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197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197A
KR20150125197A KR1020140052142A KR20140052142A KR20150125197A KR 20150125197 A KR20150125197 A KR 20150125197A KR 1020140052142 A KR1020140052142 A KR 1020140052142A KR 20140052142 A KR20140052142 A KR 20140052142A KR 20150125197 A KR20150125197 A KR 20150125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ubstrate
pixels
light emitt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580B1 (ko
KR102274580B9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58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580B1/ko
Publication of KR10227458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58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은 복수의 화소가 정의되고, 복수의 화소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복수의 화소 상에 형성되고, 백색 광을 발광한다. 제2 기판은 제1 기판에 대향한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 기판에 형성된다. 적색 컬러 필터 패턴, 녹색 컬러 필터 패턴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은 제2 기판에 형성되고,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별도의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인셀(In-cell) 방식으로 형성하여,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고 휘도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휘도가 상승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의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을 사용하는 상면 발광(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광 반사율을 저감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에 대응되는 광을 각각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소위 RGB 방식과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에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소위 W+CF(color filter)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서브 화소에서 방출되는 광(光)의 출사 방향에 따라, 상면 발광 방식과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나뉜다. 상면 발광 방식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반대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배면 발광 방식은 구동 트랜지스터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방식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 패턴들이 형성된 제2 기판을 포함한다. 제1 기판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스캔 배선, 데이터 배선 및 구동 트랜지스터 등이 배치된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제2 기판과 컬러 필터 패턴 사이에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되어 하나의 컬러 필터 패턴을 통과하는 광이 해당 컬러 필터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 컬러 필터 패턴으로 진입하여 혼색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는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외광이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제2 기판 상에 편광판을 부착하는데, 이는 광추출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추출 효율 개선을 위해 편광판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편광판 제거로 인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광에 의해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서 외광의 반사가 쉽게 발생한다. 이는 명실 명암 대비비(ambient contrast ratio)를 낮게 한다.
[관련기술문헌]
1. 컬러필터기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4745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광 반사를 줄여 명실 명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제1 기판은 복수의 화소가 정의되고, 복수의 화소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복수의 화소 상에 형성되고, 백색 광을 발광한다. 제2 기판은 제1 기판에 대향한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 기판에 형성된다. 적색 컬러 필터 패턴, 녹색 컬러 필터 패턴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은 제2 기판에 형성되고,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별도의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인셀(In-cell) 방식으로 형성하여,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고 휘도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휘도가 상승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의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과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선편광 패턴 및 위상 지연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선편광 패턴을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1 얼라인 패턴 및 위상 지연 패턴을 제2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2 얼라인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에 접하여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블랙 매트릭스의 폭은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은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색 컬러 필터 패턴, 녹색 컬러 필터 패턴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은 복수의 화소의 발광 영역에만 대응하여 제2 기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액티브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코플래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의 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경계를 정의하는 뱅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 제1 기판 상에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고, 제2 기판에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고, 제2 기판에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별도의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인셀 방식으로 형성하여,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낮은 반사율을 유지하고 휘도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휘도가 상승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의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기판에 제1 얼라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얼라인층에 선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선편광층에 제2 얼라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얼라인층에 위상 지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얼라인층, 선편광층, 제2 얼라인층 및 위상 지연층을 동시 식각하여 제1 얼라인 패턴, 선편광 패턴, 제2 얼라인 패턴 및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외광 반사 저감 패턴에 접하도록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2 기판에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은 발광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컬러 필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기판에 제1 컬러 필터 패턴, 제2 컬러 필터 패턴 및 제3 컬러 필터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기판에 제1 얼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얼라인 패턴에 선편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선편광 패턴에 제2 얼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얼라인 패턴에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선편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 또는 리오트로픽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을 제1 얼라인 패턴에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 조사를 통해 혼합물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을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조사를 통해 반응성 메조겐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2 기판의 블랙 매트릭스가 위치하는 상부에 반사율이 낮은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줄여 명실 명암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이 포함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10), 유기 발광 소자(140), 제2 기판(115),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 적색 컬러 필터 패턴(151), 녹색 컬러 필터 패턴(152)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153)을 포함한다. 도 1a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제1 기판(110)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과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사용하는 W+CF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해당한다.
제1 기판(11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여러 엘리먼트들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판이다. 제1 기판(110)은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 기판(110)에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다. 복수의 화소는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를 포함한다. 도 1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화소 중 3개의 화소만을 도시하였다.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은 표시 영역(DA_R, DA_G, DA_B) 및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을 구비한다. 표시 영역(DA_R, DA_G, DA_B)은 유기 발광 소자(140)로부터의 광이 발광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은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Vdd 배선 등과 같은 다양한 배선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 소자들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1 기판(110) 상에는 버퍼층(131)이 형성되고, 버퍼층(13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버퍼층(131) 상에 액티브층이 형성되고, 액티브층 상에 게이트 절연층(132)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132) 상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과 액티브층 상에 층간 절연층(133)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133)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에 형성된다. 도 1b에서는 버퍼층(131)이 채용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버퍼층(131) 없이 제1 기판(110) 상에 바로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b에서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들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시되었다. 도 1b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코플래너(coplanar)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오버 코팅층(134)이 형성된다. 오버 코팅층(134)은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하나를 개구시키는 컨택홀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므로, 오버 코팅층(134) 상에 반사판(149)이 형성된다. 반사판(149)은 유기 발광 소자(140)로부터 발광된 광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상부로 진행하게 하기 위해 반사율이 높은 금속성 물질로 형성된다. 반사판(149)은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소자(140)가 오버 코팅층(134) 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 소자(140)는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 소자(140)는 애노드(141),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42) 및 캐소드(143)를 포함한다. 애노드(141)는 정공(hole)을 공급하기 위해 일함수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고, 캐소드(143)는 전자(electron)을 공급하기 위해 일함수가 낮은 물질로 형성된다. 애노드(141)는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별로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반사판(149) 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142)과 캐소드(143)는 제1 기판(110) 전면 상에 단일의 층으로 형성된다.
뱅크층(135)은 애노드(141)의 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경계를 정의한다. 즉, 뱅크층(135)은 서로 이웃하는 화소를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뱅크층(135)은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표시 영역(DA_R, DA_G, DA_B)과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뱅크층(135)은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을 덮도록 형성되고,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표시 영역(DA_R, DA_G, DA_B)을 개구시키도록 형성된다.
제2 기판(115)은 제1 기판(110)에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제2 기판(115)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여러 엘리먼트들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제2 기판(115)에 형성된다. 도 1b를 기준으로,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은 제2 기판(115)의 하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은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에 형성된다.
블랙 매트릭스(170)가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다양한 배선이나 박막 트랜지스터(120) 등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170)는 유기 발광층(142)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혼색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블랙 매트릭스(170)는 제2 기판(115)에서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에 형성된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블랙 매트릭스(170)의 폭은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매트릭스(170)의 폭과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의 폭이 같을 수도 있으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외광을 반사하기 위한 별도의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있으므로, 블랙 매트릭스(170)의 폭은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개구율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기판(115)에는 컬러 필터 패턴(150)이 형성된다. 컬러 필터 패턴(150)은 유기 발광층(142)으로부터 발광된 백색광의 색을 변환시킨다. 컬러 필터 패턴(150)은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색 컬러 필터 패턴(151)이 적색 화소(P_R)에 형성되고, 녹색 컬러 필터 패턴(152)이 녹색 화소(P_G)에 형성되며, 청색 컬러 필터 패턴(153)이 청색 화소(P_B)에 형성된다.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15) 각각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이 형성된 후,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15)은 별도의 접착층 등에 의해 합착될 수 있다.
종래의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제2 기판 전면 상에 편광판이 부착되는데, 편광판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추출 효율 개선을 위해서 편광판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나, 편광판을 제거하는 경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서 외광의 반사가 쉽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에서 발생하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 전체를 덮도록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R, NDA_G, NDA_B)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광 반사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의 표시 영역(DA_R, DA_G, DA_B)에서도 반사판(149) 및/또는 캐소드(143)에 의한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의 경우, 애노드(141)와 제2 기판(115) 사이에 컬러 필터 패턴(15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컬러 필터 패턴(150)에서 상당량의 외광이 흡수된다. 따라서,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의 표시 영역(DA_)에서는 외광의 반사로 인한 문제가 적기 때문에,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의 표시 영역(DA_R, DA_G, DA_B)에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표시 영역(DA_R, DA_G, DA_B)에서의 광추출 효율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적색 화소(P_R)의 표시 영역(DA_R), 녹색 화소(P_G)의 표시 영역(DA_G) 및 청색 화소(P_B)의 표시 영역(DA_B)에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형성되지 않고, 적색 화소(P_R)의 비표시 영역(NDA_R), 녹색 화소(P_G)의 비표시 영역(NDA_G) 및 청색 화소(P_B)의 비표시 영역(NDA_B)에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형성되어, 외광의 반사는 최소화하면서도 방출되는 광의 손실을 줄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개구율 및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a를 참조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이 제1 얼라인(align) 패턴, 선편광 패턴(162), 제2 얼라인 패턴(163) 및 위상 지연 패턴(164)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화소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만을 개략화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패턴(161)은 제2 기판(115)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선편광 패턴(162)은 제1 얼라인 패턴(161)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제1 얼라인 패턴(161)은 그 내부가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 선편광 패턴(162)을 구성하는 물질을 정렬시키고, 선편광 패턴(162)이 소정의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얼라인 패턴(161)은 아크릴레이트계 물질 또는 에폭시계 물질과 같은 광 배향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편광 패턴(162)은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리오트로픽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선편광 패턴(162)은 90°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광을 90° 선편광시킨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2 얼라인 패턴(163)은 선편광 패턴(162)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위상 지연 패턴(164)은 제2 얼라인 패턴(163)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제2 얼라인 패턴(163)은 그 내부가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 위상 지연 패턴(164)을 구성하는 물질을 정렬시키고 위상 지연 패턴(164)이 소정의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얼라인 패턴(163)은 아크릴레이트계 물질 또는 에폭시계 물질과 같은 광 배향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상 지연 패턴(164)은 반응성 메조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상 지연 패턴(164)은 45° 또는 -45°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지연 패턴(164)은 1/4 파장층(QWP)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위상 지연 패턴(164)은 90°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편광시키고, 원편광을 0° 선편광으로 편광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얼라인 패턴(161), 선편광 패턴(162), 제2 얼라인 패턴(163) 및 위상 지연 패턴(164)을 포함하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은 선편광 패턴(162)과 위상 지연 패턴(164)의 작용에 의해서 외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제1 기판(110), 선편광 패턴(162) 및 위상 지연 패턴(164)만을 도시하였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입사되는 외광을 점선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편광 상태인 외광이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된 선편광 패턴(162)으로 입사한다. 선편광 패턴(162)은 선편광 패턴(162)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90° 선편광시킨다. 위상 지연 패턴(164)은 45° 또는 -45°의 투과축을 가지므로, 위상 지연 패턴(164)을 통과한 외광은 원편광된다. 원편광된 외광은 블랙 매트릭스(170) 또는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된 다양한 배선들, 박막 트랜지스터(120) 등에서 반사된 후, 다시 위상 지연 패턴(164)을 통과하면서 0° 선편광된다. 0° 선편광된 외광은 선편광 패턴(162)의 투과축과 상이하므로, 선편광 패턴(162)에 대부분 흡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은 외광의 반사를 저감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은 비표시 영역(NDA)에만 형성되고, 표시 영역(D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편광 패턴(162) 및 위상 지연 패턴(164)은 표시 영역(DA)에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영역(DA)에서 발광된 광은 비편광된 상태로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을 통과하지 않으면서 진행하므로, 표시 영역(DA)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손실이 거의 없으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외광 반사 저감 패턴(260)은 도 2a에 도시된 외광 반사 저감 패턴(160)과 비교하여 제3 얼라인 패턴(265) 및 추가 위상 지연 패턴(266)을 더 포함한다. 도 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화소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만을 개략화하여 도시하였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3 얼라인 패턴(265)은 그 내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는 상이한 제3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 추가 위상 지연 패턴(266)을 구성하는 물질을 정렬시키고 추가 위상 지연 패턴(266)이 소정의 편광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제3 얼라인 패턴(265)은 아크릴레이트계 물질 또는 에폭시계 물질과 같은 광 배향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 위상 지연 패턴(266)은 반응성 메조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 위상 지연 패턴(266)은 15°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위상 지연 패턴(164)은 75°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백색 화소(P_W)를 더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P_W),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를 포함한다. 도 4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화소 중 4개의 화소만을 도시하였다.
백색 화소(P_W)는 표시 영역(DA_W) 및 비표시 영역(NDA_W)을 구비한다. 표시 영역(DA_W)은 유기 발광 소자(440)로부터의 광이 발광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_W)은 데이터 배선, 스캔 배선, Vdd 배선 등과 같은 다양한 배선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 소자들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 화소(P_W)에는 반사판(449)이 형성되지 않고, 오버 코팅층(434) 상에 애노드(441)가 바로 형성된다. 백색 화소(P_W)의 애노드(441)는 백색 화소(P_W)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420)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와 같이 백색 화소(P_W)에도 반사판(449)이 형성되고, 반사판(449) 상에 애노드(44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이 제2 기판(415)에 형성된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은 백색 화소(P_W), 적색 화소(P_R), 녹색 화소(P_G) 및 청색 화소(P_B)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_W, NDA_R, NDA_G, NDA_B)에 형성된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은 백색 화소(P_W)의 표시 영역(DA_W)에 대응하도록 더 형성된다. 백색 화소(P_W)의 표시 영역(DA_W)에는 적색 화소(P_R)의 표시 영역(DA_R), 녹색 화소(P_G)의 표시 영역(DA_G) 및 청색 화소(P_B)의 표시 영역(DA_B)과는 상이하게 컬러 필터 패턴(450)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색 화소(P_W)의 표시 영역(DA_W)에서는 외광 반사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는 백색 화소(P_W)의 표시 영역(DA_W)에도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광 반사는 최소화하면서도 방출되는 광의 손실을 감소시켜,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의 복수의 화소 각각의 표시 영역은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발광 영역에는 반사판(449), 애노드(441), 유기 발광층(442), 캐소드(443) 및 컬러 필터 패턴(450) 모두가 형성되는 반면, 표시 영역의 투과 영역에는 반사판(449), 애노드(441) 및 컬러 필터 패턴(450)은 형성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442) 및 캐소드(443)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은 발광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 기판(415)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외광 반사 저감 패턴(460)은 컬러 필터 패턴(450)이 형성되는 표시 영역의 발광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으나, 컬러 필터 패턴(450)이 형성되지 않는 표시 영역의 투과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이 포함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2 기판(515)에 형성되는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 블랙 매트릭스(570) 및 컬러 필터 패턴(550)에 대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갖는 하나의 화소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 제1 기판(510) 상에 유기 발광 소자(540)를 형성한다. 복수의 화소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기판(515)에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을 형성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 기판(515)에 제1 얼라인층(591)을 형성하고, 제1 얼라인층(591)에 선편광층(592)을 형성하고, 선편광층(592)에 제2 얼라인층(593)을 형성하며, 제2 얼라인층(593)에 위상 지연층(594)을 형성한다.
제1 얼라인층(591)은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에폭시계 등과 같은 광배향성 물질층을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하고 광배향성 물질층을 경화시킨 후, 편광 UV 조사 또는 러빙에 의해서 광배향성 물질층을 제1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즉, 제1 얼라인층(591)은 코팅가능한(coatable) 물질로 형성된다.
선편광층(592)은 반응성 메조겐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 또는 리오트로픽 액정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을 제1 얼라인층(591)에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경화하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경화 공정은 UV조사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선편광층(592)은 코팅가능한 물질로 형성된다.
제1 얼라인층(591)이 제1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오븐에서의 건조 시 선편광층(592)이 제1 얼라인층(591)에 의해 정렬되어 90°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얼라인층(593)은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에폭시계 등과 같은 광배향성 물질층을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하고 광배향성 물질층을 경화시킨 후, 편광 UV 조사 또는 러빙에 의해서 광배향성 물질층을 제2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즉, 제2 얼라인층(593)은 코팅가능한 물질로 형성된다.
위상 지연층(594)은 반응성 메조겐을 제2 얼라인층(593)에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경화하는 공정을 통해서 형성된다. 경화 공정은 UV조사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위상 지연층(594)은 코팅가능한 물질로 형성된다.
제2 얼라인층(593)이 제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오븐에서 건조 시 위상 지연층(594)이 제2 얼라인층(593)에 의해 정렬되어 45° 또는 -45°의 투과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층(591), 선편광층(592), 제2 얼라인층(593) 및 위상 지연층(594) 중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얼라인층(591), 선편광층(592), 제2 얼라인층(593) 및 위상 지연층(594)을 동시 식각하여, 제1 얼라인 패턴(561), 선편광 패턴(562), 제2 얼라인 패턴(563) 및 위상 지연 패턴(564)을 형성한다.
제1 얼라인층(591), 선편광층(592), 제2 얼라인층(593) 및 위상 지연층(594) 중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포토 레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 식각 및 스트립의 일련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c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여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에 접하도록 블랙 매트릭스(570)를 형성하고, 도 5d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 패턴(550)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2 기판(515)에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 필터 패턴(55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기판(515)에 제1 컬러 필터 패턴(550), 제2 컬러 필터 패턴(550) 및 제3 컬러 필터 패턴(55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컬러 필터 패턴(550), 제2 컬러 필터 패턴(550) 및 제3 컬러 필터 패턴(550)은 적색 컬러 필터 패턴(551), 녹색 컬러 필터 패턴(552)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553)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제1 얼라인층(591), 선편광층(592), 제2 얼라인층(593) 및 위상 지연층(594)을 형성한 후, 제1 얼라인층(591), 선편광층(592), 제2 얼라인층(593) 및 위상 지연층(594)을 동시에 식각하는 방식으로 제1 얼라인 패턴(561), 선편광 패턴(562), 제2 얼라인 패턴(563) 및 위상 지연 패턴(564)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광 반사 저감 패턴(56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기판(515)에 제1 얼라인 패턴(561)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얼라인 패턴(561)에 선편광 패턴(562)을 형성하는 단계, 선편광 패턴(562)에 제2 얼라인 패턴(563)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얼라인 패턴(563)에 위상 지연 패턴(564)을 형성하는 단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편광 패턴(562)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 또는 리오트로픽 액정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을 제1 얼라인 패턴(561)에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 조사를 통해 혼합물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상 지연 패턴(564)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을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조사를 통해 반응성 메조겐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410: 제1 기판
115, 415, 515: 제2 기판
120, 420: 박막 트랜지스터
131, 431: 버퍼층
132, 432: 게이트 절연층
133, 433: 층간 절연층
134, 434: 오버 코팅층
135, 435: 뱅크층
140, 440: 유기 발광 소자
141, 441: 애노드
142, 442: 유기 발광층
143, 443: 캐소드
149: 반사판
150, 450, 550: 컬러 필터 패턴
151, 451: 적색 컬러 필터 패턴
152, 452: 녹색 컬러 필터 패턴
153, 453: 청색 컬러 필터 패턴
160, 260, 460, 560: 외광 반사 저감 패턴
161, 561: 제1 얼라인 패턴
162, 562: 선편광 패턴
163, 563: 제2 얼라인 패턴
164, 564: 위상 지연 패턴
265: 제3 얼라인 패턴
266: 추가 위상 지연 패턴
170, 470, 570: 블랙 매트릭스
591: 제1 얼라인층
592: 선편광층
593: 제2 얼라인층
594: 위상 지연층
100, 4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_R: 적색 화소
P_G: 녹색 화소
P_G: 청색 화소
P_W: 백색 화소
DA: 표시 영역
DA_R: 적색 화소의 표시 영역
DA_G: 녹색 화소의 표시 영역
DA_B: 청색 화소의 표시 영역
DA_W: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NDA_R: 적색 화소의 비표시 영역
NDA_G: 녹색 화소의 비표시 영역
NDA_B: 청색 화소의 비표시 영역
NDA_W: 백색 화소의 비표시 영역

Claims (24)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 제1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에 형성되고, 백색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위치된 제2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외광 반사 저감 패턴; 및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적색 컬러 필터 패턴, 녹색 컬러 필터 패턴 및 청색 컬러 필터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상기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과 상기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선편광 패턴 및 위상 지연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은 상기 선편광 패턴을 제1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1 얼라인 패턴; 및
    상기 위상 지연 패턴을 제2 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제2 얼라인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에 접하여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의 폭은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은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컬러 필터 패턴, 상기 녹색 컬러 필터 패턴 및 상기 청색 컬러 필터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화소의 발광 영역에만 대응하여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액티브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코플래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의 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의 경계를 정의하는 뱅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 제1 기판 상에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제2 기판에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에 상기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제1 얼라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얼라인층에 선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층에 제2 얼라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얼라인층에 위상 지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얼라인층, 상기 선편광층, 상기 제2 얼라인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을 동시 식각하여 제1 얼라인 패턴, 선편광 패턴, 제2 얼라인 패턴 및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에 접하도록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백색 화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백색 화소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기판에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의 표시 영역은 발광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제1 컬러 필터 패턴, 제2 컬러 필터 패턴 및 제3 컬러 필터 패턴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반사 저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에 제1 얼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얼라인 패턴에 선편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 패턴에 제2 얼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얼라인 패턴에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 또는 리오트로픽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과 이색성 색소의 혼합물을 상기 제1 얼라인 패턴에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 조사를 통해 상기 혼합물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응성 메조겐을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용매를 건조한 후 UV조사를 통해 상기 반응성 메조겐을 경화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40052142A 2014-04-30 2014-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42A KR102274580B1 (ko) 2014-04-30 2014-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42A KR102274580B1 (ko) 2014-04-30 2014-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97A true KR20150125197A (ko) 2015-11-09
KR102274580B1 KR102274580B1 (ko) 2021-07-06
KR102274580B9 KR102274580B9 (ko) 2021-10-27

Family

ID=5460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42A KR102274580B1 (ko) 2014-04-30 2014-04-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5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361A (ko) * 2015-12-08 2017-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401906B2 (en) 2016-10-07 2019-09-03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51676B2 (en) 2016-12-02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44986B2 (en) 2019-06-17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421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018900A (ja) * 2010-07-07 2012-01-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20039874A (ko) * 2010-10-18 201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20042549A (ko) * 2010-10-25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7914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3080584A (ja) * 2011-10-03 2013-05-0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421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018900A (ja) * 2010-07-07 2012-01-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20039874A (ko) * 2010-10-18 201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20042549A (ko) * 2010-10-25 201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7914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3080584A (ja) * 2011-10-03 2013-05-0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361A (ko) * 2015-12-08 2017-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401906B2 (en) 2016-10-07 2019-09-03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51676B2 (en) 2016-12-02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44986B2 (en) 2019-06-17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580B1 (ko) 2021-07-06
KR102274580B9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6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01554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166149B1 (en) Preparation method for an amoled display panel
CN106328674B (zh) 有机el装置、有机el装置的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KR1021516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870148B (zh) 有机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4089804A (ja)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2008011357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5012520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817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2994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326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45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30473A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74863B1 (ko) 유기발광소자
KR20170010931A (ko)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3764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8306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252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8455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603593B1 (ko) 백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18181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7868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98924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
KR20160035685A (ko) 휘도 시야각 및 색 시야각을 개선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