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228A -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 Google Patents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228A
KR20150127228A KR1020157028462A KR20157028462A KR20150127228A KR 20150127228 A KR20150127228 A KR 20150127228A KR 1020157028462 A KR1020157028462 A KR 1020157028462A KR 20157028462 A KR20157028462 A KR 20157028462A KR 20150127228 A KR20150127228 A KR 2015012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chlorourea
ratio
microbicide
biocide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에스. 채프만
Original Assignee
솔레니스 테크놀러지스 케이맨,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레니스 테크놀러지스 케이맨, 엘.피. filed Critical 솔레니스 테크놀러지스 케이맨, 엘.피.
Publication of KR2015012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A01N33/18Nitro compounds
    • A01N33/20Nitro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ttache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the nitr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4Nitr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시스템 내에서의 미생물의 성장을 방제하기 위한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다른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성 시스템 내에서의 성장을 방제하기 위한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다른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을 제공한다.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다른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은 수성 시스템 내에서의 미생물의 성장을 방제하기 위한 살생물제의 총 사용량을 감소시키게 해 준다.

Description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SYNERGISTIC COMBINATIONS OF MONOCHLOROUREA AND MODIFIED MONOCHLOROUREAS}
본 발명은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 및 수성 및 물 함유 시스템 내에서 미세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성 시스템의 미생물 오염은 시스템 성능, 생성물 품질, 및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 냉각 시스템이 미생물로 오염되면, 물 냉각능의 효율이 감소하여 에너지 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보다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고, 레지오넬라(Legionella)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위한 은신처가 발달할 수 있다.
펄프 및 제지에서 사용되는 유체와 같은 수성 시스템이 오염되면, 제지 라인이 고장나서 가동이 멈추고, 종이 품질이 저하되고, 종이 제품이 미생물 포자로 오염되서 식품 포장용으로는 부적합하게 된다. 물은 제조, 탄화수소 추출 및 가공, 채굴, 식품 가공, 농경, 폐기물 가공, 및 압도적으로 많은 인간 노력의 성과물에서 도처에 존재하므로 모든 이들 활동에서 미생물 오염을 방제하는 것은 항상 매우 중요할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미생물을 방제하는 주요 전략은 살생물제로 처리하는 것이다. 살생물제는 수성 시스템 내의 미생물 수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거나 달리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살생물제를 사용하면 항상 가동 및 생성물의 비용이 상승할 것이고, 따라서 미생물 방제를 달성하는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추구된다. 추가로, 몇몇 살생물제는 그의 항미생물 작용 스펙트럼이 불충분하거나 그의 적용 방식으로는 효능의 제한이 있을 수 있어서 예컨대 온도 안정성이 부족하거나 환경적 또는 화학적 인자로 인해 불활성화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살생물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이 바람직하다.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은 각각의 개별 살생물제의 효과를 단지 가산한 것을 뛰어넘는 보다 큰 미생물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모노클로로우레아,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디메틸 클로로우레아는 수성 시스템에서 매우 효과적인, 빠르게 작용하는 살생물제이다.
살생물제의 상승작용적 조합은 항미생물 효능에 있어서 단지 가산된 조합에 비해 개선된 가성비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승작용적 살생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들 조성물은 물 및 수성 시스템 내의 미세생물을 방제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타르알데히드, 4급 암모늄 화합물, 디브로모니트로프로피온아미드, 브로모니트로프로판디올,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론, 메틸이소티아졸론, 벤즈이소티아졸론, 과산화수소, 모노클로르아민, 브로민-활성화된 염소,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및 브로모클로로디메틸히단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와 조합된 모노클로로우레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조성물은 글루타르알데히드, 4급 암모늄 화합물, 디브로모니트로프로피온아미드,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론/메틸이소티아졸론, 메틸이소티아졸론, 벤즈이소티아졸론, 과산화수소, 모노클로르아민, 브로민-활성화된 염소,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브로모클로로디메틸히단토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와 조합된 디메틸 클로로우레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물 또는 수성 시스템 내의 미생물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본 발명의 상승작용적 조합을 수성 시스템에 첨가함으로써, 상기에 기술된 살생물 조성물로 시스템을 처리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승작용적 살생물 조합 및 미세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승작용적 살생물 조합은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모노클로로우레아 또는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하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글루타르알데히드, 4급 암모늄 화합물,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2-브로모-3-니트로프로판-1,3-디올,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론/2-메틸이소티아졸론 (3:1 비), 2-메틸이소티아졸론, 1,2-벤즈이소티아졸론, 과산화수소, 모노클로르아민, 브로민-활성화된 염소,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부가적인 조합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하기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글루타르알데히드, 4급 암모늄 화합물,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2-브로모-3-니트로프로판-1,3-디올,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5-클로로-2-메틸이소티아졸론/2-메틸이소티아졸론 (3:1 비), 2-메틸이소티아졸론, 1,2-벤즈이소티아졸론, 과산화수소, 모노클로르아민, 스펙트럼(Spectrum)™ XD3899 ("브로민-활성화된 클로르아민")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이들 조합은 미생물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물 또는 수성 시스템에서 상승작용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조합된 살생물 물질은 그의 개별 항미생물 효능의 합을 근거로 하여 예상된 것을 뛰어넘는 개선된 항미생물 효능을 초래한다. 이러한 뜻밖에 관찰된 상승작용 덕분에, 물 및 수성 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미생물 방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살생물제의 양이 감소될 수 있고, 이로써 잠재적으로 향상된 성능, 감소된 환경적 영향, 및 하류 폐수 처리 시스템에의 감소된 영향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제1 살생물제 및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살생물제는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살생물제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 모노클로르아민, 과산화수소,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벤즈이소티아졸론, 2-메틸이소티아졸론,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제1 살생물제는 제2 살생물제와 상이한 (동일한 살생물제가 아닌) 것인,
살미생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효량의 제1 살생물제 및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를 수성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살생물제는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살생물제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 모노클로르아민, 과산화수소,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벤즈이소티아졸론, 2-메틸이소티아졸론,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제1 살생물제는 제2 살생물제와 상이한 (동일한 살생물제가 아닌) 것인,
수성 시스템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미세생물" 및 "미생물"의 의미는 박테리아, 진균, 조류, 원생동물, 및 바이러스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조성물이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서 바람직한 미생물은 박테리아이다. 또한 물 또는 수성 시스템 내의 미생물은 유체 내에 현탁되어 있을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플랑크톤) 수성 시스템과 접촉한 표면 상에 편재한다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생물막(biofilm)). 단어 및 구 "방제", "미생물 방제", "방제함", 및 "항미생물 효능"은 넓게는 그의 의미 내에 미생물의 성장의 억제, 미생물의 사멸, 소독, 방부, 위생 처리, 또는 미생물의 재성장의 방지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ppm은 부피당 질량으로서 측정되거나 1 ppm은 리터당 1 mg (활성 물질)과 같다.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 화합물은 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조성물이 유용한 물 및 수성 시스템의 예는 냉각수, 보일러의 물, 펄프 및 제지 공장의 물, 오일 및 가스 분야에서 투입되는 물 및 생성되는 물, 오일 및 가스 수송관 및 저장 시스템, 연료, 선박평형수, 폐수, 저온살균기, 다른 산업 공정수, 금속가공 유체, 라텍스, 중합체, 페인트, 코팅, 접착제, 잉크, 개인 관리용 및 가정용 제품, 역삼투 시스템, 전기화학 침착 시스템, 광물 추출에 사용되는 유체, 광물 슬러리, 농업적 가공, 생물정제수, 및 이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추가로, 조성물은 물 및 수성 시스템의 미생물 오염의 방제가 필요한 다른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성 시스템은 냉각수, 보일러의 물, 펄프 및 제지 공정이다.
모노클로로우레아 또는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는 처리되는 시스템 중 0.1 ppm 내지 100 ppm 또는 0.1 내지 50 ppm 또는 0.1 내지 25 ppm 또는 0.5 내지 15 ppm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2 살생물제의 농도는 처리되는 시스템 중 150 ppm 미만 또는 100 ppm 미만 또는 75 ppm 미만 또는 50 ppm 미만이다.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다른 살생물제보다 높고 2500 ppm 이상 정도로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모노클로로우레아 또는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제2 살생물제의 비는 1:100 내지 800:1, 또는 1:500 내지 400:1, 또는 1:20 내지 200: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제2 살생물제의 비는 1:700 내지 700:1, 또는 1:500 내지 50:1, 또는 0.05:1 내지 400:1 또는 1:250 내지 7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허용 가능한 미생물 방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조성물의 농도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성물의 성분을 물 또는 수성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첨가할 수 있거나 첨가 전에 블렌딩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적절한 첨가 방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성물을, 계면활성제, 스케일 및 부식 제어 화합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중합체, pH 조절제, 및 물 또는 수성 시스템의 화학을 변경 또는 개질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와 같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른 첨가제와 함께, 물 또는 수성 시스템에 첨가할 수 있다. 추가로, 조성물은 다른 살생물제를 함유하는 물 및 수성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기재되는 상승작용 지수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상승작용 지수 = Qa/QA + Qb/QB
상기 식에서, Qa는 살생물제 B와 조합하여 사용시에 시험 미생물의 성장의 완전한 억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살생물제 A의 농도이고,
QA는 단독으로 사용시에 시험 미생물의 성장의 완전한 억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살생물제 A의 농도이고,
Qb는 살생물제 A와 조합하여 사용시에 시험 미생물의 성장의 완전한 억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살생물제 B의 농도이고,
QB는 단독으로 사용시에 시험 미생물의 성장의 완전한 억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살생물제 B의 농도이다.
실시예에서 QA, QB, Qa, Qb는 ppm으로 측정된다.
상승작용 지수 (SI)가 1이라는 것은 두 가지의 살생물제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단지 가산적임을 나타내며, SI가 1보다 크다는 것은 두 가지의 살생물제들이 서로 길항적임을 나타내며, SI가 1보다 작다는 것은 두 가지의 살생물제들이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함을 나타낸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항미생물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종말점은 최소 억제 농도, 또는 MIC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성장의 완전한 억제를 달성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물질들의 최소 농도이다.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성장 배지에서 희석을 수행함으로써 살생물제의 2배 희석 시리즈를 구성한다.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각각의 웰이 280 ㎕의 최종 부피의 배지 및 살생물제를 갖도록 희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웰은 1000 ppm 살생물제의 농도를 갖고, 두 번째 웰은 500 ppm의 농도를 갖고, 세 번째 웰은 250 ppm의 농도를 갖는 등이고, 이때 행에서 12번째의 마지막 웰은 살생물제를 전혀 갖지 않고 양성 성장 대조군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희석 시리즈를 구성한 후에, 웰 내의 미생물의 최종 농도가 약 5×105 cfu/㎖이도록 성장 배지에 현탁된 미생물의 접종원을 웰에 주입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시험 미생물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이다. 배양물을 적절한 온도에서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혼탁한 웰에 대한 시각적 검사를 근거로 하여 성장에 대해 양성 또는 음성으로 웰을 평가한다. 성장을 완전히 억제한 (예를 들어, 투명한 웰) 살생물제의 최소 농도를 최소 억제 농도라고 표시한다.
목표 미생물에 대한 두 가지의 살생물제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산적인지, 길항적인지, 또는 상승작용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체스판" 방법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MIC 방법의 개질 양태를 사용한다. 체스판 플레이트를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여덟 개의 행이 여덟 번째 열 후에 종결되는 동일한 희석 시리즈인 것을 제외하고는, MIC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2배 순차 희석 방법을 사용하여, 제1 살생물제를 배치한다. 동일한 부피의 2배 희석 시리즈를 제1 시리즈에 대해 직각으로 첨가함으로써 제2 살생물제를 배치한다. 그 결과 8×8 웰 정사각형의 각각의 웰은 상이한 살생물제 농도 조합을 갖게 되어, 총 64개의 상이한 조합이 생긴다. 9번째 및 10번째 열은 살생물제를 전혀 갖지 않고 각각 양성 및 음성 성장 대조군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체스판 마이크로플레이트를 구성한 후에,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접종하고, 37 ℃에서 배양하고, MIC 방법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평가한다.
실시예 1: MCU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표 1에서 MMCU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0 내지 128:1의 MCU 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MCU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표 2에서 DMCU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510:1 내지 0.6:1의 MCU 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MCU와 스펙트럼™ XD3899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스펙트럼™ XD3899 (표 3에서 BAC라고 표시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2.5:1 내지 400:1의 MCU 대 스펙트럼™ 3899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BAC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MCU와 모노클로르아민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모노클로르아민 (표 4에서 MCA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0 내지 128:1의 MCU 대 모노클로르아민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모노클로르아민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MCU와 과산화수소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과산화수소 (표 5에서 H2O2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0 내지 3.2:1의 MCU 대 과산화수소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과산화수소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MCU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표 6에서 BCDMH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0 내지 50:1의 MCU 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7: MCU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벤즈이소티아졸론 (표 7에서 BI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0.4:1 내지 100:1의 MCU 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벤즈이소티아졸론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8: MCU와 2-메틸 이소티아졸론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2-메틸 이소티아졸론 (표 8에서 MI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00 내지 26:1의 MCU 대 2-메틸 이소티아졸론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2-메틸 이소티아졸론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9: MCU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표 9에서 MB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0.4:1 내지 400:1의 MCU 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10: MCU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표 10에서 BNPD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6:1 내지 100:1의 MCU 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11: MCU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표 11에서 DBNPA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0.8:1 내지 794:1의 MCU 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12: MCU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표 12에서 QAC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2.5 내지 200:1의 MCU 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13: MCU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CMIT/MIT 조합 살생물제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6:1 내지 3125:1의 MCU 대 CMIT/MIT 조합 살생물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CMIT/MIT 조합 살생물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14: MCU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상승작용
모노클로로우레아와 글루타르알데히드 (하기 표 14에서 GLU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3.1:1 내지 100:1의 MCU 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MCU는 글루타르알데히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15: DMCU와 모노클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모노클로로우레아 (표 15에서 MCU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512 내지 1:1의 DMCU 대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5
실시예 16: DMCU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표 16에서 MMCU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25 내지 8:1의 DMCU 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6
실시예 17: DMCU와 스펙트럼™ XD3899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스펙트럼™ XD3899 ("브로민-활성화된 염소", 표 17에서 BAC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20 내지 25:4의 DMCU 대 BAC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BAC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7
실시예 18: DMCU와 모노클로르아민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모노클로르아민 (표 18에서 MCA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250 내지 1:4의 DMCU 대 모노클로르아민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모노클로르아민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8
실시예 19: DMCU와 과산화수소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과산화수소 (표 19에서 H2O2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640 내지 2:5의 DMCU 대 과산화수소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과산화수소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9
실시예 20: DMCU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표 20에서 BCDMH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40 내지 3:1의 DMCU 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0
실시예 21: DMCU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벤즈이소티아졸론 (표 21에서 BI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60 내지 25:2의 DMCU 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벤즈이소티아졸론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1
실시예 22: DMCU와 2-메틸 이소티아졸론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2-메틸 이소티아졸론 (표 22에서 MI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625 내지 32:5의 DMCU 대 2-메틸 이소티아졸론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2-메틸 이소티아졸론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2
실시예 23: DMCU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표 23에서 MB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40 내지 50:1의 DMCU 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3
실시예 24: DMCU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표 24에서 BNPD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3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2:325 내지 25:2의 DMCU 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과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4
실시예 25: DMCU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표 25에서 DBNPA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125 내지 100:1의 DMCU 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5
실시예 26: DMCU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표 26에서 QAC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250 내지 32:1의 DMCU 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6
실시예 27: DMCU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조합 살생물제 (표 27에서 CMIT/MI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8 내지 500:1의 DMCU 대 CMIT/MIT 조합 살생물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CMIT/MIT 조합 살생물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7
실시예 28: DMCU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상승작용
디메틸 클로로우레아와 글루타르알데히드 (하기 표에서 GLUT라고 약칭됨) 둘 다에 대해, 시험 미생물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을 사용하는 상기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였다. ppm으로서 표현되는 MIC의 농도의 두 배를 최대 농도로서 사용하여, 체스판 상승작용 플레이트를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웰에 약 5×105 cfu/㎖의 최종 농도로 접종하고, 18 내지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성장/무성장에 대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5번 반복하고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상승작용 지수를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결과를 보면, 1:500 내지 32:1의 DMCU 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농도 비에 근거하여, DMCU는 글루타르알데히드와 대체로 상승작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28

Claims (51)

  1. 제1 살생물제 및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살생물제는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살생물제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 모노클로르아민, 과산화수소,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벤즈이소티아졸론, 2-메틸이소티아졸론,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제1 살생물제는 제2 살생물제와 상이한 것인,
    살미생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가 모노클로로우레아인 살미생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인 살미생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살생물제가 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살미생물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 대 제2 살생물제의 비가 1:100 내지 800:1, 또는 1:50 내지 400:1, 또는 1:20 내지 2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 대 제2 살생물제의 비가 1:700 내지 700:1, 또는 1:500 내지 50:1, 또는 0.05:1 내지 400:1 또는 1:250 내지 75:1인 살미생물 조성물.
  7. 유효량의 제1 살생물제 및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를 수성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살생물제는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살생물제는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 모노클로르아민, 과산화수소,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벤즈이소티아졸론, 2-메틸이소티아졸론,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제1 살생물제는 제2 살생물제와 상이한 것인,
    수성 시스템을 처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가 모노클로로우레아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살생물제가 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모노클로로우레아, N'-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메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 N,N'-디에틸-N-모노클로로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 대 제2 살생물제의 비가 1:100 내지 800:1, 또는 1:50 내지 400:1, 또는 1:20으로부터인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 대 제2 살생물제의 비가 1:700 내지 700:1, 또는 1:500 내지 50:1, 또는 0.05:1 내지 400:1 또는 1:250 내지 75:1인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살생물제의 농도가 처리되는 시스템 중 0.1 ppm 내지 100 ppm 또는 0.1 내지 50 ppm 또는 0.1 내지 25 ppm 또는 0.5 내지 15 ppm인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의 농도가 150 ppm 미만 또는 100 ppm 미만 또는 75 ppm 미만 또는 50 ppm 미만인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가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 및 모노클로르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6.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7.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생물제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 및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8.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시스템이 냉각수, 보일러의 물, 펄프 및 제지 공장의 물, 오일 및 가스 분야에서 투입되는 물 및 생성되는 물, 오일 및 가스 수송관 및 저장 시스템, 연료, 선박평형수, 폐수, 저온살균기, 다른 산업 공정수, 금속가공 유체, 라텍스, 중합체, 페인트, 코팅, 접착제, 잉크, 개인 관리용 및 가정용 제품, 역삼투 시스템, 전기화학 침착 시스템, 광물 추출에 사용되는 유체, 광물 슬러리, 농업적 가공, 및 생물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9.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시스템이 펄프 및 제지 공장 물 시스템인 방법.
  20.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시스템이 냉각수 시스템인 방법.
  21.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시스템이 폐수 시스템인 방법.
  22.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비가 1:10 내지 128:1인 살미생물 조성물.
  2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비가 510:1 내지 0.6:1인 살미생물 조성물.
  24.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르아민의 비가 12.5:1 내지 4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25.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모노클로르아민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모노클로르아민의 비가 1:10 내지 3.2:1인 살미생물 조성물.
  26.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과산화수소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과산화수소의 비가 1:10 내지 3.2:1인 살미생물 조성물.
  27.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테트라키스 (히드록시메틸) 포스포늄 술페이트의 비가 0.8:1 내지 12.5:1인 살미생물 조성물.
  28.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비가 1:10 내지 50:1인 살미생물 조성물.
  29.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벤즈이소티아졸론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비가 0.4:1 내지 25:1인 살미생물 조성물.
  30.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메틸이소티아졸론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메틸이소티아졸론의 비가 1:100 내지 25:1인 살미생물 조성물.
  31.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비가 0.4:1 내지 4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32.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비가 1.6:1 내지 1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33.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비가 0.8:1 내지 794:1인 살미생물 조성물.
  34.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비가 1:2.5 내지 2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35.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의 비가 1.6:1 내지 3125:1인 살미생물 조성물.
  36.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글루타르알데히드이고,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비가 3:1 내지 1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37.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모노클로로우레아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비가 1:512 내지 1:1인 살미생물 조성물.
  38.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비가 125:1 내지 8:1인 살미생물 조성물.
  39.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로우레아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브로민 활성화된 모노클로로우레아의 비가 1:20 내지 25:4인 살미생물 조성물.
  40.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모노클로르아민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모노클로르아민의 비가 1:250 내지 1:4인 살미생물 조성물.
  41.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과산화수소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수소의 비인, 살미생물 조성물.
  42.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1-브로모-3-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의 비가 1:40 내지 3:1인 살미생물 조성물.
  43.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벤즈이소티아졸론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벤즈이소티아졸론의 비가 1:160 내지 25:2인 살미생물 조성물.
  4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메틸이소티아졸론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메틸이소티아졸론의 비가 1:625 내지 32:5인 살미생물 조성물.
  45.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메틸렌 비스티오시아네이트의 비가 1:40 내지 50:1인 살미생물 조성물.
  46.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의 비가 2:325 내지 25:2인 살미생물 조성물.
  47.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2,2-디브로모-3-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의 비가 1:125 내지 1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48.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N-알킬 (C12-C16)-N,N-디메틸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비가 1:250 내지 32:1인 살미생물 조성물.
  49.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조합 살생물제인 2-메틸-5-클로로-이소티아졸린-3-온/2-메틸-이소타졸린-3-온의 비가 1:8 내지 500:1인 살미생물 조성물.
  50.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2 살미생물제가 글루타르알데히드이고, 디메틸 모노클로로우레아 대 글루타르알데히드의 비가 1:500 내지 32:1인 살미생물 조성물.
  51.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수성 시스템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성 시스템을 처리하는 방법.
KR1020157028462A 2013-03-15 2014-03-14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KR20150127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1625P 2013-03-15 2013-03-15
US61/791,625 2013-03-15
PCT/US2014/028607 WO2014144272A1 (en) 2013-03-15 2014-03-14 Synergistic combinations of monochlorourea and modified monochloroure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228A true KR20150127228A (ko) 2015-11-16

Family

ID=5054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462A KR20150127228A (ko) 2013-03-15 2014-03-14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50132405A1 (ko)
EP (1) EP2967071A1 (ko)
KR (1) KR20150127228A (ko)
CN (1) CN105050407A (ko)
AU (1) AU2014227724A1 (ko)
BR (1) BR112015022193A2 (ko)
CA (1) CA2901990A1 (ko)
CL (1) CL2015002615A1 (ko)
MX (1) MX2015011890A (ko)
RU (1) RU2015144104A (ko)
WO (1) WO2014144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445B (zh) * 2017-08-25 2020-04-28 北京海洁海斯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去定植药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7057091B2 (ja) * 2017-10-11 2022-04-19 アクアス株式会社 開放循環冷却水系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038A (en) * 1981-11-02 1983-11-29 Alza Corporation Disinfecting with chlorine-containing biocide dispensed from shaped polymeric body
US20060231505A1 (en) * 2002-08-22 2006-10-19 Mayer Michael J Synergistic biocidal mixtures
US7776363B2 (en) * 2006-01-27 2010-08-17 Nalco Company Suppressing microbial growth in pulp and paper
JP5784595B2 (ja) * 2009-06-08 2015-09-24 ブロミン・コンパウンズ・リミテツド 殺生物剤としてのおよび防汚剤としての安定化されかつ活性化された臭素溶液
WO2010151726A1 (en) * 2009-06-26 2010-12-29 Hercules Incorporated Use of monochlorourea to treat industrial waters
US8276663B2 (en) * 2010-09-28 2012-10-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for reducing biological load in subterranean formations
AU2013236989A1 (en) * 2012-03-21 2014-10-09 Bromine Compounds Ltd. Method for preparing biocidal aqueous compositions
US20150208661A1 (en) * 2012-07-31 2015-07-30 Bromine Compounds Ltd. Method for preparing bromine based biocidal aqueous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27724A1 (en) 2015-09-03
CN105050407A (zh) 2015-11-11
US20150132405A1 (en) 2015-05-14
CL2015002615A1 (es) 2016-04-08
CA2901990A1 (en) 2014-09-18
EP2967071A1 (en) 2016-01-20
RU2015144104A (ru) 2017-04-24
MX2015011890A (es) 2016-05-31
BR112015022193A2 (pt) 2017-07-18
WO2014144272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2346C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cluding stabilized sodium hypobromite and isothiazolones
RU2538369C2 (ru) Синергическая микро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2,2-диброммалонамид и окисляющий биоцид,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WO2011038318A2 (en) Compositions of dibromomalonamide and their use as biocides
AU2018352104B2 (en) Compositions exhibiting synergy in biofilm control
US8557266B2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
RU254895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ибромомалонамида и её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биоцида
KR20150127228A (ko) 모노클로로우레아 및 개질된 모노클로로로우레아의 상승작용적 조합
EP2482651A2 (en) Compositions of dibromomalonamide and their use as biocides
WO2012134790A1 (en) Compositions of dibromomalonamide and their use as biocides
US8722713B2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composition of 1,2-benzisothiazolin-3-one and tris(hydroxymethyl)nitromethane
US9961903B2 (en) Bio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190112208A1 (en) Compositions exhibiting synergy in biofilm control
CA2931052A1 (en) Compositions of dibromomalonamide and their use as biocides
CA255786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cluding stabilized sodium hypobromite and various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