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956A -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956A
KR20150126956A KR1020157028901A KR20157028901A KR20150126956A KR 20150126956 A KR20150126956 A KR 20150126956A KR 1020157028901 A KR1020157028901 A KR 1020157028901A KR 20157028901 A KR20157028901 A KR 20157028901A KR 20150126956 A KR20150126956 A KR 20150126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leaning bar
superhydrophilic
surfactan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자베스 브루닝
마이클 제이. 페볼라
에드먼드 도널드 조지
유언 티. 에크만 건
데이빗 조셉 레이먼드
프랭크 씨. 썬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804,273 external-priority patent/US20140265007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3/804,211 external-priority patent/US20140274867A1/en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08B31/02Esters
    • C08B31/04Esters of organic acids, e.g. alkenyl-succinated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08L3/06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8Shaping by extrusion or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6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containing mainly surfactants, but no builders, e.g. syndet b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저-자극성이고, 거품형성성이 높은 개인 케어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cleansing bar), 특히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거품형성성(foaming)이 높고, 순한 세정 바아에 관한 것이다.
세정 바아는 피부를 세척하기 위한 비용 효과적이고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세정 바아는 기능적이고 심미적으로 매력적인 세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비누(soap) 및/또는 합성 계면활성제 및 다양한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양호한 거품생성(lathering)을 갖는 세정 바아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법은 미국 특허 제US 5,372,751호 (리스-시시아리(Rys-Cicciari) 등)에 예시되어 있고, 그것은 계면활성제의 특별한 조합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감소된 자극 및/또는 제조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증진된 거품형성을 제공하는 완전히 새로운 세정 바아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세정 조성물과 연관된 비교적 높은 거품형성성을 갖는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출원인은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세정 바아와 연관된 높은 거품형성성 및 낮은 자극을 갖는 세정 바아를 제조하는 데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 측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비-비누(non-soap)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소수성 결합제, 및 수용성 바아 고화제(hardener)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를 제공한다. 세정 바아는 약 8 이하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서, 본 출원인은 피부, 모발 또는 질(vaginal) 부위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 그 방법은 피부, 모발 또는 질 부위에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소수성 결합제, 및 수용성 바아 고화제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정 바아는 약 8 이하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출원인은 세정 바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그 방법은 소수성 결합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 및 약 0.25% 내지 약 20%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그것을 유체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고체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여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압출하여 압출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약 8 이하의 pH를 갖는 고체 세정 바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조성물 및 대등한 조성물에 대한 세정 바아 거품 시험(Cleansing Bar Foam Test)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조성물 및 대등한 조성물에 대한 세정 바아 거품 시험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세정 바아가 높은 거품생성 특징 및 비교적 낮은 자극 및 제조 용이성을 비롯한 특성의 독특하고 예상치 못한 조합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세정 바아 조성물을 아기 및 유아 피부를 비롯한 스킨케어, 화장 조성물 또는 세정 조성물에 매우 바람직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수성 결합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를 포함하고,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약 8 미만의 pH를 갖는다. 놀랍게도,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이러한 비교적 낮은 pH의 세정 바아에 혼입하는 것은 이미 가능하다고 생각된 것보다 더 양호하게 거품을 생성하고 용이하게 가공되는 순한 세정 바아 조성물을 유발한다.
달리 명백히 언급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 백분율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pH"는 유리 전극을 사용한 수용액의 pH를 위한 ASTM 방법 E70 ― 07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바와 같은 pH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세정 바아"는 주변 조건 하에서 바아, 즉 고체 형태 (그의 용기의 형상을 갖지 않고 그의 형상을 유지함)인 세정 조성물을 지칭한다. 바아는 다양한 형상 및 단면,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편평하거나 또는 둥근형; 또는 평범하지 않은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아는 인간의 손(들)에 보유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세정 바아는 길이 또는 최장 치수가 약 4 cm 내지 약 12 cm, 바람직하게는 약 5 cm 내지 약 10 cm이고; 폭이 약 3 cm 내지 약 8 cm, 바람직하게는 약 4 cm 내지 약 7 cm이고; 두께가 약 0.25 cm 내지 약 4 cm, 바람직하게는 약 0.5 cm 내지 약 3 cm이도록 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습윤되면, 세정 바아는 때, 기름기, 과량의 피지 등을 피부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 세정 조성물을 배출하거나 방출하고, 이것은 거품 (즉, 액체의 표면 내에 또는 표면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액체로부터 형성된 미세 버블의 거품성 물질(frothy mass))을 생성한다. 세정 바아는 전형적으로 물로 습윤되어, 피부에 적용된다. 세정 바아를 인간의 손가락 또는 손, 수건, 또는 다른 도구, 예를 들어 푸프(pouf)로 문지르는 것이 세정 조성물의 거품생성 또는 거품형성을 유발하여 거품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조성물은 물로 헹구어진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예를 들어 온전한 성인 또는 유아 피부 또는 상처 또는 불안한 장벽을 갖는 피부에 대한 전형적인 개인 케어 세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체의 다양한 부분, 예를 들어, 얼굴, 몸, 모발, 내부 질 부위 또는 외부 질 부위 등이 세정될 수 있다.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기, 및 음으로 하전된 모이어티 또는 음 전하를 가질 수 있는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기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산-염기 특성 및 용액 pH의 함수임)를 포함하는 양친매성 분자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화 및 불포화 C6-C24 지방산의 알칼리 (예를 들어, Na+ 및 K+), 알칼리 토류 (예를 들어, Mg2+ 및 Ca2+), 암모늄, 또는 트라이에탄올아민 염, 즉, 알킬 모노카르복실레이트 염이 아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인지할 바와 같이, 비누는 가장 일반적으로는 트라이글리세리드의 비누화로부터 유도된다.
적합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하기 물질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01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Figure pct00002
(여기서, RCO =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H 또는 CH3,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및 소듐 라우로일 메틸 이세티오네이트 (RCO = 라우로일, R' = CH3, M+ = Na+);
Figure pct00003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ct00004
(여기서, R =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R = 라우릴, M+ = Na+);
Figure pct00005
α-설포 지방산 에스테르
Figure pct00006
(여기서, R = C6 ― C16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C1 ― C2 알킬,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메틸 2-설포라우레이트 (R = C10H21, R' = 메틸, CH3, M+ = Na+);
Figure pct00007
α -설포 지방산 염
Figure pct00008
(여기서, R = C6 ― C16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2-설포라우레이트 (R = C10H21, M+ = Na+);
Figure pct00009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Figure pct00010
(여기서, R = C6 ― C18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라우릴 설포아세테이트 (R = 라우릴, C12H25, M+ = Na+);
알킬 설페이트
Figure pct00012
(여기서, R =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구체적인 예에는 TEA-라우릴 설페이트 (R = 라우릴, C12H25, M+ = +HN(CH2CH2OH)3),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R = 라우릴, C12H25, M+ = Na+), 및 소듐 코코-설페이트 (R = 코코 알킬,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013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또는 알콕실 하이드록시프로필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14
(여기서, R =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코코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R = 코코 알킬, M+ = Na+);
Figure pct00015
장쇄 알파 올레핀의 설폰화에 의해서 제조된 α-올레핀 설포네이트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는 알켄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16
(여기서, R = C4 ― C18 알킬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및 하이드록시알킬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17
(여기서 R = C4 ― C18 알킬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의 혼합물로 구성됨] (예에는 소듐 C12-14 올레핀 설포네이트 (R = C8 ― C10 알킬, M+ = Na+) 및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R = C10 ― C12 알킬,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018
알킬 설포네이트 또는 파라핀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19
(여기서, R =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에는 소듐 C13-17 알칸 설포네이트 (R = C13 ― C17 알킬, M+ = Na+) 및 소듐 C14-17 알킬 Sec-설포네이트 (R = C14 ― C17 알킬,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020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또는 선형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Figure pct00021
(여기서, R = C6 ― C18 알킬 (선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에는 소듐 데세일벤젠설포네이트 (R = C10 알킬, M+ = Na+) 및 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R = C12 알킬, M+ = NH4 +)가 포함됨);
Figure pct00022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Figure pct00023
(여기서, R =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n = 1 내지 12, M+ = 1가 양이온) (예에는 소듐 라우레트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1 내지 3), 암모늄 라우레트 설페이트 (R = C12 알킬, M+ = NH4 +, n = 1 내지 3), 및 소듐 트라이데세트 설페이트 (R = C13 알킬, M+ = Na+, n = 1 내지 4)가 포함됨);
Figure pct00024
알킬 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
Figure pct00025
(여기서, RCO = C8 ― C24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에는 소듐 코코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 및 암모늄 코코모노글리세리드 설페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H4 +)가 포함됨);
Figure pct00026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027
(여기서, R = C8 ― C2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n = 1 내지 20, M+ = 1가 양이온) (예에는 소듐 라우레트-13 카르복실레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13), 및 소듐 라우레트-3 카르복실레이트 (R = C12 알킬, M+ = Na+, n = 3)가 포함됨);
Figure pct00028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ct00029
(여기서, R =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n = 1 내지 12,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라우레트 설포석시네이트 (R = 라우릴, n = 1 내지 4, M+ = Na+);
Figure pct00030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ct00031
(여기서, R = C6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에틸헥실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R = 2-에틸헥실, M+ = Na+);
Figure pct00032
알킬아미도알킬 설포석시네이트
Figure pct00033
(여기서, R =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C2 ― C4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임),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코카미도 MIPA-설포석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아이소프로필, M+ = Na+);
Figure pct00034
알킬 설포석시나메이트
Figure pct00035
(여기서, R = C8 ― C20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스테아릴 설포석시나메이트 (R = 스테아릴, C18H37, M+ = Na+);
Figure pct00036
아실 글루타메이트
Figure pct00037
(여기서, RCO = C6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H 또는 CH3,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다이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Figure pct00038
아실 아스파테이트
Figure pct00039
(여기서, RCO = C6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H 또는 CH3, M+ = 1가 양이온), 예컨대 다이소듐 N-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Figure pct00040
아실 타우레이트
Figure pct00041
(여기서, RCO = C6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H 또는 CH3,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RCO = 코코 아실, R' = CH3, M+ = Na+) 및 소듐 코코일 타우레이트 (RCO = 라우로일, R' = H, M+ = Na+);
Figure pct00042
아실 락틸레이트
Figure pct00043
(여기서, RCO =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Figure pct00044
아실 글리시네이트 및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Figure pct00045
(여기서, RCO = C8 ― C20 아실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R' = H (글리시네이트) 또는 CH3 (사르코시네이트),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H, M+ = Na+), 암모늄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RCO = 코코 아실, R' = CH3, M+ = NH4 +) 및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RCO = 라우로일, R' = CH3, M+ = Na+);
Figure pct00046
하기를 비롯한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 소듐 라우릴 글루코시드 카르복실레이트, 다이소듐 코코-글루코시드 시트레이트, 소듐 코코-글루코시드 타르트레이트, 다이소듐 코코-글루코시드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코코글루코시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데실글루코시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라우릴글루코시드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코코글루코시드 가교중합체,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데실글루코시드 가교중합체, 소듐 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라우릴글루코시드 가교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APG 유도체, 예컨대 오레닉(O'Lenick)의 미국 특허 제7,507,399호; 제7,375,064호; 및 제7,335,627호에 기술된 것; 및 그들의 둘 이상의 조합 등.
바람직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예를 들어, 다이소듐 라우릴 설포석시네이트; α-설포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소듐 메틸 2-설포라우레이트; α -설포 지방산, 예를 들어, 다이소듐 2-설포라우레이트;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코코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예를 들어, 소듐 코코-설페이트, 및 그들의 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된다. 아실 이세티오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아실 이세티오네이트는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정 바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초과 내지 약 70 중량% 미만의 총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35 내지 약 60 중량%의 총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5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50 중량%의 총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SAC")는 하기 일반 구조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공중합체로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47
여기서, "SRU"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초친수성 반복 단위이고 "ARU"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양친매성 반복 단위이고, "HRU"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친수성 반복 단위이고, 여기서, s≥ 2, a >0, h≥ 0이고, 반복 단위의 총 수, s+a+h 는 4 내지 약 1000이다. "4 내지 약 1000"과 같이 범위를 명시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내지"는 종점, 예를 들어, "4" 및 "약 1000"을 포함한다. SAC에서 반복 단위의 총 수는 SAC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은 반복 단위의 수는 마찬가지로 "중량 평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분자량은 달톤 (Da) 단위이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인지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AC에 포함된 반복 단위 (SRU, ARU, HRU)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랜덤하지만; 그것은 또한 교호 혼입 패턴, 통계 혼입 패턴 또는 블록화 혼입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SAC 구조는 선형, 성상(star-shaped), 분지형, 초분지형(hyperbranched), 수지상(dendritic) 등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은 SAC에서 반복 단위의 총 수 (SRU + ARU + HRU, 즉, 상기 화학식에서 s + a + h)는 SAC의 "중합도" ("DP")와 동의어인 것을 인지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반복 단위"는 거대분자, 올리고머, 블록 또는 쇄의 본질적인 구조의 부분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원자 또는 원자의 군 (존재하는 경우, 펜던트 원자 또는 기 포함)이고, 그의 반복은 규칙적인 거대분자, 규칙적인 올리고머 분자, 규칙적인 블록 또는 규칙적인 쇄 (문헌 [Glossary of Basic Terms in Polymer Science, A. D. Jenkins et al. Pure Appl. Chem. 1996 68, 2287―2311]로부터의 정의)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본 기술 분야의 지식으로 미루어 보아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에게 인지되는 바와 같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의 골격은, 중합 전 단량체에서는 불포화였던 1개 또는 2개의, 또는 교호 중합체의 경우에는,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및 이러한 탄소의 임의의 펜던트 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학식 (A)(Y)C=C(B)(Z)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은 일반적으로 단량체 및 그의 펜던트 기의 이전에 불포화였던 2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생성할 것이다 (그의 예는 예를 들어 SRU, ARU, 및 HRU의 정의에서 본 발명의 하기에 기술되어 있음).
Figure pct00048
그러나, 2개의 탄소의 펜던트 기가 동일하여,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에서 A-C-Y와 B-C-Z가 동일한 모이어티이면, 그러한 하나의 임의의 탄소 단위 및 그의 펜던트 기 (A-C-Y 또는 B-C-Z가 동일함) 각각은 단량체로부터 단지 하나의 이전에 불포화였던 탄소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일 것이라고 간주된다 (예를 들어, 에틸렌 H2C=CH2으로부터 유도된 단일중합체의 반복 단위는 [-[CH2CH2]-]가 아니라 [-[CH2]-]이다). (2종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가 중합체 전체에서 랜덤하게 연결된 중합체를 형성하는 공단량체의 랜덤 중합, 또는 2종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의 교호하지 않는 블록을 형성하는 공단량체의 블록 공중합과 달리)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2종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가 중합체 전체에서 일관되게 교호하는 중합체로서 정의된 교호 공중합체와 관련하여, 반복 단위는 중합 전에 2종의 공단량체 내의 이전에 에틸렌계 불포화였던 4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공단량체 각각 중 하나로부터 유도된 단위로서 정의된다. 즉, 말레산 무수물 및 비닐 메틸 에테르를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여 하기 구조식의 반복 단위를 갖는 교호 공중합체, 즉 폴리(말레산 무수물-alt-비닐 메틸 에테르)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49
골격이 당 고리를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된 당류-기재 중합체의 경우, 반복 단위는 일반적으로 당 고리 및 펜던트 기 (예를 들어, SRU, ARU, 및 HRU의 설명에서 하기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음)를 포함한다. 그러한 반복 단위의 예는 또한 당 고리 반복 단위와 펜던트 당 고리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글락토만난(Glactomannan)은 만노스 (단당류-기재) 골격을 포함하는 다당류이다. 골격 내의 만노스 기의 일부 (그러나 전부는 아님)로부터 펜던트 갈락토스 기가 매달려 있다 (그리고, 랜덤 또는 블록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배열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에게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는 2가지 반복 단위, 만노스와 만노스-갈락토스를 갖는 것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
Figure pct00050
교호하는 당류-기재 중합체의 경우, 반복 단위는 교호하는 당-기재 단량체와 그의 펜던트 기로부터 유도된 2개의 당 고리이다. 예를 들어, 히알루로난은 이당류 반복 단위를 제공하도록 교호하는 2가지 당류, D-글루쿠론산과 D-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부터 유도된 교호하는 당류 공중합체이다.
Figure pct00051
"소수성 모이어티"는 이에 의해서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비극성 모이어티로서 정의된다: (a) 적어도 4개의 탄소의 탄소-탄소 쇄 - 4개의 탄소 중 어느 것도 카르보닐 탄소가 아니거나 또는 그에 직접 결합된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음 -; (b) 2개 이상의 알킬 실록시 기 (-[Si(R)2-O]-); 및/또는 (c) 시퀀스 내의 2개 이상의 옥시프로필렌 기. 소수성 모이어티는 선형, 환형, 방향족, 포화 또는 불포화 기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 모이어티는 적어도 6개 이상의 탄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7개 이상의 탄소의 탄소 쇄를 포함하며, 그러한 쇄의 탄소 중 어느 것도 그에 직접 결합된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특정 소수성 모이어티는 약 8개 이상의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개 이상의 탄소 원자의 탄소 쇄를 포함하는 모이어티을 포함하며, 그러한 쇄의 탄소 중 어느 것도 그에 직접 결합된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는다. 소수성 작용성 모이어티 예에는 적어도 4개의 탄소의 탄소 쇄 - 4개의 탄소 중 어느 것도 그에 직접 결합된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음 - 가 포함되거나 또는 부착되어 있는, 에스테르, 케톤, 아미드, 카르보네이트, 우레탄, 카르바메이트, 또는 잔테이트 작용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수성 모이어티의 다른 예에는 적어도 4개의 탄소의 탄소 쇄 - 4개의 탄소 중 어느 것도 그에 직접 결합된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음 - 을 포함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부틸렌),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기 등과 같은 기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친수성 모이어티"는 극성인 임의의 음이온성 기, 양이온성 기, 쯔비터이온성 기(zwitterionic group) 또는 비이온성 기이다. 비제한적인 예에는 음이온성 기, 예컨대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카르복실산/카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등; 양이온성 기, 예컨대 아미노, 모노, 다이- 및 트라이알킬암모늄 종을 비롯한 암모늄, 피리디늄, 이미다졸리늄, 아미디늄, 폴리(에틸렌이미늄) 등; 쯔비터이온성 기, 예컨대 암모니오알킬설포네이트, 암모니오알킬카르복실레이트, 암포아세테이트 등; 및 비이온성 기, 예컨대 하이드록실, 설포닐, 에틸렌옥시, 아미도, 우레이도, 아민 옥시드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초친수성 반복 단위" ("SRU")는 2개 이상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는 반복 단위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SRU는 둘 이상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하기 일반 화학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52
(여기서, A, B, Y, 및 Z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 또는;
Figure pct00053
(여기서, W 및 X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함). 이러한 SRU의 설명적인 예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초친수성 단량체 등으로부터 유도된 것들 등, 예를 들어, 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Figure pct00054
또는 다른 것들, 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부틸 이타코네이트로부터 유도된
Figure pct00055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RU의 다른 예에는 프룩토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글루코사민, 만누론산, 굴루론산(guluronic acid) 등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당류-기재 반복 단위, 예를 들어,
Figure pct00056
(여기서, A, B, U, V, W, X, Y, 및 Z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 (그의 예에는
Figure pct00057
α(1→4)-D-글루코스 SRU가 포함됨); 또는
Figure pct00058
(여기서, A, B, U, V, 및 W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2개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 (그의 예에는
Figure pct00059
β(2→1)-D-프룩토스 SRU가 포함됨) 등이 포함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에게 인지되는 바와 같이, 단당류 반복 단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즉, 당 고리 상의 다양한 탄소를 통해, 예를 들어, (1→4), (1→6), (2→1)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연결, 또는 그 조합이 단당류 SRU, ARU, 또는 HRU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SRU의 다른 예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60
(여기서, R은 친수성 반복 단위를 포함함), 그의 예에는 아스파르트산 SRU 등이 포함된다.
Figure pct0006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양친매성 반복 단위" ("ARU")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ARU는 하기 일반 화학식의 반복 단위
Figure pct00062
(여기서, A, B, Y, 및 Z는 총체적으로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함); 또는
Figure pct00063
(여기서, W 및 X는 총체적으로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그의 예에는
Figure pct00064
소듐 2-아크릴아미도도데실설포네이트 양친매성 반복 단위 (ARU) 등이 포함된다. ARU의 다른 예에는 프룩토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글루코사민, 만누론산, 굴루론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당류-기재 반복 단위, 예를 들어:
Figure pct00065
(여기서, A, B, U, V, W, X, Y, 및 Z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함), 또는
Figure pct00066
(여기서, A, B, U, V, 및 W는 총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 및 적어도 하나의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함)가 포함되며, 그 예에는
Figure pct00067
1,2-에폭시도데칸 개질된 α (1→4)-D-글루코스 ARU 등이 포함된다. ARU의 다른 예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반복 단위:
Figure pct00068
(여기서, R은 소수성 기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그 예에는
Figure pct00069
페닐알라닌 ARU 등이 포함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쉽게 이해할 바와 같이, 용어 "친수성 반복 단위" ("HRU")는 하나 또는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는 반복 단위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HRU는 하기 일반 화학식의 반복 단위:
Figure pct00070
(여기서, A, B, Y, 및 Z는 총체적으로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 또는
Figure pct00071
(여기서, W 및 X는 총체적으로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갖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갖지 않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며, 그 예에는
Figure pct00072
메타크릴산 친수성 반복 단위 (HRU) 등이 포함된다. HRU의 다른 예에는 프룩토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만노스, 글루코사민, 만누론산, 굴루론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당류-기재 반복 단위, 예를 들어,
Figure pct00073
(여기서, A, B, U, V, W, X, Y, 및 Z는 총체적으로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 또는
Figure pct00074
(여기서, A, B, U, V, 및 W는 총체적으로 하나 및 오직 하나의 친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지 않음)가 포함된다. 당류-기재 친수성 반복 단위의 일례에는 메틸셀룰로스 HRU, (메틸-치환된 폴리[β(1→4)-D-글루코스], DS = 2.0)가 포함된다.
Figure pct00075
HRU의 다른 예에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반복 단위:
Figure pct00076
(여기서, R은 친수성 모이어티도 아니고 소수성 모이어티도 아님)를 포함하는,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가 포함되며, 그 일례에는
Figure pct00077
알라닌 HRU 등이 포함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인지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중 임의의 것에서, 친수성도 아니고 소수성도 아닌 모이어티의 예에는 수소, C1-C3 알킬, C1-C3 알콕시, C1-C3 아세톡시 등이 포함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특정 SAC가 양호한 가공성뿐만 아니라 세정 바아와 연관된 비교적 낮은 자극 및 비교적 많은 양의 거품을 갖는 세정 바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예상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출원인은 DP가 4 내지 약 1000 반복 단위인 SAC가 낮은 자극 및 높은 거품형성 특성의 그러한 상당하고 예상치 못한 조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실시 형태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한 SAC의 예에는 DP가 4 내지 약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약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약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약 50 반복 단위인 것이 포함된다. 다른 예에는 DP가 5 내지 약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약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약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약 50 반복 단위인 것이 포함된다. 다른 예에는 DP가 6 내지 약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약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약 50 반복 단위인 것이 포함된다. 다른 예에는 DP가 7 내지 약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약 50 반복 단위인 것이 포함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출원인은 특정 바람직한 SAC가 비교적 낮은 "동적 표면 장력 감소 시간" (즉, 순수한 물의 표면 장력을 72 mN/m에서 55 mN/m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 특정 조성물과 관련된 "t γ =55", 그 값은 하기에 추가로 상세히 기술된 드롭 형상 분석 시험(Drop Shape Analysis Test) ("DSA Test")을 통해서 통상적으로 측정됨)을 갖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고, 대등한 조성물에 비해서 낮은 자극 및 높은 거품형성 특성의 상당하고 예상치 못한 조합을 갖는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SAC는 약 120 초(들) 이하의 t γ =55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SAC는 약 75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초 이하의 t γ =55를 갖는다.
드롭 형상 분석 (DSA, 또한 펜던트 드롭 방법 또는 PDM으로서 공지됨)은 정적 계면 장력 또는 표면 장력을 시간의 함수로서 측정하기 위한 널리 공지된 방법이다. DSA로 측정되는 표면 장력은 매달린 드롭(hanging drop) (비디오 영상으로 포착함)의 형상을 영-라플라스 방정식(Young-Laplace equation) - 이는 계면 장력을 드롭 형상에 관련시킴 - 에 피팅시킴으로써 결정된다. 라플라스 방정식은 계면에 의해서 분리된 2개의 균질한 유체에 대한 기계적인 평형 조건이다 (문헌 [Handbook of Applied Surface and Colloid Chemistry, Vol. 2; Holmberg, K., Ed.; John Wiley & Sons: Chicester, U.K., 2002, pp 222-223]). 이것은 곡선형 계면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계면의 곡률 및 표면 장력에 관련시킨다: 표면 장력의 측정을 위한 용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샘플 (활성 고체 1150 mg)을 유리 마개가 있는 산-세척된 유리 플라스크 내에서 밀리포어(Millipore)-Q 탈이온수 (200 mL) 중에서 희석시킨다. 이 원액을 5분 동안 수동으로 진탕시킴으로써 혼합하고, 하룻밤 정치시킨다. 원액의 희석물 (1/4)은 원액을 산-세척된 유리 제품 내에서 밀리포어-Q 물로 추가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하는데, 이것이 DSA 분석에 사용한 샘플이다. 샘플을 25.0℃에서 작동하는 DSA 100 장비 (크뤼스 게엠베하(
Figure pct00078
) (독일 함부르크 소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드롭을 120초에 걸쳐서 모니터링하고, 영상을 처음 10초 동안은 대략 0.16초마다 포착하고, 다음 50초 동안은 0.5초마다 포착하고, 마지막 60초 동안은 1초 마다 포착한다. 포착한 영상 전부를 분석하여 각각의 시간틀에서 표면 장력을 결정한다. 표면 장력 값을 윈도우™용 드롭 형상 분석 (DSA) 패키지 (크뤼스 게엠베하 (독일 함부르크 소재))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표면 장력의 동적 감소를 시험 용액의 표면 장력을 55 mN/m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초 단위의 시간, t γ =55으로서 기록한다. t γ =55의 기록된 값은 3회의 개별 측정 수행의 평균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SAC는 10% 미만의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 (mol%) (양친매성 mol% = (a/s+a+h))를 나타내고, 그것은 예컨대 약 5 내지 약 10 mol%의 ARU의 mol%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SAC는 임의의 적합한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단 필요한 DP는 충족됨).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SAC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그램/mol 내지 약 200,000 그램/mol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SAC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7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25,00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10,00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 내지 약 10,000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유용한 SAC는 상당히 가용성이고, 자유 유동성인 고체 형태, 예컨대 분말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SAC는 다양한 화학 부류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다양한 합성 경로를 통해 수득된다. 예에는 복수의 탄소-탄소 결합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소-탄소 결합으로만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로 이루어진 골격을 갖는 중합체 및 복수의 탄소-헤테로원자 결합을 포함하는 골격을 갖는 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인지할 바와 같이, 골격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반복 단위에 공유 결합된 중합체 내의 반복 단위의 일부를 지칭한다 ("펜던트 기"와 비교)).
본 발명의 SAC를 수득하기 위한 합성 경로의 예에는 (i)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양친매성 공단량체와 (ii)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초친수성 공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iii)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공단량체의 공중합이 포함된다. 에틸렌계 불포화 양친매성 공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것:
Figure pct00079
[
Figure pct00080
여기서, R1 = R2 = H, R3 = H 또는 CH3, R4는 양친매성 (Amphil) 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81
여기서, R1 = R2 = H, R3은 친수성 기 (Hphil)를 포함하고, R4는 소수성 기 (Hphob)를 포함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82
여기서, R1,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2는 Hphil을 포함하고, R4는 Hphob 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83
여기서, R1,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3은 Hphil을 포함하고, R4는 Hphob 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84
여기서, R2, R3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1은 Hphil을 포함하고, R4는 Hphob 기를 포함함];
음이온성 구조를 갖는 것
[
Figure pct00085
ω-알케노에이트: 예를 들어, 소듐 11-운데세노에이트
Figure pct00086
(여기서, R1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M = H+, NH4 +, 또는 임의의 IA족 알칼리 금속 양이온)
Figure pct00087
(메트)아크릴아미도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소듐 11-아크릴아미도운데카노에이트, 소듐 11-메타크릴로일옥시운데카노에이트
Figure pct00088
(여기서, R2 = H 또는 CH3, X = O 또는 NH, R3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M = H+, NH4 +, 또는 임의의 IA족 알칼리 금속 양이온)
Figure pct00089
(메트)아크릴아미도알킬설폰산: 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도데실설폰산
Figure pct00090
(여기서, R4 = H 또는 CH3, X = O 또는 NH, R5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M = H+, NH4 +, 또는 임의의 IA족 알칼리 금속 양이온)
Figure pct00091
알릴알킬설포석시네이트: 예를 들어, 소듐 알릴도데실설포석시네이트 (TREM LF-40, 코그니스(Cognis))
Figure pct00092
(여기서, R6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M = H+, NH4 +, 또는 임의의 IA족 알칼리 금속 양이온)];
양이온성 구조를 갖는 것
[
Figure pct00093
4차 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3-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도데실 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Figure pct00094
(여기서, R7 = H 또는 CH3, X = O 또는 NH, R8 = 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9 = H, CH3, CH2CH3 또는 CH2CH2OH, R10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Z = 임의의 VII-A족 할라이드 음이온, 또는, 여기서, R7 = H 또는 CH3, X = O 또는 NH, R8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9, R10은 독립적으로 H, CH3, CH2CH3 또는 CH2CH2OH임, Z = 임의의 VII-A족 할라이드 음이온)
Figure pct00095
4차 비닐피리딘: 예를 들어, (4-비닐)도데실피리디늄 브로마이드
Figure pct00096
(여기서, R11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Z = 임의의 VII-A족 할라이드 음이온)
Figure pct00097
알킬다이알릴메틸암모늄 할라이드: 예를 들어, 다이알릴도데실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Figure pct00098
(여기서, R12 = H, CH3 또는 R13, R13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Z = 임의의 VII-A족 할라이드 음이온)];
쯔비터이온성 구조를 갖는 것
[
Figure pct00099
암모니오알칸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2-[(11-(N-메틸아크릴아미딜)운데실)다이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Figure pct00100
(여기서, R14 = H 또는 CH3, X = O 또는 N, R15 = H, CH3, CH2CH3 또는 CH2CH2OH, R16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의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17 = 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18 = H, CH3, 또는 없음)
Figure pct00101
암모니오알칸설포네이트: 예를 들어, 3-[(11-메타크릴로일옥시운데실)다이메틸암모니오]프로판설포네이트
Figure pct00102
(여기서, R19 = H 또는 CH3, X = O 또는 N, R20 = H, CH3, CH2CH3 또는 CH2CH2OH, R21 = 5개를 초과하는 탄소 원자의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22 = 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R23 = H, CH3, 또는 없음)];
비이온성 구조를 갖는 것
[
Figure pct00103
ω-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알킬- α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ω-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운데실- α -메타크릴레이트
Figure pct00104
(여기서, R24 = H 또는 CH3, X = O, R25 = 5개 초과의 탄소 원자의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n은 약 4 내지 약 800의 정수임, R26 = 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Figure pct00105
ω-알콕시폴리(에틸렌옥시)-α-(메트)아크릴레이트 및 ω-알콕시폴리(에틸렌옥시)-α-이타코네이트: 예를 들어, 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세테스-20 이타코네이트
Figure pct00106
(여기서, R27 = H, CH3, 또는 CH2COOH, X = O, R28 = 5개 초과의 탄소 원자의 임의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소 쇄, n은 약 4 내지 약 800의 정수임)]이 포함된다.
에틸렌계 불포화 초친수성 공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하기 등이 포함된다:
비이온성:
Figure pct00107
글리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Figure pct00108
수크로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루코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도메탄, 1-(2-(3-(알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딘-2-온 (로디아(Rhodia)로부터의 시포머(Sipomer)® WAM)
음이온성:
Figure pct00109
이타콘산, 그의 친수성 유도체, 및 그의 알칼리 금속 염
Figure pct00110
크로톤산, 그의 친수성 유도체 및 그의 알칼리 금속 염
Figure pct00111
말레산, 그의 친수성 유도체 및 그의 알칼리 금속 염
양이온성:
Figure pct00112
2-(메트)아크릴로일옥시-N-(2-하이드록시에틸)-N,N-다이메틸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도-N-(2-하이드록시에틸)-N,N-다이메틸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3-(메트)아크릴아미도-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N-메틸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N-(2-(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3-(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N,N',N',N'-펜타메틸에탄-1,2-디암모늄 디클로라이드
쯔비터이온성:
Figure pct00113
3-[(3-(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암모니오]프로판설포네이트, 3-(3-(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암모니오)프로피오네이트, 3-(3-(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등.
선택적인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공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하기 등이 포함된다:
비이온성:
Figure pct00114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N,N-다이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도에틸에틸렌우레아, α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 α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음이온성:
Figure pct00115
아크릴산, β-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3-아크릴아미도-3-메틸부탄산, 소듐 알릴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양이온성:
Figure pct00116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3-(메트)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제한적인 예로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을 통해 제조된 SAC에는
Figure pct00117
폴리[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도메탄-co-소듐 2-아크릴아미도도데실설포네이트]
Figure pct00118
폴리[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co-(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도데실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SAC를 성취하기 위한 추가적인 합성 경로는 SRU를 포함하는 전구체 중합체의 중합후 개질(post-polymerization modification)을 통해 일부 반복 단위를 양친매성으로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에는 다중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로 구성된 초친수성 중합체, 예를 들어, 전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덱스트린, 이눌린, 풀룰란, 폴리(글리세릴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도메탄)], 또는 폴리(수크로스 메타크릴레이트)와, 양친매성 반복 단위를 생성하는 시약과의 반응이 포함된다. 적합한 반응식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과의 에스테르화
ii) 1,2-에폭시알칸과의 에테르화
iii)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알킬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의 에테르화
iv) 모노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와의 에스테르화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SAC는, 이후에 중합후 개질되어 반복 단위의 일부를 ARU로 변환시키는 다중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갖는 중합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서, 중합체, 예를 들어, 전분 덱스트린 중합체와 같은 전분은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을 사용해 에스테르화하여 초친수성 무수글루코스(anhyroglucose) 단위의 일부를 ARU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적합한 생성된 한 SAC의 구조는 하기에 나타낸, C-6 소듐 덱스트린 알케닐석시네이트일 수 있다:
Figure pct00119
예를 들어, SAC는 R = C12H23인 경우 소듐 덱스트린 도데세닐석시네이트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에게 인지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다당류의 알케닐 석시네이트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2,661,34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반응 조건의 특성, 분자 구조, 당 반복 단위의 유형, 분지점 및 분자량에 따라, 상기에 나타낸 C-6 위치에 더하여 C-2, C-3 또는 C-4 위치에서 또한 당 반복 단위 (AGU)의 개질이 일어날 수 있다.
출발 다당류와 소수성화제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된 SAC는 소수성화제와 결합된 다당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SAC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화제로 개질된 전분 기재 다당류이다. 적합한 전분의 예에는 옥수수, 밀, 쌀, 타피오카, 감자, 사고(sago) 등과 같은 식물로부터 유도된 것들이 포함된다. 그러한 전분들은 천연 변이체의 것이거나 또는 식물 육종에 의해 또는 유전자 조작에 의해 개발된 것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전분에는 그러한 전분의 왁스 유사(waxy) 형태 (5% 미만의 아밀로스를 함유), 고 아밀로스 전분 (40%를 초과하는 아밀로스를 함유), 개질된 쇄 길이를 갖는 것 (예컨대,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5,9545,883호에 개시된 것), 및/또는 그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출발 전분은 감자 전분 또는 타피오카 전분이다. 특정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출발 전분은 왁스 유사 감자 전분 또는 왁스 유사 타피오카 전분이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전분-기재 다당류는 그러한 저분자량 전분 또는 "덱스트린"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그러한 전분을 소수성화제와 반응시킴으로써 개질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분은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기술, 예를 들어, 산과 열의 작용, 효소처리, 또는 열처리에 의해서 그 분자량을 감소시키도록 처리된다. 저분자량 전분은 선택적인 가열로 물 중에 용해되어 수용액을 형성하고, 수용액의 pH는 용액에 산, 예컨대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약 2.0으로 조정된다. 반응의 마지막에 물의 제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가장 높은 고체 함량으로 전분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저분자량 전분의 수성 고체에 적합한 작업 범위는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분 약 10% 내지 약 80%이다. 바람직하게는, 저분자량 전분의 고체 백분율은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내지 약 75%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저분자량 전분의 고체 백분율은 총 용액의 약 35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이다.
SAC의 수용액의 점도는 용액의 펌핑 또는 유동으로 높은 고체 수준의 계면활성제의 해로운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낮다. 이러한 이유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스핀들 #3을 사용하여 200 rpm에서 실온 (약 23℃)에서 측정된 본 발명의 SAC에 대한 브룩필드 점도(Brookfield viscosity)는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수성 고체에서 약 1000 cp 미만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스핀들 #3을 사용하여 200 rpm에서 실온 (약 23℃)에서 측정된 10% 수용액의 브룩필드 점도는 약 25 cp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스핀들 #3을 사용하여 200 rpm에서 실온 (약 23℃)에서 측정된 10% 수용액의 브룩필드 점도는 약 10 cp 미만일 것이다. 추가의 단계에서, 초친수성 무수글루코스 단위의 일부를 ARU로 전환시키는 것은 1종 이상의 소수성화제 (예를 들어,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를 약 8.5의 pH의 수용액 중에서 약 40℃에서 약 21시간 동안 전분과 반응시켜서 SAC의 수용액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추가 방법 단계, 예를 들어, SAC의 수용액을 약 23℃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용액을 약 7.0의 pH로 중화시키는 단계가 그 후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pH는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을 사용하여 조정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전분-기재 다당류는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개질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은 도데세닐석신산 무수물 (DDSA)이다. DDSA의 예시적인 처리 수준은 저분자량의 건조물 기준으로 약 3 내지 약 25% 범위이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처리 수준은 저분자량 출발 전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5%의 DDS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전분 기재 다당류 상의 결합된 DDSA인 출발 다당류와 DDSA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된 SAC는 건조 전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3 약 15%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결합된 DDSA는 전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2%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이어서, DDSA를 용액 전반에 균일하게 분산된 채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교반을 사용하여 저분자량 다당류를 포함하는 용액을 DDSA와 접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적합한 염기를 천천히 제어하면서 첨가함으로써 반응의 pH를 약 7.0 내지 약 9.0으로 유지시키면서, 25℃ 내지 60℃의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염기 재료의 일부 예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산화칼슘 (석회)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화제는 프로펜의 사량체화로부터 제조된 12개의 탄소 측쇄를 포함하는 DDSA의 고분지형 형태이다. 이어서, 엔-형(ene-type) 반응에서 테트라프로펜이 말레산 무수물과 반응될 때, 고분지형 테트라프로페닐 석신산 무수물 (TPSA)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재료는 약간 점성인 오일이고, 허용가능한 수 용해도 (예를 들어 23℃에서 물 중에서 약 2 내지 5%)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소수성화제는 저분자량 다당류와 바람직하게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따라서, 저분자량 전분을 개질하는 데 사용된 소수성화제가 TPSA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전분-기재 다당류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쇄를 갖는 장쇄 4차 화합물로 개질된다.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 장쇄 4차 화합물은 6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쇄, 예컨대 3-클로로-2-하이드록스프로필-다이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r) 342로서 시판됨) 또는 그러한 화합물의 에폭사이드 형태, 2,3에폭시프로필다이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소수성화제는, 예를 들어, 석신산 무수물 및 장쇄 4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시약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이알킬무수물, 예를 들어, 스테아릴 무수물이 또한 본 발명에 적합할 수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화제는 분자량이 약 220 초과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화제는 분자량이 약 250 초과이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화제는 분자량이 약 200,000 미만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개질된 전분-기재 다당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미만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개질된 전분-기재 다당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25,000 또는 1,500 내지 15,00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 내지 약 10,000이다.
전분-기재 다당류 외에, 다른 다당류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다당류는 식물 공급원 및 당-유형 반복 단위를 기재로 하는 것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당류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구아, 잔탄, 펙틴, 카라기난, 로커스트 빈 검, 및 셀룰로스이며, 상기의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및 효소적 분해가 원하는 응용을 위한 점도를 제공하는 데 요구되는 범위로 분자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프로필렌 옥사이드 (PO), 에틸렌 옥사이드 (EO), 알킬 클로라이드 (알킬화)를 이용한 처리 및 에스테르화와 같이 화학적 개질이 또한 추가적인 작용 특성 (예를 들어,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예를 들어,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소듐 트라이폴리포스페이트, 클로로아세트산,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인 옥시클로라이드 등을 제공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다당류의 중합 후 개질로부터 유도된 SAC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는
Figure pct00120
3-클로로-2- 하이드록시프로필라우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개질된 덱스트란 (폴리[α(1→6)-D-글루코스]) 등이 포함된다.
다른 합성 경로에는 아미노산을 중합시키고/시키거나 폴리아미노산을 중합 후 개질시켜서 본 발명의 SAC를 성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친수성 중합체 또는 양친매성 중합체를 중합 후 개질시켜서 본 발명의 SAC를 성취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SAC는 조성물 중에서 약 0.1 중량% 초과 내지 약 25 중량%의 활성 SAC의 농도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SAC는 조성물 중에서 약 0.5 내지 약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7.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6%의 활성 SAC의 농도로 존재한다.
양호한 가공성 및 용도 특성을 수득하기 위해서, 조성물은 결합제로서 그리고 가소제로서 기능하여 바아의 보다 양호한 압출 및 스탬핑을 용이하게 하는 소수성 결합제로 안정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수성 결합제"는 소수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물 중에서 일반적으로 불용성인 화합물을 지칭한다. 소수성 결합제는 실온에서 바람직하게는 고체이지만, 승온 (≥ 30℃)에서 용융하거나 또는 가단성(malleable) 및 유동성이 된다. 소수성 결합제는 또한 추가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세정될 피부에 대한 에몰리언트(emollient)로서 사용된다.
적합한 소수성 결합제의 부류의 예에는 지방산, 지방 알코올,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폴리올 에스테르, 왁스, 혼합 글리세리드, 트라이글리세리드, 수소화 트라이글리세리드, 불포화 트라이글리세리드의 수소화 복분해 생성물, 및 그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적합한 지방산 및 지방 알코올에는 약 8 내지 약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 예컨대 적어도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및 스테릴 알코올이 포함된다. 알코올과 지방산의 적합한 에스테르에는 적어도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 예를 들어 합성 밀랍이 포함된다. 적합한 폴리올 에스테르에는 글리세릴 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다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세스쿠스테아레이트(Sesqustearate) 또는 소르비탄 트라이스테아레이트, 및 메틸 글루코시드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에이트 또는 메틸 글루코스 다이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왁스"는 30℃를 초과하는 용융점을 갖는 소수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왁스는 동물성 탄화수소, 식물성 탄화수소, 미네랄 탄화수소 또는 합성 탄화수소일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왁스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칸 또는 알켄, 케톤, 다이케톤, 1차 또는 2차 알코올, 알데히드, 스테롤 에스테르, 테르펜 및 에스테르, 예컨대 C12-C38 범위의 탄쇄 쇄 길이를 갖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들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왁스에는 (글리세롤 또는 글리세롤 이외의) 알코올과 장쇄 지방산의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적합한 자연 발생 왁스에는 밀납, 라놀린 왁스,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 (카나우바(Carnauba)) 왁스, 및 심몬드시아 시넨시스(Simmondsia Chinensis) (호호바(Jojoba)) 시드 왁스가 포함된다. 적합한 석유 유도 왁스에는 파라핀, 미세결정질 왁스 및 페트롤라텀(Petrolatum)이 포함된다. 적합한 혼합 글리세리드에는 적어도 약 12개의 평균 탄소 쇄 길이를 갖는 것, 예를 들어, 코코글리세리드, 올리브 글리세리드, 팜 글리세리드, 및 팜 커넬(Palm Kernal) 글리세리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트라이글리세리드에는 부티로스페르멈 파르키(Butyrospermum Parkii) (쉬어(Shea)) 버터,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코코아) 시드 버터, 심몬드시아 시넨시스 (호호바) 시드 오일, 및 코코스 뉴시페라(Cocos Nucifera) (코코넛) 오일이 포함된다. 적합한 수소화 트라이글리세리드에는 수소화 C12-18 트라이글리세리드, 수소화 피마자유, 및 수소화 호호바 오일이 포함된다. 불포화 트라이글리세리드의 적합한 수소화 복분해 생성물에는 수소화 소이 폴리글리세리드(Hydrogenated Soy Polyglyceride)가 포함된다.
소수성 결합제의 임의의 적합한 총 양이 본 발명의 세정 바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 결합제의 총 농도는 5% 내지 약 50%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소수성 결합제의 총 농도는 10%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약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약 40%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소수성 결합제는 화학식 R―COOH의 C8 ― C24 지방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R = C7 ― C23 알킬,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다. 특히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C16 ― C18 선형 포화 지방산의 블렌드, 코코넛 지방산,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들로 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용성 바아 고화제"는 세정 바아에 증가된 경도를 제공하는 경향을 갖는 수용성 재료를 지칭한다. 적합한 수용성 바아 고화제의 부류의 예에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무기 금속 양이온 염이 포함된다. 유기산의 무기 금속 양이온 염의 예에는 예를 들어, (나트륨) 염 이세티온산, 락트산 및 시트르산이 포함된다. 무기산의 무기 금속 양이온 염의 예에는 예를 들어 단순한 나트륨 염,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용성 바아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및 소듐 이세티오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수용성 바아 고화제의 임의의 적합한 총 양이 본 발명의 세정 바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수용성 바아 고화제의 총 농도는 0.25% 내지 약 10%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수용성 바아 고화제의 총 농도는 0.5%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이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산-염기 특성 및 용액 pH의 함수로서 반대 형식 전하(formal charge)의 2개의 모이어티 또는 반대 형식 전하를 포함할 수 있는 2개의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기 및 소수성 기를 포함하는 양친매성 분자를 지칭한다. 임의의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Figure pct00121
하기 화학식의 알킬 베타인:
Figure pct00122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예에는 코코-베타인 (R = 코코 알킬), 라우릴 베타인 (R = 라우릴, C12H25), 및 올레일 베타인 (R = 올레일, C18H35)이 포함됨);
Figure pct00123
하기 화학식의 알킬 하이드록시설타인:
Figure pct00124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예에는 코코-하이드록시설타인 (R = 코코 알킬) 및 라우릴 하이드록시설타인 (R = 라우릴, C12H25)이 포함됨);
Figure pct00125
하기 화학식의 알킬 설타인:
Figure pct00126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예에는 라우릴 설타인 (R = 라우릴, C12H25) 및 코코-설타인 (R = 코코 알킬)이 포함됨);
Figure pct00127
하기 화학식의 알킬아미도알킬 베타인:
Figure pct00128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x = 1) (예에는 코카미도에틸 베타인 (RCO = 코코 아실, x = 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코코 아실, x = 3), 라우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라우로일, x = 3),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미리스토일, x = 3), 소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 = 소이 아실, x = 3), 및 올레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올레일, x = 3)이 포함됨);
Figure pct00129
하기 화학식의 알킬아미도알킬 하이드록시설타인:
Figure pct00130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임) (예에는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RCO = 코코 아실, x = 3), 라우르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RCO = 라우로일, x = 3),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RCO = 미리스토일, x = 3), 및 올레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RCO = 올레일, x = 3)이 포함됨);
Figure pct00131
하기 화학식의 알킬아미도알킬 설타인:
Figure pct00132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임) (예에는 코카미도프로필 설타인 (RCO = 코코 아실, x = 3), 라우르아미도프로필 설타인 (RCO = 라우로일, x = 3),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설타인 (RCO = 미리스토일, x = 3), 소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소이 아실, x = 3), 및 올레아미도프로필 베타인 (RCO = 올레오일, x = 3)이 포함됨);
Figure pct00133
하기 화학식의 알킬 포스포베타인:
Figure pct00134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코코 PG-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여기서, R = 코코 알킬, M+ = Na+임);
Figure pct00135
하기 화학식의 포스포리피드:
Figure pct00136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x = 1 ― 3 또는 그들의 혼합물, x + y = 3, z = x, a = 0 내지 2, B = O- 또는 OM, A = 음이온, M = 양이온 (미국 특허 제5,215,976호; 제5,286,719호; 제5,648,348호; 및 제5,650,402호 참고)), 예컨대 소듐 코코 PG-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여기서, R = 코코 알킬, x = 2, B = O-, y = 1, z = 1, A = Cl-, a = 1, M = Na+);
Figure pct00137
하기 화학식의 포스포리피드:
Figure pct00138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n = 1 ― 4, x = 1 ― 3 또는 그들의 혼합물, x + y = 3, z = x, a = 0 내지 2, B = O- 또는 OM, A = 음이온, M = 양이온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15,976호; 제5,286,719호; 제5,648,348호; 제5,650,402호)) (예에는 코카미도프로필 PG-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RCO = 코코 아실, n = 3, x = 3, z = 3, A = Cl-, B 및 M은 존재하지 않음, y = 0, a = 0) 및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 PG-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RCO = 미리스토일, n = 3, x = 3, z = 3, A = Cl-, B 및 M은 존재하지 않음, y = 0, a = 0)가 포함됨);
Figure pct00139
하기 화학식의 암포아세테이트:
Figure pct00140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및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141
하기 화학식의 암포다이아세테이트: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임) (예에는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아세테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및 다이소듐 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144
하기 화학식의 암포프로피오네이트:
Figure pct00145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임) (예에는 소듐 라우로암포프로피오네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및 소듐 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146
하기 화학식의 암포다이프로피오네이트: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임) (예에는 다이소듐 라우로암포다이프로피오네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및 다이소듐 코코암포다이프로피오네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가 포함됨);
Figure pct00149
하기 화학식의 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Figure pct00150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라우로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및 소듐 코코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RCO = 코코 아실, M+ = Na+);
Figure pct00151
하기 화학식의 암포하이드록시알킬포스페이트:
Figure pct00152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M+ = 1가 양이온), 예컨대 소듐 라우로암포 PG-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RCO = 라우로일. M+ = Na+);
Figure pct00153
하기 화학식의 알킬 아민 옥사이드:
Figure pct00154
(여기서, R = C6 ― C24 알킬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예에는 코카민 옥사이드 (R = 코코 알킬) 및 라우르아민 옥사이드 (RCO = 라우릴)가 포함됨);
Figure pct00155
하기 화학식의 알킬아미도알킬 아민 옥사이드:
Figure pct00156
(여기서, RCO = C6 ― C24 아실 (포화되거나 또는 불포화됨) 또는 그들의 혼합물, x = 1) (그 예에는 코카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 (RCO = 코코 아실, x = 3) 및 라우르아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 (RCO = 라우로일, x = 3); 및 그들 중 둘 이상의 조합 등이 포함됨).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알킬 하이드록시설타인, 알킬아미도알킬 베타인, 알킬아미도알킬 하이드록시설타인, 암포하이드록시프로필설포네이트, 및 그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조성물의 총 중량 중의 계면활성제(들)의 총 활성량을 기준으로 약 0 초과 내지 약 10 중량% 미만의 총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총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약 0.5 내지 약 7.5 중량%의 총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포뮬러(formula)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총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포뮬러는 약 1 내지 약 4 중량%의 총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물이 세정 바아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물은 다른 성분의 일부로서 간접적으로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바아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세정 바아 중의 물의 농도는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2%,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0%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비누가 세정 바아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비누"는 포화 및 불포화 C6-C24 지방산의 알칼리 (예를 들어, Na+ 및 K+) 및 알칼리 토류 (예를 들어, Mg2+ 및 Ca2+), 암모늄, 또는 트라이에탄올아민 염, 즉 알킬 모노카르복실레이트 염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약 8 미만인 세정 바아의 pH를 유지하기 위해서,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세정 바아 중의 비누의 양을 제한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비누의 농도는 약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미만이고, 특정 실시 형태에서는 비누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종래의 세정 바아에서 발견되는 것을 비롯한 추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의 예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친수성 결합제, 보습제, 컨디셔닝제, 불투명화제, 킬레이팅제, 컨디셔닝제, 충전제, 엑스폴리언트(exfoliant), 보존제, 피부 유익제(skin benefit agent) 및 향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된 경우, 화학 물질은 그의 INCI명에 따라서 명시된다. 공급원 및 상표명을 비롯한 추가 정보는 참고로 본 발명에 포함된 다음 문헌 [INCI monograph in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14 th Edition published by the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Washington DC and M. Friedman, Chemistry, Formulation, and Performance of Syndet and Combo Bars, Chapter 5 in Soap Manufacturing Technology, L. Spitz, ed., AOCS Press: Urbana, IL, 2009, pp 153-189]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예에는 라우릴 글루코시드, 코코-글루코시드, 및 카프릴/라우릴 위트 브랜/스트로(Wheat Bran/Straw) 글리코시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예에는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6 다이스테아레이트가 포함된다. 적합한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의 예에는 라우로일 메틸 글루카미드가 포함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약 0% 내지 약 30%, 예컨대 0% 내지 약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친수성 결합제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x (여기서, x = PEG의 DP이고, 약 10 내지 약 800 범위)이 포함된다.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 (예를 들어, 스테아레트-100), 및 지방산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어, PEG-100 스테아레이트). 친수성 결합제는 약 0% 내지 약 60%, 예컨대 0% 내지 약 2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습제의 예에는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다이올, 1,4-부탄다이올, 1,3-부탄다이올, 1,2-부탄다이올, 하이드록시에틸 우레아, 소르비톨, 소르비탄, 자일리톨 및 폴리글리세롤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z (여기서, z = 2 ― 20))이 포함된다. 보습제는 약 0% 내지 약 30%, 예컨대 0% 내지 약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컨디셔닝제의 예에는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수용성 중합체 및 단백질이 포함된다. 적합한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수용성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쿼터늄(Polyquaternium), 예컨대 폴리쿼터늄-7, -10, -39, 또는 -67,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 및 카시아(Cassia)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단백질의 예에는 가수분해된 단백질, 예컨대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4차 단백질,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가수분해된 콩 단백질, 및 아실화 단백질, 예컨대 소듐 코코일 가수분해된 아마란스 단백질(Amaranth Protein)이 포함된다. 컨디셔닝제는 약 0% 내지 약 5%, 예컨대 0% 내지 약 1%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예에는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테트라소듐 EDTA; 테트라소듐 글루타메이트 다이아세테이트; 및 테트라소듐 이미노다이석시네이트가 포함된다. 킬레이팅제는 약 0% 내지 약 3%, 예컨대 약 0% 내지 약 1%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의 예에는 또한 결합제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바아의 경도 특성 또는 박리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된다. 적합한 충전제의 부류에는 유기 충전제, 예컨대 덱스트린, 전분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만니톨, 밀가루) 및 무기 충전제 (예를 들어, 탈크, 운모,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점토, 황산나트륨, 탄산염, 예컨대 탄산칼슘 및 인산염, 인산칼슘)가 포함된다. 탈크가 바람직한 충전제이다. 충전제는 약 0% 내지 약 6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불투명화제의 예에는 가시적으로 매력적인 색상 및/또는 광학 효과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양의 유기 염료 (예를 들어, 황색 10호 또는 주황색 4호) 및 무기 안료 (예를 들어, 산화철 또는 울트라마린)를 비롯한 착색제가 포함된다. 불투명화제는 약 0% 내지 약 2%, 예컨대 약 0 내지 약 0.075%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이 바람직한 불투명화제이다.
적합한 엑스폴리언트(exfoliant)의 예에는 폴리에틸렌 비드, 옥수수 가루(corn meal), 호두 껍질 분말, 및 루파 실린드리카 푸룻 파이버(Luffa Cylindrica Fruit fiber)가 포함된다. 엑스폴리언트는 약 0% 내지 약 2%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보존제의 예에는 파라벤, 4차 암모늄 종, 페녹시에탄올, 벤조에이트, DMDM 히단토인이 포함된다. 보존제는 약 0 내지 약 1% 또는 약 0.05% 내지 약 0.5%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피부 유익제의 예에는 약 8 미만의 pH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포함되고, 그것에는 노화 방지제, 항균제, 여드름 방지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피부 유익제의 적합한 한 부류는 유기산 및 그의 염, 예컨대 알파 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글리콜산, 락트산; 베타 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및 시트르산을 비롯한 항균제이다. 항균제는 약 0% 내지 약 4%, 예컨대 약 0 내지 약 2%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세정 바아의 순함 및 다른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유리 전극을 사용한 수용액의 pH를 위한 ASTM 방법 E70 ― 07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경우 약 8 이하의 pH를 갖는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세정 바아는 약 3 내지 약 8,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7,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6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특히 SAC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와 비교할 경우 높은 거품형성성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 상술된 세정 바아 거품 시험에 따라서 시험되는 경우,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SAC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보다 적어도 약 30% 높은 최대 거품 부피를 갖는다. 특정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SAC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보다 적어도 약 40% 높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1% 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5% 높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높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5% 높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60% 높은 최대 거품 부피를 갖는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인이 쉽게 이해하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의의 세정 바아에 대해서 "SAC를 포함하지 않는 대등한 세정 바아"는 SAC가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 주제의 세정 바아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 세정 바아 (즉, 0 중량%의 SAC를 갖는 세정 바아, 여기서, SAC의 생략을 보상하기 위한 추가 재료 ("q.s.")는 세정 바아 중의 동일한 중량 비율의 다른 (비-SAC) 성분으로 구성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세정 바아 본 발명의 실시예 E1 및 SAC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 비교예 C1, 및 세정 바아 본 발명의 실시예 E2 및 SAC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 비교예 C2를 참고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는 임의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소수성 결합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 및 물을 조합하여 그 혼합물이 유체가 되어 성분의 균질한 혼합을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다. 소수성 결합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 물의 상대적인 비율이 변화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최종 세정 바아에서 사용될 의도의 소수성 결합제 및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각각의 전체 포뮬러 양이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용성 바아 고화제의 총 퍼뮬러 양의 단지 일부 및/또는 수용성 바아 고화제가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제조 시에 사용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적어도 약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의 조합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결합제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수용성 바아 고화제 및 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 중의 물의 양은 약 0.25%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 중의 이러한 성분은 승온에서 혼합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그것을 유체로 만들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다. 승온은 적어도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소수성 결합제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결합제,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 및 물은 적어도 약 150℉의 온도에서 혼합될 수 있다.
종래의 세정 바아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는 종종 중합체가 물 (계면활성제 존재하지 않음)에 첨가되는 별도의 수화 단계를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SAC가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에 편리하게 직접 첨가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체 SAC는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에 첨가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여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형성하게 된다.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는 이러한 특정 시기에 반죽(doughy) 또는 점성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재료가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에 첨가될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른 선택적인 성분 중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 추가 수용성 바아 고화제, 추가 물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되는 것이 허용된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그것에 첨가된 1종 이상의 추가 재료를 갖는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는 최종 세정 바아의 의도된 화학 조성을 반영한다 (즉, 의도된 화학 조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약 8 이하의 pH를 유지하기 위해서, 바아를 제조하는 방법 동안 첨가되는 비누의 양은 세정 바아를 형성하기 직전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미만, 예컨대 0.1% 미만의 비누이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특정량의 비누가 동일계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함을 인지하지만,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는 냉각 직전에 약 10% 미만의 비누,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의 비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미만의 비누를 포함하고, 특정 실시 형태에서는 비누를 포함하지 않는다.
최종 고체 세정 바아를 형성하기 전에,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는 추가적인 종래의 가공 단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는 예컨대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예를 들어, 롤러 내의 순환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된 금속 롤러와 접촉시킴으로써 플레이킹(flaking)된다. 생성된 재료는 개별 플래이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플레이킹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는 예컨대 주변 온도에서 혼합되거나 또는 통합(amalgamating)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특정 추가 첨가제를 플레이킹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에 혼합하기 직전에, 또는 혼합하는 동안 또는 혼합한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첨가제에는 감열성 성분, 예컨대 향제 및 엑스폴리언트가 포함되고, 이들은 이러한 추가적인 종래의 가공 단계 이전에, 또는 가공 단계 동안, 또는 가공 단계 후에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이다.
다른 특정 실시 형태에 따라서, (플레이킹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는 (예를 들어, 개구부를 통해서) 압출되어 압출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형성한다. 이어서, 예를 들어, 종래의 방법, 예컨대 압출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절단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용) 및/또는 다이를 사용하여 스템핑하여 최종 바아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세정 바아가 형성된다. 이른바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세정 바아에서 사용된 중합체는 압출 및/또는 스탬핑을 사용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걸쭉한 바아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세정 바아 및/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한 세정 바아는 쉽게 가공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적어도 일부를 치료 또는 세정하기 위한 개인 케어 제품으로서 사용되거나 개인 케어 제품 중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특정 개인 케어 제품의 예에는 신체의 피부, 모발 및/또는 질 부위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제품, 예컨대 샴푸, 손, 얼굴 및/또는 신체 세정품, 목욕 첨가제, 겔, 로션, 크림 등이 포함된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방법이 바람직한 특성 중 하나 이상, 예컨대 거품형성 특징, 감소된 자극, 및/또는 개선된 제조성을 갖는 개인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는 것을 예상치 못하게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를 치료 및/또는 세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바람직한 방법은 포유류 피부, 모발 및/또는 질 부위를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접촉시켜서 그러한 부위를 세정하고/하거나 여드름, 주름, 피부염, 건조함, 근육통, 가려움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임의의 다양한 상태를 위해서 그러한 부위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접촉 단계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 모발, 또는 질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예를 들어 거품생성 단계, 헹굼 단계 등을 비롯한 종래의 피부를 세정하는 것과 관련된 임의의 다양한 추가의 선택적인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시험을 본 발명의 방법 및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다.
세정 바아 거품 시험: 세정 바아에 의해서 생성된 거품의 측정을 하기 세정 바아 거품 시험에 따라서 측정한다. 바아-형태 제품의 펠렛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해 및 교반 시 그의 거품 생성 특성을 측정한다. 세정 바아 거품 시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세정 바아 형태의 제품을 5000 psi에서 원통형 펠렛 형상 주형 내에서 압착 쉐이빙(compressing shaving)함으로써 펠렛을 제조한다 (각각의 펠렛의 대략적인 중량은 0.65 그램임). 최대 거품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서, 염화칼슘을 탈이온수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중수 용액 (100 ppm Ca2+)을 제조하고, SITA R-2000 거품 시험기 (퓨쳐 디지탈 사이언티픽, 코.(Future Digital Scientific, Co.) (미국 뉴욕주 베트페이지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의 샘플 탱크에 첨가한다. 35℃ ± 2℃의 온도 설정에서 1200 RPM (회전수 = 1200)의 로터 스피닝으로 사이클 당 15초의 교반 시간 (교반 시간 = 15초) 동안 13회 교반 사이클 (교반 카운트 = 17)을 사용하여 250 ml 샘플 크기 (충전 부피 = 250 ml)의 3회 실시 (시리즈 카운트 = 3)를 반복하도록 시험 파라미터를 설정하였다. 단지 Ca2+ 용액이 교반되는 초기 사이클 후, 펠렛을 샘플 탱크에 첨가한다 (즉, 시간 = 15 s). 거품 부피 데이터를 각각의 교반 사이클 (2 내지 17)의 마지막에 수집하고, 3회 실시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결정한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16 교반 사이클 (240초) 후 값으로서 최대 거품 높이를 기록한다.
상피통과 투과성( Transepithial Permeability) ( TEP ) 분석: 주어진 제제에 대해서 예상된 눈 및/또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 [Invittox Protocol Number 86 (May 1994)]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인비톡스 프로토콜 넘버(Invittox Protocol Number) 86, "상피-통과 투과성 (TEP) 분석"에 따라서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눈 및/또는 피부 자극 가능성은, 층을 통과하는 플루오레세인의 누출에 의해 평가되는 것과 같은, 세포 층의 투과성에 대한 그의 영향을 결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마딘-다비 개 신장(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의 단층을, 하부 웰 내에 배지 또는 분석 완충액을 포함하는 24-웰 플레이트에서 미세다공성 삽입물에 컨플루언스(confluence)로 성장시킨다. 미세다공성 막에서 성장된 MDCK 세포 층의 시험 샘플에 대한 노출은 자극물이 눈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첫 번째 사건에 대한 모델이다. 생체 내에서, 각막 상피의 최외각 층은 세포 사이의 밀착 연접(tight junction)의 존재로 인해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장벽을 형성한다. 자극물에 노출시, 밀착 연접은 분리되어, 투과 장벽을 제거한다. 유체는 상피의 하부 층 및 간질에 흡수되어, 콜라겐 라멜라가 분리되게 하며, 그 결과로 불투명해진다. TEP 분석은 미세다공성 삽입물에서 성장된 MDCK 세포의 층에서 세포들 사이의 밀착 연접의 파괴에 대한 자극물의 영향을 측정한다. 손상은 세포 층 및 미세다공성 막을 통해 하부 웰로 누출되는 마커 염료 (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분광광도법으로 평가한다.
제품의 희석액에 15분 노출시킨 후에 셀 단층에서 투과성 장벽에 대한 손상을 측정함으로써 제제의 자극 가능성을 평가한다. 장벽 손상은 분광광도법으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30분 후 하부 웰로 누출되는 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에 의해 평가한다. 플루오레세인 누출을 시험 재료의 농도에 대해서 플로팅하여 EC50 (최대 염료 누출의 50%, 즉 투과성 장벽에 대한 50% 손상을 유발하는 시험 재료의 농도)을 결정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더 순한 제제를 나타낸다.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표에 열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중 성분들의 양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성분의 %(w/w)로 표현한다.
실시예 I: 세정 바아의 제조 방법
2종의 세정 바아, 즉, 본 발명의 실시예 E1 및 비교예 C1 (SAC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 E1에 대등한 세정 바아)을 하기 절차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재료는 표 1의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서 언급된 바와 같은 중량% 양으로 첨가하였다. 적절한 크기의 용기를 스팀 자켓을 사용하여 예열하였다. 스테아르산을 첨가하고, 온도가 175℉ 내지 185℉일 때까지 혼합하였다. 배치에 각각의 성분 또는 프리믹스를 첨가한 후 이러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였다. HOSATPON SCI-65C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와 스테아르산 및 코코넛 지방산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고, 균일하고 페이스트 유사한 컨시스턴시를 성취할 때까지 혼합하였다. HOSTAPON SI (소듐 이세티오네이트와 물의 혼합물)를 첨가하고, 혼합을 계속하여,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E1의 경우, 소듐 가수분해된 감자 전분 도데세닐석시네이트 (분무-건조된 자유 유동 분말 형태의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수성 계면활성제 블렌드에 첨가하고, 균일할 때까지 혼합을 계속하였다. CHEMBETAINE CAS (코코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과 물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균일할 때까지 혼합하였다. 최종 세정 바아 중의 총 물 농도의 목표치가 하기 표 1과 일치하는 농도 (4 내지 10%)가 되기에 충분한 물에 염 및 이산화티타늄을 혼합하였다. 염, 이산화티타늄 및 물의 이러한 프리믹스를 배치에 첨가하였다. 배치를 추가 10분 동안 균일한 컨시스턴시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냉각 롤 플레이커를 사용하여 재료를 플레이킹하고,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화하였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HEMBETAINE CAS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E1 및 비교예 C1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E2 및 비교예 C2 (SAC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 E2에 대등한 세정 바아)를 제조하였다. 소듐 가수분해된 감자 전분 도데세닐석시네이트 (SAC)를 첨가하지 않고, 세틸 하이드록시셀룰로스를 물로 수화시켜서, 가열된 계면활성제 블렌드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 E1과 유사한 방식으로, 비교예 C3을 제조하였다.
플레이크를 통합기(amalgamator)에 첨가하고, 임의의 추가 첨가제와 혼합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쓰리 롤 밀(three roll mill) 상에서 밀링하였다. 매끄럽고 균일한 빌릿(billet)이 제조될 때까지, 밀링된 재료를 진공 압출 플로더(vacuum extrusion plodder)를 통해서 압출하였다. 빌릿을 적절한 크기 및 중량으로 절단하였고, 이어서 다이 및 풋 프레스(foot press)를 사용하여 최종 형상으로 스탬핑하였다.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157
본 실시예 세정 바아뿐만 아니라 민감성/아기 피부를 위해서 특별히 판매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세정 바아인 "도브 베이비 센서티브 스킨 베이비 바아(DOVE Baby Sensitive Skin Baby Bar)" (비교예 C4)를 거품 생성에 대해서 시험하였다. 도브 베이비 센서티브 스킨 베이비 바아는 유니레버(Unilever)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도브 베이비 센서티브 스킨 베이비 바아는 하기 성분을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스테아르산, 소듐 탈로우에이트(tallowate) (또는) 소듐 팔미테이트, 라우르산, 소듐 이세티오네이트, 물, 소듐 스테아레이트,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코코에이트 (또는) 소듐 팜 커넬레이트, 염화나트륨, 테트라소듐 EDTA, 테트라소듐 에티드로네이트, 말트롤, 및 이산화티타늄.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세정 바아 거품 시험 및 상피통과 투과성 (TEP) 분석 각각을 사용하여 거품 부피 및 눈 및/또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 및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158
[표 2]
Figure pct00159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세정 바아가 SAC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거품 성능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세정 바아에서 거품 성능의 개선을 예시하기 위해서,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E1 및 비교예 C1, C3, 및 C4에 대한 거품 부피 대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은 플롯 형태의 이러한 동일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SAC의 포함이 거품형성 성능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것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E1의 최대 거품 부피 (810 mL)는 비교예 C1의 것 (574 mL)보다 41%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사이클 13 (195초)에서는 훨씬 더 크고,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 E1 (789 mL)은 비교예 C1의 것 (374 mL)보다 111% 높았다. 보다 더 현저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 E1의 최대 거품 부피는 비교예 C3의 것 (157 mL)보다 5배 높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세정 바아의 거품 성능은 비교예 C4에 나타낸 선두적인 시판 세정 바아보다 현저하게 양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E1의 최대 거품 부피는 비교예 C4의 것 (205 mL)보다 거의 4배 높았다.
추가로, 표 2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생략된 경우 거품 성능에서 유사하게 현저한 증가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E2 및 비교예 C2에 대한 거품 부피 대 시간 (그리고 도 2는 플롯 형태의 이러한 동일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E2의 최대 거품 부피 (212 mL)는 비교예 C2의 것 (134 mL)보다 58% 높았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세정제가 SAC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세정 바아가 훨씬 더 순하다는 것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상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TEP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E1은 2.79% (표준 편차 0.97)의 TEP 평균 스코어를 가졌고, 0.94% (표준 편차 0.23)의 TEP 평균 스코어를 갖는 비교예 C4와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샘플이 훨씬 더 순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34)

  1. 소수성 결합제,
    비-비누(non-soap)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바아 고화제(bar hardener), 및
    약 0.25% 내지 약 20%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가열하여 그것을 유체로 만드는 단계;
    고체 초친수성-양친매성 공중합체(superhydrophilic-amphiphilic copolymer)를 상기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여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계면활성제 블렌드를 압출하여 압출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약 8 이하의 pH를 갖는 고체 세정 바아(cleansing bar)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 세정 바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바아의 상기 형성 단계가 상기 압출된 계면활성제 물질을 절단하거나 또는 스탬핑(stamp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계면활성제/공중합체 블렌드를 상기 압출 단계 이전에 플레이킹(flaking)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계면활성제 블렌드가 상기 세정 바아의 상기 형성 단계 직전에 약 10% 이하의 비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약 3% 내지 약 12%의 물을 갖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10 미만인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를 갖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5 내지 약 10인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를 갖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1000 내지 약 100,000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200,000 미만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소수성화제(hydrophobic reagent)로 개질된 전분-기재 다당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약 4 내지 약 7의 pH를 갖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를 상기 가열된 수성 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약 30% 내지 약 70%의 상기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실 이세티오네이트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약 5% 내지 약 50%의 상기 소수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결합제가 지방산, 지방 알코올,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폴리올 에스테르, 왁스, 혼합 글리세리드, 트라이글리세리드, 수소화 트라이글리세리드, 불포화 트라이글리세리드의 수소화 복분해 생성물, 및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약 0.25% 내지 약 10%의 수용성 바아 고화제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아 고화제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무기 금속 양이온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고체 세정 바아가 세정 바아 거품 시험(Cleansing Bar Foam Test)에 따라서 측정되는 경우,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보다 적어도 약 30% 높은 최대 거품 부피를 갖는, 방법.
  19.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소수성 결합제; 및
    수용성 바아 고화제를 포함하고,
    약 8 이하의 p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바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10 미만인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를 갖는, 세정 바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5 내지 약 10인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를 갖는, 세정 바아.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1000 내지 약 100,000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세정 바아.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약 200,000 미만인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소수성화제로 개질된 전분-기재 다당류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24. 제19항에 있어서, 약 4 내지 약 7의 pH를 갖는, 세정 바아.
  25. 제19항에 있어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정 바아.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약 3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세정 바아.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아실 이세티오네이트인, 세정 바아.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결합제가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세정 바아.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결합제가 지방산, 지방 알코올, 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폴리올 에스테르, 왁스, 혼합 글리세리드, 트라이글리세리드, 수소화 트라이글리세리드, 불포화 트라이글리세리드의 수소화 복분해 생성물, 및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 바아.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아 고화제가 약 0.2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세정 바아.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아 고화제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의 무기 금속 양이온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 바아.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전분-기재 다당류인, 세정 바아.
  33. 제19항에 있어서, 세정 바아 거품 시험에 따라서 측정되는 경우, 상기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그의 대등한 세정 바아보다 적어도 약 30% 높은 최대 거품 부피를 갖는, 세정 바아.
  34. 약 30% 내지 약 70%의 비-비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10 미만인 양친매성 반복 단위의 몰%를 갖는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
    약 5% 내지 약 50%의 소수성 결합제;
    약 0.25% 내지 약 10%의 수용성 바아 고화제;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약 8 이하의 p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바아.
KR1020157028901A 2013-03-14 2014-02-19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50126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04,273 2013-03-14
US13/804,211 2013-03-14
US13/804,273 US20140265007A1 (en) 2013-03-14 2013-03-14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3/804,211 US20140274867A1 (en) 2013-03-14 2013-03-14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CT/US2014/017052 WO2014158472A1 (en) 2013-03-14 2014-02-19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956A true KR20150126956A (ko) 2015-11-13

Family

ID=5027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901A KR20150126956A (ko) 2013-03-14 2014-02-19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968103A1 (ko)
KR (1) KR20150126956A (ko)
CN (1) CN105263470A (ko)
AU (1) AU2014242241A1 (ko)
BR (1) BR112015022408A2 (ko)
CA (1) CA2902574A1 (ko)
MX (1) MX2015012107A (ko)
RU (1) RU2015144001A (ko)
WO (1) WO20141584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798B1 (ko) 2021-09-13 2022-04-19 한국콜마주식회사 탈모방지 고형 모발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1949C2 (ru) 2010-07-02 2015-02-2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Филаменты, содержащие активный агент, нетканые полотна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CN102971408B (zh) 2010-07-02 2016-03-02 宝洁公司 洗涤剂产品
CN103025930B (zh) 2010-07-02 2014-11-12 宝洁公司 递送活性剂的方法
WO2018140675A1 (en) 2017-01-27 2018-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in the form of dissolvable solid structures comprising effervescent agglomerated particles
WO2020212958A1 (en) * 2019-04-18 2020-10-22 Tatawati Shivanand Cleansing/sanitizer composition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reof
CN110790844A (zh) * 2019-11-13 2020-02-14 安徽金太阳食品有限公司 一种利用糯米粉制备端酰胺基醚化淀粉的方法
CN115996694A (zh) 2020-06-26 2023-04-21 宝洁公司 含有阴离子表面活性剂的可溶性固体纤维制品
JP2023534686A (ja) 2020-07-31 2023-08-1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ヘアケア用プリル含有水溶性繊維パウチ
CN113278476B (zh) * 2021-05-26 2023-08-11 广州大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肉桂油微胶囊薄膜的水溶膜包裹凝珠
WO2023248162A1 (en) * 2022-06-24 2023-12-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Sustainable shampo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1349A (en) 1949-02-18 1953-12-01 Nat Starch Products Inc Polysaccharide derivatives of substituted dicarboxylic acids
US5372751A (en) 1990-02-09 1994-12-13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Acyl isethionate skin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betaines, amido sulfosuccinates or combinations of the two
US5286719A (en) 1991-10-28 1994-02-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virucidal compositions
US5648348A (en) 1991-10-28 1997-07-15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5215976A (en) 1991-10-28 1993-06-01 Mona Industries, Inc. Phospholipids useful as spermicidal agents
US5227086A (en) * 1992-03-20 1993-07-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med skin pH cleansing bar
US5954883A (en) 1996-10-08 1999-09-2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Waxy maize starch derived from grain of a plant which is heterozygous for the sugary-2 allele
US5994281A (en) * 1999-01-28 1999-11-30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Bar compositions containing solid amphoteric surfactants
US20060002883A1 (en) * 2004-07-01 2006-01-05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ild synthetic detergent toilet bar composition
US20060003908A1 (en) * 2004-07-01 2006-01-05 Brennan Michael A Mild synthetic detergent toilet bar composition
US7507399B1 (en) 2004-08-05 2009-03-24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US7335627B1 (en) 2006-05-25 2008-02-26 Surfa Tech Corporation Polymeric alkylpolyglycoside carboxylates
US7375064B1 (en) 2007-02-20 2008-05-20 Surfatech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meric surfactants based upon alkyl polyglycosides
JP2013507464A (ja) * 2009-10-07 2013-03-04 アクゾ ノーベル ケミカ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超親水性両新媒性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8258250B2 (en) * 2009-10-07 2012-09-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10081310A1 (en) * 2009-10-07 2011-04-07 Fevola Michael J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798B1 (ko) 2021-09-13 2022-04-19 한국콜마주식회사 탈모방지 고형 모발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12107A (es) 2016-06-02
EP2968103A1 (en) 2016-01-20
WO2014158472A1 (en) 2014-10-02
CA2902574A1 (en) 2014-10-02
CN105263470A (zh) 2016-01-20
AU2014242241A1 (en) 2015-09-03
BR112015022408A2 (pt) 2017-07-18
RU2015144001A (ru)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6956A (ko) 초친수성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세정 바아 및 그의 사용 방법
US20140265007A1 (en)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307055B2 (ja) 超親水性両親媒性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4461B1 (ko) 저자극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716765C (en)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243074B2 (en)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11173106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 and a micellar thickener
KR20090035481A (ko) 저-dp 중합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US2011008131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02725B1 (ko) 저-dp중합된 계면활성제 및 미셀 증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48391A (ko) 저-dp 중합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BR102016029249A2 (pt) Cleaning bars containing polystallerol esters
KR20090035482A (ko) 저-dp 중합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사용방법
US20140274867A1 (en) Cleansing bar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