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101A -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101A
KR20150122101A KR1020150142167A KR20150142167A KR20150122101A KR 20150122101 A KR20150122101 A KR 20150122101A KR 1020150142167 A KR1020150142167 A KR 1020150142167A KR 20150142167 A KR20150142167 A KR 20150142167A KR 20150122101 A KR20150122101 A KR 20150122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ap
scale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544B1 (ko
Inventor
박지은
노혜은
김찬일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지도를 상기 제1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불가능한 경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천이 표시 단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3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최종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TRANSACTION SERVICE}
본 발명은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 위치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변경될 때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천이 상태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및 삭제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한편, 위치 수신기(예컨대 GPS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의 제1 지점을 확인할 수 있어서 지도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 및 사용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지도 트랜지션을 제공하여 지도 서비스에 있어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것을를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지도가 전환될 때 천이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초기 지점 및 목표 지점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지도를 상기 제1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불가능한 경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천이 표시 단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3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최종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의 포인터 및 상기 제2 지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제1 축척에서 제2 축척으로 변화하는 줌 아웃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3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축척에서 제3 축척으로 변화하는 줌 인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3 표시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 상에는 마커(marker)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지점 상에 선택위치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지점 상에 부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의해 획득한 위치 목록 내에 존재할 때,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의 다음 위치 항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기 표시 단계 및 최종 표시 단계는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을 상기 지도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기 표시 단계 이전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는 전체 경로 표시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의 플리커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천이 단계 및 상기 최종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이 단계에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경로 상의 특정 분기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버스 경로 상의 특정 정류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척 및 제3 축척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척은 상기 제1 축척 및 제3 축척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중간 지점이 상기 지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위치 선택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선택에 따라,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지도 상에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함께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가 함께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중 위치 표시부; 상기 판단부가 함께 표시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 및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제1 축척으로 각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일 위치 표시부; 상기 단일 위치 표시부가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표시한 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기 전에,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천이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는 지도 트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도 전환 시 천이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초기 지점 및 목표 지점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지점을 지도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의 축척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경로에 따라 지도의 방향이 전환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위치'는 공간 상의 특정 장소를 뜻하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특정 '지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지도상의 '위치' 및 '지점'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플릭 제스처는 사용자가 터치 시작점에서 터치 종료점까지 터치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 이상의 속도로 슬라이드하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도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관리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지도 상에 선택 위치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일 수 있다. 비록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의 지도상 위치 및 주변 지역의 위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지도 서비스는 단순 위치 검색 뿐만검색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 검색, 경로 검색, 대중교통 정보 검색 등 지도에 관련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도 서비스는 사용자가 위치에 관계된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목록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목록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위치 항목에 대응하는 지점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현재 지도에서 표시되고 있는 지점과 다른 지점를을 표시하길 원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였을 때, 지도가 변환되기 전에 표시되고 있는 지점 및 선택된 지점을 함께 포함하는 천이 상태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특정 지점이 포함(혹은 표시)된 지도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하나의 지도로서 특정 지점 및 특정 지점의 주변 영역을 표시하는 지도를 의미한다. 특정 지점은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상의 지점일 수 있다. 특정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는 표시하고자 하는 특정 지점의 특성에 따라 축척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이 하나의 건물인 겨우경우 1:200의 축척을 사용할 수 있고, 특정 지점이 하나의 시, 군, 구와 같은 광범위한 영역인 경우 1:20000, 혹은 그 이상의 축척을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체적인 역할 및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제어 명령 및 각종 컨텐츠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모바일 이동 기기(mobile telephone)일 수 있다. 혹은,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검색 결과 획득부(110), 위치 선택 수신부(120), 판단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단일 위치 표시부(141), 다중 위치 표시부(142), 천이 상태 표시부(143) 및 애니메이션부(14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사용자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로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부 들의 역할을 살표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310)에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서비스는 디스플레이 화면(310)에 지도와 함께, 검색창(31), 위치정보영역(32), 선택위치마커(33), 부마커(34), 버튼들(35a 내지 35g) 및 축척영역(36)을 표시할 수 있다. 버튼들(35a 내지 35g)은 선택되었을 때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읽어들이는 현재위치버튼(35a), 사용자가 직접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지정버튼(35b), 위치 이동 시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버튼(35c), 전제 화면을 제공하는 전체화면버튼(35d), 거리뷰 화면을 제공하는 거리뷰버튼(35e), 항공뷰 화면을 제공하는 항공뷰 버튼(35f), 지도를 확대/축소하는 확대/축소 버튼(35g), 위치목록을 표시하는 목록버튼(35h)을 포함한다.
검색창(31)은 사용자가 위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고, 위치정보영역(32)은 선택 위치의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위치 명칭, 위치 주소 및 다른 부가 서비스를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선택 위치의 정보가 위치정보영역(32)에 디스플레이되고, 선택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이 포함된 지도가 디스플레이 화면(310)에 표시되며, 선택 위치를 가리키는 선택위치마커(33)가 지도 상의 선택 위치에 표시된다. 도 3의 (a)의 예에서, 선택 위치는 '토다이 분당점'이고, 위치정보영역(32)은 토다이 분당점에 대한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상에는 '토다이 분당점'에 대응하는 선택 지점(A)이 표시되고, 선택 지점(A)에 선택위치마커(33)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flick)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위치정보영역(32)에 표시된 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위치('토다이 분당점')에 대응하는 제1 지점(A)이 지도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플릭 제스처를 취하여 도 3의 (b)와 같이 제2 위치('토다이 목동점')에 대응하는 제2 지점을 지도에 표시시킬 수 있다. 제2 위치는 위치 검색 목록에서 제1 위치 다음에 존재하는 위치 항목일 수 있다.
선택위치마커(33)는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지도상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포인터이다. 부마커(34)는 선택위치마커(33)를 보조하며 선택 위치는 아니지만 위치 목록에 존재하는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하는 포인터이다. 축척영역(36)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지도의 축척을 표시하며, 축척영역(36)은 필수적으로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사용자는 목록버튼(35h)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인 '토다이'에 대한 검색 결과의 위치 목록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창(31)에 '토다이'를 입력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위치정보영역(32)에는 위치 목록에서 첫번째 항목의 위치 정보가 표시되며 지도에는 '토다이'에 대응되는 지점(A)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토다이'에 대한 다른 검색 결과의 위치 목록을 제공받기 위해 목록버튼(35h)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 구성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검색 결과 획득부(110)는 사용자가 위치 검색어를 획득하여 검색된 위치 목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의 (a) 화면에서 검색창(31)에 위치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검색 결과 획득부(110)는 위치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된 위치 검색 결과들을 위치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 화면을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토다이'를 검색창(31)에 입력하면, 검색 결과 획득부(110)는 위치 목록으로 '토다이 분당점', '토다이 목동점', '토다이 명동점' 등을 사용자에게 위치 목록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 화면에서, 사용자는 목록버튼(35h)을 선택하여 '토다이' 검색 결과의 위치 목록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위치 선택 수신부(120)는 검색 결과 획득부(110)가 제공한 위치 목록 중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위치 목록 중 선택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은 위치 목록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면에 위치 목록 전체가 제공되는 경우 그 중 하나를 택할 수도 있고, 혹은 한번에 하나의 위치 목록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위치 목록 표시 영역를 좌우로 플릭(flick)하는 제스처를 통해 위치 목록 중 하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화면은 위치 선택 수신부(120)가 '토다이'에 대한 위치 목록 중 사용자로부터 '토다이 분당점'에 대한 위치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결과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화면에 선택 위치인 '토다이 분당점'에 대한 지도가 표시되고, 위치정보영역(32)에는 토다이 분당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지도에는 '토다이 분당점'에 대응하는 지점(A)에 선택위치마커(33)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선택 수신부(120)는 검색 결과 획득부(110)가 제공한 위치 목록 중 첫번째 위치를 선택 위치로 기본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화면은 사용자가 '토다이'를 검색했을 때 위치 선택 수신부(120)가 자동적으로 위치 목록 중 첫번째인 '토다이 분당점'을 선택 위치로 지정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선택 수신부(120)는 도 3의 (a)와 같이 '토다이 분당점'이 현재 표시 위치인 경우에, 사용자가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도 3의 (b)와 같이 현재 선택 위치를 '토다이 목동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부(130)는 특정 축척의 지도 상에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함께 표시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점이란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에서 선택된 지점을 말하고, 제2 지점이란 상기 제1 지점을 표시한 지도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른 위치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지점를 말한다. 도 3의 예에서, (a) 화면의 '토다이 분당점'에 대응하는 지점이 제1 지점(A)이고, (b) 화면의 '토다이 목동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제2 지점(B)일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판단부(130)는 기본 축척인 1:200 축척에서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함께 표시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1:200 축척의 지도에서 함께 표시될 수 없다. 이 경우, 도 3의 (a) 및 (b)와 같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각각 포함하는 1:200 축척의 지도가 각각 필요하다. 도 3의 예에서는 기본 축척으로 1:200을 결정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 축척은 변경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310)에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 및 지점의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40)는 단일 위치 표시부(141), 다중 위치 표시부(142), 천이 상태 표시부(143) 및 애니메이션부(144)를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를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검색어에 대해 검색 결과 획득부(110)는 복수개의 검색 위치를 위치 목록으로 제공하고, 위치 선택 수신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지점 및 그 주변 영역의 지도를 제공하고, 선택 지점 상에 선택위치마커(33)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따라 주변 영역의 지도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선택 위치가 중앙에 위치한 1:200 축척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40)가 제공하는 선택 지점 주변 영역의 지도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지도 상에서 선택 지점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가 제공하는 지도의 축적, 범위 및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이 제1 지점(A)에서 제2 지점(B)으로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도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40)는 제1 지점(A)을 표시하는 지도에서 제2 지점(B)을 표시하는 지도로 전환할 때 트랜지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지도 서비스들은 제1 지점(A)을 포함하는 지도가 제2 지점(B)을 포함하는 지도로 즉시 전환되는, 예를 들어 도 3의 (a) 화면에서 (b) 화면으로 즉각적인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지점(A)과 제2 지점(B)이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여부나, 제1 지점(A)에 대하여 제2 지점(B)이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시부(140)는 위치 선택 수신부(120)가 제공하는 선택 위치 및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제1 축척으로 하나의 지도에 표시될 수 있는 경우 두 지점을 모두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하고, 하나의 지도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는 각각 지도를 표시하되 중간에 천이 상태 지도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표시부(14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 내의 범위에 선택 위치의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지도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고, 지도 내의 범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천이 상태를 표시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부(140)의 내부 구성에 따른 동작을 보다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판단부(130)가 하나의 지점만을 하나의 지도에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하나의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만을 지도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1 축척으로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지도를 표시할 때 적용하는 축척은 하나의 위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본 축척일 수 있다.
판단부(130)가 특정 축척으로 2개 이상의 지점을 한 지도에 표시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각각의 지점을 개별 지도에 표시한다. 즉,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특정 축척, 예를 들면 기본 축척으로 으로 하나의 지점을 하나의 지도에 표시한다.
도 3의 (a) 및 (b) 화면은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각각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 위치로 '토다이 분당점'을 선택했을 때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지도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b)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 위치로 '토다이 목동점'을 선택했을 때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지도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선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3의 (a)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영역(32)에 플릭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선택 위치는 '토다이 분당점'에서 '토다이 목동점'으로 전환되고, 도 3의 (b) 화면은 '토다이 분당점'에 대응하는 제2 지점(B)을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한다.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비교적 자세히 표시할 수 있도록 큰 축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및 (b)의 예에서는 기본 축척인 1:200의 축척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하나의 지도 상에 복수개의 지점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판단부(130)가 지도 상에 하나 이상의 지점을 함께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지점을 하나의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지점을 지도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디스플레이 화면(310)의 지도에 함께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판단부(130)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도 4의 (a)와 같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하나의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사용하는 축척과 동일한 축척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30)의 판단에 따라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도 4의 (a) 화면과 같이 제1 축척(1:200)으로 '스타벅스 죽전점'에 대응하는 제1 지점(A) 및 '스타벅스 경기점'에 대응하는 제2 지점(B)이 함께 포함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제1 지점(A)에 선택위치마커(33)를 표시하고, 제2 지점(B)에 부마커(3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 화면의 예에서, 제1 지점(A)은 현재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이고, 제2 지점(B)은 위치 목록에서 현재 선택 위치의 다음 항목에 존재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도 4의 (a)의 예는 위치 목록에 '스타벅스 죽전점' 다음에 '스타벅스 경기점'이 존재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4의 (a)와 같이 현재 선택 위치가 '스타벅스 죽전점'인 경우에 위치정보영역(32)에 위치에 관한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하고 '스타벅스 죽전점'에 대응하는 제1 지점(A)에 선택위치마커(33)를 위치시킨다.
도 4의 (a) 화면에서 위치정보영역(32)에서 사용자가 플릭 제스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위치 목록에서 '스타벅스 죽전점' 다음의 위치 항목인 '스타벅스 경기점'이 도 4의 (b) 화면과 같이 선택되어 위치정보영역(32)에 표시된다. 도 4의 (b) 화면에서는, '스타벅스 경기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선택위치마커(33)가 표시된다. 도 4의 (a) 화면에서 도 4의 (b)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포함된 지도는 변경되지 않는다. 즉,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지도를 변경하지 않은 채 선택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선택위치마커(33)와 부마커(34) 만을 변경함으로써 선택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기본 축척으로 복수개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라면, 도 3의 (a) 및 (b)와 같이 표시 지점이 제1 지점(A)에서 제2 지점(B)로 변경될 때 지도 자체를 변경할 필요 없이 도 4의 (a) 및 (b)와 같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위치 목록의 첫번째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제1 지점(A)으로, 두번째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제2 지점(B)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제1 지점(B) 및 제2 지점(B)을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하되, 도 4의 (a) 및 (b)와 같이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선택위치마커(33)를 위치시키고, 선택 위치가 아닌 지점에 부마커(34)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판단부(130)가 특정 축척으로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고 결정한 경우에 다중 위치 표시부(142)가 지도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판단부(130)가 특정 축척으로 복수개의 지점을 함께 표시할 수 없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일 위치 표시부(141)와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지도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예와 달리 도 5는 (b) 화면과 같은 천이 상태를 포함한다. 도 5의 (a) 화면은 도 3의 (a) 화면에 대응되고, 도 5의 (c) 화면은 도 3의 (b) 화면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천이 상태 표시부(143)에 의해 도 5의 (a) 화면과 같은 초기 표시 단계에서 도 5의 (b) 화면과 같은 천이 표시 단계가 실행된 후 도 5의 (c) 화면과 같은 최종 표시 단계의 지도가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상세히, 도 5의 (b) 화면에서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모두 포함하는 지도가 제2 축척으로 표시된다.
즉, 도 5의 (a) 화면에서는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제1 지점(A)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b) 화면에서는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포함하고 제2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c) 화면에서는 다시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제2 지점(B)을 포함하고 제3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축척은 1:200이고, 제2 축척은 1:400이며, 제3 축척은 1:200일 수 있다. 도 5의 (a) 화면에서는 제1 지점(A)을 제1 축척으로 나타내었으나, 제1 축적으로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하나의 지도에 함께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제2 지점(B)에 관한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지점(B)을 포함하는 지도가 도 5의 (c) 화면과 같이 새로이 로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 화면에서 도 5의 (c) 화면으로 넘어가기 전,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도 5의 (b)와 같은 천이 상태의 지도를 제공한다. 도 5의 (b) 화면에서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포함하고 제2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2 축척은 제1 축척 및 제3 축척보다 작은 값으로,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포함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감소시키는 시각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의 (b)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제1 지점(A)과 제2 지점(B)에 대한 상대적 위치, 대략적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부(1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도의 축척이 변하는 경우, 지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연속적인 동작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애니메이션부(144)는 도 5의 (a) 지도가 도 5의 (b) 지도로 변화하는 것을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축척이 제2 축척보다 크므로 애니메이션부(144)는 줌-아웃(zoom out)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
반대로, 애니메이션부(144)는 도 5의 (b) 지도가 도 5의 (c) 지도로 변화하는 것을 연속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축척이 제3 축척보다 작으므로 애니메이션부(144)는 줌-인(zoom in)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
천이 상태 표시부(143) 및 애니메이션부(144)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지점(A)을 표시하는 지도에서 제2 지점(B)을 표시하는 지도로 변화하는 트랜지션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트랜지션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자는 제1 지점(A)을 바라보는 위치보다 더욱 공중으로 상승하여(줌 아웃 애니메이션으로 인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의 위치를 모두 확인한 후(천이 상태 표시), 제2 지점(B)을 바라보는 위치로 하강하는(줌 인 애니메이션으로 인해) 효과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천이 상태의 지도를 통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 간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의 축척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먼저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1 지점(A)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축척으로 표시된 지도는 a 부터 a' 까지 범위의 지도를 표시한다. 즉, 제1 지점(A) 주변의 a 부터 a' 범위까지의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2 지점(B)이 포함된 지도를 제3 축척으로 표시하는 경우, b에서 b'까지 범위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a에서 a'까지의 범위 혹은 b에서 b'까지의 범위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모두 포함할 수 없으므로,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제1 축척보다 더 작은 축척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천이 상태 표시부(143)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제2 축척 범위로 c 부터 c'까지의 범위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실시예는 기본 축척인 제1 축척으로 지도를 표시하는 경우에, 도 6의 a 에서 a'까지의 위치 범위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천이 상태의 지도인 제2 축척 범위를 표시할 필요 없이, 다중 위치 표시부(142)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제1 축척 범위로 함께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에서 일반 위치 찾기가 아닌 경로 찾기에 대한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로 향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있는 경로 상의 분기점들이 위치 목록이 될 수 있다.
도 7의 (a)는 사용자가 출발지를 '숭실 사이버대학교'로 선택하고, 목적지를 '서울역 경부선'으로 결정했을 때,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의 전체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위치정보영역(32)에는 전체 경로의 예상 소요 시간 및 비용이 표시될 수 있으며, 지도에는 출발마커 및 도착마커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a) 화면에서 사용자가 위치정보영역(32)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해당 경로의 분기점들이 순서별로 선택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세 경로들의 분기점에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제공할 수 있다. 경로 분기점들은 순서대로 위치 목록으로서 제공된다. 분기점은 경로 상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 지도 상의 중요 지점, 지도 상의 도로명 혹은 지명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위치 목록에 존재하는 분기점들은 순서대로 선택 위치로 지정된다.
도 7의 (b)는 경로 상에서 제7 분기점이 선택 위치로 지정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7 분기점 및 그 주변 영역을 기본 축척인 제1 축척(1:200)으로 지도 상에 표시하고, 제7 분기점에 대응하는 제1 지점(A)을 지도상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도 7의 (b)의 실시예에서, 제7 분기점은 '분당 수서간 고속도로'이다. 사용자는 도 7의 (b) 화면 상에서 위치정보영역(32)에 플릭 제스처를 입력하여 제8 분기점을 선택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c)와 같이 천이 상태의 지도가 표시된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천이 상태 표시부(143)는 제7 분기점 및 제8 분기점을 모두 지도상에 표시하는 천이 상태의 지도를 표시한다. 도 7의 (c) 지도 화면에는 제7 분기점 및 제8 분기점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이 모두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이 상태 표시부(143)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2 축척인 1:400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부(144)는 도 7의 (b) 화면에서 (c) 화면으로 전환될 때 줌 아웃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줌 아웃 애니메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함께 바라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c) 화면이 일정 시간 표시된 후,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도 7의 (d)와 같이 제8 분기점을 제3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3 축척은 기본 축척인 1:20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d) 화면에서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8 분기점에 대응하는 제2 지점(B)을 지도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애니메이션부(144)는 도 7의 (c) 화면에서 도 7의 (d) 화면으로 전환될 때 줌인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줌인 애니메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도 7의 (c)화면을 보는 지점보다 낮은 지점으로 이동하여 제2 지점(B)만을 바라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경로에 따라 지도의 방향이 전환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예로써, 도 7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 8의 실시예에 특징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의 (a), (b) 및 (c) 화면을 참조하면, 회전버튼(35c')이 온(on) 상태로서 음영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화면 회전 기능이 적용되었을 때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 화면은 도 7의 (b) 화면에 대응된다. 즉, 도 8의 (a) 화면은 제7 분기점이 선택 위치인 경우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지도를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의 (b) 화면은 도 7의 (c) 화면의 지도를 회전한 지도이다. 도 8의 (b) 화면은 도 7의 (c) 화면과 마찬가지로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표시한다. 도 7의 (c) 화면은 지도의 북쪽이 화면의 상단을 향하지만, 도 8의 (b) 화면은 제1 지점(A)에서 제2 지점(B)으로 향하는 방향이 화면의 상단을 향한다. 즉, 경로의 진행 방향이 제7 분기점에서 제8 분기점으로 향하므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이 화면의 상단을 향하도록 지도를 표시하여 경로에 대한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c) 화면은 도 8의 (b) 화면에서 회전된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는 지도를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8의 (c) 화면은 도 7의 (d) 화면과 마찬가지로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제3 축척으로 제8 분기점을 지도의 중앙에 표시하고 있지만, 지도의 방향은 도 8의 (b)에서 변경된 방향이 유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천이 상태의 지도를 버스 경로 찾기에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대중 교통 경로는 버스 노선 별로 해당 버스의 정류장을 분기점으로 하여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위치 목록은 해당 버스의 정류장 위치 순으로 생성된다. 도 9의 실시예는 '720번' 버스의 노선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도 9의 (a) 화면은 720번 버스의 '미금역, 청솔마을, 2001 아울렛' 정류장이 선택 위치인 경우이다. 지도에서 해당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지점(A)의 정류장이 음영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미금역, 청솔마을, 2001 아울렛'에 대응하는 제1 지점(A)을 중앙에 위치시킨 지도를 제1 축척인 1:20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a) 화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위치정보영역(32)을 플릭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다음 정류장인 '상록마을(임광, 보성)'을 다음 선택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도 9의 (b) 화면은 사용자가 다음 선택 위치를 지정한 경우 천이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천이 상태 표시부(143)는 도 9의 (b) 화면과 같이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을 모두 포함하는 지도를 제2 축척인 1:400으로 표시한다. 일정 시간 동안 천이 상태 표시부(143)가 도 9의 (b) 화면과 같은 천이 상태를 표시한 후,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도 9의 (c)와 같이 '상록마을(임광, 보성)'에 대응하는 지점인 제2 지점(B)을 지도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검색 결과 획득부(110)가 사용자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위치 목록으로서 제공한다(S1).
다음으로, 위치 선택 수신부(120)가 위치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위치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S2).
다음으로, 판단부(130)가 선택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지점 및 위치 목록 중 선택 위치의 다음 항목에 대응하는 제2 지점을 제1 축적으로 지도에 함께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3).
S3 단계에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지점에 선택위치마커를 표시한다(S41).
다중 위치 표시부(142)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선택 위치의 아래 항목을 선택 위치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한 후(S42), 표시된 지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지점에 선택위치마커를 표시한다(S43).
S3 단계에서 함께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일 위치 표시부(141)는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 상에 제1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한다(S51).
사용자로부터 현재 선택 위치의 아래 항목을 선택 위치로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한다(S52).
천이 상태 표시부(143)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모두 포함하는 천이 상태의 지도를 일정 시간 동안 제2 축척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53).
다음으로, 단일 위치 표시부(141)가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화면 상에 제3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한다(S54).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검색 결과 획득부
120: 위치 선택 수신부 130: 판단부
140: 표시부 141: 단일 위치 표시부
142: 다중 위치 표시부 143: 천이 상태 표시부
144: 애니메이션부

Claims (15)

  1.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지도를 상기 제1 축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불가능한 경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인 경우,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초기 표시 단계;
    상기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천이 표시 단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3 축척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최종 표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축척에서 제2 축척으로 변화하는 제1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1 표시 단계;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는 제2 표시 단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3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축척에서 제3 축척으로 변화하는 제2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제3 표시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니메이션들 각각은,
    줌 인 애니메이션 또는 줌 아웃 애니메이션인 지도 트랜젝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 상에는 마커(marker)가 표시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지점 상에 선택위치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지점 상에 부마커를 표시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의해 획득한 위치 목록 내에 존재할 때,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의 다음 위치 항목인 지도 트랜젝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표시 단계 및 최종 표시 단계는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을 상기 지도의 중앙에 표시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표시 단계 이전에 전체 경로를 표시하는 전체 경로 표시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표시 단계에서 사용자의 플리커 제스처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천이 표시 단계 및 상기 최종 표시 단계를 수행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단계에서,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도를 회전시키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경로 상의 특정 분기점인 지도 트랜젝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지도에 표시되는 버스 경로 상의 특정 정류장인 지도 트랜젝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척 및 제3 축척은 동일한 지도 트랜젝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척은 상기 제1 축척 및 제3 축척보다 작은 지도 트랜젝션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하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중간 지점이 상기 지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지도 트랜젝션 방법.
  15. 제1 지점 혹은 제2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위치 선택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선택에 따라, 선택 지점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변경되는 경우, 지도 상에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함께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가 함께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제1 축척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중 위치 표시부;
    상기 판단부가 함께 표시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 및 상기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지도를 제1 축척으로 각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일 위치 표시부;
    상기 단일 위치 표시부가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표시한 후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기 전에,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제2 축척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천이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상태 표시부는,
    상기 단일 위치 표시부가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표시한 후, 상기 천이 상태 표시부가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상기 제1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축척에서 제2 축척으로 변화하는 제1 애니메이션을 화면상에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천이 상태 표시부는,
    상기 천이 상태 표시부가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단일 위치 표시부가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1 축척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축척에서 제1 축척으로 변화하는 제2 애니메이션을 화면상에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천이 상태 표시부는,
    상기 제1 애니메이션,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포함된 지도, 및 상기 제2 애니메이션을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지도 트랜젝션 시스템.
KR1020150142167A 2015-10-12 2015-10-12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3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67A KR101737544B1 (ko) 2015-10-12 2015-10-12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67A KR101737544B1 (ko) 2015-10-12 2015-10-12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171A Division KR20150086424A (ko) 2013-11-06 2014-01-17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101A true KR20150122101A (ko) 2015-10-30
KR101737544B1 KR101737544B1 (ko) 2017-05-18

Family

ID=5443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67A KR101737544B1 (ko) 2015-10-12 2015-10-12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134A (ko) * 2016-11-30 2019-07-17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단말,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3371S1 (en) 2021-10-22 2022-05-31 BioReference Health,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970B2 (ja) 2004-06-10 2010-04-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134A (ko) * 2016-11-30 2019-07-17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단말, 및 서버
US10989559B2 (en) 2016-11-30 2021-04-27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isplaying m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544B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888B1 (ko) 위치 기반의 타깃 컨텐츠를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1080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luttering a mapping display
US20150262428A1 (en) Hierarchical clustering for view management augmented reality
US20160061617A1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US20120092373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 which is not included in visual field of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00077361A1 (en) Method of displaying multiple points of interest on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CN104350736A (zh) 附近位置信息的增强现实布置
US10094681B2 (en) Controlling a map system to display off-screen points of interest
US973963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
KR20150027553A (ko) POI〔Point of Interest〕속성정보의 동적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OI 속성정보의 가시화 갱신방법
EP2159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displayed area of electronic map and recording medium
CN110617830A (zh) 自动确定的起点与所选终点之间的导航路线指引
KR2011002432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US20160116296A1 (en) Providing instant routing options
CN104598712A (zh) 定位点筛选方法及其系统
JP2014519606A (ja) 短距離において複数の曲がり角を曲がるための支援を備え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90271545A1 (en) Stack of maps
KR101737544B1 (ko)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900596A (zh) 基于路段的导航路径规划方法及其装置
JP2015090718A (ja) 検索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86424A (ko) 지도 트랜젝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746911B2 (ja) 経路沿い施設検索システム及び経路沿い施設検索方法
KR20110119180A (ko) 지역 검색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KR20160130202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3535286A (zh) 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