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164A -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164A
KR20150126164A KR1020140053417A KR20140053417A KR20150126164A KR 20150126164 A KR20150126164 A KR 20150126164A KR 1020140053417 A KR1020140053417 A KR 1020140053417A KR 20140053417 A KR20140053417 A KR 20140053417A KR 20150126164 A KR20150126164 A KR 2015012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bump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6904B1 (en
Inventor
안형창
Original Assignee
안형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창 filed Critical 안형창
Priority to KR102014005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04B1/en
Publication of KR2015012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speed bump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rol device for a speed bump capable of preventing impact to a vehicle or reducing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by passing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ver-spee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a road without passing over the rotary bump as a rotary bump is rotated and separated from a vehicle progress direction when an actual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a regulation speed or slower so that impact generated when a vehicle passes over the speed bump in the past is prevented. In addition, the vehicle is capable of passing over the rotary bump as the rotary bump is fixed without rotating when the actual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faster than the regulation speed so that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ver-speeding vehicle is obtained by reduc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like a normal speed bump.

Description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과속여부에 따라 차량을 통과시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spe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overspe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verspe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overspeed of a vehicle.

과속방지턱(speed bump)은 도로 위에 운행되는 차량이 과속하지 못하도록 도로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공공시설물로서, 일반적으로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 보호를 위하여 설치하며, 일정한 규정에 따라 설치된다.A speed bump is a public facility that is installed on a road so that a vehicle running on the road is not overspeed. It is generally installed for residential environment or pedestrian protection, and installed according to certain regulations.

과속방지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30km/hr로 제한하는 곳을 대상으로 하며, 표준형상은 원호형 좌우대칭으로 높이 10cm, 길이 3.6m로 규정된다.The speed limiter is generally designed to limit the speed of the vehicle to 30 km / hr. The standard shape is arcuate symmetrical with a height of 10 cm and a length of 3.6 m.

또한, 국지도로 중 폭 6m 미만의 소로 등에서는 길이 2.0m, 높이 7.5cm를 적용할 수 있고, 단지 내 도로 등 민간 설치자가 차량의 주행속도를 10km/시 이하로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이 1.0m, 높이 7.5cm의 범프를 쓸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country road with a width of less than 6 m, a length of 2.0 m and a height of 7.5 cm may be applied. If a private installer such as a road or the like intends to limit the speed of the vehicle to 10 km / h or less, m, and a height of 7.5 cm.

그러나, 과속방지턱은 규정된 사이즈를 초과하여 더 길고 높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과속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차량이 이러한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에는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하는 충격이 차량과 차량의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many cases, the overspeed preventing jaw is formed to be longer and higher than the prescribed size, and even if the overspeed does not occur, when the vehicle exceeds the overspeed preventing jaw,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vehicle exceeds the overspeed preventing jaw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

특히, 병원으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로에는 통행하는 환자의 보호를 위해 다수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과속방지턱도 규정된 사이즈를 초과한 크기로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in the access road for entering the hospital, there are a plurality of speed limit preventing jaws installed to protect the passing patient, and the speed limit preventing jaws are installed in a size exceeding the prescribed size.

이 경우, 신속하게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는 구급차의 입장에서는 과속이 필요한 상황이나, 과속으로 과속방지턱을 넘을 경우에는 환자에게 큰 충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과속방지턱에 의해 과속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를 신속하게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과속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의 충격이 환자에게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n ambulance that needs to quickly transfer a patient to a hospital is required to overspeed, but a problem that a patient is excessively shocked when the speed is exceeded due to overspeed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tient can not be transported quickly, and even when the speed is not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ck when the speed exceeds the speed limit bust is transmitted to the patient.

한국공개특허 제2013-01288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28826

본 발명은 차량의 과속여부에 따라 차량을 통과시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speed of a vehicle by passing a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thereby preventing an impact from occurring in the vehicle or reducing the speed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와,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하강시켜 고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ed brak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driven, a main body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A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rotation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rotation bump, a raising and lowering driv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otation bump, When the vehicle is sens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rotation bump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d a control unit for lowering and fixing the rotating bump through the lifting / lowering drive unit when the speed is exceeded ca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회전범프에 대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ed sensor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 crash sensor and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bump.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며, 차량의 통과 이후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하강된 회전범프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a vehicle has passed or not based on a sensing signal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impact sensor and the contact sensor,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unts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impact sensor and the contact senso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tation driving unit to return the rotation bumps when the vehicle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after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ca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의 하강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after the rotation bump is lowered through the ascending / descending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scending /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제 1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2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first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d the second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ed of the first signal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신호는 녹색발광 신호이며, 상기 제 2 신호는 적색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gnal is a green light emission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a red light emission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와,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상승시킨 후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speed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main body installed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driven; a main body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rotated horizontally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A sensor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 rotation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rotation bump, a raising and lowering driv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otation bump, When the vehicle is sens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if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rotation bump is raised through the up / down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rotation bumps to be rotat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peeding bra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속도 이하일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이탈되므로 차량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First, when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rotating bump is rotated and deviates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fore, as the vehicle passes the road without passing over the rotating bump when passing through the road, So that the impact generated at the time of overturning does not occur.

둘째,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규정 속도를 초과할 때, 회전범프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차량이 회전범프를 타고 넘어가게 됨에 따라,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같이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Second, when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a prescribed speed, the rotating bump is fixed without rotating so that the vehicle rides on the rotating bump, so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to prevent overspeeding do.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가 구성된 과속 방지턱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의한 회전범프의 회전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에 의한 회전범프의 승하강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따른 회전범프의 회전 동작 제어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센서를 통한 차량의 통과 여부 확인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차량 속도 감지에 따른 회점버프의 승하강 동작 제어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회전범프에 대한 승하강 동작에 따른 차량 통과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접촉 또는 충격 센서를 통한 차량 감지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이 차로에 적용된 다양한 형태에 대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speed limiting braking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raising and lowering the rotating bumps by the overspeed preventing ja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overspeed inhibi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vehicle speed detection of a speed brak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control of rotational motion of a rotating bump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detection of the over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for confirming whether a vehicle passes through a sensor of a speed bra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control of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corner buck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detection of the speed 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 vehicle passing through a turning bump of a speed bra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vehicle detection through a contact or impact sensor of a speed bou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peed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peed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peed braking force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and Fig. 15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speed limi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ne; Fig.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가 구성된 과속 방지턱의 정면도 및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은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100)와, 메인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도로의 표면에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200)를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n overspeed preventing jaw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peed limiting ja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nd a rotary bump 200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and horizont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road and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so as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상기 메인바디(100)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도로의 표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에 삽입되는 지지파일(80)이 구성되어, 상기 지지파일(80)이 함몰부에 삽입되어 도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도로의 가장자리, 차선, 중앙선, 또는 일 도로의 중앙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traveling. As shown in FIG. 1 (a), a support file 80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by being recessed below a surface of a road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So that the support pile 80 can be insert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and disposed on the road.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disposed at any one of an edge of a road, a lane, a center line, or a center of a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회전범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배리어 바디(210)와 상기 메인바디(1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배리어 바디(210)를 연결하는 브리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로의 폭 방향이란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의 길이 방향이 아닌,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rotary bump 200 includes a barrier body 210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and a bridge body 210 connecting the barrier body 210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220). At this time,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can be defined as a direction crossing the road, no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이에 따라, 상기 회전범프(200)는 메인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메인바디(10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로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ry bump 20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can be rota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using the main body 100 as a rotation axis.

이때, 상기 회전범프(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회전시 상기 메인바디(10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범프(200)는 도로의 표면을 기준으로 도로의 표면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미세하게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회전 구동에 대한 상세 구성은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생략한다.The rotating bump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In addition, the rotary bump 200 may be fine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roa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roa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here.

또한, 상기 회전범프(200)는 하면에 원활한 회전 구동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이동부는 배리어 바디(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과 접촉되는 휠(20)과, 휠(20)과 배리어바디(21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범프(200)의 회전시 휠(20)을 통해 회전범프(200)가 도로와 마찰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으며, 완충부재(미도시)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넘어서 통과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범프(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The moving bump 200 may be a moving part for assisting smooth rotation driving on the lower surface. The moving part may include a wheel 20 provided below the barrier body 20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And a buffer member (not shown) provided between the wheel 20 and the barrier body 210. This allows the rotating bump 200 to rotate without being frictioned with the road through the wheel 20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ump 200 and to move over the rotating bump 200 through the buffering member The impact applied to the rotating bump 200 with respect to the passing vehicle can be buffered.

이외에도, 회전범프(200)는 도로를 지나가는 차량의 바퀴 중 어느 한 측의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다. 회전범프(200)의 길이는 차량의 우측 바퀴와 좌측 바퀴 중, 어느 한 측의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차량의 우측 바퀴 또는 좌측 바퀴에만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bumps 200 can be contacted only to the wheels on either side of the vehicle passing the road. The length of the rotating bump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contacted only to either one of the right wheel and the left wheel of the vehicle, and can be contacted only to the right wheel or the left wheel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도로의 우측이 차량의 진행차로인 경우에, 회전범프(200)는 이 진행차로의 우측 차선(R)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범프(200)의 길이는 차량의 우측바퀴까지만 간섭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차량의 좌측바퀴에는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right side of the road is the oncoming vehicle, the rotating bump 200 can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lane R toward this oncoming lane. The length of the rotating bump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interfered only to the right wheel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eft wheel of the vehicle.

한편, 상기 회전범프(200)에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면에 센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충격센서(12) 및 접촉 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peed sensor 11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peed sensor (not shown)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바디(100) 또는 상기 회전범프(200)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부(300)는 메인바디(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어부(30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300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ler 300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rotary bump 200. [ have. Hereinafter, the control unit 30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bu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300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메인바디(100)에 전원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도로 또는 도로의 함몰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전원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 및 센서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supply braking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ower source unit for the main body 100. The power source unit may be connected to a power line (not shown), which may be provided in a depression of a road or a road, Power supply can be supplied.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범프(200)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속도를 전달받아 차량의 실제 속도로 환산한 후, 환산된 차량의 실제 속도와 기설정된 속도를 비교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included in the rotary bump 200, converts the speed of the vehicle into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and then compares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with the predetermined speed do.

이때, 기설정된 속도는 일반적으로 규정된 30km/h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도로의 폭, 도로의 차량 통행량, 도로에 연결된 시설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peed may be set to be 30 km / h, which is generally defined, but i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road, the amount of traffic on the road, and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road.

한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구동부(310)는 메인바디(100)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2, the overspeed control unit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31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rotates the rotating bump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310 may be configured in the main body 1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의 실제 속도와 기설정된 속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판단되면, 회전구동부(310)를 통해 메인바디(100)로부터 회전범프(2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spe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otation driving unit 310 So that the rotation bump 200 can be rotated from the main body 100.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메인바디(100)를 회전시켜 회전범프(200)가 메인바디(10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거나, 메인바디(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범프(200)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0 rotates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rotating bump 2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00, or only the rotating bump 20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0 is fixed .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회전범프(200)가 회전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회전범프(200)가 이탈되면, 차량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게 된다. 차량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차량이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tary bump 200 is rotated and the rotary bump 200 is disengag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rotary bump 200 does not fall over when the vehicle passes the road. As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road without passing over the rotary bump 200, no impact is generated that occurs when the vehicle exceeds the conventional speed limit bust.

한편, 도 3의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회전범프(200)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범프(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승하강 구동부(320)는 회전범프(200)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the control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down driving unit 320 that is formed in the rotating bump 200 and moves up and down the rotating bump 200 The up / down driving unit 320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bump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실제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킨 후 메인바디(100)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차량은 고정된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같이 차량의 속도를 저감하여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speed of the vehicl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rotation bump 200 to descend through the up / down driving unit 320 And then fixed to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vehicle passes over the fixed rotating bump 200, so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reduced to prevent overspeed like a general speed limiter.

도 4는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 회전 구동부(310), 승하강 구동부(320), 제어부(30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overspee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spe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or unit 10, the rotation drive unit 310, the up / down drive unit 320, the control unit 300, 330).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이하 도시된 도면을 통해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는 도플러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 등과 같은 속도 센서(11) 및 상기 속도 센서(1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초로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관리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센서(11)는 차량(1)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차량(1)을 향해 송출된 신호가 차량(1)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 후 센서관리부(14)로 제공하며, 상기 센서관리부(14)는 상기 반사신호를 기초로 속도에 대한 센싱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5, the sensor unit 10 includes a velocity sensor 11 such as a Doppler sensor or a radar sensor, and a sensor management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a sensing signal based on a signal provided from the velocity sensor 11 Wherein the speed sensor 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ump 200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so that a signal transmitted toward the vehicle 1 is reflected on the vehicle 1 And the sensor management unit 14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the speed based on the refl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 속도를 환산하며, 차량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키며, 이를 통해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의 접촉 없이 통과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300 converts the vehicle speed based on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o as to allow the vehicle 1 to pass through without contact with the rotating bump 200. [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범프(200)가 회전되어 차량(1)의 진행방향에서 회전범프(200)가 이탈되면, 차량(1)이 도로를 통과할 때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게 된다. 즉, 차량(1)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지 않고 도로를 통과함에 따라, 차량(1)이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6 (b), when the rotating bump 200 is rotated and the rotating bump 200 is releas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when the vehicle 1 passes the road, (200). That is, as the vehicle 1 passes the road without passing over the rotary bump 200,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vehicle 1 exceeds the conventional overspeed prevention threshold is not generated.

한편, 제어부(300)는 회전 구동부(310)를 통한 회전범프(200)의 회전 이후 소정의 지연 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으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를 통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wait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ump 200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310. As shown in FIG. Based on the signal,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or not.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통과가 확인되거나 소정의 지연 시간 동안 차량(1)이 통과되지 않는 경우,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310)를 제어하여 회전범프(200)를 복귀(원위치) 시킬 수 있다.7 (b),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passage of the vehicle 1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0 or the vehicle 1 is not passed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It is possible to return the rotation bump 200 (home position)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310 as shown in Fig. 7 (c).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환산된 차량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8 (a), whe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 and the converted vehicle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rotating bump 200 can be lowered and fixe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20. [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vehicle 1 rides on the rotating bump 200, thereby preventing overspeeding of the vehicle, like a general speed limiter.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충격센서(12) 또는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 접촉시 접촉 여부를 측정하거나 충격에 따른 충격량을 측정한 측정신호를 센서관리부(14)로 전송할 수 있다.10, 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ump 200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A measuremen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1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bump 200 or measuring the amount of impact due to an impac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management unit 14. [

이에 따라, 센서관리부(14)는 접촉센서(13) 또는 충격센서(12)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기초로 센싱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or management unit 14 can generate a sensing signal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13 or the impact sensor 12, and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0. [

이때, 센서관리부(14)는 센싱신호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300)가 센싱신호를 기초로 속도 센서(11), 충격 센서(12), 접촉 센서(13) 중 어느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management unit 14 can classify the types of sensing signals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ly,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speed sensor 11, the impact sensor 12, Which i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13, can be distinguished.

한편, 제어부(300)는 접촉센서(13)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여 차량(1)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충격센서(12)의 측정신호로부터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충격량을 연산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1)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접촉센서를 통해 카운트되는 물체 중 차량(1)만을 카운트하거나, 차량(1)의 종류(자전거, 모터 사이클, 트럭, 승합차, 승용차 등) 또는 사람을 구분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0 can check the passag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contact sensor 13, count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identifies whether the vehicle 1 is the vehicle 1, counts only the vehicle 1 among the objects counted by the contact sensor, or calculates the type of the vehicle 1 (bicycle, Motorcycle, truck, van, passenger car, etc.) or person.

이때, 센서부(10)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를 함께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여 차량(1)의 통과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together to improve the accuracy. However, 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only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1) can be checked.

한편, 제어부(300)는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측정신호로부터 센서관리부(14)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통과가 확인된 경우 승하강 관리부(320)를 제어하여 회전범프(200)를 원위치(복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age of the vehicle 1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ensor management unit 14 from the measurement signal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The rotation bump 20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controlling the up / down control unit 320. [

이때, 제어부(300)는 센서부(10)로부터 속도센서(11)를 기초로 생성된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1)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하강된 상태의 회전범프(200)를 상기 승하강 관리부(320)를 통해 승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speed sensor 11 from the sensor unit 10, and when the vehicle 1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Descent management unit 320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도 11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속도에 대한 센싱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S1).11, the sensor unit 10 senses a vehicle approaching the overspeed inhibition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the speed as shown in FIG. And then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300 (S1).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차량(1)이 감지되는 경우(S2)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3)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도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며(S4), 이에 따라 차량(1)이 회전범프(200)와의 충돌 없이 통과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otation bump 200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310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S3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1 is sensed (S4) so that the vehicle 1 can be provided to pass without collision with the rotating bump 200. [0052]

이후,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된 상태로 회전범프(200)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S4), 센서부(10)를 통해 차량의 통과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S5)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S6).Thereafter, the control unit 300 may maintain the rotating bump 200 in a state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4), measure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no longer detected (S5), the rotating bump 200 can be rotated and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S6).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3)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하강시키며(S7), 속도센서(11), 충격센서(12) 및 접촉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의 통과를 확인한 이후(S8)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승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S9).Meanwhil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which is convert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0, exceeds a preset reference (S3), the control unit 300 moves down the rotating bump 200 through the up / down driving unit 320 After ascertaining the passage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S7, the speed sensor 11, the impact sensor 12 and the contact sensor 13 (S8), the rotary bump 200 is lift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S9).

도 12는 상술한 구성에 따른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최초 회전범프(200)를 하강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12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overspe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bump 200 through the up / Can be initialized to the lowered state.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센서부(10)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S11) 감지된 차량(S12)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13) 현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이 회전범프(200)를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차량의 속도를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peed of the sensed vehicle S12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S13) based on the sensing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 the control unit 300 maintains the current state, Th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lowered by moving over the rotating bump 200.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를 통해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S11) 감지된 차량(S12)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13)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승강시킨 후(S14)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도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S15).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ed speed of the vehicle S12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S13),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speed of the vehicle S12 After the bump 200 is raised and lowered (S14), the rotary bump 200 can be rotated through the rotary drive unit 310 and released from the road (S15).

이를 통해,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운행하는 차량이 회전범프(200)와의 충돌 없이 통과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traveling under a predetermined speed to pass without collision with the rotating bump 200.

이후,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회전된 상태로 회전범프(200)를 유지시키며, 센서부(10)를 통해 차량의 통과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S16) 회전 구동부(310)를 통해 회전된 회전범프(200)를 회전시켜 복귀시킨 후 승하강 구동부(320)를 통해 하강시켜 고정함으로써 원위치시킬 수 있다(S17).Thereafter, the control unit 300 holds the rotating bump 200 in a state rot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measures whether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sensor unit 10, and if the vehicle is no longer detected (S16) The rotating bump 200 rotated through the driving unit 310 may be rotated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being lowered and fixed through the eleva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20 (S17).

이와 같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최초 회전범프를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하다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회전범프(200)와의 충돌없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verspeed control braking device maintains the first rotating bump in the lowered state, and provides a safe passage to the vehicle approaching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without collision with the rotating bump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effect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제어부(300)와 연결되며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회전범프(200)의 일측면에 표시부(33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4, the overspeed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display unit 3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ump 200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표시부(330)를 통해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따라 과속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속도를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a warning signal for the vehicle traveling over the predetermined speed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and can detect that the vehicle is overspe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And may be induced to lower the speed.

이에 대한 과속방지턱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3을 통해 설명하면, 제어부(300)는 최초 초기화 이후(S21) 센서부(10)를 구동하여(S22) 생성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어(S23)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S24) 과속에 따른 제 1 신호를 표시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S25).13, the control unit 300 drives the sensor unit 10 after initial initialization (S21), and based on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S23). If the speed of the vehicle convert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exceeds a preset reference (S24), the first signal according to the overspeed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30 (S25).

이때, 상기 제 1 신호는 적색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30)는 적색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ignal may be a red signal, and the display unit 330 may emit red light according to a red signal.

한편, 제어부(300)는 센서부(10)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환산된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S24) 정상운행에 따른 제 2 신호를 표시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S27).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convert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S24), the controller 300 can output the second signal to the display unit 330 S27).

이때, 상기 제 2 신호는 녹색신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30)는 녹색신호에 따라 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ignal may be a green signal, and the display unit 330 may emit green light according to a green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표시부(330)를 통해 제 1 및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 센서부(10)의 속도 센서(11)에 따른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과 과속방지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S26),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이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며, 기설정된 기준거리 미만인 경우 표시부(330)를 통한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output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and then outputs the sensed signal to the vehicle speed sensor 11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speed sensor 11 of the sensor unit 10. [ (S2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distanc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are maintained. If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330 can be stopped.

상술한 구성을 통해,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는 과속방지턱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과속 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이 과속방지턱 근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하로 속도를 줄여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peed controlling braking control device can inform the vehicle approaching to the speed controlling braking device whether or not it is overspeed, and accordingly, the vehicle can be guided to approach the speed reducing braking device at a speed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speed.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이 차로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된 예시에 대한 예시도이다.Figs. 14 and 15 are illustrations of examples in which the overspeed preventing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ne in various forms.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과속방지턱은, 메인바디(100)에 복수개의 회전범프(200)가 메인바디(1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범프(200)는 메인바디(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도로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14 and 15, a plurality of rotating bumps 200 are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from the main body 100. The rotating bumps 2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can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도 14와 같이 도로가 2차로로 형성된 경우, 메인바디(100)는 중앙선(M) 상에 배치되며, 회전범프(200)가 각 차로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각 회전범프(200)는 각 차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작동된다.14, the main body 100 is disposed on the center line M, and the rotating bumps 200 are disposed so as to protrude into the respective lanes. Each of the rotating bumps 200 is individually operated as described in Figs. 1 to 13,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hat runs on each lane.

도 15와 같이, 하나의 차로인 경우, 메인바디(100)가 차로의 중앙에 설치되고, 메인바디(100)의 양측으로 회전범프(200)가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우측 회전범프(200)는 차량의 우측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고, 좌측 회전범프(200)는 좌측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여,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동된다. 15,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ane, and the rotary bumps 2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protrude. In this case, the right rotating bump 200 senses the speed of the right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left rotating bump 200 senses the speed of the left wheel, and operates a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차량 10: 센서부
11: 속도센서 12: 충격센서
13: 접촉센서 14: 센서 관리부
20: 휠 80: 지지파일
100: 메인바디 200: 회전범프
210: 배리어 바디 220: 브리지
300: 제어부 310: 회전 구동부
320: 승하강 구동부 330: 표시부
1: vehicle 10: sensor unit
11: Speed sensor 12: Impact sensor
13: contact sensor 14: sensor management unit
20: wheel 80: support file
100: main body 200: rotating bump
210: barrier body 220: bridge
300: control unit 310: rotation driving unit
320: up / down drive part 330: display part

Claims (9)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하강시켜 고정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A rotation bum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is horizontally rotated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and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so as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rotating bump for sensing a speed of the vehicl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ump;
An up-down driving unit for moving up and down the rotating bump; And
When the vehicle is sens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rotation bump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rotation driving uni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d a control unit for lowering and fixing the rotating bump through the up /
And an overspeed preventing braking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회전범프에 대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nd a contact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um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여부를 확인하며, 차량의 통과 이후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하강된 회전범프를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vehicle has passed or not based on the sensing signal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llision sensor and the contact sensor and returns the rotated bump raised to the home pos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vehicle Speed braking contro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센서 및 접촉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측정된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통과대수를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counts the number of passages of the vehicle based on a sensing signal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collision sensor and the contact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driving unit to return the rotation bumps when the vehicle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after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의 하강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소정 시간 동안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범프를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vehicl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after the rotation bump is lowered through the ascending / descending driving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scending / descending driving unit to return the rotating bump Braking force contro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제 1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제 2 신호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ifferent signal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first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and displays the second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는 녹색발광 신호이며, 상기 제 2 신호는 적색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ignal is a green light emission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a red light emission signal.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표면과 수평하게 회전되며, 상기 도로의 표면에 상기 도로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회전범프;
상기 회전범프에 구비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회전범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범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센서부의 센싱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센싱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이면 상기 승하강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범프를 상승시킨 후 상기 회전 구동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상기 회전범프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턱 제어 장치.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A rotation bum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is horizontally rotated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and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so as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rotating bump for sensing a speed of the vehicl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ump;
An up-down driving unit for moving up and down the rotating bump; And
When the vehicle is sens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if the speed of the vehicle sens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the rotation bump is raised through the up / down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bump from the main body
And an overspeed preventing braking control device.
KR1020140053417A 2014-05-02 2014-05-02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KR101606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en) 2014-05-02 2014-05-02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en) 2014-05-02 2014-05-02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64A true KR20150126164A (en) 2015-11-11
KR101606904B1 KR101606904B1 (en) 2016-04-01

Family

ID=54605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417A KR101606904B1 (en) 2014-05-02 2014-05-02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0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591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A kind of expansion roller
CN106120592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A kind of movable deceleration strip
CN106120593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The highway deceleration strip rotating 90 ° can be translated
CN109162216A (en) * 2018-11-09 2019-01-08 山东建筑大学 A kind of underground garage Anti-reverse deceleration strip and its working method
ES2794198A1 (en) * 2019-05-14 2020-11-17 Franco Vazquez Juan Guidance, information and collision prevention system on roads/highways under adverse visibility conditions, such as fog, smoke, rain and other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591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A kind of expansion roller
CN106120592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A kind of movable deceleration strip
CN106120593A (en) * 2016-07-24 2016-11-16 朱增伟 The highway deceleration strip rotating 90 ° can be translated
CN106120592B (en) * 2016-07-24 2019-03-12 朱增伟 A kind of activity deceleration strip
CN109162216A (en) * 2018-11-09 2019-01-08 山东建筑大学 A kind of underground garage Anti-reverse deceleration strip and its working method
ES2794198A1 (en) * 2019-05-14 2020-11-17 Franco Vazquez Juan Guidance, information and collision prevention system on roads/highways under adverse visibility conditions, such as fog, smoke, rain and other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904B1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904B1 (en) Control apparatus for speed bump
CN107000746B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route prediction
US8751142B2 (en) Method for avoiding side collision of vehicles
JP6294335B2 (en) Elevator with variable length shock absorber
KR101889957B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alarm device
JP2010502515A (en) Method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an automobile
KR20110115197A (en) Speed sensing type speed bump
KR20180045470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CN106980315B (en) Cruise alarm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JP2004314942A (en) Operation method of horizontal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automobile
KR20140052678A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for 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64063B1 (en) Converse Driving Prevention System
KR20130114782A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for vehicle
CN106740834B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vehicle meeting
KR20180038676A (en) Support Br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KR20090087614A (en) Overspeed preventing system for children protection zone
CN102999948B (en) A kind of automatically near the charging device of vehicle
KR102399951B1 (en) System for control road traffic signal
JP4711116B2 (en) Overhead traveling car
JP4262721B2 (en) Device for driving control of pedestrian protection means
KR101928947B1 (en) Converse Driving Prevention System
KR101125229B1 (en) Safety system of loading deck device for dump truck
JP7390817B2 (en) Traveling direction state detection device and trolley using the same
KR20120057458A (en) A system controlling region of interest for vehicle sensor and method thereof
KR101731341B1 (en) Unmanned system for supervising overload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