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453A - 거치 겸용 외장 커버 - Google Patents

거치 겸용 외장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453A
KR20150127453A KR1020140054299A KR20140054299A KR20150127453A KR 20150127453 A KR20150127453 A KR 20150127453A KR 1020140054299 A KR1020140054299 A KR 1020140054299A KR 20140054299 A KR20140054299 A KR 20140054299A KR 20150127453 A KR20150127453 A KR 2015012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electronic device
magnetic bodies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환
백재호
여정민
이민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453A/ko
Publication of KR2015012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거치 겸용 외장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외장 커버는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의 일부와 밀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감싸는 제3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커버들은 접혀짐에 따라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각각 지지한다.

Description

거치 겸용 외장 커버{EXTERIOR COVER WITH CRADL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외관을 휴대 시에 보호하면서, 다양한 모드에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외장 커버(exterior cov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휴대하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에 외장 커버를 장착하게 된다. 외장 커버는 전자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자 장치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보호하게 된다. 전자 장치는 휴대하는 경우가 많아서, 낙하 등의 충격이 발생하며, 외면에 긁힘 등의 외면 손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서, 외장 커버에 의해 보호받게 된다.
외장 커버의 다른 기능으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악세사리로 인식되고 있고, 다양한 재질, 예를 들어 다양한 색상의 가죽 재질로 외피를 구성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전자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및/또는 터치 스크린이 위치하기 때문에 전면을 외장 커버에 의해 보호받는다.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외장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하부 커버는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커버는 회전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인 전면에서 폴딩/언폴딩된다.
한편, 전자 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타이핑을 하거나,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시청을 해야 할 때 다소 불편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를 사용할 때,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는 입력 위주의 모드일 경우, 전자 장치는 약간 경사진 상태, 대략 15도 전후로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입력 동작이 편리하다.
또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위주일 경우, 전자 장치는 많이 경사진 상태, 대략 75도 전후로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기 편리하다.
달리, 전자 장치는 휴대 시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전면이 외부 환경으로 부터 보호되어야,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가 편리하다.
상기한 세 가지 모드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외장 커버가 전자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사용되어 왔다.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를 타이핑하는 경우에 약간 경사진 상태가 타이핑하는데 편리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시청하는데 많이 경사진 상태이어야 보기 편리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전자 장치를 위한 휴대용 거치대를 구비하거나, 전자 장치에 구비된 외장 커버에 거치대가 구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항시 거치대(cradle)를 휴대하기가 불편할 수 있고, 거치대가 구비된 전자 장치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가 거치 기능을 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외장 커버에 별도 부품이 부착되어, 전자 장치의 거치대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는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안정적인 거치 상태를 제공하지 못하고, 거치상태가 불안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거치 상태를 제공하는 거치 겸용 외장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드 전환이 신속하고, 용이한 거치 겸용 외장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시청하기에 편리한 거치 모드나, 타이핑 모드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거치 겸용 외장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따른 실시예는 거치 시에 전자 장치가 뒤집어 지지 않고, 정면으로 배치되는 거치 겸용 외장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의 일부와 밀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감싸는 제3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커버들은 접혀짐에 따라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각각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커버; 제3,4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 일부와 밀착가능한 제3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커버는 각각 졉혀지고, 각각 자성체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의 지지와, 상기 자성체들 간의 인력에 의해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각각 경사진 상태 유지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커버; 및 제3,4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커버는 각각 졉혀지고, 각각 자성체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의 지지와, 상기 자성체들 간의 인력에 의해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각각 경사진 상태 유지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는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특히 거치 상태의 외장 커버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도, 본래의 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는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자성체들 간의 결합 힘에 의해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는 전자 장치가 거치 상태에서도 뒤집어 지지않고, 정면으로 배치(회사 로고나 홈키, 각종 콘넥터가 상하로 뒤집어 지지 않음)되는 편리함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체결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장 커버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에 전자 장치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1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제1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로서, 자성체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2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제2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로서, 자성체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3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로서, 자성체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제4거치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로서, 자성체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자성체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또는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20)는 전자 장치(10)가 장착되어 함께 휴대되는 커버로서, 특히 거치된 전자 장치(10) 외관을 보호하고, 다양한 색상과, 고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장 커버를 말하며, 거치 기능을 자체적으로 구비한 외장 커버를 말한다. 아울러, 상기 전자 장치(10)는 일반적인 전자 제품에서, 휴대 가능한 전자 장치를 말하고, 특히 소형화/슬림화된 이동 통신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이동 전화기, 손바닥 크기(palm sized)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용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PC(HPC: Hand-held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단말기, 랩탑 컴퓨터, 넷북, 노트북, 태블릿 피씨 등 중 어느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가 '태블릿 피씨'나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가 태블릿 피씨라고 가정하고,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 겸용 외장 커버(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전면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110)(도 3a에 도시됨)가 배치되며, 상기 외장 커버(20)에 의해 보호받는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전면에 터치 입력 장치(100)가 배치되는데, 터치 입력 장치(110)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접촉, 움직임, 제스처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20)는 제1커버(21)와, 제2커버(22)와, 제3커버(23)와, 상기 제1,2커버(21,22)를 연결하는 주 접이 라인(h)(main folding line) 및 복수 개의 접이 라인들(f1,f2,f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21)는 전자 장치 후면에 위치해서 하부 커버라 지칭하고, 상기 제2커버(22)는 전자 장치 전면에 위치해서 상부 커버라 지칭하며, 상기 제3커버(23)는 전자 장치를 감싸서 닫을 때 사용되어서 닫힘 커버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커버(21,22,23)는 하나의 커버가 접힘에 따라 전자 장치의 후면을 감싸는 영역, 전면을 감싸는 영역, 전면에서 연장되는 영역 각각을 칭하는 용어가 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내지 제3커버(21,22,23)는 각각 분리된 커버이며, 서로 간에 힌지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내지 제3커버(21,22,23)가 분리된 커버이며, 분리된 커버 간에 힌지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는 전자 장치(10)가 착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하부 커버(10) 일부에서 분리되거나 결합된다.
상기 상부 커버(22)는 주 접이 라인(h)에 의해 하부 커버(21)에 접혀지게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10) 전면(디스플레이부110)에 폴딩되거나 언폴딩되고, 접힘으로 인하여 상기 전자 장치(10)가 거치된 하부 커버(21)와 함께 거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닫힘 커버(23)는 상기 상부 커버(22)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커버(22)는 접이 라인(f3)을 중심으로 졉혀져서, 상기 하부 커버(21) 일부와 밀착한다. 상기 외장 커버(20)에 의해 전자 장치(10)의 닫힌 상태가 도 1b에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20)는 하부 커버(21)와, 상부 커버(22)와, 닫힘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와 상부 커버(22)는 주 접이 라인(h)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커버(22)와 닫힘 커버(23)는 접이 라인(f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와 상부 커버(22)는 각각 전자 장치 후면 및 전면과 대면할 정도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닫힘 커버(23)는 상기 상부 커버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는 주 접이 라인(h)(hinge axial) 방향과 평행한 제1접이 라인(f1)(folding line)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 라인(f1)에 의해 두 개의 제1,2지지대(supporter)(210,212)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커버(21)는 제1접이 라인(f1)을 구비하고, 서로 대치하는 제1,2지지대(210,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접이 라인(h)과 원거리에 있는 지지대가 제1지지대(210)이고, 상기 주 접이 라인(h)와 가까운 곳에 있는 지지대가 제2지지대(214)이다. 상기 제1,2지지대(210,212) 사이의 대략 중간 정도에 제1접이 라인(f1)이 위치하고, 상기 제1접이 라인(f1)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대(210)는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12)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12)는 전자 장치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 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2지지대(210,212)는 대략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대략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214)와 제2지지대(212)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이 라인(f1)은 홈 형상으로,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박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접이 라인(f1)을 따라서 제1지지대가 회전한다.
상기 상부 커버(22)는 제2접이 라인(f2)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접이 라인(f2)에 의해 제3,4지지대(220,222)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접이 라인(f2)에 의해 상기 제3,4지지대(220,222)는 접혀질 수 있다. 대략적으로 상기 제3,4지지대(220,222)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장 커버(20)에서, 상기 제1지지대(210)와 상기 제2지지대(212)의 세로 방향 폭(w1,w2)은 대략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3지지대(220)의 세로 방향 폭(w3)은 상기 제4지지대(222)의 세로 방향 폭(w4)과, 상기 제1,2지지대(210,212)의 세로 방향 폭(w1,w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 중, 상기 제4지지대(222)의 세로 방향 폭(w4)은 가장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폭들(w1-w4)의 크기는 경사지게 거치하는 각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2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 합(w1+w2)과, 상기 제3,4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 합(w3+w4)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대(222)와 상기 닫힘 커버(23) 사이에는 제3접이 라인(f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이 라인(f3)에 의해 상기 제4지지대(222)와 닫힘 커버(23)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이 라인(f3)을 중심으로 상기 제4지지대(222) 및/또는 닫힘 커버(23)는 졉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 '213'는 전자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용 개구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하부 커버(21), 상부 커버(22) 및 닫힘 커버(23)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는 제1,2지지대(210,2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지지대(210)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22)는 제3,4지지대(220,222)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각의 제3,4지지대(220,22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 커버(23)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를 실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210)는 상기 주 접이 라인(h)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자성체들(m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들(m1)은 등 간격으로 상기 주 접이 라인(h)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210)는 상기 제1자성체들(m1)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성체들(m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성체들(m2)은 등 간격으로 상기 주 접이 라인(h)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대(220)는 상기 제2자성체들(m2)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자성체들(m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성체들(m3)은 등 간격으로 상기 주 접이 라인(h)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대(220)는 상기 제3자성체들(m3)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자성체들(m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4자성체들(m3,m4)은 상기 제3지지대(220)의 영역을 좌우로 분할한다면, 상기 제4지지대(222)와 근접한 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대(222)는 상기 제4자성체들(m4)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자성체들(m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자성체들(m5)은 등간격으로 상기 주 접이 라인(h)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닫힘 커버(23)는 상기 제5자성체들(m5)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자성체들(m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6자성체들(m6)은 등 간격으로 상기 주 접이 라인(h)이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자성체들의 배치 위치는 거치되는 경사 각도에 따라서 약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들의 세로 방향 폭도 거치되는 경사 각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사 각도에서 전자 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스탠드 모드]
도 3a 내지 도 5은 다양한 거치 모드 중, 스탠드 모드를 나타내는 예로서,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는 대략 60도에서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 상기 외장 커버는 주 접이 라인(h)과, 상기 제1,2,3접이 라인(f1,f2,f3)이 접혀져서, 상기 전자 장치(1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제2지지대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210)는 제1접이 라인(f1)을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제3지지대(220)는 주 접이 라인(h)을 따라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222)는 제3지지대 일부와 밀착하고, 상기 닫힘 커버는 상기 제3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2지지대 일부와 대면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3,4지지대는 각각 상기 제4,5자성체 간의 인력(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와 닫힘 커버는 상기 제1,6자성체 간의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들과 자성체들 간의 결합 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는 경사진 상태 유지할 수 있다.
[터치 모드]
도 6a 내지 8은 터치 모드를 나타내는 예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 커버(20)는 전자 장치(10)에 결합되어, 대략 45도에서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외장 커버(20)에 의해 전자 장치는 대략 45도 정도에서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드에서, 상기 외장 커버는 주 접이 라인(h)과, 제1,2접이 라인(f1,f2)이 접혀져서, 전자 장치(1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상기 하부 커버의 제2지지대(212)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210)는 제1접이 라인(f1)을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제3지지대(220)는 주 접이 라인(h)를 따라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222) 및 닫힘 커버(23)는 상기 제2접이 라인(f2)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지지대(210)와 밀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제4지지대(222)와 닫힘 커버(23)에 각각 구비된 제5,6자성체(m5,m6)는 제1지지대(210)에 배치된 제1,2자성체(m1,m2) 간의 인력(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제4지지대(222)와 닫힘 커버(23)는 제1지지대(2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들과 자성체들 간의 결합 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는 경사진 상태 유지할 수 있다.
[타이핑 모드]
도 9a내지 도 10는 타이핑 모드를 나타내는 예로서,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는 대략 15도 정도에서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타이핑 모드는 디스플레이된 화면(100)에 자판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자판에 손을 놓고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모드이다.
상기 타이핑 모드에서, 상기 상부 커버(22)와 닫힘 커버(23)는 각각 주 접이 라인(h) 및 제2,3접이 라인(f2,f3)을 따라 졉혀져서, 상기 전자 장치(1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상기 하부 커버의 제1지지대(210)는 전자 장치(10) 후면과 밀착된 상태이고, 상기 제2지지대(212)는 전자 장치 후면에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제3지지대(220)는 주 접이 라인(h)를 따라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222)는 제2접이 라인(f2)을 따라 접혀져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닫힘 커버(23)는 제3접이 라인(f3)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지지대(210)와 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6자성체(m6)는 상기 제2자성체(m2)와의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경사진 상태 유지힘을 제공한다.
[뷰잉 모드]
도 11a 내지 도 12는 뷰잉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전자 장치는 대략 75도에서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뷰잉 모드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사용자 정면으로 향하게 해야 시청하기 편리한 모드이다.
상기 뷰잉 모드에서, 상기 외장 커버는 주 접이 라인(h)과, 제1,2접이 라인(f1,f2)이 접혀져서, 전자 장치(1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제2지지대(212)는 전자 장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210)는 제1접이 라인(f1)을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제3지지대(220)는 주 접이 라인(h)을 따라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222) 및 닫힘 커버(23)는 상기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3지지대(220)와 대면한 상태로 밀착할 수 있다. 상기 뷰잉 모드에서는 상기 하부 커버(21)의 단과 상기 닫힘 커버(23)의 단이 접촉하여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4 자성체(m3,m4)는 각각 상기 제6,5자성체 (m6,m5)간의 인력(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들과 자성체들 간의 결합 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는 경사진 상태 유지할 수 있다.
[닫힘 모드]
도 13은 닫힘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닫힘 모드(휴대 모드)에서, 상기 외장 커버는 전자 장치(10)의 전후면과, 상하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21)는 전자 장치(10) 후면과 밀착 또는 대면하고, 상기 상부 커버(22)는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과 밀착 또는 대면하며, 상기 닫힘 커버(23)는 하부 커버(21) 일부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닫힘 커버(23)는 상기 하부 커버(21) 일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닫힘 모드에서, 상기 닫힘 커버(23)에 있는 제6자성체(m6)는 상기 하부 커버(21)에 있는 제1자성체(m1)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6,1자성체(m6,m1)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조부호 30은 결합 장치를 지칭하는데, 상기 전자 장치(10)와 외장 커버, 즉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하는 체결구를 의미한다. 도면에 상세한 구성은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결합 장치는 외장 커버쪽에 후쿠 형상의 걸림부를 배치시키고, 상기 전자 장치쪽에 상기 후쿠 형상의 걸림부가 착탈되는 착탈부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부는 나사식으로 구성되어 착탈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장치는 푸쉬 타입으로 누름 여부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하부 커버 및 닫힘 커버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접이 라인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서, 휴대 시에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를 보호하고, 다양한 거치 모드 시에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버의 일부와 밀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감싸는 제3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커버들은 접혀짐에 따라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각각 지지하는 외장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제1접이 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1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지는 제1,2지지대로 각각 분할되고,
    상기 제2커버는 제2접이 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지는 제3,4지지대로 분할되며,
    상기 제2커버와 제3커버 사이에는 제3접이 라인을 구비하는 외장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제1,2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이 크며, 상기 제4지지대 및 제3커버의 세로 방향 폭이 가장 작게 구성되고, 상기 제1,2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 합과 상기 제3,4지지대의 세로 방향 폭의 합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외장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커버와, 제2커버 및 제3커버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가 각각 실장되는 외장 커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3지지대와, 제4지지대 및 제3커버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성체들이 각각 실장되는 외장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자성체들; 및
    상기 제1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3지지대는
    상기 제2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자성체들; 및
    상기 제3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4지지대는 상기 제4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5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자성체들을 구비하는 외장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모드에서,
    상기 제2지지대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제1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경사지게 지지되며, 상기 제3지지대는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는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3지지대와 밀착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제3커버는 제3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지지대 일부와 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하는 외장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자성체는 상기 제5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6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외장 커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2모드에서,
    상기 제2지지대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제1접이 라인을 따라 졉혀져서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제3지지대는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 및 제3커버는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지지대와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외장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6자성체는 제2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외장 커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3모드에서,
    상기 제2지지대는 전자 장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전자 장치 후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3지지대는 접혀서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는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제3커버는 제3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1지지대와 밀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하는 외장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자성체는 상기 제2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외장 커버.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4모드에서,
    상기 제2지지대는 전자 장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제1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제3지지대는 회전하여 바닥과 접한 상태에서 지지하고, 상기 제4지지대 및 제3커버는 상기 제2접이 라인을 따라 접혀져서 상기 제3지지대와 밀접한 상태로 지지하는 외장 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단과 상기 제3커버의 단은 서로 접촉하여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외장 커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4 자성체는 각각 상기 제6,5자성체 간의 인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외장 커버.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5모드에서,
    상기 제6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3커버의 닫힘 상태 유지힘을 제공하는 외장 커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태블릿 피씨나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외장 커버.
  18.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커버;
    제3,4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 일부와 밀착가능한 제3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커버는 각각 졉혀지고, 각각 자성체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의 지지와, 상기 자성체들 간의 인력에 의해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각각 경사진 상태 유지힘을 제공할 수 있는 외장 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자성체들; 및
    상기 제1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3지지대는
    상기 제2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3자성체들; 및
    상기 제3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4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4지지대는 상기 제4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5자성체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5자성체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6자성체들을 구비하는 외장 커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2지지대를 분할하는 제1접이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커버는 제3,4지지대를 분할하는 제2접이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4지지대와 제3커버 사이에는 제3접이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1,2,3접이 라인은 각각 평행한 외장 커버.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와 상기 전자 장치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외장 커버.
  22. 전자 장치의 외장 커버에 있어서,
    제1,2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커버; 및
    제3,4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 전면을 개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커버는 각각 졉혀지고, 각각 자성체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의 지지와, 상기 자성체들 간의 인력에 의해 다양한 거치 모드에서 각각 경사진 상태 유지힘을 제공할 수 있는 외장 커버.
KR1020140054299A 2014-05-07 2014-05-07 거치 겸용 외장 커버 KR20150127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299A KR20150127453A (ko) 2014-05-07 2014-05-07 거치 겸용 외장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299A KR20150127453A (ko) 2014-05-07 2014-05-07 거치 겸용 외장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53A true KR20150127453A (ko) 2015-11-17

Family

ID=5478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299A KR20150127453A (ko) 2014-05-07 2014-05-07 거치 겸용 외장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469A1 (en) * 2019-06-19 2020-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ior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O2022010019A1 (ko) * 2020-07-08 2022-01-13 강지원 태블릿 pc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469A1 (en) * 2019-06-19 2020-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ior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O2022010019A1 (ko) * 2020-07-08 2022-01-13 강지원 태블릿 pc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95809B (zh) 用于多形状因数信息处理系统的可折叠壳体
US9769293B2 (en)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8393464B2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ckground
TWI663498B (zh) 混合式計算裝置、設備及系統
US1001302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CN105849664B (zh) 电子设备支架
EP2757438B1 (en) An electronic device case
KR102439789B1 (ko)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US20150293606A1 (en)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KR102167051B1 (ko) 휴대 장치
JP2017538993A (ja) フレキシブルヒンジ構造を有する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9854692B2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50015603A (ko) 휴대용 접이식 거치대
TW202025880A (zh) 用於電子裝置的折疊保護蓋
TW201401019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之電子裝置
US9591904B2 (en) Protecting cover
US10098430B2 (en) Protection cover
KR102375542B1 (ko) 전개 가능한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0248A (ko) 전자 액세서리 디바이스
US1184174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and keyboard
KR20150127453A (ko) 거치 겸용 외장 커버
EP3445025B1 (en) Protection cover
US9816664B2 (e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