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51A -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51A
KR20150124351A KR1020140070567A KR20140070567A KR20150124351A KR 20150124351 A KR20150124351 A KR 20150124351A KR 1020140070567 A KR1020140070567 A KR 1020140070567A KR 20140070567 A KR20140070567 A KR 20140070567A KR 20150124351 A KR20150124351 A KR 20150124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mber
far
salt
mask
infrared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스코메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스코메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스코메가
Publication of KR2015012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피와 내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의 필터 부재를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제조하고, 이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켜 제조한 기능성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MULTI-FUNCTIONAL MASK CONTAINING SALT RADIATING FAR-INFRARED RAY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피와 내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의 필터 부재를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제조하고, 이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켜 제조한 기능성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겨울이 시작되면 중국발 스모그와 함께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미세먼지는 지름이 10㎛(1㎛=1/100만 m) 이하의 입자를 말한다.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심혈관계, 호흡기계 환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사망률도 높아진다.
한 연구에 의하면 한국의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해 연간 2만 여명의 조기 사망과 80만 여명의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무려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된다.
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인위적인 오염에 의해 배출되는 것도 있다. 우리가 마시는 미세먼지의 평균 30~50%는 중국에서 기원한다. 계절적으로는 봄철 황사와 겨울철 스모그가 발생할 때 중국의 영향이 더욱 크다.
미세먼지는 코나 기도에서 많이 걸러지지만 2.5㎛ 이하의 미세먼지는 폐포 끝까지 이동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는 순간 모세 혈관으로 이동하여 기관지염, 폐렴 같은 호흡기 계통 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같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현재로서는 미세먼지 발생 패턴을 예측하고, 고농도 발생이 우려되는 시기에 인위적 배출을 줄이고 실외활동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먼지 및 유해 물질의 흡입을 최소화하고자 실외 활동을 하지 않을 수는 없으며 가능한 한 미세 먼지나 유해 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방진 마스크나 황사 마스크 등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인플루엔자는 '플루(flu)'라고도 불리는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열성 감염질환을 뜻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 B, C형의 3가지로 나뉘며, 사람에게 인플루엔자를 일으키는 것은 주로 A형과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하지만 B형은 한 가지 종류만 존재하고 감염 시 증상이 상대적으로 약한데 반해, A형은 유전자형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아형(subtype)이 존재하고 감염 시 증상이 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에게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인플루엔자는 학교, 요양소, 군대 등 많은 사람들이 집단 생활하는 곳에서 급속도로 퍼져 나간다. 감염된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비말(droplet)을 통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으로 입, 코 또는 눈 근처를 접촉(contact)하여 감염될 수도 있다.
인플루엔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휴지나 손, 팔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사용한 휴지는 주의하여 버린 후,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면 감염물질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것을 줄여준다. 마스크는 입과 코를 모두 가리도록 착용하고, 자주 손을 깨끗이 씻고, 필요 시 사회적 격리(social distancing)를 함께 해야 효과가 있다.
마스크는 방한대, 산업용 방진 마스크, 의약외품으로 관리되는 마스크 등이 있다. 그 중 의약외품으로 관리되고 있는 마스크는 크게 4종류가 있으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호흡기 질병의 감염, 악취, 매연을 차단하는 보건용 마스크, 진료, 치료 또는 수술시 감염 예방을 위한 수술용 마스크, 황사 방지용 마스크, 전염성 질병의 감염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방역용 마스크로 분류한다.
특히, 여과재로 된 안면부와 걸이 밴드로 구성되며 여과재인 안면부에 의해 분진 등을 여과한 깨끗한 공기가 흡입되고 체내의 공기는 여과재인 안면부를 통해 외기 중으로 배기되는 구조를 가진 것을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내피와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 필터 부재를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하고, 필터 부재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킴으로써 황사 및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공기 중으로부터 유입되는 인플루엔자 등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안면 여과식 기능성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인체에 무해하며 기존의 방진 마스크나 황사 마스크와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미세먼지 제거와 바이러스 제거에 효과적인 기능성 마스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10029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 필터 등 3~5 중 필터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서도, 내피,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 필터 부재를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하고,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천연 살균제로서 필터 부재 내부에 함침시킴으로써, 집진기능과 살균 및 항균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된 것이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함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 부재의 중량이 10~15g/m2 인 것을 특징으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피와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터 부재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하는 단계;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함침된 필터 부재를 건조하는 단계; 내피, 외피, 필터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걸이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850~1050?로 상승시킨 후, 6~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정전필터, 활성탄 필터 등 4~5 겹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서도, 황사 먼지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천연 살균제로 사용하여 집진기능, 살균 및 항균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킨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여과식 기능성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킨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0) 및 걸이 밴드(200)로 구성되며, 마스크 본체(100)는 외피(130), 내피(110)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 부재(120)로 구성된다. 외피(130)는 외기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고, 내피(110)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체내의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외피(130)와 내피(110)는 각각 면, 재생섬유, 합성 섬유 등이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소재가 혼용되어 부직포나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부재(120)는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내부에 함침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제조된 필터 부재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켜 제조되는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필터 부재를 제조한다(S10). 부직포의 기재로는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 재생 섬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등의 합성 섬유들이 각각 사용되거나 또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의 제조는 섬유의 다발인 웹(Web)의 결합시 접착제를 사용하는 케미컬 본딩(Chemical Bonding), 저융점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접착에 사용되는 써멀 본딩(Thermal Bonding), 압축 공기와 접착제를 이용하는 에어레이 본딩(Air Ray Bonding) 등의 건식 부직포(Dry Ray), 습식 부직포(Wet Ray), 니들펀칭 부직포(Needle Punching Ray), 스판 본드(Spun Bond), 멜트 블로운(Melt Blown) 방법 등 어떤 방법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특히 멜트블로운 방사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용융방사법이지만, 방사 노즐의 출구에 고온, 고압의 공기류를 유입하여 섬유를 연신 및 개섬한 다음 포집 콘베이어 상에 직접시키는 방식이다. 특징으로는 극세섬유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단섬유 직경이 1~10 micron(일반 섬유는 10~30 micron) 범위 내의 부직포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 기재의 섬유의 직경은 1~5 micron 범위의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 필터 기재이다. 본 발명의 필터 기재는 특히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단섬유 부직포로서 멜트블로운(Meltbrown) 방사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방사기에서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용융시켜 노즐을 통하여 방출하게 되는데, 용융된 폴리머가 방출되는 노즐의 형태를 십자(+), 일자(-), 도형(▽) 등으로 형태를 달리 함으로써 섬유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부직포 기재로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부직포 기재의 표면적이 2배 이상 증가되어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표면 고착율을 향상시켜 살균 및 항균 기능이 향상되고, 황사 먼지와 같은 7~10㎛ 크기의 먼지뿐만 아니라 2.5㎛ 이하의 미세먼지에 대한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마스크는 그 용도 및 성능에 따라 성능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데,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의 경우 분진 등 포집 효율 80% 이상, 안면부 배기 저항 300Pa 이하, 안면부 흡기 저항 60Pa 이하 등 시험 성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하기 표 1에 방진 마스크의 성능 기준을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를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구 분 유량
(ℓ/min)
차압(Pa) 염화나트륨(NaCl) 및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시험(%)
안면부
흡기저항
특급 30 100 이하
1급 70 이하
2급 60 이하
안면부
배기저항
160 300 이하
여과재의 분진 등 포집효율 특급 99.0 이상
1급 94.0 이상
2급 80.0 이상
상기 기준에 적합한 필터 부재는 중량이 10~15g/cm2의 범위일 때 상기 1급의 조건을 만족하는 안면부 흡기 저항 65~70Pa, 안면부 배기 저항 240 Pa 이하, 분진 등 포집 효율 94.0~96.0%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필터 부재(120)의 중량이 10g/cm2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진 등의 포집 효율이 80.0%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필터 부재의 중량이 15g/c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면부 흡기 저항이 120 Pa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제조된 필터 부재(120)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키고(S20),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함침된 필터 부재(120)를 건조시킨 후(S30), 외피(130), 내피(110) 및 필터 부재(120)를 결합시키고, 여기에 걸이 밴드(200)를 결합하여 기능성 마스크를 제조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고,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예컨대, 3겹~5겹)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850~10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얻어진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 성분은 벤토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추가하여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오링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한 2 이상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자체의 안정성과 내열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도 하지만 부족 광물을 보충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의 성분은 맥반석, 목문옥,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석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맥반석 15 내지 40 중량%, 목문옥 15 내지 40 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4 중량%, 장석 7 내지 15 중량%, 규석 5 내지 12 중량%, 카오링 6 내지 13 중량% 및 활석 2 내지 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고, 맥반석 20 내지 32 중량%, 목문옥 15 내지 32 중량%, 벤토나이트 2 내지 3 중량%, 장석 9 내지 10 중량%, 규석 7 내지 8 중량%, 카오링 7 내지 9 중량% 및 활석 3 내지 4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 제조의 바인더로서 석회석을 2 내지 6 중량% 추가적으로 함유해도 좋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화학적 구성 성분은 대략, NaCl 95~99.8 중량%(예컨대, 95~98 중량%), Na2O 0.06~0.08 중량%, MgO 0.02~0.04 중량%, K2O 0.01~0.03 중량%, SiO2 0.02~0.03 중량%, Al203 0.01~0.02 중량%, Fe2O3 0.01~0.02 중량%, CaO 0.002~0.003 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희귀미량원소 0.01~0.02 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비소, 납, 카드뮴, 수은 등의 중금속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아니한데, 이것은 먼저 상기 중금속의 비중이 소금보다 큰 비소, 납 등은 비중 차이에 의하여 내열성 용기의 하단부로 침전되어 대부분 용기에 흡수되고, 아울러 잔존하는 미량의 상기 중금속은 그 비등점이 소금보다 낮으므로 800℃ 이상의 고온에서 공기 중으로 기화되어 제거되기 때문이다. 한편, 소금보다 대단히 비등점이 낮은 카드뮴, 수은 등은 가열 단계의 초기에 대부분 기화되어 제거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구성성분은 천일염보다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광물질의 함량이 훨씬 높은 반면 인체에 해를 미치는 납, 비소 등의 성분은 검출 한계치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유황 등 갖가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으로 전환하면 이들 광물질의 함량이 상당히 변할 뿐만 아니라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실리콘, 유황, 아연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신체 내에 광물질이 부족할 때 신경과민, 구루병, 발육부진, 빈혈, 성기능 저하 및 성기관 발육부진, 근육위축, 피부병, 뼈의 성장 장애, 저항력 감소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풍부한 광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옥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에 다량으로 함유된 불순물과 간수, 납, 구리, 비소, 수은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항균, 항바이러스, 중금속 및 독성물질의 해독중화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필수 미량원소의 천연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2차 특수 가공한 기능성제품으로 소금의 독성을 완전히 제거했을 뿐 아니라 미량필수원소의 천연 미네랄을 최대한 보강한 기능이 극대화된 소금이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25℃ 정제수에 용해시켜 3%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소금물을 제조한다. 제조된 소금물에 필터 부재(120)를 30초간 침지하여 소금물이 필터 부재(120)에 함침되도록 한다.
소금물이 함침된 필터 부재를 압착 롤러를 통과시켜 의해 소금물을 짜낸 후, 100~120℃, 20m/min의 속도로 열풍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부착된 필터 부재(120)를 제조한다.
상기 필터 부재(120), 외피(130), 내피(110)를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본체(100)의 규격에 따라 재단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그 접착 방법은 공지된 방법에 의한 것으로, 예컨대 열에 의한 융착 또는 니들(Needle)에 의한 봉제 방식에 의할 수 있다(S40).
상기 결합된 마스크 본체(100)를 걸이 밴드(200)와 결합(S50)하여 최종적으로 기능성 마스크가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필터 부재의 제조
멜트블로운(MeltBrown) 방사기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 Chip을 공급하여 250℃의 온도에서, 일자(-)형 방사 노즐을 적용하여 멜트블로운 방사하여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 필터 부재(12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25℃ 정제수에 용해시켜 3%의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소금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금물에 필터 부재(120)를 30초간 침지하여 소금물이 필터 부재(120)에 함침되도록 하였다.
소금물이 함침된 필터 부재를 100~120℃, 20m/min의 속도로 열풍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부착된 필터 부재(120)를 제조하였다. (필터 부재의 중량: 10~15g/m2)
상기 필터 부재(120), 외피(130), 내피(110)를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본체(100)의 규격에 따라 재단 및 봉제하여 결합시켰다.
상기 결합된 마스크 본체(100)를 걸이 밴드(200)와 봉제하여 최종적으로 기능성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100 : 마스크 본체
200 : 걸이 밴드
110 : 내피
120 : 필터 부재
130 : 외피

Claims (6)

  1. 내피와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로 구성된 것이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의 중량이 10~15g/m2 인 것을 특징으로 기능성 마스크.
  3. 내피와 외피 및 그 사이에 필터 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와, 걸이 밴드로 구성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필터 부재에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침하는 단계;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함침된 필터 부재를 건조하는 단계;
    내피, 외피, 필터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걸이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이형단면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의 중량이 10~15g/m2 인 것을 특징으로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는 단계;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는 단계;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850~1050℃로 상승시킨 후, 6~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140070567A 2014-04-28 2014-06-11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4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01 2014-04-28
KR20140050401 2014-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51A true KR20150124351A (ko) 2015-11-05

Family

ID=5460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567A KR20150124351A (ko) 2014-04-28 2014-06-11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35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799B1 (ko) * 2016-10-18 2017-04-06 에스에이치메디칼 주식회사 격막공간에 히팅와이어가 구비된 호흡순환 도관 장치
CN111248525A (zh) * 2020-02-18 2020-06-09 云南省第一人民医院 可抑制细菌与病毒的复方盐口罩外罩及其制备方法
KR102144869B1 (ko) 2020-06-05 2020-08-14 주식회사 에프앤지아이 항균, 탈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진 수차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230005B1 (ko) * 2020-07-27 2021-03-19 이정안 목화필터 마스크
EP3815750A1 (de) * 2019-11-04 2021-05-05 TPLK Holding GmbH Atemschutzmaske und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filtermediums
AT17149U1 (de) * 2020-04-17 2021-07-15 Omnignostica Forschungs Gmbh & Co Kg Atemschutzmaske
KR20220010996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모닝캄솔트 소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6228A (ko) 2021-12-08 2023-06-15 이병수 다기능성 마스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799B1 (ko) * 2016-10-18 2017-04-06 에스에이치메디칼 주식회사 격막공간에 히팅와이어가 구비된 호흡순환 도관 장치
EP3815750A1 (de) * 2019-11-04 2021-05-05 TPLK Holding GmbH Atemschutzmaske und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filtermediums
CN111248525A (zh) * 2020-02-18 2020-06-09 云南省第一人民医院 可抑制细菌与病毒的复方盐口罩外罩及其制备方法
AT17149U1 (de) * 2020-04-17 2021-07-15 Omnignostica Forschungs Gmbh & Co Kg Atemschutzmaske
KR102144869B1 (ko) 2020-06-05 2020-08-14 주식회사 에프앤지아이 항균, 탈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진 수차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220010996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모닝캄솔트 소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005B1 (ko) * 2020-07-27 2021-03-19 이정안 목화필터 마스크
KR20230086228A (ko) 2021-12-08 2023-06-15 이병수 다기능성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4351A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하는 다기능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JP5155884B2 (ja) 多層式マスク
US10912961B2 (en) Mask having adsorption membrane provided therein
CN104041963B (zh) 改性纳米竹炭口罩及其制备方法
CN204796796U (zh) 防雾霾口罩
CN103876356B (zh) 一种多功能型防护口罩
CN202445176U (zh) 一种可有效过滤pm2.5的立体口罩
US20220110383A1 (en) Face mask
KR102268901B1 (ko) 항균기능을 갖는 마스크 필터용 부직포 원단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다회용 위생 마스크
CN104055246B (zh) 环保竹炭口罩及其制备方法
TWI804867B (zh) 具有由多組分長絲製成的過濾介質的面罩
CN101219260B (zh) 吸附过滤口鼻罩的生产方法
CN212414851U (zh) 一种抗菌防臭的口罩
CN106617385A (zh) 一种口罩的制备工艺
CN202489231U (zh) 一种竹炭口罩
TWM601972U (zh) 複合式多功能口罩
KR20070082091A (ko)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CN206275200U (zh) 口罩
KR102506590B1 (ko) 기능성 마스크
CN212139475U (zh) 静电驻极复合芯体及应用其的口罩
CN207678885U (zh) 一种基于凹土吸附性质的pm2.5口罩
KR102664129B1 (ko) 다기능성 마스크
EP4162828A1 (en) Disposable cloth mask, water-soluble in hot water, for the elimination of pathogens
CN215943938U (zh) 一种具有高弹性复合无纺布
CN212260562U (zh) 静电驻极热风无纺布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