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890A -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890A
KR20150122890A KR1020140048850A KR20140048850A KR20150122890A KR 20150122890 A KR20150122890 A KR 20150122890A KR 1020140048850 A KR1020140048850 A KR 1020140048850A KR 20140048850 A KR20140048850 A KR 20140048850A KR 20150122890 A KR20150122890 A KR 2015012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strength
mold
cylindrical cylinder
parts
trapezo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379B1 (ko
Inventor
손무락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37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리 결합 가능한 좌우 반원통부(10a, 10b)로 이루어진 원통형 실린더부(10)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테이퍼부를 이루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 및;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상하부 캡부(30, 30')로 구성되고, 원통형 실린더부(10)에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사다리꼴부(20')에 하부 캡부(30')을 결합하여 몰드를 조립하는 몰드 조립단계(S1단계)와; 몰드에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를 준비하고 충진시키는 재료준비 및 충진단계(S2단계)와;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 상태에서 양생시키는 양생단계(S3단계)와; 상부 사다리꼴부(20)에 상부 캡부(30)를 결합하는 상부 캡부 결합단계(S4단계)와;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몰드에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5단계) 및;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로 이루어져 종래 인장강도 시험방법과 비교하여 시험과정은 보다 편리하면서 시험결과는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결과의 실무에의 직접적 활용을 통해 지반이나 시설물들의 안전한 설계 및 시공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제성도 추구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Mold device for direct tensile strength test and testing method for tensile strength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직접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나 흙 또는 다양한 혼합재료로 제조된 공시체를 몰드에서 탈형하지 않고 공시체와 몰드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직접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 위나 아래에 다양한 시설물(건물, 철도, 도로, 항만시설, 방파제 등)을 설치하는 건설공사가 국내ㆍ외 곳곳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설물들이 안전하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시설물들을 지지하고 있는 지반과 시설물들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서 시설물의 자중과 기타 추가되는 설하중, 풍하중 등의 다양한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게 되면, 지반이나 시설물들이 파괴되거나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여 시설물들에 균열 등의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반 및 시설물들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강도는 시설물들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는지 반드시 조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지반 및 시설물들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강도는 압축강도 시험, 인장강도 시험, 전단강도 시험 등을 통해서 조사하고 있다.
기존에 적용되어 이용되는 인장강도 시험에는 크게 직접 인장강도 시험과 간접 인장강도 시험인 할렬인장강도 시험과 휨인장강도 시험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직접 인장강도 시험은 몰드에서 시험용 공시체를 제조한 후 탈형하고 탈형된 공시체에 인장시험을 위한 지그를 설치하여 시험을 하는 방법과 공시체의 양단에 에폭시를 바르고 인장시험을 위한 장치를 부착하여 시험을 하는 방법들이 있다.
이와 같은 시험방법들은 시험 공시체를 별도로 만들고, 여기에 시험을 위한 장치들을 부착한 후 시험을 실시하는 등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시험과정도 곤란하고 번거로운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험용 공시체를 몰드에서 탈형한 후 공시체를 누워 놓고 압축력을 가해 할렬인장시키는 할열인장 시험법과 공시체를 빔 형상으로 만들어서 하중을 가하는 휨인장 시험법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간접 인장강도 시험법들은 가해진 압축하중과 인장강도의 이론적 관계식들을 이용하여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갑접 인장강도 시험들을 통한 인장강도는 실질적인 공시체의 인장강도와는 큰 차이가 있어 시험결과의 직접적인 활용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인장강도 시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 직접 인장강도 시험의 문제점인 공시체 제조 및 시험과정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간접 인장강도 시험의 문제점인 시험결과의 직접활용의 부정확성을 해소할 수 있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달리말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직접 및 간접 인장강도 시험으로 인한 단점은 없애면서 장점은 취하여 지반이나 시설물들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인장강도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는 분리 결합 가능한 좌우 반원통부(10a, 10b)로 이루어진 원통형 실린더부(10)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테이퍼부를 이루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 및;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상하부 캡부(30, 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장치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은 좌우 반원통부(10a, 10b)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원통형 실린더부(10)에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사다리꼴부(20')에 하부 캡부(30')을 결합하여 몰드를 조립하는 몰드 조립단계(S1단계)와; 몰드에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를 준비하고 충진시키는 재료준비 및 충진단계(S2단계)와;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 상태에서 양생시키는 양생단계(S3단계); 상부 사다리꼴부(20)에 상부 캡부(30)를 결합하는 상부 캡부 결합단계(S4단계);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몰드에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5단계) 및;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바(30b) 또는 하중전달 너트(30c)로 이루어진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반이나 시설물들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재료의 인장강도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직접 인장강도 시험의 공시체 제조 및 시험과정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종래 간접 인장강도 시험을 통한 시험결과의 부정확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험과정은 보다 편리하면서 시험결과는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결과의 실무에의 직접적 활용을 통해 지반이나 시설물들의 안전한 설계 및 시공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제성도 추구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와 상부 사다리꼴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를 몰드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와 상하부 사다리꼴부의 결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반원통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를 이용한 직접 인장강도 시험방법의 실행 순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를 이용한 직접 인장강도 시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와 상부 사다리꼴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를 몰드에서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실린더부와 상하부 사다리꼴부의 결합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 반원통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 장치의 종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를 이용한 직접 인장강도 시험방법의 실행 순서도로서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는 분리 결합 가능한 좌우 반원통부(10a, 10b)로 이루어진 원통형 실린더부(10)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테이퍼부를 이루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 및;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상하부 캡부(30, 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반원통부(10a, 10b)의 연결부에는 볼트(10c)와 너트(10d) 및 와셔(10e)로 이루어지는 제 1결합수단(11)이 구성되어 좌우 반원통부(10a, 10b)의 좌우 단부가 이루는 단차부를 서로 맞대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와 결합되는 제 2결합수단(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에도 원통형 실린더부(10)와 결합되는 제 3결합수단(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결합수단(12)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12a)과 돌기(12b) 이고, 상기 제 3결합수단(21)은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21a)과 돌기(21b) 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단부 외주연에는 제 4결합수단(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의 내주연에는 제 5결합수단(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5결합수단(22, 31)은 나사(22a, 31a)도 되고,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단부 외주연 각각과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에 각각 형성된 돌기(22b)와 홈(31b)이여도 된다.
여기서 상부 캡부(30)는 하부 캡부(30')와 다르게 내부 공시체를 볼 수 있는 오픈된 공간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는 하중전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하중전달 장치는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반구형 홈(30a)과, 상기 반구형 홈(30a)을 가로질러 형성된 하중전달 바(30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하중전달 장치로는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 힌지역할을 하면서 볼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중전달 너트(30c)를 설치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장치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은 좌우 반원통부(10a, 10b)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원통형 실린더부(10)에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사다리꼴부(20')에 하부 캡부(30')을 결합하여 몰드를 조립하는 몰드 조립단계(S1단계)와; 몰드에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를 준비하고 충진시키는 재료준비 및 충진단계(S2단계)와;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 상태에서 양생시키는 양생단계(S3단계); 상부 사다리꼴부(20)에 상부 캡부(30)를 결합하는 상부 캡부 결합단계(S4단계);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몰드에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5단계) 및;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바(30b) 또는 하중전달 너트(30c)로 이루어진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장강도 시험단계(S5단계)는 몰드내의 공시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 1결합수단(11)의 너트(10d)를 풀어 공시체와 결합된 몰드로부터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분리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몰드 조립단계(S1단계)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0c)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볼트(10c)에 너트(10d)를 조여 좌우 반원통부(10a, 10b)를 서로 결합 고정하여 원통형 실린더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12a)에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 각각에 형성된 돌기(21b)를 끼우며,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21a)에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 형성된 돌기(12b)를 끼워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 상하 단부에 각각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를 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 사다리꼴부(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22a)에 하부 캡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31a)를 결합하여 몰드를 조립하였다.
이어서 재료준비 및 충진단계(S2단계)에서 시험하고자 하는 교반한 재료를 상기 조립된 몰드에 충진시키고, 양생단계(S3단계)에서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기 내에 위치시켜 양생시켰다. 그런 다음 필요 재령일(3, 7, 14, 28일 등)에 상기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기로부터 꺼낸 후 상부 캡부 결합단계(S4단계)에서 상부 사다리꼴부(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22a)에 상부 캡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31a)를 체결하여 상기 상부 사다리꼴부에 상부 캡부를 결합하였다.
계속해서 분리단계(S5단계)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내의 공시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원통형 실린더부(10)의 너트(10d)를 풀어 원통형 실린더부(10)를 이완시켜 공시체와 결합된 몰드로부터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분리시켰다.
이어서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에서 원통형 실린더부(10)가 분리된 나머지 공시체와 결합된 몰드를 인장시험기로 옮기고,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바(30b) 또는 하중전달 너트(30c)로 이루어진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인장하중을 가하여 인장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시험중 공시체에 전달되는 하중은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테이퍼부에 의해 공시체가 장치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며, 인장절단은 공시체의 중앙부에서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의해 종래 직접 인장강도 시험의 공시체 제조 및 시험과정의 어려움과 번거로움 및 종래 간접 인장강도 시험을 통한 시험결과의 부정확성을 해소하면서 시험과정은 종래 보다 편리하면서 시험결과는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원통형 실린더부 10a, 10b : 좌우 반원통부
10c : 볼트 10d : 너트
10e : 와셔 11 : 제 1결합수단
12 : 제 2결합수단 12a : 홈
12b : 돌기 20, 20' : 상하부 사다리꼴부
21 : 제 3결합수단 21a : 홈
21b : 돌기 22 : 제 4결합수단
22a : 나사 22b : 돌기
30, 30' : 상하부 캡부 30a : 반구형 홈
30b : 하중전달 바 30c : 하중전달 너트
31 : 제 5결합수단 31a : 나사
31b : 홈

Claims (11)

  1. 분리 결합 가능한 좌우 반원통부(10a, 10b)로 이루어져 충진 재료가 채워져 양생되어 공시체를 형성하는 원통형 실린더부(10)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테이퍼부를 이루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 및;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상하부 캡부(30, 30')로 구성된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반원통부(10a, 10b)의 연결부에는 볼트(10c)와 너트(10d) 및 와셔(10e)로 이루어지는 제 1결합수단(11)이 구성되어 좌우 반원통부(10a, 10b)의 좌우 단부가 이루는 단차부를 서로 맞대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는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와 결합되는 제 2결합수단(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에도 원통형 실린더부(10)와 결합되는 제 3결합수단(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수단(12)은 상기 원통형 실린더부(10)의 상하단부 내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12a)과 돌기(12b) 이고, 상기 제 3결합수단(21)은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하상단부 외주연 각각에 형성된 홈(21a)과 돌기(21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단부 외주연에는 제 4결합수단(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의 내주연에는 제 5결합수단(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5결합수단(22, 31)은 나사(22a, 31a)이거나 상기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의 상하단부 외주연 각각과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의 내주연에 각각 형성된 돌기(22b)와 홈(31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부(30)는 하부 캡부(30')과 다르게 내부 공시체를 볼 수 있는 오픈된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는 하중전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하중전달 장치는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반구형 홈(30a)과, 상기 반구형 홈(30a)을 가로질러 형성된 하중전달 바(30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 장치는 상하부 캡부(30, 30')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역할을 하면서 볼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중전달 너트(3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10. 좌우 반원통부(10a, 10b)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한 원통형 실린더부(10)에 상하부 사다리꼴부(20, 20')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사다리꼴부(20')에 하부 캡부(30')을 결합하여 몰드를 조립하는 몰드 조립단계(S1단계)와; 몰드에 시험하고자 하는 재료를 준비하고 충진시키는 재료준비 및 충진단계(S2단계)와; 재료가 충진된 몰드를 항온 항습 상태에서 양생시키는 양생단계(S3단계)와; 상부 사다리꼴부(20)에 상부 캡부(30)를 결합하는 상부 캡부 결합단계(S4단계)와;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몰드에서 분리시키는 분리단계(S5단계) 및;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바(30b) 또는 하중전달 너트(30c)로 이루어진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S5단계)는 몰드내의 공시체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원통형 실린더부(10)의 너트(10d)를 풀어 원통형 실린더부(10)를 이완시켜 공시체와 결합된 몰드로부터 원통형 실린더부(10)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인장강도 시험단계(S6단계)는 원통형 실린더부(10)가 분리된 나머지 공시체와 결합된 몰드를 인장시험기로 옮기고, 상하부 캡부(30, 30')의 하중전달 바(30b) 또는 하중전달 너트(30c)로 이루어진 하중전달 장치를 통해 인장하중을 가하여 인장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시험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KR1020140048850A 2014-04-23 2014-04-23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KR10166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50A KR101662379B1 (ko) 2014-04-23 2014-04-23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50A KR101662379B1 (ko) 2014-04-23 2014-04-23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90A true KR20150122890A (ko) 2015-11-03
KR101662379B1 KR101662379B1 (ko) 2016-10-05

Family

ID=5459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50A KR101662379B1 (ko) 2014-04-23 2014-04-23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404A (zh) * 2018-11-02 2019-02-22 河海大学 一种土工拉伸试验的制样装置、方法及试验方法
CN116148068A (zh) * 2023-04-20 2023-05-23 玉田县致泰钢纤维制造有限公司 一种高韧性钢纤维型材强度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606A (ja) * 1989-11-16 1991-07-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半導体モジュールの光半導体素子と二種類以上の光ファイバとの結合方法
JP2000206016A (ja) * 1999-01-12 2000-07-28 Daiwa House Ind Co Ltd Cft柱充填コンクリ―ト等の強度推定用のコンクリ―ト供試体の製作方法及び製作装置
JP2007192765A (ja) * 2006-01-23 2007-08-02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の試験方法および供試体用型枠
KR100989630B1 (ko) * 2010-03-17 2010-10-26 (주) 도담이앤씨종합건축사사무소 그라우트체의 주면마찰력 측정을 위한 모의 실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실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606B2 (ja) * 1992-05-28 2001-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曲げ工程データ作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606A (ja) * 1989-11-16 1991-07-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半導体モジュールの光半導体素子と二種類以上の光ファイバとの結合方法
JP2000206016A (ja) * 1999-01-12 2000-07-28 Daiwa House Ind Co Ltd Cft柱充填コンクリ―ト等の強度推定用のコンクリ―ト供試体の製作方法及び製作装置
JP2007192765A (ja) * 2006-01-23 2007-08-02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の試験方法および供試体用型枠
KR100989630B1 (ko) * 2010-03-17 2010-10-26 (주) 도담이앤씨종합건축사사무소 그라우트체의 주면마찰력 측정을 위한 모의 실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실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404A (zh) * 2018-11-02 2019-02-22 河海大学 一种土工拉伸试验的制样装置、方法及试验方法
CN116148068A (zh) * 2023-04-20 2023-05-23 玉田县致泰钢纤维制造有限公司 一种高韧性钢纤维型材强度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379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0844B2 (en) Combination reinforcing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US20170044734A1 (en)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KR101748809B1 (ko) 중공홀을 이용한 직접 인장강도 측정 시험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장치
KR101662379B1 (ko) 직접 인장강도 시험용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강도 시험방법
CN105424478B (zh) 混凝土构件施加轴向拉伸荷载的试验装置
CN102680667A (zh) 一种直接确定开裂位置的混凝土早龄期抗裂性能测试装置
CN207908263U (zh) 一种可重复使用的粘钢式混凝土拉伸试件夹具
KR20150081264A (ko) 말뚝의 무용접 조인트
CA2887827C (en) Roofing pull-test frame assembly
CN208968910U (zh) 油井水泥石三轴压缩试样的养护模具
US20160201289A1 (en) Reinforcement block construction process and piles prolongation for dynamic pile tests, metallic mold and reinforcement block
CN109991074A (zh) 拉伸专用夹具
Carleton et al. The history and application of the three-edge bearing test for concrete pipe
CN215359055U (zh) 一种圆管推出试验试件模具
CN210067058U (zh) 预埋件
KR101474694B1 (ko) 인장시험기가 내장된 공시체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8459154B (zh) 一种带有约束功能的混凝土湿接缝试验台及试验方法
CN107034875B (zh) 一种装配式圆形试验桩及制作方法
CN210827121U (zh) 一种用于立柱的上下分节预埋临时连接结构
CN112847772A (zh) 一种圆管推出试验试件模具与试件制作方法
US46184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hread profile impression
CN108131024B (zh) 塔厅建筑转换层的修复方法
CN115855801B (zh) 一种锚杆抗拔承载力模拟试验系统及方法
CN110823717B (zh) 一种半柔性路面抗剪强度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202383022U (zh) 一种多功能管材检验和材料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