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6086A -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6086A
KR20150126086A KR1020140053054A KR20140053054A KR20150126086A KR 20150126086 A KR20150126086 A KR 20150126086A KR 1020140053054 A KR1020140053054 A KR 1020140053054A KR 20140053054 A KR20140053054 A KR 20140053054A KR 20150126086 A KR20150126086 A KR 2015012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torage tank
lng
power gene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691B1 (ko
Inventor
이홍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691B1/ko
Priority to PCT/KR2015/003164 priority patent/WO2015167131A1/ko
Publication of KR2015012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691B1/ko
Priority to PH12016502117A priority patent/PH120165021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8Large containers for use in o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은 잭업 유닛을 구비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발전모듈에 LNG를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저에 고정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 및 LNG 공급을 위해서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와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잭업 유닛에 의해서 발전플랜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해상의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발전플랜트에서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발전플랜트의 밸러스팅이 필요 없다. 또한, 발전플랜트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LNG 공급을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되, 별도로 해저에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설치하므로 육지로부터 가스 공급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Sloshing)이 없으므로 마찰열이 없고 수중에서 LNG 저장 탱크로 전해지는 열이 해상보다 현저히 적으므로 BOG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JACK UP TYPE POWER PLANT SYSTEM}
본 발명은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잭업 유닛에 의해서 발전플랜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해상의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발전플랜트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LNG 공급을 외부에서 하되, 육지로부터 가스 공급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해저에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설치하고 그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적인 발전에 대한 요구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전력 생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신흥개발국 등에서 가스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가스 발전은 그 특성상 육지에 가스 저장소 등과 같은 가스 인프라가 갖추어져야만 전력의 생산이 가능하므로 개발에 제한이 많다.
육상의 화력발전 플랜트는 용적이 너무 커서 설비 초기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설비 및 시스템이 별도의 건물에 독립적으로 위치함에 따라서 건물 및 배관, 자재의 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육상의 화력발전 플랜트에서는 설비 설치 및 탱크 배치, 그리고 테스트가 현장(site)에서 수행됨에 따라 리스크(risk)가 항상 존재하며, 오랜 공사기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러 개의 섬들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우에는 대용량의 가스 발전을 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즉, 육상의 화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장소 확보와 건설비 소요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으며, 육상의 화력발전소 건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력 공급을 단시간 내에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전 플랜트를 바지(barge)에 탑재하여 구성한 부유식 발전 플랜트(BMPP : Barge Mounted Power Plant)가 제안된바 있으며,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면서 그 액화천연가스 및 가스 터빈/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Floating and Storage Power Plant, FSPP)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부유식 발전플랜트는 전력 부족 해소를 위해 발전소가 필요하지만 환경 파괴를 우려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부지 확보가 어렵고, 장기간의 우기(雨期)와 취약한 물류 및 도로 인프라 등으로 인한 공기(工期) 지연이 예상되어 육상에 발전소를 건설하기가 어려운 낙후 지역의 내해(內海)나 강가에 띄운 후 계류(Mooring) 하여 전력 생산한다.
부유식 발전플랜트는 안전한 발전을 위해서 수면이 잔잔하고 파도가 없어야 하는데,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곳이 많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완책으로서 방파제를 만들고 특별한 계류방법을 적용해야 하는데, 건설비용이 상승하여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장점이 퇴색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번호 제10-2012-0080836호 공개번호 제10-2011-0008676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잭업 유닛에 의해서 발전플랜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해상의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발전플랜트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LNG 공급을 외부에서 하되, 육지로부터 가스 공급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전력생산이 가능하도록 별도로 해저에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설치하고 그 LNG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은 잭업 유닛을 구비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의 발전모듈에 LNG를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저에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 및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와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잭업 유닛은 수직으로 해저 면까지 설치되고, 상기 잭업 유닛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내부 벽 및 외부 벽에 의한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탱크 몸체, 상기 탱크 몸체의 내부 벽과 외부 벽 사이에 형성되는 밸러스트 탱크, 및 상기 연결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몸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LNG의 배출을 위해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는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하단에 장착된 배출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밸러스트 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상,하부 개폐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파이프는 다수의 단위 연결파이프들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단위 연결파이프의 연결부위에는 조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는 내부에 액체 통로와 증발가스 통로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는 재기화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잭업 유닛에 의해서 발전플랜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해상의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발전플랜트에서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발전플랜트의 밸러스팅이 필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LNG 공급을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되, 별도로 해저에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설치하므로 육지로부터 가스 공급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식의 저장 탱크의 슬로싱(Sloshing)이 없으므로 마찰열이 없고 수중에서 LNG 탱크로 전해지는 열이 해상보다 현저히 적으므로 BOG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NG 로딩(Loading)이 발전플랜트(Jack-up BMPP) 본선과는 상관없이 수중에서 LNG 저장 탱크와 LNG Bunkering Vessel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전플랜트의 전력생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런 기상악화로 발전플랜트가 위험에 노출되더라도 LNG 탱크는 해저에 안전하게 설치되므로 LNG 저장 탱크 파손으로 인한 환경피해를 전혀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와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따로 동시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획기적인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와 잠수식의 저장 탱크를 따로 운반(Transportation), 설치(Installation)하기 때문에 리프팅 로드(Lifting Load)가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에 설치된 잠수식의 저장 탱크에서 발전플랜트뿐만 아니라 FSRU 또는 육상 LNG 터미널 등 다양한 가스 관련 설비로도 LNG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잠수식의 저장 탱크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가스 관련 분야에서 널리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잠수식 저장 탱크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은 잭업 유닛(110)을 구비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와,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에 LNG를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저에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200)와,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와 상기 잠수식 저장탱크(20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300)를 포함한다.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100)는 LNG를 연료로 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모듈(120)을 구비한다.
발전모듈(120)은 가스 터빈/엔진 발전 유닛(121), 상기 가스 터빈/엔진 발전 유닛(121)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폐열회수 스팀발생기(122), 상기 폐열회수 스팀발생기(122)에서 공급하는 스팀으로 작동하는 스팀 터빈 발전유닛(123),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포머, BOP 장비, 콘덴서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 터빈/엔진이란 가스 터빈과 엔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발전모듈이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의 상부에 탑재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발전모듈이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에는 발전모듈(120)의 가스 터빈/엔진 발전 유닛(121)에 공급하기 위하여 LNG를 재기화시키는 재기화설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잭업 유닛(Jack up Leg)(110)은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해저 면까지 설치되며,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잭업 유닛(110)의 업다운 구조는 잭업 레그에 치합되는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가능하다. 피니언의 회전운동이 잭업 레그의 수직 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탱크 몸체(210)와, 잭업식 발전플랜트(100)로부터 연장하는 연결 파이프(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탱크 몸체(210)에 형성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특히, LNG와 같이 극저온에서 액화되는 탄화수소성분을 포함하는 액체화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잠수식 저장 탱크(200)에 저장될 수 있는 액체화물로는, LNG 이외에도, LPG, 원유, 정제유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BOG 발생 원인은 슬로싱(Sloshing)에 의한 마찰열과 외부 열 흡수에 의한 엔트로피 증가가 주원인이며, 135,000㎥ Tank 기준으로 BOR 0.1%/Day라면 57 Ton/Day(2.4 Ton/hour)나 되는 많은 양의 LNG가 증발한다. 본 발명에서 잠수식 저장 탱크는 슬로싱이 없으므로 마찰열이 없고 수중에서는 잠수식 저장 탱크로 전해지는 열이 해상보다 현저히 적으므로 BOG 발생량이 대폭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해저 면에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200)에서는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멤브레인형 탱크 구조를 사용하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해저 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LNG를 저장하므로, 외력에 의한 요동이 발생하지 않아 LNG 저장 탱크의 상,하부 모서리에 챔퍼(chamfer) 및 호퍼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도 3 참조). 그에 따라 저장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경사진 챔퍼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밀봉 및 단열 방벽을 특별하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지역의 설치조건에 따라서는 챔퍼(chamfer) 및 호퍼를 함께 형성하거나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잠수식 저장 탱크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내부 벽(211) 및 외부 벽(212)에 의한 이중 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탱크 몸체(210)를 포함한다.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상기 탱크 몸체(210)의 내부 벽(211)과 외부 벽(212) 사이에 형성되는 밸러스트 탱크(220)를 포함한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LNG와 같은 극저온 액체화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밀봉 및 단열 방벽(240)을 갖는 독립형 탱크 또는 멤브레인형 탱크일 수 있다.
상기 탱크 몸체(210)의 내부 벽(211)과 외부 벽(21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220)가 형성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220)에 채워지는 밸러스트 수로서는 해수가 사용될 수 있다.
탱크 몸체(210)의 외부, 특히 탱크 몸체(210)의 상부에는 연결파이프(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230)는 액체/가스 돔을 포함하며, 액체/가스 돔을 보호하는 보호장치(shelter)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연결파이프(300)는 LNG 등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 혹은 다수의 단위 연결파이프들(310)이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연결파이프(300)의 연결부위 혹은, 각 단위 연결파이프들(310)의 연결부위에는 조인트(320), 예를 들어 스위블 혹은 플렉서블 조인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20)에 의해서, 조류 등에 의한 심한 유동에 의해서 상기 연결파이프(3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 줄의 연결파이프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한 줄 이상의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으며, 연결 파이프를 덕트 안에 설치할 수도 있고, 연결파이프 자체를 덕트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파이프(300)는 내부에 복수의 통로가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한 줄의 연결파이프(300) 내에는 액체통로와 증발가스통로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연결파이프(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탱크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230)는, LNG를 잠수식 저장 탱크(20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펌프(231)를 포함할 수 있다.
LNG의 배출을 위해 잠수식 저장 탱크(200) 내부에는 바닥 부근까지 연장하는 파이프 조립체(232)가 설치된다.
파이프 조립체(232)는 탱크 몸체(210)에 LNG를 공급할 때 사용하는 공급 파이프와, LNG를 배출할 때 사용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탱크 몸체(210) 내부에서 LNG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BOP(Blow Out Preventer)를 포함할 수 있다.
BOP는 탱크 몸체(210)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연결파이프(300)를 통해 잭업식 발전플랜트(100)까지 압력상승의 악영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BOP의 내부를 통과하는 파이프를 절단하고 밀봉하는 장치이다.
또한, 연결부(230)는 밸러스트 탱크(220)에 밸러스트 수를 공급 및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밸러스트 수 펌프(23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러스트 수 펌프(233)는 밸러스트 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러스트 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기 위한 펌프는 각각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펌프에 의해 공급 및 배출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200)는, 밸러스트 수를 밸러스트 탱크(23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해 상,하부 개폐밸브(222, 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부 개폐밸브(222, 221)는 잠수식 저장 탱크(2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개폐밸브(2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잠수식 저장 탱크(200)를 해상에 내려놓으면, 자중에 의해 하부 개폐밸브(221)가 설치된 잠수식 저장 탱크(200)의 하부가 물에 잠기면서 밸러스트 탱크(220)에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하부 개폐밸브(221)가 개방된 상태로 잠수식 저장 탱크(200)가 해저에 설치될 경우, 해저의 모래 등이 밸러스트 탱크(220)의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잠수식 저장 탱크(200)가 하강하여 상부 개폐밸브(222)가 물에 잠기면 하부 개폐밸브(221)를 폐쇄하고 상부 개폐밸브(222)를 개방시켜 계속해서 밸러스트 탱크(220)에 밸러스트 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220)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비어 있는 잠수식 저장 탱크(200)를 가라앉혀 해저에 설치하기 위해 탈부착 가능한 중량물(미도시)을 잠수식 저장 탱크(200)의 외부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중량물은 내부에 밸러스트 수로서 해수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보조 밸러스트 탱크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GBS(Gravity-Based Structure)일 수도 있다. 보조 밸러스트 탱크에는 해수 이외에도 모래나 돌 등과 같이 해수보다 비중이 큰 물체가 수용될 수 있다.
유지보수나 이동 재설치를 위해 잠수식 저장 탱크(200)를 부상시킬 경우를 감안하여, 중량물은 필요 시, 잠수식 저장 탱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잠수식 저장 탱크(200)에 저장된 LNG는 배출펌프(231)에 의해서 파이프 조립체(232)를 통해서 잠수식 저장 탱크(200)로부터 배출되며, LNG는 상기 연결파이프(300)를 통해서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에 공급된다. 재기화설비(130)는 LNG를 기화시켜서 발전모듈(120)에 공급하기 위한 설비이다.
잭업식 발전플랜트(100)는 잭업 유닛(110)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므로 주변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30)에 설치된 BOP(Blow Out Preventer)는 탱크 몸체(210) 내부에서 LNG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탱크 몸체(210)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연결파이프(300)를 통해 잭업식 발전플랜트(100)까지 압력상승의 악영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BOP의 내부를 통과하는 파이프를 절단하고 밀봉한다.
또한, 잠수식 저장 탱크(200)에 저장된 LNG의 배출시, 잠수식 저장 탱크(200)의 밸런싱을 조절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수 펌프(233)는 밸러스트 탱크(220)에 밸러스트 수를 공급한다.
또한, 잠수식의 저장 탱크(20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연결파이프(300) 내의 증발가스 통로를 통해서 잭업식 발전플랜트(100)에 공급되고, 재기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발전모듈(12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잭업 유닛에 의해서 발전플랜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하여 해상의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발전플랜트에서 안전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발전플랜트의 밸러스팅이 필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의 자체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LNG 공급을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하되, 별도로 해저에 잠수식의 LNG 탱크를 설치하므로 육지로부터 가스 공급이 불가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탱크의 슬로싱(Sloshing)이 없으므로 마찰열이 없고 수중에서 LNG 탱크로 전해지는 열이 해상보다 현저히 적으므로 BOG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NG 로딩(Loading)이 발전플랜트(Jack-up BMPP) 본선과는 상관없이 수중에서 저장 탱크와 LNG Bunkering Vessel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전플랜트의 전력 생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런 기상악화로 발전플랜트가 위험에 노출되더라도 LNG 저장 탱크는 해저에 안전하게 설치되므로 LNG 저장 탱크 파손으로 인한 환경피해를 전혀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와 LNG 저장 탱크를 따로 동시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획기적인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와 LNG 저장 탱크를 따로 운반(Transportation), 설치(Installation)하기 때문에 리프팅 로드(Lifting Load)가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에 설치된 LNG 저장 탱크에서 발전플랜트뿐만 아니라 FSRU 또는 육상 LNG 터미널 등 다양한 가스 관련 설비로도 LNG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LNG 저장 탱크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가스 관련 분야에서 널리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잭업 유닛
100: 잭업식 발전플랜트
120: 발전모듈
121: 가스 터빈/엔진 발전 유닛
122: 폐열회수 스팀발생기
123: 스팀 터빈 발전유닛
130: 재기화설비
200: 잠수식 저장 탱크
210: 탱크 몸체
211: 내부 벽
212: 외부 벽
220: 밸러스트 탱크
222, 221: 상,하부 개폐밸브
230: 연결부
231: 배출펌프
232: 파이프 조립체
233: 밸러스트 수 펌프
240: 밀봉 및 단열 방벽
300: 연결 파이프
310: 단위 연결파이프
320: 조인트

Claims (16)

  1. 잭업 유닛을 구비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 설치된 발전모듈에 LNG를 공급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저에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 및
    LNG 공급을 위해서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와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잭업 유닛은 수직으로 해저 면까지 설치되고,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내부 벽 및 외부 벽에 의해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탱크 몸체;
    상기 탱크 몸체의 내부 벽과 외부 벽 사이에 형성되는 밸러스트 탱크; 및
    상기 연결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몸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LNG의 배출을 위해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는 파이프 조립체; 및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하단에 장착된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는 밸러스트 수를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상,하부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액체/가스 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다수의 단위 연결파이프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연결파이프의 연결부위에는 조인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내부에 액체통로와 증발가스통로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는 재기화설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1. 잭업식 발전플랜트를 구비하고,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 LNG를 공급하여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에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저에 설치되는 잠수식 저장 탱크를 구비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에는 BOP(Blow Out Prevente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에는 밸러스트 수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와 상기 LNG 탱크는 따로 운반(Transportation) 및 설치(Installati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의 슬로싱(Sloshing)이 없으므로 마찰열이 없고 수중에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로 전해지는 열이 해상보다 적어서 BOG 발생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LNG 로딩(Loading)은 상기 잭업식 발전플랜트(Jack-up BMPP)와는 상관없이 수중에서 상기 잠수식 저장 탱크와 LNG 벙커링 선박(Bunkering Vessel)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KR1020140053054A 2014-05-01 2014-05-01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KR10160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54A KR101606691B1 (ko) 2014-05-01 2014-05-01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PCT/KR2015/003164 WO2015167131A1 (ko) 2014-05-01 2015-03-31 발전플랜트 시스템, 그 발전플랜트 시스템의 잠수식 저장탱크, 및 그 잠수식 저장탱크 설치구조
PH12016502117A PH12016502117A1 (en) 2014-05-01 2016-10-24 Power plant system, submerged storage tank of same power plant system,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same submerged stor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054A KR101606691B1 (ko) 2014-05-01 2014-05-01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086A true KR20150126086A (ko) 2015-11-11
KR101606691B1 KR101606691B1 (ko) 2016-03-28

Family

ID=5460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054A KR101606691B1 (ko) 2014-05-01 2014-05-01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5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KR20200093764A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수소생산플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599A (ja) * 1996-08-20 1998-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海底lng貯蔵システム
KR100957170B1 (ko) * 2009-09-16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가스자원용 부유식 해상 플랜트 시스템
KR20110008676A (ko) 2009-07-21 2011-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 장착식 연료전지 발전용 플랜트 및 그 설치방법
KR20120080836A (ko) 2011-01-10 2012-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형 해상 부유식 구조물
KR101279646B1 (ko) * 2011-12-27 2013-06-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발전소
KR20130075909A (ko) * 2011-12-28 2013-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형 발전 플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599A (ja) * 1996-08-20 1998-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海底lng貯蔵システム
KR20110008676A (ko) 2009-07-21 2011-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 장착식 연료전지 발전용 플랜트 및 그 설치방법
KR100957170B1 (ko) * 2009-09-16 2010-05-11 한국해양연구원 가스자원용 부유식 해상 플랜트 시스템
KR20120080836A (ko) 2011-01-10 2012-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복합형 해상 부유식 구조물
KR101279646B1 (ko) * 2011-12-27 2013-06-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발전소
KR20130075909A (ko) * 2011-12-28 2013-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형 발전 플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15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KR20200093764A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수소생산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691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8157A (en) Marine structure
JP5808431B2 (ja) 海上ジャッキアップ・プラットホームを利用したlng再気化設備
US3972199A (en) Low adhesional arctic offshore platform
JP6550128B2 (ja) 海上活動のための海底ターミナル
US6164872A (en) Method of production of large tank, system using such large tank and submerged tunneling method using the tank
US3831385A (en) Arctic offshore platform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US11993351B2 (en) Single-column semi-submersible platform
KR101606691B1 (ko)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JP6977244B2 (ja) 水素貯蔵設備
KR101559413B1 (ko) 발전플랜트 시스템
JPS5837449B2 (ja) カイテイセキユサイクツヨウサクセイキ
KR20130035499A (ko) 해양 구조물
RU2779235C1 (ru) Морско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добыче, подготовке и переработке сырьевого газа c целью производства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широкой фракции легки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и стабильного газового конденсата на основании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типа (ОГТ)
RU2603436C1 (ru) Плавучее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RU163720U1 (ru) Плавучее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типа
KR20150104452A (ko) 잠수식 저장탱크 및 이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RU2228876C2 (ru) Морской погружной нефтеналивной причал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WO2023244134A1 (ru) Морско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добыче, подготовке и переработке сырьевого газа
JP2017032004A (ja) 高圧ガスの貯蔵方法およびタンク
WO2015167131A1 (ko) 발전플랜트 시스템, 그 발전플랜트 시스템의 잠수식 저장탱크, 및 그 잠수식 저장탱크 설치구조
KR101606692B1 (ko) 연근해에서의 해양플랜트 시스템 및 그 해양플랜트 시스템의 콘크리트 케이슨
KR20150055758A (ko) 배수량 가변형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NO831567L (no) Anordning ved plattformdekk ved sjoebaserte installasjoner
KR20140045130A (ko) 해수 취수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