1 for mounting the cash container 30 and a fixing member 12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of the cash container 30 is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11. [ . This fixing member 1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portion 11 as shown in Fig.

또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탑승자가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 투입구(13)를 형성하며, 교통카드 등으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카드 단말기(14)를 장착한다.In addition, the bus fare receiver 10 is provided with a cash input port 13 through which a passenger puts cash such as a coin or banknote, and mounts a card terminal 14 that charges a bus fare with a traffic card or the like.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은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31)과 상면이 개방된 수납함(31)의 상측에 개폐되는 수납 덮개(40)를 포함한다.The cash storage box 30 includes a storage box 31 storing cash such as coins or paper money, and a storage cover 40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box 31 opened on the upper surface.

도 1에서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의 수납함(31)에는 수납 덮개(40)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32) 및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탈착하는 탈착 버튼(33)을 마련한다. 즉, 록킹장치(32)는 수납 덮개(40)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며, 탈착 버튼(33)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현금 보관함(30)이 이탈되지 않고서 안정되적으로 장착되게 한다.1, a locking device 32 for locking the storage lid 40 and a detachment button 33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bus fare receiver 10 are provided in the storage box 31 of the cash storage box 30. That is, the locking device 32 keeps the storage lid 40 in a locked state, and the detachable button 33 allows the cash storage bin 30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to be stably mounted do.

또한 수납 덮개(40)는 저면이 개방된 덮개 본체(4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43), 개폐판(43)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 및 잠금장치(50)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를 포함한다.Further, the storage lid 40 includes an open / close plate 43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lid body 41 with its bottom open, a lock device 50 for keeping the open / close plate 43 in a locked state, 50) in place.

즉, 수납 덮개(40)는 관리자 외에 버스 운전자 등이 임의로 열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록킹장치(32)는 관리자가 보유한 열쇠(키)에 의해서만 제한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orage lid 40 is structured such that a bus driver can not open it, other than the manager, and the locking device 32 can be limitedly opened and closed only by a key (key) possessed by the manager.

덮개 본체(41)의 내측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됨에 따라 개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서 분리됨에 따라 폐쇄되는 개폐판(43)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개폐판(43)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를 설치한다.The cover body 41 is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41 so as to be opened whe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is closed when the bus fare receiver 10 is detached, A locking device 50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is provided.

잠금장치(50)는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요동부재(51)와 요동부재(51)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개폐판(43)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재(60)를 포함한다.The locking device 50 includes a swinging member 5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41 and a locking member 60 for holding the locking state of the swinging member 51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opening / .

요동부재(51)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요동판(52)을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회전핀(55)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일측에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리도록 걸림홈(53)을 형성하며,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54)을 형성한다.The swinging member 51 has a swinging plate 5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41 by a rotation pin 55, And the inclined surface 54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movement pin 62 can move smoothly.

이러한 요동부재(51)에는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토션 스프링(56)을 설치한다. 토션 스프링(56)의 일단은 요동판(52)에 고정하고 토션 스프링(56)의 타단은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이에 토션 스프링(56)은 요동판(52)을 항상 정 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요동판(52)은 이동핀(62)이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될 때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다.The torsion spring (56) is installed in the swinging member (51) so as to always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56 is fixed to the swing plate 52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56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41. The torsion spring 56 keeps the swing plate 52 always in a fixed position and the swing plate 52 rotat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moving pin 62 is moved along the slope 54, do.

이는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잠금장치(50)에 의한 잠금(록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moving pin 62 to move smoothly so that locking (locking) by the locking device 50 can be performed smoothly.

한편 잠금부재(60)는 개폐판(43)의 일면 즉, 고정구(70)와 대응되는 면에 고정하는데, 개폐판(43)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한다. 이러한 잠금부재(6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케이스(61)의 구멍(61a)을 관통하여 이동핀(62)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member 60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hat i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70, and is fix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he locking member 60 movably couples the moving pin 62 through the hole 61a of the case 6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걸림판(63)의 구멍(63a)에는 이동핀(62)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걸림판(63)은 이동핀(62)의 이동에 따라 걸림판(63)의 구멍(63a)이 이동핀(62)의 홈부(62a)에 걸리게 된다.The moving pin 62 is movably fitted in the hole 63a of the engaging plate 63 and the engaging plate 63 moves the hole 63a of the engaging plate 6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n 62 And is caught by the groove portion 62a of the pin 62.

걸림판(63)은 그 하측에 제1 스프링(64)을 설치하며, 걸림판(63)의 상측에는 누름 버튼(65)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걸림판(63)은 누름 버튼(65)에 의해 하강되며, 누름 버튼(65)을 누르지 않게 되면, 걸림판(63)은 제1 스프링(64)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된다.A first spring 6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atching plate 63 and a push button 6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ing plate 63. The stopper plate 63 is lowered by the push button 65. When the push button 65 is not pressed, the stop plate 63 is raised to the home position by the first spring 64. [

또 이동핀(62)에는 제2 스프링(66)이 장착되며, 제2 스프링(66)은 이동핀(62)을 항상 일측으로 가압하게 된다.The second spring 66 is mounted on the moving pin 62 and the second spring 66 always urges the moving pin 62 to one side.

또한 덮개 본체(41)에는 수납함(31)의 록킹장치(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70)를 고정하며, 고정구(70)에는 잠금부재(60)의 케이스(61)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경사면(71)을 형성하며, 경사면(71)의 끝단에는 이동핀(6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72)를 형성한다.The lid body 41 is fixed to the lid body 4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device 32 of the housing box 31 and is fixed to the lid body 70 by projecting to one side of the case 61 of the locking member 60 An inclined surface 7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smoothly move the moving pin 62 and a return portion 7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71 to return the moving pin 62 to the original position.

아울러 고정구(70)에는 록킹장치(32)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멍(73)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fastener (70) is provided with a hole (73) to be kept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32).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cash register of a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버스 요금 수납기에서 징수된 현금을 현금 보관함(30)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운전자 등에 의해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된 현금을 도난 또는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1 to 7, the cash deposit box of the bus fare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safely storing the cash collected in the bus fare receiver in the cash deposit box 30, To prevent the cash stored in the storage box 30 from being stolen or lost.

이를 위해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되면, 수납 덮개(40)의 개폐판(4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장치(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cash register 30 is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the open / close board 43 of the storage cover 40 is kept open. When the cash register 30 is disconnected from the bus fare receiver 10, Is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by the lock device (50).

즉,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금이 투입되도록 개폐판(43)이 개방되고, 버스 요금 수납기(10)에서 분리됨과 함께 개폐판(43)이 폐쇄된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ash storage box 30 is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the open / close board 43 is opened so that cash is inserted, the bus fare receiver 10 is disconnected and the open / close board 43 is closed .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의 록킹장치(32)의 열쇠는 관리자만이 소유하게 되며, 버스 운전자 등에게는 록킹장치(32)의 열쇠가 지급되지 않음으로써 현금 보관함(30)을 항시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 key of the locking device 32 of the cash storage box 30 is owned only by the manager and the key of the locking device 32 is not paid to the bus driver etc. so that the cash storage box 30 is always kept closed .

즉, 관리자 외에는 록킹장치(32)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여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되어 있는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locking device 32 can not be opened except for the manager, so that the cash stored in the cash storage box 30 can be safely stored.

관리자는 록킹장치(32)를 조작하여 수납함(31)으로부터 수납 덮개(40)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관리자는 수납 덮개(4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50)를 조작하여 개폐판(43)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manager operates the locking device 32 to detach the storage lid 40 from the storage box 31. [ In this separated state, the manager operates the locking device 50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lid 40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can be opened.

이러한 잠금의 해제는 잠금장치(50)의 잠금부재(6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버튼(65)를 눌러 해제하게 된다. 도 5 및 도 7은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 개폐판(43)은 이동핀(62)이 걸림홈(53)에 걸려 있어 외부에서 개폐판(43)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This release of the lock is released by pushing the push button 65 provided on the lock member 60 of the lock device 50. [ 5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member 6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53 of the swinging member 51. In this state, Is caught by the latching groove 53,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can not be opened from the outside.

즉,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부터 이탈되어야 개폐판(43)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can be moved only when the moving pin 62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groove 53.

도 5에 도시된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은 홈부(62a)가 걸림판(63)에 의해 걸린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케이스(61) 저면(도 3 참조)에 설치된 누름 버튼(65)를 누르게 되면, 걸림판(63)이 이동핀(62)의 홈부(62a)로부터 이탈된다.The moving pin 62 of the lock member 60 shown in Fig. 5 is in a state in which the groove portion 62a is caught by the holding plate 63 and the push button The engaging plate 63 is disengaged from the groove 62a of the moving pin 62 when the pressing plate 65 is pressed.

이와 같이 걸림판(63)이 누름 버튼(65)에 의해 하강(도 4 참조)됨에 따라 이동핀(62)을 가압하고 있는 제2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이동핀(62)은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5) by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spring 66 pressing the moving pin 62 as the stopping plate 63 is lowered (see Fig. 4) by the push button 65, As shown in Fig.

즉, 이동핀(62)은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개폐판(43)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That is, the moving pin 62 is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groove 53 of the swinging member 51,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can be freely moved.

이때 개폐판(43)은 고정판(46)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48)에 의해 탄력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개폐판(43)은 도 5의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도면상 하측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held in a resilient state by the spring 48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46. That is, when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moved upward in the drawing of Fig. 5,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 causes the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이에 스프링(48)은 개폐판(43)이 초기 위치 즉,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탄력을 제공하게 된다.Thus, the spring 48 provides the elasticity of switch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closed state.

관리자는 버스의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현금 보관함(30)의 잠금장치(50)를 해제시킨 상태로 버스 운전자에게 현금 보관함(30)을 전달하게 된다.The manager transfers the cash storage box 30 to the bus driver with the lock device 50 of the cash storage box 30 released before starting the bus operation.

이와 같이 개폐판(43)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운전자에게 전해지게 되고, 버스 운전자는 현금 보관함(30)을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11)에 끼워 장착하게 된다.The cash storage box 30 is transferred to the bus driver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can freely move and the bus driver inserts the cash storage box 30 into the space portion 11 of the bus fare receiver 10 Respective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11) 내측으로 밀어 넣어 장착되며, 이때 공간부(11)의 내부에는 고정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2, the cash storage box 30 is pushed into the space portion 11 of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a fixing member 12 is fixed inside the space portion 11 have.

이러한 고정부재(12)에는 현금 보관함(30)을 밀어 넣어줌에 따라 개폐판(43)에 돌출 형성된 돌출판(44)이 걸리게 되고, 현금 보관함(30)을 계속 밀어 넣음에 따라 돌출판(44)에 의해 개폐판(43)이 개방된다.As the cash storage box 30 is pushed into the fixing member 12, the protrusion 44 protruding from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caught. As the cash storage box 30 is continuously pushed 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opened.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이 완료되면, 개폐판(43)은 완전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43)은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ash storage box 30 is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the open / close board 43 is switched to a fully open state. As shown in FIG. 6, the open / And remains in the moved state.

이때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경사면(71)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 6의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왼쪽에 설치된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왼쪽으로 이동되며, 오른쪽에 설치된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오른쪽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member 6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rawing of FIG. 6 while being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71 of the fixing member 70.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device 50 installed on the left side is moved to the left side and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device 50 installed on the right side is moved to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즉,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경사면(71)을 따라 서서히 좌우로 이동되며,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복귀부(72)에 도달됨에 따라 이동핀(62)이 초기 위치 상태인 도 5에서와 같이, 잠금장치(50)의 요동부재(51) 쪽으로 돌출된다.The moving pin 62 is gradually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inclined surface 71 of the fixture 70 and the moving pin 62 reaches the return portion 72 of the fixture 70, And protrudes toward the swinging member 51 of the locking device 50 as shown in Fig.

이에 덮개 본체(41)의 개폐부(42)가 개방되며,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이 완료됨에 따라 탈착 버튼(33)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걸리게 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2 of the cover main body 41 is opened and the detachment button 33 is caught by the bus fare receiver 10 as the cash storage box 30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이와 같이 덮개 본체(41)의 개폐부(42)가 개방된 상태로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현금 투입구(13)로 투입된 현금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현금 이동로(미도시)를 따라 현금 보관함(30) 내부로 투입되어 저장된다.The cash storage box 30 is mounted on the bus fare receiver 10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2 of the lid body 41 being opened and the cash inputted into the cash slot 13 of the bus fare receiver 10 is stored in the bus (Not shown) of the bill acceptor 10 into the cash storage box 30 and stored.

한편 버스 운행이 종료됨에 따라 버스 운전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현금 보관함(30)을 분리하게 되는데, 현금 보관함(30)에 설치되어 있는 탈착 버튼(33)을 눌러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현금 보관함(30)을 분리하게 된다.The bus driver separates the cash storage box 30 from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presses the release button 33 provided in the cash storage box 30 to release the bus from the bus fare receiver 10 The cash storage box 30 is separated.

이에 버스 운전자는 현금 보관함(30)을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전면으로 끌어당겨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이 분리됨에 따라 개폐판(43)은 수납 덮개(40)의 스프링(48) 탄력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The bus driver pulls the cash storage box (30) to the front of the bus fare receiver (10) and separates it. As the cash storage box 30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 of the storage lid 40.

즉, 개폐판(43)은 고정부재(12)에 의해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현금 보관함(30)이 분리됨과 함께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kept open by the fixing member 12, and the cash storage box 30 is separated and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 do.

개폐판(43)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도 6에서와 같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릴 수 있도록 각각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개폐판(43)은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개방되기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Before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moving pin 62 of the locking device 50 is projected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53 of the swinging member 51 as shown in Fig. 6 .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or Fig. 7, the opening / closing plate 43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being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8. [

이와 같이 개폐판(43)이 이동되면서 이동핀(62)은 요동부재(51)의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되며, 이때 요동부재(51)는 회전핀(55)을 중심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도면상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7, the movable pin 62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4 of the swinging member 51 while the swinging member 51 is rotated about the swinging pin 55. At this time, Likewise, it tilts downward in the drawing.

이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핀(62)은 경사면(54)을 지나 걸림홈(53)에 걸리게 되며, 개폐판(43)은 잠금장치(50)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The moving pin 62 thus moved is caught by the engagement groove 53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5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by the locking device 50. [

이에 현금 보관함(30)은 수납함(31)에 수납 덮개(4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개폐판(43)은 잠금장치(5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버스 운전자 등에 의해 임의로 열 수 없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된 현금의 도난 또는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
The cash storage box 30 is kept locked in the storage box 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3 is kept in the locked state by the lock device 50. Therefore, So that the cash stored in the cash storage box 30 is not stolen or los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버스 요금 수납기 11: 공간부
12: 고정부재 13: 현금 투입구
14: 카드 단말기 30: 현금 보관함
31: 수납함 32: 록킹장치
33: 탈착 버튼
40: 수납 덮개 41: 덮개 본체
42: 개폐부 43: 개폐판
44: 돌출판 45: 안내부재
45a; 제1 부재 45b: 제2 부재
46: 고정판 47: 롤러
48: 스프링 50: 잠금장치
51: 요동부재 52: 요동판
53: 걸림홈 54: 경사면
55: 회전핀 56: 토션 스프링
60: 잠금부재 61: 케이스
61a: 구멍 62: 이동핀
62a: 홈부 63: 걸림판
63a: 구멍 64: 제1 스프링
65: 누름 버튼 66: 제2 스프링
70: 고정구 71: 경사면
72: 복귀부 73: 잠금구멍
10: Bus fare receiver 11: Space bus
12: Fixing member 13: Cash input port
14: Card terminal 30: Cash register
31: Storage box 32: Locking device
33: Release Button
40: a storage lid 41: a lid body
42: opening and closing part 43:
44: Stone publication 45: Guide member
45a; First member 45b: Second member
46: Fixing plate 47: Roller
48: spring 50: locking device
51: rocking member 52: rocking plate
53: engaging groove 54: inclined surface
55: rotation pin 56: torsion spring
60: locking member 61: case
61a: hole 62: moving pin
62a: groove portion 63:
63a: hole 64: first spring
65: push button 66: second spring
70: fixture 71: inclined surface
72: return portion 73: locking hole

Claims (8)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이 장착되는 공간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Bus fare machines that settle bus fare by cash or card,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of a space where the cash storage box of the bus fare receiver is mounted,
And a cash storage box in which the open / close board is opened by the fixing member as it is detach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bus fare receiver, and cash stored in the bus fare receiver is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보관함은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잠금장치, 상기 개폐판이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 상기 덮개 본체의 양측에 상기 개폐판이 닫히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장착된 수납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h storage box may include a storage box for storing cash inputted into the bus fare receiver,
A cover body which is formed so that a bottom surface thereof is opened so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is closed; a locking device selectively restricts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cover body; And a storage cover having elastic spring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body so as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상측에 상기 개폐판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and protruding to move the opening / closing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소정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요동부재,
상기 개폐판의 일면에 상기 요동부재의 걸림홈에 걸리는 이동핀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swinging member rotatably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and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lock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so as to reciprocate the moving pin engaged with the latching groove of the swing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는 상기 덮개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 본체의 내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winging member includes a rotation pin fixed to the lid body,
A sw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pin,
And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swing plat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이동핀이 왕복 이동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홈부가 형성된 이동핀,
상기 이동핀의 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이동핀과 직교되게 장착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이 탄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상기 이동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 버튼,
상기 이동핀이 수평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cking member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s formed with a hole on both sides of which the moving pin reciprocates,
A moving pin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se and having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etaining plate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pi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roove of the moving pin,
A first spring provided below the engaging plate so that the engaging plate has elasticity,
A push button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of the moving pin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plate,
And a second spring mounted to move the moving pin horizontal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잠금장치에 돌출된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핀을 해정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ture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i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device,
And a return unit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 to unlock the moving pin.
KR1020140054791A 2014-05-08 2014-05-08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KR101615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en) 2014-05-08 2014-05-08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en) 2014-05-08 2014-05-08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54A true KR20150128054A (en) 2015-11-18
KR101615088B1 KR101615088B1 (en) 2016-04-25

Family

ID=5483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en) 2014-05-08 2014-05-08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0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4423A (en) * 2016-11-04 2017-02-08 钦州学院 Banknote-and-coin sorting device for bus
CN106600807A (en) * 2016-12-07 2017-04-26 东北大学 Automatic classification-type bus coin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55B1 (en) * 2018-03-15 2020-02-06 (주)한틀시스템 Cash inpu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28Y1 (en) * 2000-08-17 2001-02-15 삼원에프에이주식회사 A fare box
KR101170559B1 (en) 2005-09-07 2012-08-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Locking device of bill withdrawal box
KR101095281B1 (en) 2009-12-09 2011-12-16 주식회사 에이텍 Receipt apparatus for bus fa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4423A (en) * 2016-11-04 2017-02-08 钦州学院 Banknote-and-coin sorting device for bus
CN106600807A (en) * 2016-12-07 2017-04-26 东北大学 Automatic classification-type bus coin box
CN106600807B (en) * 2016-12-07 2019-02-05 东北大学 A kind of automatic sort-type public transport coin-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088B1 (en)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8125B1 (en) Cash box provided with self-locking mechanism
US463874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sh container
KR101615088B1 (en) 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US8181766B2 (en) Roller storage system
US8844705B2 (en) Cash box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WO2017211251A1 (en) Card container with security lock and ticket vending machine
US8887986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vouchers and method for closing container having a housing part and a cover for receiving vouchers
JP5268687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US20090101724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banknotes
US5967287A (en) Internally mounted, externally lockable and removable coin comparator mounting device for video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CN110570606A (en) cash receiving box with better anti-theft performance
KR101170559B1 (en) Locking device of bill withdrawal box
KR20030058147A (en) Apparatus for locking door in automatic teller machine
CN111512348B (en) ATM with media storage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03475A1 (en) Security apparatus
JP3308106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KR101181587B1 (en) Locking device for bill stacking box
KR101468139B1 (en) Apparatus of management for stuff
KR20140052583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envelope
JPS61114396A (en) Sheet receiver
US4493454A (en) Cash collection receptacle
KR101628204B1 (en) Teller cash recycler
CN110880215B (en) Recovery box, bill issuing machine and financial equipment
US20090127064A1 (en) Machine for dispensing paid-in-cash products and/or services
JP3185319U (en) Paid coin 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