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510A -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510A
KR20150126510A KR1020140053532A KR20140053532A KR20150126510A KR 20150126510 A KR20150126510 A KR 20150126510A KR 1020140053532 A KR1020140053532 A KR 1020140053532A KR 20140053532 A KR20140053532 A KR 20140053532A KR 20150126510 A KR20150126510 A KR 2015012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ressure sensor
grip
us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789B1 (ko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권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범 filed Critical 권기범
Priority to KR102014005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78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운동부하를 조절하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Load control system using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근력운동의 저항방식은 자석, 유압, 공기압, 전자기장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저항의 세기를 조절하여 그 수준의 저항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재활을 목적으로 근력운동을 할 때에는 손상 정도에 따라 근력 및 지구력의 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에 시간내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저항강도를 조절해주어야 한다.
한편, 근력을 나타내는 지수 중 하나인 근전도를 통한 재활의료기기로서, 비록 움직임은 관찰되지 않지만 환자가 자발적으로 상지운동을 할 때, 근전도를 측정하여 역치 이상을 감지하여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운동을 보조해주는 기기가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움직임이 일어나지는 않지만, 스스로 움직이려고 노력하거나, 자신은 움직이려고 하지 않으나 외부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 전자가 후자에 비해 근육을 발달시켜 근력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이러한 재활의료기기의 예로, 한국공개특허 10-2012-0107801에는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는 악력측정기와, 악력을 분석하는 상태분석부, 상태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재활의료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재활의료기기는 단지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여 상태를 분석한 후, 분석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다양한 케이스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부하량을 조절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운동부하를 조절하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가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누르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연동되어서, 버튼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무선전송하는 무선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운동부하를 조절하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은, 압력센서(101)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는 측정부(103); 및 측정부(103)로부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결정하며, 결정된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이 사용자의 악력 측정을 통해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제어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측정부(103)는 압력센서(101)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부(103)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정부(103)는 사용자가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누르는 버튼부(109); 버튼부(109)와 연동되어서, 버튼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01); 및 압력센서(101)로부터 측정된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제어부(105)로 무선전송하는 무선전송부(111);를 포함한다.
버튼부(109)는 사용자가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누르는 부분으로써, 버튼부(109)는 'ㄱ'형으로 절곡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버튼부(109)는 일예로 원통 형상의 지지부재(201)에 형성된 홀(301)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압력센서(101)는 버튼부(109)와 연동되어서, 버튼부(109)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게 되는데, 압력센서(101)는 일예로 로드셀(load cell)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부(109)를 누르는 하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무선전송부(111)는 압력센서(101)로부터 측정된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제어부(105)로 무선전송하게 되는데, 무선전송부(111)는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송신 규격으로 제어부(105)와 무선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09)가 구비된 지지부재(201)는 압력센서(101)와 결합되고, 압력센서(101)와 무선전송부(111)는 지지판(20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105)는 측정부(103)로부터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결정하며, 결정된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105)는 일예로, 중앙처리장치(CPU), 절연회로(저항운동에 따른 역전류에 의한 무선송신 차단 현상 방지), LCD 구동회로, 액추에이터 구동회로, 전원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5)가 액추에이터를 조절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운동하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하중을 인가하는 것이다. 액추에이터의 토크는 MOSFET, shunt 저항들과 다이오드 보호회로 등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로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DC 모터는 과전류에 따른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 (-) 양단이 쇼트(short)될 경우 정지하는 브레이크(break) 기능이 있다. 따라서 Op-amp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피드백을 이용한 정전류회로를 이용할 경우 DC 모터 양단이 폐회로를 이루기 때문에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초기 부하가 커서 부하강도 범위가 작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회로는 브레이크 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별도의 전원부를 액추에이터에 공급함으로써 용량이 큰 액추에이터에서도 사용자의 능동운동에 따른 역전류 유입에 의한 액추에이터 전원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부에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능동운동에 따른 역전류 유입으로 액추에이터 전원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은,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며, 액추에이터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0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표시부(107)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LCD와 결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모드, 운동방식, 속도조절, 운동강도 조절 등의 조작을 쉽게 하고, 악력 또는 근력에 따른 단계표시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에서, 특히 근력으로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조절하는 경우, 전술한 측정부는 전원부, 생체증폭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전원부는 레귤레이터로 3.3V 강하하고, 생체증폭부는 EMG(수mV, 10hz~50hz 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3개의 전극을 사용한 2채녈 근전도 측정부로 제공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전치증폭기(증폭률 : 21), 1차 고역필터(Cut-off frequency : 10hz), 버퍼(Voltage Follower), 증폭기(증폭률 : 100), 1차 저역필터(Cut-off frequency : 200hz)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는 전자제어장치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의 작동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각 부분이 초기화로 셋팅되면서 무선전송부(111)가 제어부(105)와 무선송수신 상태로 연결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표시부의 저항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능동운동을 통해 측정부(103)가 악력 값(악력 측정데이터)을 측정하고, 이 악력 값을 제어부(105)로 전송하여 제어부가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결정한 후, 결정된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저항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표시부의 속도모드를 선택하면, 액추에이터가 단계별(일예로 1단계~6단계)로 속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맞도록 운동부하를 조절하되,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압력센서
103 : 측정부
105 : 제어부
109 : 버튼부
111 : 무선전송부

Claims (3)

  1.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로부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부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사용자가 악력 또는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누르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연동되어서, 버튼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악력 또는 근력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무선전송하는 무선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력 또는 근력의 측정데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부하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KR1020140053532A 2014-05-02 2014-05-02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KR10164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2A KR101645789B1 (ko) 2014-05-02 2014-05-02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2A KR101645789B1 (ko) 2014-05-02 2014-05-02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510A true KR20150126510A (ko) 2015-11-12
KR101645789B1 KR101645789B1 (ko) 2016-08-05

Family

ID=5460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32A KR101645789B1 (ko) 2014-05-02 2014-05-02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961A (ko) 2021-10-28 2023-05-08 서호영 에어백이 구비된 압력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333A (ko) * 2009-01-20 2010-07-29 (주)휴모닉 전자적으로 부하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장치
KR20120107801A (ko) *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재활의료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333A (ko) * 2009-01-20 2010-07-29 (주)휴모닉 전자적으로 부하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장치
KR20120107801A (ko) * 2011-03-22 2012-10-04 주식회사 아이피게임즈 재활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789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2383B (zh) 康健运动训练器的主被动实现方法
Lund et al. Inductive tongue control of powered wheelchairs
US8652051B2 (en) Contact pressure sensing apparatus for use with exercise equipment sensors
WO2015041618A3 (en) Upper limb therapeutic exercise robot
WO2011079204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er resistance exercise
WO2012075132A3 (en) System and method for tongue force detection and exercise
WO2014153033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human joints
WO2006094005A3 (en) A head phantom for simulating the patient response to magnetic stimulation
KR20120085962A (ko) 무게감지저항센서를 적용한 지능형 보행훈련시스템 및 보행패턴 분석 방법
CN103271735A (zh) 一种心跳心率检测系统及其应用
US11857837B2 (en) Instrumented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20140128487A (ko) 신체 대칭 구조에서 비 마비측 근활성도를 이용한 편측 마비 부위의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시스템 및 전기자극치료 제어 방법
KR101645789B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부하 제어시스템
JP2014079329A (ja) 着用型筋力検出具、制御装置および筋力検出システム
Chapuis et al. ReFlex, a haptic wrist interface for motor learning and rehabilitation
US11266879B2 (en) Adaptive active training system
KR20090092414A (ko) 운동 부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운동 기구 및 이에있어서 운동 부하 제어 장치
Peurala Rehabilitation of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TWI409055B (zh) 膝關節外骨骼步行復健設備
Ho et al. The design of EMG measurement system for arm strength training machine
TWI289659B (en) Intelligent meter
Zhang et al. Enhancements of a tongue-operated robotic rehabilitation system
Magana et al. On-shoe tactile display
US11672720B2 (en) Rehabilitation device
KR20220060077A (ko) 전기근육 자극 인터랙션 기반의 골반저근육 강화 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