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63B1 - Orthodontic duplex button - Google Patents

Orthodontic duplex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63B1
KR102129363B1 KR1020180154136A KR20180154136A KR102129363B1 KR 102129363 B1 KR102129363 B1 KR 102129363B1 KR 1020180154136 A KR1020180154136 A KR 1020180154136A KR 20180154136 A KR20180154136 A KR 20180154136A KR 102129363 B1 KR102129363 B1 KR 10212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tage
button
orthodontic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7357A (en
Inventor
채훈
곽혜인
Original Assignee
채훈
곽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훈, 곽혜인 filed Critical 채훈
Priority to KR102018015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63B1/en
Publication of KR2020006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버튼은, 인체의 치아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된 접착부; 상기 접착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헤드부; 및 상기 접착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접착부의 돌출된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열 교정을 위해 치아에 부착하는 이단 버튼을 최대한 잇몸에 가깝게 부착할 수 있고, 인접한 이단 버튼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탄성 와이어나 탄성링이 연결되는 헤드부가 잇몸 측에 위치하도록 이단 버튼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치열을 교정하는 동안 이단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the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portion having an adhesiv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human teeth; A hea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orthodontics, the two-stage button attached to the teeth can be attached as close to the gum as possible, and the two-stage button so that the head portion to which the elastic wire or the elastic ring for connecting the adjacent two-stage buttons are connecte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gum. This is formed to minimize exposure of the two-stage button to the outside while the user corrects the orthodontics.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ORTHODONTIC DUPLEX BUTTON}Orthodontic double-stage button {ORTHODONTIC DUPLEX BUTTON}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배치되어 치열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치아에 접착하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that is disposed on a tooth and adheres to a tooth so as to evenly correct the orthodontics.

부정교합(malocclusion) 등과 같은 치아 배열이 불규칙한 경우, 이를 고르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기계적인 보조 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보조 장치는 치열 교정기 등이 이용되고, 치열 교정기는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브래킷(bracket)과 탄성을 갖는 와이어나 고무링을 이용하여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교정한다.When the tooth arrangement is irregular, such as malocclusion, a mechanical auxiliary device is usually used to evenly correct it.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s are used as the auxiliary devices,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s use a bracket and an elastic wire or rubber ring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to gradually move the teeth to correct the position.

그런데 종래에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치아에 부착하는 브래킷을 모든 치아에 접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치열 교정기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그로 인해 치열을 교정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치열 교정기가 노출되는 것을 가리기 위해 입을 가리게 되고, 또한,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by attaching a bracket attached to a tooth to all teeth in order to correct the orthodontic teeth, a user who corrects the orthodontic teeth can notify that the orthodontic teeth are corrected due to exposur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user covers his mouth to hide the orthodontic braces, and may also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자가 착탈하는 투명 교정 장치가 여러 형태와 제품으로 나와 있지만, 철사에 의한 조절보다 치아 이동의 예측성이 떨어지고, 특히 발치 교정시에, 발치한 치아 주위 치아들의 뿌리를 모으는 데에는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To overcome this, transparent orthodontic devices that the patient can attach or detach come in many forms and products, but the predictability of tooth movement is poorer than the adjustment by wires, and it is very useful for collecting the roots of teeth around the extracted teeth, especially during orthodontic extraction. It has the problem of being vulnerab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9204호 (2018.11.09)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919204 (2018.11.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치아의 뿌리에 인접하여 즉, 치아 뿌리의 상방 또는 치아 머리의 하방에 배치하여 치아의 하단과 상단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step orthodontic button for orthodontics that can evenly correc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teeth by placing it adjacent to the root of the user's teeth to be corrected, i.e., above the tooth root or below the tooth head. I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치아 형상에 맞추어 제작할 수 있으며 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심미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that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user's teeth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maximize aesthetic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치아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상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일단에 배치되는 헤드부를 통해 와이어를 연결하여 치열 교정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wire through the head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oth to the bottom,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for minimizing exposure of the orthodontic means to the outside. I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투명교장장치와 함께 사용시, 기존 철사를 이용하는 방법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어 조절성과 부작용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trollability and side effects by taking advantage of the existing wire method when used with a transparent princip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은, 인체의 치아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된 접착부; 상기 접착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헤드부; 및 상기 접착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접착부의 돌출된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with an adhesive surface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human teeth; A hea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Can.

상기 접착면은 상기 치아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된 형상의 외면은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adhesi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hape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인체의 치아가 잇몸에서 돌출된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of the human body protrude from the gums.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다른 치열 교정 이단 버튼과 연결된 탄성링이 걸릴 수 있다.The head portion has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n elastic ring connected to another orthodontic two-stage button.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인체의 치아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다른 치열 교정 이단 버튼과 연결된 탄성 와이어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of the human body are arranged, and an elastic wire connected to another orthodontic two-stage button may be fixed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치열 교정을 위해 치아에 부착하는 이단 버튼을 최대한 잇몸에 가깝게 부착할 수 있고, 인접한 이단 버튼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탄성 와이어나 탄성링이 연결되는 헤드부가 잇몸 측에 위치하도록 이단 버튼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치열을 교정하는 동안 이단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orthodontics, the two-stage button attached to the teeth can be attach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gums, and the two-stage button so that the head portion to which the elastic wire or elastic ring for connecting adjacent two-stage buttons are connecte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gum. This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two-stage button to the outside while the user corrects the orthodontics.

또한, 치열의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만 부분적으로 이단 버튼을 부착할 수 있어, 치열의 교정을 위해 치아에 부착하는 이단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wo-stage button can be partially attached only to the teeth requiring orthodontic correc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number of two-stage buttons attached to the tooth for the correction of the orthodontics.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은 사용자의 치아에 맞도록 투명성 수지를 이용하여 3D 프린터 등으로 제조할 수 있어, 심미적으로 우수하며 사용자에 최적화된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orthodontic button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by a 3D printer using a transparent resin to fit the user's teeth, thereby providing an aesthetically superior and user-optimized orthodontic button.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치아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들을 탄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탄성링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is attached to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the two-stage orthodontic butt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using an elastic wi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using an elastic r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도시한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two-stage orthodontic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은, 접착부(110), 헤드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1 to 5,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110, a head portion 120 and a connecting portion 130.

접착부(110)는, 인체의 치아 표면에 부착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접착부(110)는 일 측에 접착면(11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면(112)에서 타 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110)의 접착면(112)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110 is provided to b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human body. The adhesive portion 110 for this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surface 112 on one side,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adhesive surface 112 in the other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surface 112 of the adhesive portion 1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그리고 접착면(112)에서 돌출된 형상은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면(112)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면(11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치아의 표면에 대응되는 면으로 형성되기 위해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adhesive surface 11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and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based on the adhesive surface 112.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adhesive surface 112 may be formed as a plane, as shown in FIG. 2, but may also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various curvatures to be formed a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tooth.

즉, 접착부(110)에서 돌출된 형상은 럭비공이 장축방향으로 반으로 절단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접착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110)는 접착면(112)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높이는 가급적 최소한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이 치아에 접착되더라도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protruding from the adhesive portion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ugby ball is cut in half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adhesive portion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Here, the adhesive portion 1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shape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adhesive surface 112 protrudes to the minimum possible. Therefore, even if the user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is adhered to the tee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feel.

그리고 접착부(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단축을 가지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접착부(110)의 접착면(112)이 이렇게 타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치아에 접촉되는 면적이 가급적 넓게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1 to 5, the adhesive portion 110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ort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as the adhesive surface 112 of the adhesive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se in this way,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eeth can be formed as wide as possible.

헤드부(120)는 일 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의 위치에 관통홀(122)이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관통홀(122)의 직경은, 후술할 탄성 와이어(200)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122)이 형성된 헤드부(120)는 관통홀(122)이 헤드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헤드부(120)의 길이 방향이 접착부(110)의 길이 방향과 동일 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헤드부(120)의 길이 방향은 치아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one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That is, the head portion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2 may be formed to a size through which the elastic wire 200 to be described later can penetrate. In addition, in the head portion 120 in which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2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20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110. It can have one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teeth.

본 실시예에서, 헤드부(12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헤드부(120)의 형상은 내부에 관통홀(122)이 형성된 형상이면 족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0)는 접착부(110)가 인체의 치아에 접착되었을 때, 잇몸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외형 형상이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head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20 is sufficient if the shape has a through hole 122 formed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portion 110 is adhered to the teeth of the human body, the head portion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um, so that the external shape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연결부(130)는 접착부(110)와 헤드부(120)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연결부(130)는 일 측에 접착부(110)와 연결되며, 타 측에 헤드부(120)와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130)는 접착부(110) 및 헤드부(120)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접착부(110) 및 헤드부(120)를 서로 이격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접착부(110) 및 헤드부(1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provided to connect the adhesive portion 110 and the head portion 120.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adhesive portion 110 on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120 on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dhesive portion 110 and the head portion 120,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separate the adhesive portion 110 and the head portion 120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adhesive portion 110 and the head portion 120. You can.

연결부(130)는 접착부(110)가 접착면(112)에서 돌출된 방향과 소정의 각도(도 4의 θ)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은 접착부(110)가 돌출된 방향과 다르며, 접착부(110)가 치아에 접착되면 헤드부(120)가 잇몸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연결부(130)는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꺾인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의 각도가 접착부(110)의 돌출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헤드부(120)가 치아보다 아래쪽 또는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이 치아의 윗니에 접착되는 경우, 헤드부(120)는 접착부(110)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고,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이 치아의 아랫니에 접착되는 경우, 헤드부(120)는 접착부(110)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3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θ in FIG. 4)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110 protrudes from the adhesive surface 112.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110 protrudes, and when the adhesive portion 110 is adhered to the teeth,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lower so that the head portion 120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gum. Or it may be arranged to be bent in the upper direction. Thus, the head portion 120 may be disposed below or above the tooth as the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110. Here, when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hered to the upper teeth of the teeth, the head portion 120 may be disposed above the adhesive portion 110,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When adhered to the lower teeth of the tooth, the head portion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adhesive portion 110.

이때,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과 접착부(110)가 접착면(112)에서 돌출된 방향의 각도(도 4의 θ)는 0도 초과 180도 미만일 수 있으며, 인체의 치아가 배치된 형상에 따라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110 protrudes from the adhesive surface 112 (θ in FIG. 4) may b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and the shape of the teeth of the human body may be arranged. Depending on the angle can be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0)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연결부(130)의 직경은 헤드부(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shown as an ellipt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s necessary. However,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20.

그에 따라 두 개의 이단 버튼(100)을 탄성링(300)을 이용하여 연결할 때, 두 개의 탄성링(300)이 연결부(130)에 걸려 연결되는데, 헤드부(120)의 크기가 연결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탄성링(300)이 쉽게 이단 버튼(100)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when connecting the two-stage button 100 using an elastic ring 300, the two elastic rings 300 are hung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20 is the connecting portion 13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lastic ring 300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wo-stage button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은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일정 이상의 강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rigidity or hig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 이단 버튼을 치아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is attached to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은 사용자의 치아의 배치 및 형상에 맞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 배치에 대해 입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아의 배치 및 형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to fit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user's teeth.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6, a stereoscopic image may be taken of a user's tooth placement, and the photographed image may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shape of the user's teeth.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이단 버튼(100)을 설치할 치아를 선택하여, 선택된 치아의 배치와 형상에 맞도록 이단 버튼(100)을 제작할 수 있다. Therefore, by check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select the tooth to install the two-stage button 100 to correct the dent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two-stage button 100 to match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selected tooth.

그에 따라 이단 버튼(100)을 제조할 때, 이단 버튼(100)을 부착하고자 하는 치아의 표면에 맞도록 접착부(110)의 접착면(112)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접착부(110)가 접착된 상태에서 헤드부(120)가 배치될 위치를 설정하여 그에 맞도록 연결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의 길이도 사용자의 치아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manufacturing the two-stage button 1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adhesive surface 112 of the adhesive portion 110 to fit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ttached to the two-stage button 100, and also, the adhesive portion 110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set so as to set and fit the position where the head portion 120 is to be disposed in the glued state.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user's tooth placement.

본 실시예에서,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100)은 치아에 부착될 때, 잇몸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치아의 위치를 점진적으로 이동시킬 때 치아의 뿌리 쪽을 이동시키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둘 이상의 이단 버튼(100)을 탄성 와이어(200)나 탄성링(300)을 이용한 연결은 헤드부(120) 측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치아의 뿌리 쪽에서 치아가 움직일 수 있는 힘이 가해지도록 헤드부(120)는 치아의 돌출된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헤드부(120)의 위치가 잇몸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입을 벌리더라도 쉽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100 is attached to a tooth, it is better to be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gum, because it is better to move the root of the tooth when gradual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oth. to b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of the two or more two-stage buttons 100 using the elastic wire 200 or the elastic ring 300 is made at the head portion 120 side. Therefore, the head portion 120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tooth so that a force to move the tooth is applied from the root side of the tooth.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head portion 1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ums, it may not b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even if the user opens his mouth during daily lif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들을 탄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the two-stage orthodontic butt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using an elastic wire.

도 7을 참조하여, 두 개의 이단 버튼(100)을 탄성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it will be described that two two-stage buttons 100 are connected using an elastic wire 200.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이단 버튼(100, 100')이 배치되면(이때, 도면에서 치아를 생략했지만, 각 이단 버튼(100, 100')은 치아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각 헤드부(120, 120')에 형성된 관통홀(122, 122')을 각각 관통하도록 탄성 와이어(20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U자 형상이 형성되고, U자 형상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성 와이어(200)의 양측이 각각 이단 버튼(100, 100')의 헤드부(120, 120')에 형성된 관통홀(122, 122')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관통홀(122, 122')을 관통한 탄성 와이어(200)의 끝단이 절곡된 상태로 각 헤드부(120, 12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와이어(200)의 중앙에 형성된 U자 형상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됨에 따라 각 이단 버튼(100, 100')에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As shown, when two two-stage buttons (100, 100')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tooth is omitted in the drawing, but each two-stage button (100, 100')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each head Elastic wires 200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holes 122 and 122' formed in the portions 120 and 120',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wire 200 has a U-shap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wir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shape.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elastic wire 200 are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22 and 122' formed in the head portions 120 and 120' of the two-stage buttons 100 and 100', respectively, and the through holes 122 and 122 The end of the elastic wire 200 penetrating') can be fixed by hanging on each head part 120 or 120' in a bent state. At this time, as the restoring force is applied by the U-shap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lastic wire 200,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two-stage buttons 100 and 100'.

물론, 각 헤드부(120, 120')의 관통홀(122, 122')을 관통하여 절곡된 탄성 와이어(200)의 끝단은 인체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처리될 수 있다.Of course, the ends of the elastic wires 200 bent through the through holes 122 and 122' of each head portion 120 and 120' may be treated so as not to injure the human bod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을 탄성링을 이용하여 연결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orthodontic two-stag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using an elastic ring.

도 8을 참조하여, 두 개의 이단 버튼(100, 100')을 탄성링(300)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8, it will be described for connecting the two two-stage buttons (100, 100') using an elastic ring (300).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이단 버튼(100, 100')이 배치되면(이때, 도면에서 치아를 생략했지만, 각 이단 버튼(100, 100')은 치아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각 연결부(130, 130')에 탄성링(300)이 걸릴 수 있다. 이때, 탄성링(300)은 각 연결부(130, 130')에 연결되며, 각 이단 버튼(100, 100')에 형성된 헤드부(120, 120')가 연결부(130, 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링(300)이 연결부(130, 13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when two two-stage buttons (100, 100')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tooth is omitted in the drawing, but each two-stage button (100, 100')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each connection portion The elastic ring 300 may be hung on (130, 130'). At this time, the elastic ring 300 is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portion (130, 130'), the head portion (120, 120') formed on each two-stage button (100, 100')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130') As it is formed large, the elastic ring 300 may not be easily disengag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s 130 and 130'.

이렇게 탄성링(300)이 각 이단 버튼(100, 100')의 연결부(130, 130')에 연결됨에 따라 탄성링(300)의 복원력에 의해 두 개의 이단 버튼(100, 100')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이단 버튼(100, 100')이 부착된 치아가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us, as the elastic ring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130 and 130' of each of the two-stage buttons 100 and 100', the two-stage buttons 100 and 100' are close to each othe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ring 300. The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in the losing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teeth to which the two-stage buttons 100 and 100' are attached may be gradually mov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nl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described below.

100: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110: 접착부
112: 접착면
120: 헤드부
122: 관통홀
130: 연결부
200: 탄성 와이어
300: 탄성링
100: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110: adhesive
112: adhesive side
120: head
122: through hole
130: connection
200: elastic wire
300: elastic ring

Claims (5)

인체의 치아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된 접착부;
상기 접착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헤드부; 및
상기 접착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면은 상기 치아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된 형상의 외면은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치아가 잇몸에서 돌출된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접착부의 돌출된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상기 치아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다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과 연결된 탄성 와이어가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다른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과 연결된 탄성링이 걸리며,
상기 접착면 및 상기 연결부의 횡단면은, 상기 치아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축과 상기 장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축을 가지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외주연이 라운드 처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는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An adhesive portion having an adhesive surface adhered to a surface of a human body tooth;
A hea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portion;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The adhesive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adhesive surface,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hape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protrude from the gum, but extends in a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The head portion has a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are arranged, the through-hole is fixed through an elastic wire connected to a second button for orthodontics,
An elastic ring connected to the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ax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are arranged and a short axis form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 axis,
The head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rounded outer periphery,
Two-stage button for orthodontics with no exposed edg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54136A 2018-12-04 2018-12-04 Orthodontic duplex button KR102129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36A KR102129363B1 (en) 2018-12-04 2018-12-04 Orthodontic duplex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36A KR102129363B1 (en) 2018-12-04 2018-12-04 Orthodontic duplex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357A KR20200067357A (en) 2020-06-12
KR102129363B1 true KR102129363B1 (en) 2020-07-02

Family

ID=7108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136A KR102129363B1 (en) 2018-12-04 2018-12-04 Orthodontic duplex but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57A (en) 2020-10-05 2022-04-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045668A (en) 2020-10-06 2022-04-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059648A (en) 2020-11-03 2022-05-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25B1 (en) 2011-12-20 2013-11-13 김미경 Self-ligating lingual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32B1 (en) * 2003-10-15 2005-12-02 장상건 Remedy device for tooth
KR100612268B1 (en) * 2004-11-12 2006-08-16 장상건 Remedy device for tooth
KR20100061968A (en) * 2008-12-01 2010-06-10 주보훈 A rootipper apparatus of tangled tooth for realignment
KR101779697B1 (en) * 2016-02-16 2017-09-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 positioning par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having the same
KR101919204B1 (en) 2016-11-07 2018-11-15 조병주 Orthodontic bracket
KR20160141693A (en) * 2016-11-29 2016-12-09 권순용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30331B1 (en) * 2017-02-10 2018-12-19 주식회사 석랩 Orthodontic deiv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25B1 (en) 2011-12-20 2013-11-13 김미경 Self-ligating lingual brack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57A (en) 2020-10-05 2022-04-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045668A (en) 2020-10-06 2022-04-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059648A (en) 2020-11-03 2022-05-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102431945B1 (en) 2020-11-03 2022-08-1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357A (en)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63B1 (en) Orthodontic duplex button
US9707055B2 (en) Correction device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1638329B1 (en) Removable curvilinear orthodontic appliance
US9439737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JP5314809B1 (en) Rubber dam clamp
US9629695B2 (en) Orthodontic working anatomic arch,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including anatomic wire
JP2021527491A (en) Orthodontic systems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methods for arranging equip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use of such orthodontic system equipment
KR102029965B1 (en)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KR102119019B1 (en) Wrist teether
CA3066861A1 (en) Occlusal splint arrangement with a fixing band
TWM495833U (en) Orthodontic braces group and invisible braces thereof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10199537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reof
KR20150126115A (en) Removable orthodontic molar uprighting device
JP2021526937A (en) Assemblies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patient's teeth and orthodontic systems for such treatment, methods for installing orthodontic treatment of patient's teeth and for manufacturing such assemblies. Methods, as well as how to use such orthodontic systems
WO2010126716A1 (en) Elastomeric orthodontic bracket packaging system
JP6557637B2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0483214Y1 (en) teether
KR101216388B1 (en) Hideen earflap brace
KR101501197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EP1933802B1 (en) Soother
EP3687610B1 (en) A tooth protector
CN220256550U (en) Invisible tooth socket adjusting device and appliance
KR101648419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