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115A -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115A
KR20150126115A KR1020140053172A KR20140053172A KR20150126115A KR 20150126115 A KR20150126115 A KR 20150126115A KR 1020140053172 A KR1020140053172 A KR 1020140053172A KR 20140053172 A KR20140053172 A KR 20140053172A KR 20150126115 A KR20150126115 A KR 2015012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ar
calibration cap
cap
tooth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14005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6115A/en
Publication of KR2015012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Abstract

Disclosed is a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The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orthodontic cap form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on a user′s tooth which does not need orthodontic treatment; a second orthodontic cap divided and formed with a first orthodontic cap, and form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molar needing orthodontic treatment by neighboring with a tooth extracted space after a molar i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r a damaged tooth; and a molar uprighting unit formed between the first orthodontic cap and the second orthodontic cap, and disposed to upright a molar neighboring the tooth extracted space to transplant an artificial tooth in the tooth extracted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molar is extracted, a neighboring molar is prevented from being tilted to a tooth extracted space. At the same time, when a neighboring molar falls to a tooth extracted space, the fallen molar is uprighted to an original position, and a space for uprighting an artificial tooth in an empty space from which a tooth is extracted can be easily obtained.

Description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0001]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의 발치 후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대구치가 발치공간으로 쓰러진 경우, 쓰러진 대구치를 제 위치로 직립시키고 발치된 빈 공간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 확보에 유리할 수 있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aratus for orthodontic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sthetic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a neighboring molar from being tilted to an extraction space after correction or extraction of a damaged tooth, To an erecting apparatus for an orthodontic molar,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erecting the molar upright in position and securing a space for placing an artificial tooth in an extracted space.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이나 심각한 충치의 발생 시 치료를 위하여 발치 수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치 수술은 치과 치료에서 빈번하게 시행되는 소수술로써 발치가 완료된 후에는 발치된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Generally, extraction surgery is performed for treatment of teeth correction or serious dental caries. These extraction operations are frequently performed in dental treatment. After the extraction is completed, artificial teeth are placed in the extracted space.

특히, 대구치의 발치 후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발치된 공간과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된 공간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발치 공간에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식립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즉, 발치된 대구치와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된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발치된 공간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Particularly, when the molar is left for a long time after the extraction of the molar, the extracted space and the neighboring molar are inclined to the extracted space, and thus the artificial tooth can not be easily placed in the extraction space. That is, when the extracted molar and the neighboring molar are inclined to the extracted space, the extracted space narrows, and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placing the artificial tooth.

따라서 발치된 공간과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된 공간으로 기울어진 경우 치아직립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a tooth erection device when the extracted space and the neighboring molar are inclined to the extracted space.

종래의 치아직립장치의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0357433호(아래 어금니 직립장치)에 개시되었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ooth upright device, it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0-0357433 (below molar upright device).

이러한 아래 어금니 직립장치는 어금니를 둘러싸는 복수의 밴드와, 밴드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브래킷과, 치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브래킷에 연결되며 밴드에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와이어를 포함한다.These lower molar standing devices include a plurality of bands surrounding the molars, a bracke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nd, and an elastic wir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eeth and connected to the bracket and providing a constant elasticity to the band.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밴드가 장착된 어금니는 탄성와이어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뒤틀린 상태에서 똑바로 기립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olar in which the band is mounted stands upright in a twisted state over time due to the elastic force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elastic wir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아래 어금니 직립장치는 밴드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와이어가 치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어금니가 밴드에 의해 뒤틀린 상태에서 똑바로 기립되는 과정에서 탄성와이어의 탄성력 작용방향으로 다시 틀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lower molar standing up device employs a structure in which elastic wires that provide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band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teeth, in the process of rising straightly while the molars are twisted by the b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turne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acting.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8504호(롱암 타입의 직립식 대구치 스프링)이 개시되었다.In recent years, Korean Utility Model New Publication No. 2009-0008504 (a long-arm type vertical molar spring) has been introduced to supplement this.

이러한 직립식 대구치 스프링은 제1 대구치와 매복된 제2 대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지레의 원리에 의해 매복된 제2 대구치를 직립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The upright molar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molar to be embedded, and has the feature that the second molar is embedded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직립식 대구치 스프링은 교정이 요구되는 사용자의 치아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여 그에 부합되도록 절곡 형성한 후 제1 대구치 및 제2 대구치 사이에 설치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치아의 교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직립식 대구치 스프링은 제1 대구치와 제2 대구치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매복된 제2 대구치가 기울어지거나 혹은 회전된 상태로 직립될 수 있다.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upright type molar spr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eeth of the user who is required to be calibrated are measured and bent so as to conform to the length, and then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mo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ult of correction of the teeth may vary according to the complexity and skill of the operator. That is, when the upright molar spring is not provided at the precise position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molar, the second molar can be erected in an inclined or rotated state.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433호(2004년 07월 16일, 등록)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7433 (registered on July 16, 2004)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504호(2009년 08월 25일, 공개)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09-0008504 (Released on August 25, 200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의 발치 후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대구치가 발치공간으로 쓰러진 경우, 쓰러진 대구치를 제 위치로 직립시키고 발치된 빈 공간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 확보에 유리할 수 있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for preventing a molar from being tilted to an extraction space after a correction or removal of a damaged tooth, and at the same time, when an adjacent molar falls into the extraction sp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molar uprighting apparatus for a molar,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securing a space for placing an artificial toot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사용자의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정캡; 제1 교정캡과 분할 형성되며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발치 공간과 이웃하여 교정이 요구되는 대구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정캡; 및 상기 제1 교정캡과 상기 제2 교정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발치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상기 발치 공간과 이웃하는 대구치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대구치 직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correction cap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user's teeth for which correction is not required; A second calibration cap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lar which is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after extraction of the molar for correction or for damaged teeth and which requires calibration; And a molar fasten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nd provided so as to stand up a molar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for placing an artificial tooth in the extraction space. This is accomplished by a molar upright apparatus for calibrating.

상기 대구치 직립부는, 상기 제1 교정캡과 상기 제2 교정캡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플렉시블형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교정캡을 기준하여 여기 제2 교정캡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lar upright comprises: a flexible wire adapted to interconnect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wir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excitation second calibration cap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alibration cap.

상기 와이어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교정캡 및 상기 제2 교정캡의 내,외측에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is a plurality of wi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상기 제1 교정캡 및 상기 제2 교정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와이어 및 상기 탄성부재는, 니켈-타이타늄(Ni-Ti)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and the elastic member are formed of nickel-titanium (Ni-Ti).

본 발명에 의하면,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치아에 설치되는 제1 교정캡과 교정이 요구되는 치아(대구치)에 설치되는 제2 교정캡에 개재되어 발치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대구치를 직립시키기 위한 대구치 직립부를 갖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구치의 발치 후 이웃하는 대구치가 발치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쓰러진 대구치를 제 위치로 직립시키고 대구치의 발치 공간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alibration cap provided in a tooth for which correction is not required, and a molar upright portion provided in a second calibration cap provided in a tooth (molar) for which calibration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ighboring molar from being tilted to the extraction space after erupting the molar, to erect the molar molar upright in position, and to provide space for placing the artificial tooth in the extraction space of the molar It can be ensure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vable mola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lar-up-type molar standing-up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removable molar uprigh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4 and FIG. 5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emovable mola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movable molar standing uprigh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emovable molar standing upright apparatus shown in FIG. 1,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removable mola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치아(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정캡(10)과, 제1 교정캡(10)과 분할 형성되며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발치 공간(S)과 이웃하는 대구치(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정캡(20)과, 그리고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 사이에 설치되며 발치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발치 공간(S)과 이웃하는 대구치(2)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대구치 직립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apparatus for uprighting the molar-type molar for molar pr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libration cap 10 detachably mounted on a tooth 1 for which calibration is not required, A second calibration cap 20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olar space S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S after the extraction of the molar for calibration or damaged teeth and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The mola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and is provided to allow the molar space S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S to be erected so as to place the artificial teeth into the extraction space. (30).

여기서 제1 교정캡(10)이 설치되는 치아(1)는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사용자의 앞니, 송곳니, 한쪽의 소구치, 대구치를 포함하여 말하며, 제2 교정캡(20)이 설치되는 치아는 교정이 요구되는 사용자의 다른 쪽 대구치(2)를 말한다.Here, the tooth 1 on which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is installed includes the front teeth of the user, the canine, one premolar, and the molar, which are not required to be calibrated. Is the other molar (2) of the user required.

제1 교정캡(10)은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사용자의 치아(1)에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교정캡(10)은 그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사용자의 치아(1), 예를 들어서 앞니, 송곳니, 한쪽의 소구치, 대구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교정캡(10)의 개방된 하부는 치아(1)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first calibration cap 10 is formed so as to be installed in the teeth 1 of the user who is not required to be calibrated. That is,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eth 1 of the user, for example, the front teeth, the canines, the premolars, and the molars of the user whose lower portion is opened and no correction is required. At this time,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1.

제2 교정캡(20)은 교정이 요구되는 사용자의 다른 쪽 대구치(2)에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교정캡(20)은 제1 교정캡(10)과 분할 형성되고 그 하부가 개방 형성되며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발치된 대구치와 이웃하는 대구치(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 교정캡(20)의 개방된 하부는 대구치(2)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is formed to be installed in the other molar 2 of the user who is required to be calibrated. That is,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is divided into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lar caught after the extraction of the molar for calibrated or damaged teeth and the molar caught adjacent to the mola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is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lar.

이러한 제2 교정캡(20)은 제1 교정캡(10)과 후술하는 대구치 직립부(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molar upright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제1 교정캡(10) 및 제2 교정캡(20)은 투명한 레진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아의 교정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1 교정캡(10) 및 제2 교정캡(2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교정되는 치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are formed of transparent resin or reinforced plastic,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corrected state of the teeth. That is,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teeth to be corrected with the passage of time without separating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대구치 직립부(30)는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이웃하는 대구치(2)가 발치된 공간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대구치의 발치 공간(S)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플렉시블형 와이어(32)와, 그리고 탄성부재(34)를 포함한다.The molar upright 30 prevents the neighboring molar 2 from leaning into the extracted space after calibration or removal of the molar for the damaged tooth, while securing a space for placing the artificial tooth in the extraction space S of the molar And includes a flexible wire 32 and an elastic member 34. The flexible wire 34 is a flexible wire.

여기서 와이어(32) 및 탄성부재(34)는 유연하고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친화성이 높은 니켈-타이타늄(Ni-Ti)으로 형성된다.Here, the wire 32 and the elastic member 34 are formed of nickel-titanium (Ni-Ti) which is flexible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has high affinity.

와이어(32)는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와이어(32)는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그 양단부가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32)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로 마련되어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의 내,외측에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는, 발치 공간(S)과 이웃하는 대구치(2)의 직립 시 제2 교정캡(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대구치(2)가 직립되는 과정 혹은 직립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wire 32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to each other. That is, the wire 32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at both ends thereof to connect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to each other have. At this time, the wires 32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in the upright position of the molar teeth 2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S and to reliev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4 So that it can not be arbitrarily rotated by the user.

탄성부재(34)는 와이어(32)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탄성부재(34)는 와이어(32)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4)는 제1 교정캡(10)을 기준하여 여기 제2 교정캡(20)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elastic member (34) is coupled to the wire (32).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4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wire 32. The elastic member 34 serves to provide a certain elastic force to the excitation second calibration cap 20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즉,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발치 공간(S)과 이웃하는 대구치(2)에 제2 교정캡(20)이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이 제2 교정캡(20)에 전달되면, 제2 교정캡(20)이 설치된 대구치(2)가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똑바로 직립되어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2 교정캡(20)이 설치된 대구치(2)가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대구치(2)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하여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안 공간을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correction cap 20 is installed on the molar extraction space S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S after the extraction of the molar for the correction or the damaged too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4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When the molar tooth 2 with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is inclined to the extraction space 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ace for the placement of the artificial teeth smoothly, Even if the molar tooth 2 on which the cap 20 is installed is not inclined to the extraction space 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molar tooth 2 and secure the comfort space reliably and reliably .

여기서 본 실시예의 대구치 직립부(30)는 사용자의 치아 중 한쪽 대구치의 교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 사이에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가 사용자의 양쪽 대구치를 동시에 교정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개의 메인 교정캡과 두 개의 보조 교정캡으로 분할 형성되는 경우에, 메인 교정캡과 분할 교정캡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Here, the molar upright portion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to provide a calibration structure of one of the teeth of the user, , Wherein when the removable molar standing molar is divided into one main correcting cap and two auxiliary correcting caps to provide a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correcting both molars of a user, .

이하,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movable molar upr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이웃하는 대구치(2)는 발치 공간(S)으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대구치의 발치 후 발생된 발치 공간(S)은 이웃하는 대구치(2)의 각도 변형에 따라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대구치의 발치된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없게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molar is left for a long time after the extraction of the molar for the correction or the damaged tooth, the neighboring molar teeth 2 are naturally inclined to the extraction space S, (S) becomes narrower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deformation of the neighboring molar tooth (2). In this state, the artificial tooth can not be placed in the extracted space of the molar.

상기와 같은 대구치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치아(1) 및 대구치(2)에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을 각각 설치한다. A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a second calibration cap 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teeth 1 and the molar teeth 2 of the user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la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 사이에 설치되는 대구치 직립부(30)는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진 대구치(2)가 똑바로 직립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한다.5, the molar upright portion 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lar portion 2 inclined to the extraction space S is straight upright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ity.

즉, 대구치 직립부(30)의 탄성부재(34)는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 사이의 발치 공간(S)에 수축된 상태로 있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1 교정캡(10)을 기준하여 제2 교정캡(20)에 일정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교정캡(20)에 전달되는 탄성력에 의해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진 대구치(2)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똑바로 직립될 수 있게 되며, 대구치(2)의 직립을 통해 발치 공간(S)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식립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34 of the molar upright portion 30 is contracted in the extraction space S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A constant elastic force is constantly provided to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based on the calibration cap 10. The molar teeth 2 inclined to the extraction space S by the elastic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can be erected upright with the lapse of time, The space S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artificial teeth can be easily placed.

또한, 와이어(32)는 제1 교정캡(10)과 제2 교정캡(20)의 내,외측에 복수로 마련됨에 따라 제2 교정캡(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주게 됨으로써 발치 공간(S)과 이웃하는 대구치(2)가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직립되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wires 32 are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first calibration cap 10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to stably support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And the neighboring molar teeth 2 are rotated in the process of being ere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4.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는,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치아(1)에 설치되는 제1 교정캡(10)과 교정이 요구되는 대구치(2)에 설치되는 제2 교정캡(20)에 개재되어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지는 대구치(2)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대구치 직립부(30)에 의하여, 대구치의 발치 후 이웃하는 대구치(2)가 발치 공간(S)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접한 대구치가 발치 공간(S)으로 쓰러진 경우, 쓰러진 대구치를 제 위치로 직립시키고 대구치의 발치 공간(S)에 인공치아의 식립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uprighting the molar base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es a first calibration cap 10 provided on the tooth 1 for which correction is not required, By the molar fastening portion 30 provided to allow the molar portion 2 to be tilted to the extraction space S interposed in the second calibration cap 20 provided in the first molar portion 2, Is prevented from leaning into the extraction space S and when the adjacent molar falls into the extraction space S, the fallen molar stands upright in position and a space for placing the artificial tooth in the extraction space S of the molar It can be ensured easily.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교정캡 20: 제2 교정캡
30: 대구치 직립부 32: 와이어
34: 탄성부재
10: first calibration cap 20: second calibration cap
30: molar upright part 32: wire
34: elastic member

Claims (5)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 사용자의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교정캡;
제1 교정캡과 분할 형성되며 교정이나 손상된 치아를 위한 대구치의 발치 후 발치 공간과 이웃하여 교정이 요구되는 대구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교정캡; 및
상기 제1 교정캡과 상기 제2 교정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발치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상기 발치 공간과 이웃하는 대구치를 직립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대구치 직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
A first calibration cap detachably mounted on a tooth of a user whose calibration is not required;
A second calibration cap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lar which is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after extraction of the molar for correction or for damaged teeth and which requires calibration; And
And a molar uprigh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nd adapted to stand up a molar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for placing an artificial tooth in the extraction space. Orthodontic device for orthodontic mol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구치 직립부는,
상기 제1 교정캡과 상기 제2 교정캡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플렉시블형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교정캡을 기준하여 여기 제2 교정캡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lar-
A flexible wire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nd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wire and configured to provide a constant elastic force to the excitation second calibration cap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alibration c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 교정캡 및 상기 제2 교정캡의 내,외측에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 is a plurality of wire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캡 및 상기 제2 교정캡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alibration cap and the second calibration cap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및 상기 탄성부재는, 니켈-타이타늄(Ni-Ti)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교정용 대구치 직립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 and the elastic member are made of nickel-titanium (Ni-Ti).
KR1020140053172A 2014-05-02 2014-05-02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KR201501261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72A KR20150126115A (en) 2014-05-02 2014-05-02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172A KR20150126115A (en) 2014-05-02 2014-05-02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15A true KR20150126115A (en) 2015-11-11

Family

ID=5460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172A KR20150126115A (en) 2014-05-02 2014-05-02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611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1063A (en) * 2019-01-30 2019-05-21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广州医科大学羊城医院) A kind of dental appli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368113A (en) * 2019-06-19 2019-10-25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广州医科大学羊城医院) It is a kind of that transparent appliance is assisted to rescue the outer tooth device of bow and application method
KR20190143823A (en)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2067802B1 (en) * 2018-10-05 2020-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pontaneous eruption device of ectopic impacted toot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823A (en)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EP3586791A1 (en) * 2018-06-21 2020-01-01 Cheng-Hsiang Hung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JP2020018841A (en) * 2018-06-21 2020-02-06 澄祥 洪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JP2021120005A (en) * 2018-06-21 2021-08-19 澄祥 洪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2067802B1 (en) * 2018-10-05 2020-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pontaneous eruption device of ectopic impacted tooth
CN109771063A (en) * 2019-01-30 2019-05-21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广州医科大学羊城医院) A kind of dental appli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368113A (en) * 2019-06-19 2019-10-25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广州医科大学羊城医院) It is a kind of that transparent appliance is assisted to rescue the outer tooth device of bow and appl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1638329B1 (en) Removable curvilinear orthodontic appliance
US9539066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150125802A1 (en) Orthodontic device
KR20150126115A (en)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US11090137B2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JP2016539710A5 (en)
ES2889498T3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US20080227049A1 (en) Lingual Retainer
KR102129363B1 (en) Orthodontic duplex button
US9931183B2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US8113826B2 (en) Biased palatal bone expander
KR101592421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381322B1 (en) Molar teeth lingual bracket with multi functions for orthodontics
ES2895176T3 (en) Orthodontic tooth position adjustment device
KR101085468B1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molar
ES2670319T3 (en) Functional orthodontic mobile device
KR20180001267A (en) Premanent dentition development guide device
KR102143713B1 (en) Bracket for teeth correction
BR102021020468A2 (en) ORTHODONTIC DEVICE TO AID TO CORRECTION OF CLASS II OR CLASS III DENTAL WITH OR WITHOUT SKELETAL ANCHORAGE
KR200210731Y1 (en) Implant for calibration of teeth
BR202018003759U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introduced in mini-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BR102016023971A2 (en) Segmented Orthodontic Handle for Canine and Premolar Distalization, Butterfly Handle
JP2022008699A (en) Self-ligating bracket
MD2902G2 (en) Orthodontic device for distal displacement of the permanent sixth-year mo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