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778A -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778A
KR20150125778A KR1020140052300A KR20140052300A KR20150125778A KR 20150125778 A KR20150125778 A KR 20150125778A KR 1020140052300 A KR1020140052300 A KR 1020140052300A KR 20140052300 A KR20140052300 A KR 20140052300A KR 20150125778 A KR20150125778 A KR 2015012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marker
user terminal
data
accou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희
윤태정
최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5778A/ko
Priority to EP15162070.5A priority patent/EP2940635A1/en
Priority to US14/698,000 priority patent/US20150317332A1/en
Priority to CN201510213907.0A priority patent/CN105049658A/zh
Publication of KR2015012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4Mapping; Conversion
    • G06F16/86Mapping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OF THE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 방법 및 사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QR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이 발달과 함께, 제공될 수 있는 컨텐츠 종류 및 형태도 다양해지면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고 있다. 일 예로, 사람들은 무거운 책을 손수 들고다니지 않더라도, e-book을 통해 간편하게 소설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관리의 편의성, 휴대의 용이성 때문에 점차 대부분의 아날로그 문서가 전자 문서로 대체되고 있으나, 아날로그 문서만의 직관적인 정보 전달력 및 친숙함까지 전자 문서가 채워주기엔 부족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자신의 손때가 묻은 책을 버리지 못하며, 책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선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참고자료를 책 사이에 끼워 놓기도 하고, 책의 귀퉁이에 다른 책에서 발췌한 내용을 적어 놓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만으론 내용 정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번거롭기도 하다.
이에 따라 어떤 책에선, 각 파트마다 관련 내용을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의 URL 주소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URL 주소를 일일히 입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주소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진정으로 그 책의 독자가 원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해줄 수 있는 정보 관리의 새로운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QR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상기 저장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 마커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마커에 대해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상기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상기 저장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 마커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마커에 대해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상기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별 마커의 이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예컨대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각종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며,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가 구비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구비된 촬영부를 통해 식별 마커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마커란, 바코드 또는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이차원 코드인 QR 코드일 수 있다. 식별 마커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읽힐 수 있는 이미지 또는 문자 등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식별 마커를 구입하거나, 다운로드 받아 프린터로 출력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식별 마커 사용을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식별 마커의 등록을 위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식별 마커가 촬영되면, 식별 마커에 대하여 기 할당된 서버 영역 상에 계정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계정은,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따라 생성된 것이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에 따라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서버 장치(200)에서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이 등록되면, 이후 사용자는 등록된 식별 마커에 특정 컨텐츠를 연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신문, 책 등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촬영한 동영상, 텍스트, 웹사이트 주소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된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일 수 있다.
이후, 특정 컨텐츠가 연계된 식별 마커가 다시 촬영되면, 식별 마커에 연계된 컨텐츠가 불려들여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식별 마커를 마치 포스트 잇 처럼 책, 노트 등에 붙여 놓고 이용할 수 있다. 본 식별 마커가 포스트 잇과 다른 점은, 포스트 잇은 한정된 공간에만 메모를 할 수 있지만, 식별 마커에 담길 수 있는 정보는 무한하며, 정보의 형태도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 그 제한이 없다. 또한, 사용자는 식별 마커를 촬영한 후, 잇달아 컨텐츠를 촬영하는 동작만으로 손쉽게 식별 마커와 컨텐츠를 연계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별 마커의 이용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필기한 노트에 필요한 부분마다 식별 마커를 붙여놓을 수 있다.
각 식별 마커는 사용자가 필기한 부분에서 참고될 수 있는 컨텐츠와 연계될 수 있다. 예컨대, 노트(20) 왼쪽 상단에 부착된 식별 마커(21)가 촬영되면, 사용자가 노트 내용과 함께 참고하기 위해 촬영해 두었던 논문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노트(20) 왼쪽 하단에 부착된 식별 마커(22)가 촬영되면 사용자가 노트 내용과 함께 참고하기 위해 촬영했던 신문 이미지, 지도 이미지 등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아날로그 컨텐츠 외에도, 사용자는 식별 마커를 촬영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를 열람할 수도 있다. 예컨대, 노트(20) 오른쪽 상단에 부착된 식별 마커(23)를 촬영하면 미리 지정해 두었던 동영상이 실행될 수 있으며, 노트(20) 오른쪽 하단에 부착된 식별 마커(24)를 촬영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미리 지정해 두었던 웹 사이트 주소로 연결하여 그 웹 사이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선 식별 마커가 필기 노트와 같은 종이 문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식별 마커는 전자 기기, 장난감, 자연물 등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식별 마커의 이용의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한하므로, 이상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촬영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 측에 마련되어, 객체를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일 예로, 촬영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배치된 면과 같은 면 또는 그 반대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촬영부(110)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객체를 촬영하고, 그 촬영 영상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정확한 식별 마커 인식을 위해, 촬영부(110)는 근접 촬영(접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부(110)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며, 제1 객체와 연계될 제2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객체란 식별 마커를 포함하는 객체를 의미하며, 제2 객체는 사용자가 제1 객체와 연계시키고자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객체의 촬영은,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신호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터치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식별 마커가 촬영되면, 제1 객체에 연계된 제2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인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제1 객체와 제1 객체에 부착된 식별 마커에 저장된 정보를 함께 출력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된 인쇄 장치(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동작에 대해선 도 4를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와 연계될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는 예컨데, 텍스트, 사진, 동영상, 웹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UI에 대해선 도 5를 참고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130)는, 서버 장치(200)의 각종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을 생성하여,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가 촬영되면,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200)에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객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 마커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 정보를 검출하고, 식별 마커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하여, 식별 마커에 대해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객체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식별 마커의 에지 정보, 이미지 벡터 정보 등을 분석하여, 식별 마커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검출된 식별 마커 부분을 스캔하여, 식별 마커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별 마커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구입하거나, 다운로드 받아 인쇄한 QR코드는 아래 표와 같이, 계정 정보나 연결될 정보 값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채, 미리 정의된 연결 URL만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이후, QR코드가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촬영된 QR코드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200)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선 QR 코드 촬영 전 사용자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인증 이후 QR코드가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200)에 계정을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촬영된 QR코드에 대응되는 계정을 아래 표에 나타난 것과 같이 서버 장치(200)에 등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등록 단계 이후, QR코드에 연계시킬 객체(제2 객체)가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아래와 같이,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아래 표와 같이 QR코드와 연결시켜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객체의 촬영은 제1 객체의 촬영시점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이루어질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즉, 제1 객체의 촬영 이후,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객체의 촬영을 위한 준비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준비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준비 상태 동안 제2 객체가 촬영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30)는 초기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화면이란 제1 객체의 촬영을 위한 제어명령을 받기 위한 화면이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으로서, 예를 들어 홈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준비상태 동안, 제어부(130)는 제2 촬영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 창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입력부(미도시)에는 제1 객체의 촬영 이후 제2 객체의 촬영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제1 객체의 촬영 이후 제2 객체의 촬영을 위해, 사용자는 기 설정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제2 객체의 촬영 준비를 마친 후에 제2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제2 객체의 촬영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버튼은 제1 객체의 촬영 이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제1 객체의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 객체의 촬영 이후 제어부(120)는 제2 객체의 촬영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 마커가 포함된 제1 객체와 제2 객체가 연속되어 촬영되는 동작만으로, 식별 마커에 제2 객체를 연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식별 마커에 연계시키고 싶은 경우, 제2 객체의 촬영은 여러 번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식별 마커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복수의 제2 객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면, 복수의 제2 객체에 대한 복수의 촬영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서버 장치(200)의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최초로 제2 객체가 촬영된 이후, 또 다른 제2 객체의 촬영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받기 위한 버튼 또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에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제어부(130)는 계정에 저장된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를 획득한 뒤,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할당된 링크 주소로서 http://tinyurl.com/ljpvrjm를 가진 QR코드가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https://www.dropbox.com/s/mulv31ovs3dcyo7/energyjoule.jpg에 링크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계정에 저장된 경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하거나, 복수의 제2 객체에 대한 촬영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될 시, 제어부(130)는 위와 같이 저장된 연결될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식별 마커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연결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제1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고하면, 필기 노트에 식별 마커(410,420,430)가 부착되어 있다. 식별 마커(410,420,430)가 촬영되면, 디스플레이부(120)에 인쇄 명령을 받기 위한 UI(440)가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또는 촬영 이전에 인쇄에 대한 설정이 있는 경우에만 인쇄 명령을 받기 위한 UI(440)가 표시될 수 있다. 인쇄 명령을 받기 위한 UI(440)는 마커 연결정보 인쇄 버튼(441) 및 일괄 인쇄(44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마커에 연결된 정보 인쇄 버튼(44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식별 마커(410,420,430) 각각에 연계된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프린팅 AIP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장치는 식별 마커(410,420,430)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411,421,431)가 포함된 용지(400)를 출력할 수 있다.
일괄 인쇄 버튼(442)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식별 마커(410,420,430) 각각에 연계된 촬영 이미지와 함께, 촬영된 필기 노트 이미지도 함께 출력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장치는 식별 마커(410,420,430)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411,421,431) 및 노트 필기 이미지가 포함된 용지(400)를 출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어부(130)는 필기 노트에서 각 식별 마커가 부착된 부위에, 각 식별 마커에 연계된 이미지를 삽입시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필기노트 내용과 각 식별 마커에 연계된 이미지들을 분리하여 출력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계정에 저장할 수 있으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고하면, 식별 마커가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연결정보 입력 페이지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받는 UI(510)를 표시할 수 있다. 연결정보 입력 페이지로 이동이 선택(511)되면, 데이터 입력 UI(52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는 텍스트, 링크 주소, 사진, 동영상 등일 수 있다. 데이터 입력 UI(520)는 식별 마커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는 Title 영역, 식별 마커에 연계시킬 URL 주소 입력 영역(522), 메모 영역(5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내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등이 식별 마커에 연계될 수 있고, 이 경우 데이터 입력 UI(520)는 사진 선택버튼(524), 동영상 선택 버튼(5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식별 마커에 지도 정보가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입력 UI(520)에 포함된 지도 버튼(526)이 선택되면, 지도 검색 페이지로 인터넷 연결되고, 선택된 지역에 대한 정보가 식별 마커에 연계될 수 있다. 또는, 웹검색 버튼(527)이 선택되면, 포털 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검색한 웹페이지 주소가 식별 마커에 연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 장치(200)의 사용자 계정에 저장한다. 이후 다시 식별 마커가 촬영되면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사용자가 입력했던 URL 주소에 해당되는 웹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했던 메모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객체에 연계시키기 위해 지정했던 사진,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불려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지도 검색 정보가 표시되거나, 웹검색 했던 페이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의하면, 서로 떨어져 있는 아날로그 문서 간의 연계가 가능하며, 아날로그 문서와 전자 문서가 혼용되는 환경에서도, 각 문서 간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별 마커 촬영이후 연계시킬 데이터 입력 또는 촬영 과정만으로도 곧바로 자동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선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버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장치(200)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식별 마커 정보 및 사용자 인식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계정 초기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 장치(100)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저장부(220)는 각 식별 마커에 연결된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저장하고 있거나, 각 식별 마커에 연결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저장부(220)에 사용자 계정별로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계정 초기화 명령에 따라, 삭제 또는 편집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서버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은, 식별 마커에 대한 정보,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00)엔 각 식별 마커 별로 기 할당된 영역이 존재하며, 제어부(230)는 식별 마커 정보와 함께 수신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에 따라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식별 마커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식별 마커와 일치하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수신한 식별 마커가 등록된 것이고 연결된 정보가 없는 경우, 그 식별 마커에 대응하는 계정에,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 자체가 상기 계정에 저장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식별 마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수신한 식별 마커가 등록된 것이고, 연결된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230)는 연결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를 전송받아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식별 마커에 연결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한다(S710).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촬영부(110)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 객체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식별 마커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한다(S720). 구체적으로, 서버 장치(200)에는 식별 마커별로 기 할당된 서버 영역이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식별 마커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 장치(200)는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 객체 촬영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30).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동안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초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객체가 촬영되면(S740),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한다(S750). 이 경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는, 촬영과 동시에 본 서버 장치(200) 내에 저장되거나, 다른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고,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 자체가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후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서버 장치(200)는 재촬영된 식별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식별 마커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을 확인하고, 그 계정에 저장된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송받은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이용하여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식별 마커의 등록 절차에 바로 이어 데이터 연결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식별 마커의 등록 절차와는 별도로, 식별 마커에 컨텐츠를 연계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의 식별 마커(10)는 컨텐츠 연계 준비가 완료된 등록된 식별 마커이다.
도 8의 가장 위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별 마커(10)를 부착한 제1 객체를 촬영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식별 마커(10)에 연계시킬 컨텐츠를 입력받을 준비 상태로 진입한다. 이 준비 상태에서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20)가 촬영되면, 제2 객체(20)의 촬영 데이터는 서버(200) 또는 다른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 객체(20)의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는, 식별 마커(10)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마커(10)를 재촬영하게 되면, 계정에 저장된 제2 객체(20)의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를 이용하여, 제2 객체(2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촬영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통신 기능, 촬영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촬영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 측에 마련되어, 객체를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일 예로, 촬영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배치된 면과 같은 면 또는 그 반대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촬영부(110)는 식별 마커가 부착된 객체를 촬영하고, 그 촬영 영상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정확한 식별 마커 인식을 위해, 촬영부(110)는 근접 촬영(접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GPU(134)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컨대 인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UI 또는 제1 객체와 연계될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150)와 통합된 터치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40)는 서버 장치(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터치 패널의 터치 감지 센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사용자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센서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특히 저장부(16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식별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마커 검출 모듈(161), 검출된 식별 마커를 인식하기 위한 마커 인식 모듈(162), 서버 장치(200)의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계정 업데이트 모듈(163),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식별 마커에 연계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모듈(164) 등이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제어모듈을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각 별개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31), ROM(132), CPU(133), GPU(13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RAM(131), ROM(132), CPU(133), GPU(134)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특히, 촬영부(110)를 통해 식별 마커가 촬영되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 마커가 등록된 것인지를 판별하고, 미등록 식별 마커이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등록된 식별 마커이면 식별 마커에 대응한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제어부(130) 데이터를 불러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식별 마커에 연계시킬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계정에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촬영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Claims (17)

  1.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상기 저장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객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 마커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마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마커에 대해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상기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9.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상기 저장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를 촬영한 촬영 이미지로부터 상기 식별 마커를 분석하여 식별 마커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식별 마커에 대해 기 할당된 서버 영역에 상기 계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정에 대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계정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된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웹 페이지에 대한 링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를 상기 계정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마커가 재촬영되면, 상기 입력된 링크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식별 마커가 부착된 제1 객체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을 서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객체가 촬영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객체에 연계시킬 제2 객체가 촬영되면,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촬영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상기 식별 마커에 대응되는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40052300A 2014-04-30 2014-04-30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150125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300A KR20150125778A (ko) 2014-04-30 2014-04-30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EP15162070.5A EP2940635A1 (en) 2014-04-30 2015-03-31 User terminal apparatus for managing data and method thereof
US14/698,000 US20150317332A1 (en) 2014-04-30 2015-04-28 User terminal apparatus for managing data and method thereof
CN201510213907.0A CN105049658A (zh) 2014-04-30 2015-04-29 用于管理数据的用户终端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300A KR20150125778A (ko) 2014-04-30 2014-04-30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778A true KR20150125778A (ko) 2015-11-10

Family

ID=5281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300A KR20150125778A (ko) 2014-04-30 2014-04-30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17332A1 (ko)
EP (1) EP2940635A1 (ko)
KR (1) KR20150125778A (ko)
CN (1) CN1050496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434A (ko) * 2017-09-01 2019-03-11 어메이징픽쳐스코리아 주식회사 사진 제작 판매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797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148103A (zh) * 2018-11-06 2020-05-12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蓝牙设备安全连接性的检测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5521A1 (en) * 1998-03-06 1999-09-10 Audiovelocity, Inc. Multimedia linking device with page identification and active physical scrollbar
KR100509931B1 (ko) * 2003-03-07 2005-08-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코드 패턴을 이용한 운송 호출 서비스의 제공방법
JP4600646B2 (ja) * 2003-11-18 2010-1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その画像データ管理方法
CN1848132A (zh) * 2005-04-05 2006-10-18 全谱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撷取条形码影像提供服务的方法及其架构
JP4743522B2 (ja) * 2006-03-15 2011-08-10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画像データ記録方法、画像データによる作業実績記録方法、画像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画像データによる作業実績記録システム
US8554690B2 (en) * 2006-03-31 2013-10-08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using media keys
US8929877B2 (en) * 2008-09-12 2015-01-06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processing
JP5297506B2 (ja) * 2010-11-01 2013-09-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725777B2 (en) * 2012-05-19 2014-05-13 Trimble Navigation Limited Object recognition and localization service using RF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434A (ko) * 2017-09-01 2019-03-11 어메이징픽쳐스코리아 주식회사 사진 제작 판매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0635A1 (en) 2015-11-04
CN105049658A (zh) 2015-11-11
US20150317332A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camera
CN103677618B (zh) 用于终端的文本识别设备和方法
KR102001218B1 (ko) 객체와 관련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2022095738A (ja) デジタル画像撮影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312873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205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 reading guide method thereof
US109967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92291A1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JP529481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1138315A (ja) 画像出力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885704A (zh) 文本放大显示方法
US20140368869A1 (en) Method of printing web pag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7122113A (zh) 生成图片的方法及装置
US10686927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portable device
KR20150044540A (ko) 단말장치의 정보 리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50125778A (ko)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US8704939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252453A (ja) 読書システム、端末装置、連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699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812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79983A1 (en) Medium storing programs executable by terminal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JP2016095620A (ja) 表示装置、サーバ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321204B2 (ja) 商品検索装置及び商品検索方法
JP6312044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5795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