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31A -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2431A KR20150122431A KR1020140048673A KR20140048673A KR20150122431A KR 20150122431 A KR20150122431 A KR 20150122431A KR 1020140048673 A KR1020140048673 A KR 1020140048673A KR 20140048673 A KR20140048673 A KR 20140048673A KR 20150122431 A KR20150122431 A KR 20150122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film layer
- detection sensor
- leak detection
- leak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 발생시에 누설되는 위치에서 발광되어 누설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설 감지 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 사이에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설 감지 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 사이에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설 발생시에 누설되는 위치에서 발광되어 누설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건의 등록 특허(10-0909242, 10-0827385 등)에서 테이프 형태로 되어 누설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누설 발생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형태의 누설감지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설감지센서(100)는 하부부착층(120), 베이스필름층(110),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0)은 누수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필름층(110)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필름층(13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필름층(1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설이 발생하면, 누설이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131)을 통해 누설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도전성을 갖는 누설에 의해 통전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통전상태 즉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누설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름형 누설감지센서(100)는 원격의 제어기에서 누설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경보가 발생하면, 관리자가 누설 현장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필름형 누설감지센서(100)가 수 100m 걸쳐서 설치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전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누설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에는 누설 위치를 확인하기가 더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누설이 발생된 위치에서 도전라인이 통전되는 경우에 센싱전류에 의해 발광하도록 베이스필름층에 발광소자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누설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 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 사이에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누설 발생시에 누설이 발생되는 위치에서 누설에 의해 통전되어 발광함으로써 누설위치를 육안으로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누설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누수감지장치의 분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의 분해 구조도.
도4는 도3의 회로 구조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의 분해 구조도.
도4는 도3의 회로 구조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1 및 도2에서 이미 언급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도전라인(201,202)의 사이에서 형성된 발광부(203)와 상부보호필름층(21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전라인(201,202)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스트립 형태로 형성되며, 도전라인(201,202)의 사이에는 일정간격마다 발광부(20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부(203)가 LED로 구성된 경우 일측이 도전라인(201)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전라인(202)과 단락된 상태를 갖는다.
또한, 발광부(203)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일측이 도전라인(201)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전라인(202)과 단락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필름상(200)상에 OLED를 형성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하지 않는다.
발광부(203)의 단락된 부위에 해당하는 도전라인(202)에서는 발광부(203)쪽으로 연장된 연장라인(2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라인(204)은 도전라인(202)이 인쇄되어 형성될 때 도전성 잉크 또는 은 화합물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필름층(200)의 상측으로는 상부보호필름층(210)이 적층되는데, 이 상부보호필름층(210)에는 발광부(203)가 형성된 간격과 동일하게 센싱홀(211,2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센싱홀(211,212)은 도4에서와 같이 발광부(203)의 단락된 부위와 연장라인(204) 부위가 각각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믈론, 한 쌍의 센싱홀(211,212)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센싱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류, 산성용액, 알칼리 용액 등의 전도성을 갖는 액체가 누설(L)되어 센싱홀(211,212)을 통해 유입되면, 도전라인(201)과 도전라인(202)이 서로 통전이 되면서 그 통전되는 센싱전류에 의해 발광부(203)가 발광함으로써 누설되는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베이스필름층
201,202 : 도전라인
203 : 발광부 210 : 상부보호필름층
211,212 : 센싱홀
203 : 발광부 210 : 상부보호필름층
211,212 : 센싱홀
Claims (4)
-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도전라인;
상기 한 쌍의 도전라인 사이에서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발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측이 하나의 도전라인과 연결되고, 타측은 또 하나의 도전라인과 단락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 또는 OLED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이 형성된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상기 도전라인과 발광부의 단락된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싱홀들이 형성된 상부보호필름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673A KR20150122431A (ko) | 2014-04-23 | 2014-04-23 |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673A KR20150122431A (ko) | 2014-04-23 | 2014-04-23 |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431A true KR20150122431A (ko) | 2015-11-02 |
Family
ID=5459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8673A KR20150122431A (ko) | 2014-04-23 | 2014-04-23 |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2243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6652A (ko) * | 2018-08-07 | 2020-02-17 | 성백명 |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
-
2014
- 2014-04-23 KR KR1020140048673A patent/KR201501224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6652A (ko) * | 2018-08-07 | 2020-02-17 | 성백명 |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318B2 (en) |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 |
EP2265917B1 (en) |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 |
US9212965B2 (en) |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 |
KR101200918B1 (ko) | 히팅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 |
KR101521155B1 (ko) | 누설 감지 센서 | |
KR101119823B1 (ko) |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 |
KR101460020B1 (ko) |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 |
AR093862A1 (es) | Sistema de exploracion por excitacion superficial para aplicacion en sagd | |
KR101719523B1 (ko) | 유기 용제 누설 감지 장치 | |
KR102305127B1 (ko) | 누설용액 감지장치 | |
JP2007173205A (ja) |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欠陥検査方法 | |
TW201614824A (en) | Pressure array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09241B1 (ko) | 물성감지 리크 센싱 테이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모니터링 장치 | |
RU2017125143A (ru) | Управление освещением на основе одной или более длин гибкой подложки | |
KR101445310B1 (ko) | 리크 감지 방법 | |
KR20150122431A (ko) | 발광기능을 갖는 누설 감지 센서 | |
US10991666B2 (en) | Location displacement detection method, location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 |
KR101847090B1 (ko) |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 |
KR102187189B1 (ko) |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 |
KR102228311B1 (ko) | 누설감지센서의 코팅층 보호장치 | |
KR20150131888A (ko) | 누수 감지 센서 | |
KR20160065460A (ko) | 난방용 배관의 누수감지 장치 | |
KR20140099634A (ko) |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 |
KR102228312B1 (ko) | 화학용액 누설감지장치 | |
KR101605244B1 (ko) | 누설 감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