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410A -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410A
KR20150124410A KR1020150059198A KR20150059198A KR20150124410A KR 20150124410 A KR20150124410 A KR 20150124410A KR 1020150059198 A KR1020150059198 A KR 1020150059198A KR 20150059198 A KR20150059198 A KR 20150059198A KR 20150124410 A KR20150124410 A KR 20150124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sh
contents
sponsor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우
강경동
이성주
Original Assignee
네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엠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2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를 등록받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 그리고 방송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설치 및 실행된 통합 앱과 연동하고, 방송 콘텐츠에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사전에 협의 또는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콘텐츠가 결합된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ASH-UP CONTENTS}
본 발명은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방송 기기들이 늘어남에 따라 방송 콘텐츠 또한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지만 방송 콘텐츠는 일부 대기업에 제한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방송 콘텐츠를 중소기업 또는 광고사가 매쉬-업(Mash-up)하여 무료 또는 할인된 금액으로 배포한다면 사용자들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 생각된다.
현재, 유투브는 무료 동영상 사이트로 자신의 영상을 타인과 공유 할 수 있다. 개인이 영상을 수정하거나 원본 그대로 업로드하고 단 시간에 전 세계인들이 볼 수 있다.
유투브는 콘텐츠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동시에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잘 나타내는 것이 저작권 문제이다. 누구나 제약없이 영상을 업로드 할수 있고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작권 관련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 사업자와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콘텐츠와 방송 콘텐츠가 결합된 매쉬-업(Mash-up) 콘텐츠의 검색 및 구매가 가능한 콘텐츠 마켓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매쉬-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를 등록받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 그리고 방송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설치 및 실행된 통합 앱과 연동하고, 방송 콘텐츠에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사전에 협의 또는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콘텐츠가 결합된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검색 화면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선택 및 요청한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마켓 운영부는,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등록 기능 및 상기 스폰서 정보 및 상기 스폰서 콘텐츠의 등록 기능을 웹 상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마켓을 운용하고,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서로 다른 스폰서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매쉬-업 콘텐츠 항목이 포함된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가 유료일 경우, 상기 스폰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용 전액을 스폰서에게 전액 과금 처리하거나 또는 일부는 상기 스폰서에게 과금 처리하고 일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폰서와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 간에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상기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유료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과금 처리되는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선택 및 요청된 방송 콘텐츠에 상기 스폰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결합한 매쉬-업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할 수 있다.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요청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스폰서 콘텐츠를 각각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사 콘텐츠에 대한 방송 수수료를 매쉬-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폰서, 예를 들면, 중소기업, 광고사가 일부 또는 전체를 부담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매쉬-업 콘텐츠를 무료 또는 할인된 금액으로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방송 콘텐츠를 광고사의 매쉬-업 요소와 함께 시청함으로써, 방송 콘텐츠를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시청함으로서 방송사와 광고사, 시청자간의 이해관계를 높임으로서 대기업에 국한된 방송 콘텐츠 배포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중소기업 또는 광고사가 수많은 방송이 결합된 매쉬-업 콘텐츠를 개발하게 됨으로써 시청자들의 선택폭은 넓어질 것이며 대기업 위주의 방송 콘텐츠가 자유로운 상품으로서 인정받게 되고 판매자 구매자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는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협력형 미디어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화면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앱(100)은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는 매쉬-업 콘텐츠의 등록 기능,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의 등록 기능을 웹 상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마켓(300)을 운용한다.
여기서, 콘텐츠 마켓(300)은 오픈 마켓 방식일 수 있다. 오픈 마켓은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모두 열려 있는 인터넷 중개몰(온라인 장터)을 말한다. 개인과 소규모 판매업체 등이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 오픈 마켓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중간유통마진을 생략할 수 있어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물품 공급이 가능하다. 플랫폼을 제공한 대가로 상품을 등록한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받는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직거래 장터이기 때문에 매매 과정이 신속하다.
통합 앱(100)은 셋톱박스(400)에 제조시 내장되거나 또는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셋톱박스(400)는 통합 앱(100)의 제어하에 매쉬-업 콘텐츠를 TV(500)에 출력한다.
통합 앱(100)은 사용자 단말(600)에 설치 및 실행된다. 사용자 단말(600)은 다양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예를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다말(600)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다.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는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이다. 방송 콘텐츠를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로 스트리밍 또는 전송한다. 이때,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는 별도의 사업자의 서버일 수도 있지만,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기한 내용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협력형 미디어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201), 스폰서 등록 DB(203), 매쉬-업 콘텐츠 저장부(205),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 과금 처리부(209) 및 구매 이력 관리부(211)를 포함한다.
콘텐츠 마켓 운영부(201)는 웹 상에서 콘텐츠 마켓을 제공하여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를 등록받는다. 이때, 스폰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매쉬-업 콘텐츠를 등록받을 수 있다.
콘텐츠 마켓 운영부(201)는 방송 콘텐츠 사업자와 제휴 관계 또는 사전 계약이 설정된 스폰서 사업자에게 해당 방송 콘텐츠 사업자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여 매쉬-업 콘텐츠를 제작 및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콘텐츠 마켓을 웹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스폰서 등록 DB(203)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201)가 등록받은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를 저장한다.
매쉬-업 콘텐츠 저장부(205)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201)가 등록받은 매쉬-업 콘텐츠를 저장한다.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방송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설치 및 실행된 통합 앱(100)과 연동한다. 즉, 통합 앱(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콘텐츠에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사전에 협의 또는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콘텐츠가 결합된 매쉬-업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여기서, 디바이스는 도 1에서 설명한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을 포함하며, 이하 디바이스로 통칭하여 기재한다.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검색 화면을 통해 디바이스가 선택 및 요청한 매쉬-업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서로 다른 스폰서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매쉬-업 콘텐츠 항목이 포함된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 장르 별로 매쉬-업 콘텐츠가 복수개 나열된 검색 화면,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와 연관된 매쉬-업 콘텐츠를 나열한 검색 화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스폰서와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 간에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과금 처리되는 매쉬-업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디바이스로 전송한 이후, 디바이스로부터 선택 및 요청된 방송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부터 수신하여 스폰서 등록 DB(203)로부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협의된 스폰서 콘텐츠를 획득하여 방송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결합한 매쉬-업 콘텐츠를 생성하여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디바이스가 요청한 방송 콘텐츠와 스폰서 콘텐츠를 각각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방송 콘텐츠와 스폰서 콘텐츠는 디바이스에서 결합되어 매쉬-업 콘텐츠로 생성되어 재생된다.
과금 처리부(209)는 방송 콘텐츠가 유료일 경우, 스폰서 등록 DB(203)에 저장된 스폰서 정보를 토대로 방송 콘텐츠의 사용 전액을 스폰서에게 전액 과금 처리하거나 또는 일부는 스폰서에게 과금 처리하고 일부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과금 처리한다.
또한, 과금 처리부(209)는 스폰서와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 간에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유료 과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과금 처리부(209)는 PPM(Periodic Peripheral Metering), PPV(Pay-per-view), PPP 방식으로 과금 처리할 수 있다.
PPM은 인터넷 광고계 등에서 배너광고 등의 단순 노출광고의 경우 백만번 노출당 과금하는 광고상품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PPV는 케이블 방송이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등의 VOD 서비스 혹은 인터넷 컨텐츠 등에서 요금을 과금하거나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인 페이퍼뷰를 뜻한다.
구매 이력 관리부(211)는 디바이스에서 유료로 결제한 매쉬-업 콘텐츠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이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매쉬-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이 통합 앱(100)을 실행한다(S101). 그리고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에 접속한다(S103).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이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로부터 매쉬-업 콘텐츠 검색 화면을 수신한다(S105).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은 매쉬-업 콘텐츠 검색 화면에서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매쉬-업 콘텐츠를 선택(S107)하면, 선택 정보를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S109).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S109 단계에서 선택된 매쉬-업 콘텐츠가 유료인지를 판단한다(S111).
이때, 유료인 경우,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과금 처리부(209)는 매쉬-업 콘텐츠에 대하여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금 처리한다(S113). 즉, 매쉬-업 콘텐츠의 스폰서 사업자에게 전액 과금처리하거나 또는 사용자 및 스폰서 사업자에게 일정 비율로 과금 처리할 수 있다.
과금 처리 이후, 또는 매쉬-업 콘텐츠가 무료인 경우,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S109 단계에서 선택된 매쉬-업 콘텐츠를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한다(S115).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은 수신된 매쉬-업 콘텐츠를 재생한다(S11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이 통합 앱(100)을 실행한다(S201). 그리고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에 접속한다(S203).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가 방송 콘텐츠 정보, 즉, EPG와 같은 방송 스케쥴 정보를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S205).
그러면,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수신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한다(S207).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S209)하면, 선택 정보를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S211).
그러면,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 S211 단계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를 전송하여 선택된 방송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다(S213).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는 S213 단계에서 요청받은 방송 콘텐츠가 유료인지를 판단한다(S215).
이때, 유료인 경우,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는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로 결제를 요청한다(S217).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과금 처리부(209)는 S211 단계에서 선택된 방송 콘텐츠에 대해 사전에 협의된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 처리한다(S219). 이때, 사용자가 일부 과금해야 한다면,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와 연동하여 신용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이용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과금 처리부(209)는 과금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완료 응답을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 전송한다(S221).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부터 수신(S223)되는 방송 콘텐츠에 스폰서 콘테츠를 결합(S225)하여 생성한 매쉬-업 콘텐츠를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한다(S227).
그러면,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은 S227 단계에서 수신한 매쉬-업 콘텐츠를 재생한다(S229).
이때,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 및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가 하나의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단일 서버 또는 단일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고 이런 경우 S203 단계~ S227 단계는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4에서 S223 단계 이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협력형 미디어 서버(200)의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207)는 콘텐츠 제공자 서버(700)로부터 수신(S301)된 방송 콘텐츠와, 이러한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사전에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사업자의 스폰서 콘텐츠를 각각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으로 전송한다(S303, S305).
그러면, 셋톱박스(4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의 통합 앱(100)은 각각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스폰서 콘텐츠를 결합하여 매쉬-업 콘텐츠를 생성하여 재생한다(S30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쉬-업 콘텐츠 제공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셋톱박스가 TV에 출력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매쉬-업 콘텐츠 제공 화면은 방송 콘텐츠 화면(P1)의 일측에 스폰서 콘텐츠(P3)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스폰서 콘텐츠(P3)의 항목 중 일부 항목을 선택하면 도 6의(b)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매쉬-업 콘텐츠 제공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폰서 콘텐츠(P7)가 방송 콘텐츠 화면(P1) 위에 오버레이 되어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스폰서 정보 및 스폰서 콘텐츠를 등록받는 콘텐츠 마켓 운영부, 그리고
    방송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설치 및 실행된 통합 앱과 연동하고, 방송 콘텐츠에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와 사전에 협의 또는 제휴 관계가 설정된 스폰서 콘텐츠가 결합된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검색 화면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가 선택 및 요청한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마켓 운영부는,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등록 기능 및 상기 스폰서 정보 및 상기 스폰서 콘텐츠의 등록 기능을 웹 상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마켓을 운용하고,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서로 다른 스폰서에 의해 등록된 복수의 매쉬-업 콘텐츠 항목이 포함된 상기 매쉬-업 콘텐츠의 검색 화면을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가 유료일 경우, 상기 스폰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용 전액을 스폰서에게 전액 과금 처리하거나 또는 일부는 상기 스폰서에게 과금 처리하고 일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서와 상기 방송 콘텐츠의 사업자 간에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상기 매쉬-업 콘텐츠에 대한 유료 과금 처리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서로 협의된 과금 방식에 의해 과금 처리되는 매쉬-업 콘텐츠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한 이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선택 및 요청된 방송 콘텐츠에 상기 스폰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결합한 매쉬-업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요청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스폰서 콘텐츠를 각각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50059198A 2014-04-28 2015-04-27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50124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37 2014-04-28
KR20140051037 2014-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10A true KR20150124410A (ko) 2015-11-05

Family

ID=5460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198A KR20150124410A (ko) 2014-04-28 2015-04-27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4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2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mmerce in network broadcasting
CN110214451B (zh) 与广告和奖励收集机制整合的视频内容分发平台
KR102075512B1 (ko) 동적 비디오 광고 교체
US8386304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television and mobile device
US107357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broadcast advertising
US20080046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 synchronizing data streams
US9185441B2 (en) Upstream/downstream network and/or conten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US9530152B2 (en) Selecting advertising for presentation with digital content
AU20083525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ed advertisement
US100096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with dynamic ad creative localization
US202003445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questing electronic programming content through internet content
EP3230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with a customized adaptive user experience based on adaptive algorithms
KR20160060637A (ko) 콘텐츠 제공과 연관되는 관계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119416A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WO2016094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with a customized adaptive user experience based on adaptive advertisement format building
WO20161098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roduct exchange
WO2018183125A1 (en) Video-content-distribution platform integrated with advertisement and reward collection mechanisms
TWI559241B (zh) Active mobile TV advertising method applied to mobile terminal devices
US201202596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edia and targeted content
KR101667373B1 (ko) 광고 영상을 방송하는 광고상품에 대한 광고중개서버의 중개방법 및 그 광고중개서버
KR20150124410A (ko) 매쉬-업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1601892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items for skipping advertisements
KR20050082567A (ko) 인터넷을 통한 방송자막광고 판매방법, 방송자막광고를이용한 전자상거래방법
JP2013026990A (ja) コンテンツ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