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093A - 저울 - Google Patents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093A
KR20150122093A KR1020150056876A KR20150056876A KR20150122093A KR 20150122093 A KR20150122093 A KR 20150122093A KR 1020150056876 A KR1020150056876 A KR 1020150056876A KR 20150056876 A KR20150056876 A KR 20150056876A KR 20150122093 A KR20150122093 A KR 2015012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liquid
tube
liquid display
measu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638B1 (ko
Inventor
최용우
Original Assignee
최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우 filed Critical 최용우
Publication of KR2015012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4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pressure imposed by the load o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휘어지는 스푼대에 형성되는 스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푼, 휘어지는 바닥이 형성되는 계량컵, 또는 바닥의 하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계량컵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액체가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물 세척이 가능하고,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이 형성되는 스푼대; 상기 스푼에 접하는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튜브가 상기 스푼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푼대가 휘어지면서 상기 스푼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 및 상기 액체 표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표시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울{Scale}
본 발명은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고령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점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및 한국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서는 국민건강증진의 일환으로써, 심장병 등의 여러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 2000㎎을 일반인이 어떻게 정확하게 측정하여 섭취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하루 나트륨 권장 섭취량이 2000㎎이므로 이를 세 끼의 식사로 나누게 되면, 한번에 1g도 되지 않는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탄성 금속판을 구비한 인장 및 압축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한 ‘저울을 장착한 숟가락’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8420호에 소개되었으며, 중력센서 등의 각종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저울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저울은 고가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입하는데 상당한 부담을 느낄 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를 구동하기 위하여 배터리 등의 전원이 반드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센서들은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 또는 보관 중에 주의를 조금만 소홀히 하면 고장 및 측정 오류 등의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고,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 등을 측정한 후에 물 세척을 할 수 없어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어지는 스푼대에 형성되는 스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스푼, 휘어지는 바닥이 형성되는 계량컵, 또는 바닥의 하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계량컵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액체가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함으로써, 물 세척이 가능하고, 전원 및 전자식 센서 없이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의 무게를 ㎎ 단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이 형성되는 스푼대; 상기 스푼에 접하는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튜브가 상기 스푼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푼대가 휘어지면서 상기 스푼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 및 상기 액체 표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표시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스푼이 형성되는 상기 스푼대의 일단부에 절곡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이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는 스푼대; 상기 스푼에 접하는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튜브가 상기 스푼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푼이 회전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 및 상기 액체 표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표시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끝단부에는 마개가 씌워지고, 상기 마개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는 모세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푼대와 받침대의 타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체결부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은, 하단에 바닥이 형성되는 계량컵; 상기 바닥의 하면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가 상기 계량컵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이 휘어지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 및 상기 액체 표시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60);을 포함한다.
상기 계량컵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이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굴곡홈 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은, 하단에 바닥이 형성되는 계량컵; 상기 바닥의 하면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가 상기 계량컵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액체가 상기 튜브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 및 상기 계량컵의 외면 하단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표시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종 전자식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원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은 물 세척이 가능하여 항상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자식 센서에 해당하는 액체 표시부를 아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작동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11)이 형성되는 스푼대(12); 스푼(11)에 접하는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스푼대(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푼대(12)가 휘어지면서 스푼(11)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액체 표시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스푼대(12)의 일단부에는 무게를 측정하려는 분말이나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스푼(11)이 형성되고, 스푼대(12)는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어 자중에 의해서는 변형이 없으나, 스푼(1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면,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스푼대(12)가 휘어지게 된다. 측정 후에 스푼(1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면, 재질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스푼대(12)는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스푼대(12)의 하부에는 액체 표시부(20)가 위치하고, 액체 표시부(20)는 저장부(21)와 튜브(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21)는 스푼(11)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저장부(21)에서 연장되어 튜브(27)가 형성된다. 저장부(2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스푼대(12)가 휘어지면서 스푼(11) 및/또는 스푼대(12)의 일단부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21) 내부의 체적이 변하므로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로 이동하게 되고, 스푼(11) 및/또는 스푼대(12)의 일단부가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스푼대(12)가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장부(21)의 체적 변화량이 달라지며,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도 달라진다. 상기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무게로 환산하여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액체 표시부(20)는 실험기구인 스포이트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저장부(21)는 스포이트의 고무주머니에 해당하고, 튜브(27)는 스포이트의 유리관에 해당한다. 다만, 튜브(27)로 이동하는 상기 액체는 스푼(11) 또는 스푼대(12)의 일단부가 가하는 압력의 작은 변화를 표시하여야 하므로 튜브(27)로는 모세관과 같이 직경이 작은 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1)와 튜브(27)는 다른 재질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스푼(11) 및/또는 스푼대(12)의 일단부가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이 튜브(27) 내에서 액체의 이동 거리로 잘 변환될 수 있도록 받침대(30)의 일단부가 저장부(21)의 하부 및 측면부을 감싸게 되고, 스푼대(12)의 일단부는 저장부(21)의 상부와 접하게 되며, 스푼(11)은 저장부(21)의 일 측면부와 접하게 된다.
스푼대(12)의 일단부 및/또는 스푼(11)이 저장부(21)에 압력을 가할 때에 저장부(21)의 유체가 갑자기 튀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튜브(27)의 끝단부에는 마개(28)를 씌우고, 마개(28)에는 미세한 통공(29)을 형성한다. 이때, 통공(29)는 마개의 상부에 하나를 형성할 수 있으나, 사용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혹시 상기 액체가 흘러나오는 경우에 상기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마개(28)를 아주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할 수도 있다.
스푼대(12)는 투명하므로 튜브(27) 내의 액체를 볼 수 있고, 스푼대(12)에는 눈금과 무게값이 표시되어 있어서 상기 액체가 가리키는 무게값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즉, 상기 액체가 이동한 양을 무게로 환산한 눈금과 무게값이 스푼대(12)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무게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푼대(12)의 일부를 돋보기로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무게값을 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표시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대(30)는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므로, 스푼(1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어 스푼대(12)가 휘어지더라도 받침대(30)는 휘어지지 않는다. 이때, 스푼대(12)와 받침대(30)의 타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체결부(40)에 의해 고정 결합되더라도 휘어지는 스푼대(12)의 일단부가 휘어지지 않는 받침대(30)의 일단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스푼대(12)와 받침대(30)의 일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로서, 스푼(11)이 연결되는 스푼대(12)의 일단부에 절곡홈(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곡홈(15)이 형성된 스푼(1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면,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스푼대(12)가 휘어지는 정도보다 절곡홈(15)을 중심으로 스푼(11)이 휘어지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저장부(21)의 체적 변화량이 동시에 커지기 때문에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커지게 되고, 상기 액체가 이동한 양을 무게로 환산하는 눈금의 간격이 더욱 커질 수 있어서 사용자는 더욱 정확하게 무게값을 인식할 수 있다. 측정 후에 스푼(1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면, 재질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스푼(11)과 스푼대(12)는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절곡홈(15)을 대신하여 주름을 형성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일단부에 스푼(11)이 회전축(16)을 통해 결합되는 스푼대(12); 스푼(11)에 접하는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스푼대(12)의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축(16)을 중심으로 스푼(11)이 회전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액체 표시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무게를 측정하려는 분말이나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스푼(11)이 회전축(16)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스푼대(1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스푼(11)은 회전축(16)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맞추어져 있어서 스푼(11)에 물질이 수용되지 않으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장부(21)에 압력을 가함 없이 접하게 된다.
스푼대(12)는 경질의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스푼(1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더라도 휘어지지 않는다. 이때, 스푼(1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면,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스푼(11)은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측정 후에 스푼(1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면, 무게중심에 의해 스푼(11)은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저장부(2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스푼(11)이 회전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21) 내부의 체적이 변하므로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로 이동하게 되고, 스푼(11)이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스푼(11)의 회전각도]에 따라 저장부(21)의 체적 변화량이 달라지며,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도 달라진다. 상기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무게로 환산하여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측정을 원하는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를 스푼(11)에 위치시키면, 스푼대(12)는 그 무게에 의해 휘어지게 되고, 스푼(11) 및/또는 스푼대(12)의 일단부는 접촉하고 있던 저장부(21)를 가압하게 되며, 저장부(21)의 액체는 튜브(27)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21)는 스푼(11), 스푼대(12) 및 받침대(30)로 둘러싸여 있어서, 저장부(21)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액체의 이동량으로 원활하게 변환될 것이다.
상기 액체의 이동량을 무게로 환산한 무게값과 눈금이 스푼대(12)에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 단위의 소량의 무게를 읽을 수 있고, 스푼대(12)에 돋보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더욱 정확하게 무게를 인식할 수 있다.
스푼대(12)의 재질, 길이와 형태, 저장부(21)의 크기와 형태, 튜브(27)의 직경과 길이, 및/또는 상기 액체의 종류 또는 점성 등의 변수를 변경함으로써, 측정하려는 ㎎ 단위의 측정값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A-A선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은, 하단에 바닥(51)이 형성되는 계량컵(50); 바닥(51)의 하면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저장부(2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27)가 계량컵(50)의 측면에 형성되며, 바닥(51)이 휘어지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60);을 포함한다.
계량컵(50)의 하단에는 무게를 측정하려는 분말이나 액체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바닥(51)이 형성되고, 바닥(51)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조되어 자중에 의해서는 변형이 없으나, 바닥(5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면,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바닥(51)이 늘어나면서 휘어지게 된다. 측정 후에 바닥(5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면, 재질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바닥(51)은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계량컵(50)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더라도 계량컵(50)과 바닥(51)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계량컵(50)은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계량컵(50)의 하면 및 측면에는 액체 표시부(20)가 위치하고, 액체 표시부(20)는 저장부(21)와 튜브(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21)는 바닥(51)의 하면에 형성되고, 저장부(2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튜브(27)가 계량컵(50)의 측면에 형성된다. 저장부(2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바닥(51)이 늘어나 휘어지면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저장부(21) 내부의 체적이 변하므로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로 이동하게 되고, 바닥(51)이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바닥(51)이 인장되면서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장부(21)의 체적 변화량이 달라지며,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도 달라진다. 상기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무게로 환산하여 소량의 분말이나 액체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컵받침(60)은 결합부(62)와 연장부(63)를 포함하여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한다. 결합부(62)는 계량컵(50)의 외면 하단부에 결합되고, 결합부(62)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부(63)가 형성된다. 바닥(51)이 저장부(21)에 가하는 압력이 튜브(27) 내에서 액체의 이동 거리로 잘 변환될 수 있도록 저장부(21)는 바닥(51), 컵받침(60) 및 결합부(62)로 둘러싸여 진다. 이때, 연장부(63)는 투명하므로 튜브(27) 내의 액체를 볼 수 있고, 연장부(63)에는 눈금과 무게값이 표시되어 있어서 상기 액체가 가리키는 무게값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즉, 상기 액체가 이동한 양을 무게로 환산한 눈금과 무게값이 연장부(63)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무게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장부(63)의 일부를 돋보기로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정확하게 무게값을 읽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63)는 계량컵(5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추가적으로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컵받침(60)은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므로, 바닥(5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어 바닥(51)이 휘어지더라도 컵받침(60)은 휘어지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로서, 계량컵(50)의 하단부와 바닥(51)이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굴곡홈(52) 또는 주름(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굴곡홈(52) 또는 주름(53)이 형성된 바닥(5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면,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바닥(51)이 늘어나면서 휘어지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된다. 측정 후에 바닥(5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면, 재질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바닥(51)은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푼형 저울은, 하단에 바닥(51)이 형성되는 계량컵(50); 바닥(51)의 하면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저장부(2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27)가 계량컵(50)의 측면에 형성되며, 바닥(51)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저장부(21)의 액체가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계량컵의 외면 하단부에 결합부(62)가 형성되고, 결합부(62)에 주름(53)이 형성되며, 결합부(62)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부(63)가 형성되고,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60);을 포함한다.
컵받침(60)은 결합부(62)와 연장부(63)를 포함하여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한다. 결합부(62)는 계량컵(50)의 외면 하단부에 결합되고, 결합부(62)에는 주름(53)이 형성되며, 결합부(62)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부(63)가 형성된다.
계량컵(50) 및 바닥(51)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바닥(5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수용되더라도 변형되지 않지만, 컵받침(6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결합부(62)에 주름(53)이 형성되므로, 바닥(51)에 분말이나 액체 등을 수용하고 평지에 놓으면, 계량컵(50)과 수용된 물질의 하중에 의해 주름(53)이 압착된다. 측정 후에 바닥(51)에서 수용된 물질을 제거하고 평지에 놓으면, 계량컵(50)의 하중만큼 주름(53)이 압착된 원상태로 복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량컵형 저울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측정을 원하는 소량의 분말 또는 액체를 바닥(51)에 위치시키면, 바닥(51)은 그 무게에 의해 늘어나 휘어지게 되어 저장부(21)를 가압하게 되고, 저장부(21)의 액체는 튜브(27)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21)는 바닥(51), 컵받침(60) 및 결합부(62)로 둘러싸여 있어서, 저장부(21)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액체의 이동량으로 원활하게 변환될 것이다.
상기 액체의 이동량을 무게로 환산한 무게값과 눈금이 연장부(63)에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 단위의 소량의 무게를 읽을 수 있고, 연장부(63)에 돋보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더욱 정확하게 무게를 인식할 수 있다.
바닥(51)과 주름(53)의 재질, 길이와 형태, 저장부(21)의 크기와 형태, 튜브(27)의 직경과 길이, 및/또는 상기 액체의 종류 또는 점성 등의 변수를 변경함으로써, 측정하려는 ㎎ 단위의 측정값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은 센서와 외부 전원이 전혀 필요 없으므로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의 염려 없이 물에서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푼형 또는 계량컵형 저울은 스푼과 계량컵뿐만 아니라 국자 또는 물병 등의 무게 측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스푼 12: 스푼대
15: 절곡홈 16: 회전축
20: 액체 표시부 21: 저장부
27: 튜브 28: 마개
29: 통공 30: 받침대
40: 체결부 50: 계량컵
51: 바닥 52: 굴곡홈
53: 주름 60: 컵받침
62: 결합부 63: 연장부

Claims (8)

  1. 일단부에 스푼(11)이 형성되는 스푼대(12);
    상기 스푼(11)에 접하는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상기 스푼대(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푼대(12)가 휘어지면서 상기 스푼(11)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21)의 액체가 상기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상기 액체 표시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2. 일단부에 스푼(11)이 회전축(16)을 통해 결합되는 스푼대(12);
    상기 스푼(11)에 접하는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1)에서 연장되는 튜브(27)가 상기 스푼대(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6)을 중심으로 상기 스푼(11)이 회전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21)의 액체가 상기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상기 액체 표시부(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 표시부(20)를 지지하는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11)이 형성되는 상기 스푼대(12)의 일단부에 절곡홈(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7)의 끝단부에는 마개(28)가 씌워지고, 상기 마개(28)에는 통공(29)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27)는 모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대(12)와 받침대(30)의 타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체결부(4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형 저울.
  6. 하단에 바닥(51)이 형성되는 계량컵(50);
    상기 바닥(51)의 하면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27)가 상기 계량컵(5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51)이 휘어지면서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21)의 액체가 상기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상기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형 저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컵(50)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51)이 연결되는 부분을 따라 굴곡홈(52) 또는 주름(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형 저울.
  8. 하단에 바닥(51)이 형성되는 계량컵(50);
    상기 바닥(51)의 하면에 저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튜브(27)가 상기 계량컵(5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51)이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21)의 액체가 상기 튜브(27) 내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는 액체 표시부(20); 및
    상기 계량컵의 외면 하단부에 결합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에 주름(5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62)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부(63)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표시부(20)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컵받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컵형 저울.
KR1020150056876A 2014-04-22 2015-04-22 저울 KR101823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762 2014-04-22
KR1020140047762 2014-04-22
KR20140003193 2014-04-22
KR2020140003193 2014-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093A true KR20150122093A (ko) 2015-10-30
KR101823638B1 KR101823638B1 (ko) 2018-01-30

Family

ID=5443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76A KR101823638B1 (ko) 2014-04-22 2015-04-22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59U (ko)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셈앤텍 집게형 전자 저울
CN112403548A (zh) * 2020-11-04 2021-02-26 安徽理工大学 一种实验室多功能精确称量取样药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59U (ko) 2016-01-06 2017-07-14 주식회사 셈앤텍 집게형 전자 저울
CN112403548A (zh) * 2020-11-04 2021-02-26 安徽理工大学 一种实验室多功能精确称量取样药勺
CN112403548B (zh) * 2020-11-04 2022-02-01 安徽理工大学 一种实验室多功能精确称量取样药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638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638B1 (ko) 저울
CN207640074U (zh) 一种多功能水杯
CN207215269U (zh) 一种健康秤
KR101669942B1 (ko) 스푼형 저울
KR101756918B1 (ko) 스푼형 저울
KR200421254Y1 (ko) 이동식 디지털 체중계
KR101756917B1 (ko) 스푼형 저울
CN201094085Y (zh) 一种伸缩人体秤
CN107340045A (zh) 一种智能体重测量装置
CN209802441U (zh) 一种新型临床试验用的量筒
CN207351509U (zh) 一种改进型药学实验量筒
CN201127743Y (zh) 准确计量引流盒
CN110487477A (zh) 一种基于阻尼原理的免拆式可校准调零的压力表
CN2792338Y (zh) 一种可测水温的不锈钢保温杯
RU24467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зманжетного измер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и частоты пульса
CN219178676U (zh) 一种电容物位计
CN202141531U (zh) 一种方便读取的温度计
CN212638555U (zh) 一种临床药学定量计量器
KR20140004932U (ko) 밥물 지시기
CN203534720U (zh) 一种搅拌勺子温度计
CN212082571U (zh) 一种新型电子称量勺
CN204881820U (zh) 一种带脚拇指指纹识别的家用体重计
CN102331308A (zh) 一种方便读取的温度计
CN213447045U (zh) 一种节约型香皂器
CN219161199U (zh) 一种锐利边缘测试构件及发条式锐利边缘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