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047A - Mobile Terminal Devices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047A
KR20150122047A KR1020140175132A KR20140175132A KR20150122047A KR 20150122047 A KR20150122047 A KR 20150122047A KR 1020140175132 A KR1020140175132 A KR 1020140175132A KR 20140175132 A KR20140175132 A KR 20140175132A KR 20150122047 A KR20150122047 A KR 20150122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terminal
upper side
be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닛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닛시테크 filed Critical (주)닛시테크
Priority to PCT/KR2015/0010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63567A1/en
Publication of KR2015012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0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rear camera and a display unit comprises: a terminal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ing a lens of the rear camera; a terminal lower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ending means capable of bending the terminal upper side toward the display uni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lower side.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Devices}[0001] Mobile Terminal Devices [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상측 일부를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부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or tablet compu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folding a part of an upper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lens in a direction of a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디지털 카메라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가 보급되면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직사각형 형태로 평평한 형상이거나 최근에 개발된 후렉시블 단말기로서 모바일 단말기 몸체 자체가 약간 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방 카메라의 렌즈는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부인 터치스크린 이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 자체를 피사체 방향으로 움직여 피사체와 렌즈의 방향을 일치시켜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촬영을 위해서는 피사체를 향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수직으로 세워서 촬영하여야 함으로 불편한 촬영 자세로 인해 손떨림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좋은 화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간에 야외에서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면서 콘텐츠 작업을 하거나 확인할 경우, 표시부의 보호 글라스에 햇빛의 반사되어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햇빛을 등지거나 그늘진 곳을 찾아 이동하여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and a touch screen are spreading,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contents work as well as communication by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 mobile terminal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 flat shape, or a recently developed flexible terminal,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tself is slightly bent. In addition, the lens of the rear camera of most of the mobile terminals is configured to be exposed behind the touch screen, which is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in order for a user to photograph a subject using a camera, it is common to photograph the subject by moving the mobile terminal itself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so as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with the direction of the lens. In addition, in order to take a picture, a mobile terminal must be vertically erected toward a subject, so that a lot of camera shake occurs due to an uncomfortable photographing posture, so that it is often impossible to take a picture of good quality. In addition, when the user watches the display while viewing the display while viewing the display in the daytime in the daytime, the sunlight is reflected on the protective glas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 not be seen easily. Therefore, the user searches for the sunshine, It is common.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 피사체를 향하여 모바일 단말기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렌즈 부분만의 각도를 조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지면에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고, 주간에 야외에서 표시부의 콘텐츠를 확인 할 경우에도 햇빛을 차단하여 콘텐츠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Therefore, when 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the angle of only the camera lens portion is adjusted without moving the entire mobile terminal toward the subject, so that the mobile terminal is held horizontally or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ground, And the content of the display unit is checked outdoors in the day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required for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sunlight is cut off and the contents can be clearly seen.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000454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2-000454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19814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1981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 피사체를 향하여 모바일 단말기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렌즈 부분만의 각도를 조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지면에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촬영이 용이하고 손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간에 야외에서 표시부의 콘텐츠를 확인 할 경우에도 햇빛을 차단하여 콘텐츠가 선명하게 보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 camera lens portion without moving the entire mobile terminal toward a subject,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subject while keeping it at a horizontal or predetermined angle, thereby making it easy to take a picture and prevent a camera shake phenomenon, and even when confirming the contents of the display unit in the outdoors during the daytime, Terminal.

상기 목적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의 디지털 카메라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가 노출 부위를 포함하는 소정 길이의 단말기 상측과; 표시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정 길이의 단말기 하측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하측의 하단부와 상기 단말기 상측의 상단부에 상기 단말기 상측이 상기 단말기 하측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하측의 표시부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절곡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is achieved by: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camera and a display unit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computer,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lens of the mobile terminal; A lower side of the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ccupying most of the display portion; And bending means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곡수단은 다단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힌지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unit may be a hinge unit whose rotation angle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곡수단은 다단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힌지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unit may be a hinge unit whose rotation angle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하측 상단부에는 절곡시에 상기 절곡수단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bending means from being exposed during bending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upper end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상측의 최대 절곡 각도는 상기 단말기 하측에 대하여 90°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bending angle of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may be 90 °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실장된 피시비(PCB)는 단말기 상측과 단말기 하측으로 분리되어 실장되어 있고, 분리된 상측 피시비(PCB)와 하측 피시비(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CB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and includes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side PCB to the lower side PCB .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실장된 피시비(PCB)는 상기 절곡수단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이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CB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made of a material bent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곡수단은 상기 단말기 상측이 표시부의 뒷면이 되는 이면부를 향하여도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eans may be bent toward the back side of the terminal, which is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형식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may be of a curved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경우, 피사체를 향하여 모바일 단말기 전체를 수직으로 세우지 않고, 카메라 렌즈 부분의 각도만을 조절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지면에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평상시 모바일 단말기 고유의 기능을 사용할 때 자세 그대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보정된 촬영 자세는 모든 사진 촬영에 있어서 손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절곡된 부분으로 그늘 막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강한 불빛이나 태양빛 아래에서 반사 빛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의 콘텐츠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hotographing is performed using a camera of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held horizontally or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ground by adjusting only the angle of the camera lens portion without erecting the entire mobile terminal toward the subject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and when taking advantage of the function inherent in the mobile terminal in the usual way, the photograph can be taken as it is. In addition, since the corrected photographing posture can prevent the shaking motion in all the photographing operations, and the shaded portion can be formed by the bent portion, the reflected light can be blocked to some extent under strong light or sunlight, .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의 절곡된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의 절곡되지 않은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절곡된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절곡되지 않은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상용 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portion in the folded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ck side of a display portion in a fold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ck side of a display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of a commercial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use stat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의 절곡된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의 디지털 카메라와 표시부(110)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210)가 노출 부위를 포함하는 소정 길이의 단말기 상측(200)과; 상기 표시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정 길이의 단말기 하측(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상측(100)의 하단부와 상기 단말기 하측(100)의 상단부에 상기 단말기 상측(200)이 상기 단말기 하측(100)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하측(100)의 표시부(110)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절곡수단(300)이 설치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ded state behind the display portion. Fig.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camera such as a smart phone and a tablet computer, and a display unit 110.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upper side 200 of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ing a camera lens 210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 exposed portion; And a lower side terminal 1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ccupying most of the display unit 110. [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200 is bent at a lower end of the upper side 100 of the terminal and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art 110 of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The bending means 300 is provid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수단(300)은 상기 단말기 상측(200)의 하단부 중 상기표시부(110)측과 상기 단말기 하측(100)의 상단부 중 상기 표시부(110)측을 중심으로 다단으로 절곡되도록 설치된 힌지부(310)와; 상기 힌지부(3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하측(200) 저면과 상기 단말기 상측(100) 상면에 형성된 힌지부수용홈(120)(2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2, the bending unit 300 includes a bending unit 300 for bending and folding the display unit 110 in a multistage manner about the display unit 110 sid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A hinge unit 310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And hinge receiving grooves 120 and 2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200 of the terminal a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100 so as to receive the hinge part 310. [

상기 단말기 상측(200)의 전면에는 상측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부(100)에는 화면이 상측과 하측이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하나로 통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된 피시비(PCB)는 단말기의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되어 실장되거나 후렉시블 피시비(PCB)를 사용하여 하나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PCB)가 상측과 하측으로 분리되어 실장된 경우, 상기 상측 피시비(PCB)와 하측 피시비(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이 상기 절곡부위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n upper display unit. In the display unit 100 of the mobile terminal,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may be displayed separately and may be displayed as a single unit. In addition, the PCB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be separate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erminal, or may be mounted using a flexible PCB (PCB). When the PCB i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 connection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side PCB and the lower side PCB may be provided inside the bent region.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곡수단(300)으로서 다단으로 절곡되는 힌지부(31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말기 상측(200)과 상기 단말기 하측(100)사이에 상기 단말기 상측(200)이 상기 단말기 하측(100)의 표시부(110)를 향하여 다단으로 절곡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unit 310 is used as the bending unit 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eans may be used to allow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to be folded in multiple stages toward the display unit 110 of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between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and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상측(200)과 단말기 하측(100)이 분리되어 있고, 이들을 절곡수단(300)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단말기 상측(200)과 단말기 하측(100)이 분리되지 않고, 상기 단말기 상측(200)과 단말기 하측(100)의 경계부분에 다단으로 절곡되는 절곡수단(300)을 위치시켜 상기 단말기 상측(200), 단말기 하측(100) 및 상기 절곡수단(300)을 일체로 구성시킬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200 and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nding means 300.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and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can be positioned by positioning the bending means 300 which is folded at multiple stages i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ide 200 and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without detaching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And the bending unit 300 can be integrally 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예의 절곡되지 않은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의 힌지부수용홈(120)(220)이 상기 힌지부(310)를 상하에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평상시처럼 평평하게 편상태에서도 모바일 단말기의 이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이다.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hinge receiving grooves 120 and 220 of FIG. 2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hinge portions 310 from above and below, so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mobile And no gap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절곡된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절곡되지 않은 상태의 표시부 이면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ck side of a display portion in a fold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ck side of a display portion in an unfold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 상측(200)의 하단부에서 이어져 형성된 날개부(2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날개부(230)는 상기 단말기 하측(100)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상측(200)을 소정 각도 절곡 시켰을 때 상기 단말기 상측(200)과 단말기 하측(100) 사이의 상기 절곡수단(30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 상측(200)이 상기 단말기 하측(100)에 대하여 상기 표시부(110) 반대측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4 to 6,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ng portion 2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to be. When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20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the wing portion 230 is not exposed to the bending means 300 between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and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And prevents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from being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unit 110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100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230)가 상기 단말기 상측(200)의 하단부에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말기 하측(100)의 상단부에 이어져 형성된 날개부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s 230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terminal unit 100 may be formed as a wing uni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terminal 100.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단말기 상측을 단말기 하측에 대하여 표시부 방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 절곡 각도는 90°가 될 수 있다.
FIG. 7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a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s shown in FIG. 7,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at a desired angle toward the displa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bending angle may be 90 degrees.

도 8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8 is a sid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상측(200)이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부(110)를 향해 절곡되는 것은 물론 표시부(110)의 뒷면이 되는 이면부(111)를 향하여도 절곡될 수 있다. 이면부(111)를 향하여 절곡되는 각도(A)는 수평면에 대하여 120°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앞뒤면에서 모두 표시부(110,110')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절곡수단(300)은 위에 언급한 것 여러 방법 가운데 절곡될 수 있는 각도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예시되지 아니한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pper side 200 of the terminal can be bent toward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oward the back side 111 of the display unit 110. The angle A, which is bent toward the back surface 111, may be 120 DEG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ccordingly, the display units 110 and 110 'can be seen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Here, the bending means 300 can be selected to be able to widen the angle that can be bent among the various methods mentioned above, and other methods not illustrated can also be 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즉 가요성으로 된 형식일 수 있다. 근래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이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can be curved in a curved shape, that is, in a flexible form. Recently, a display panel which can be bent can be proposed, and such a technique can be employed.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후방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된 부위를 포함하는 단말기상측을 표시부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피사체를 향하여 모바일 단말기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 카메라 렌즈 부분의 단말기 상측만을 절곡 시킴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우지 않고, 사용상태 그대로 지면과 평행하게 또는 소정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사체의 촬영시 손떨림으로 인한 촬영 사진이 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lens of the rear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portion, when the user takes a picture of the subject, the entire mobile terminal is not moved toward the subject, By bending only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o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using the mobile terminal at right angles to the grou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due to camera shake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또한, 주간에 야외에서 또는 야간에 불빛 아래에서 표시부의 콘텐츠를 확인하거나 작업을 할 경우, 상기 단말기 상측을 단말기 하측에 대해서 소정 각도 절곡시켜 빛을 차단함으로써, 표시부에서 빛의 반사를 방지하여 콘텐츠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checking the contents of the display unit under light in the daytime or in the light during the daytime,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so as to prevent light from being reflected by the display unit, You can see clear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후방 카메라와 표시부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의 레즈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측을 단말기 하측에 대해서 표시부를 향하여 다단으로 절곡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당연하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ly a few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rear camera and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 the technical idea of bending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redeye of the rear camera toward the display unit toward the display unit in multiple stages, Of course.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단말기 하측 110: 표시부
120, 220: 힌지부수용홈 200: 단말기 상측
210: 카메라렌즈 30: 날개부
300: 절곡수단 310: 힌지부
100: terminal lower side 110:
120, 220: Hinge portion receiving groove 200: upper side of the terminal
210: camera lens 30: wing portion
300: Bending means 310: Hinge portion

Claims (9)

후방 카메라와 표시부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의 렌즈를 포함하는 소정 길이의 단말기 상측과;
소정 길이의 단말기 하측과;
상기 단말기 상측을 상기 단말기 하측에 대해서 표시부를 향하여 절곡시킬 수 있는 절곡수단;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ar camera and a display unit,
A terminal upper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ing a lens of the rear camera;
A terminal bottom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Bending means capable of bending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toward the displa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G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수단은 다단으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힌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ding means is a hinge portion whose rotation angle is adjusted in multiple stag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측 하단부에는 절곡시에 상기 절곡수단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is formed with a w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bending means from being exposed at the time of ben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하측 상단부에는 절곡시에 상기 절곡수단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is formed with a w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bending means from being exposed at the time of ben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측의 최대 절곡 각도는 상기 단말기 하측에 대하여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bending angle of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is 90 DEG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실장된 피시비(PCB)는 단말기 상측과 단말기 하측으로 분리되어 실장되어 있고, 분리된 상측 피시비(PCB)와 하측 피시비(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CB)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and includes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parated upper side PCB and the lower side PCB.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실장된 피시비(PCB)는 상기 절곡수단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이 휘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CB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bent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수단은 상기 단말기 상측으로 하여금 표시부의 뒷면이 되는 이면부를 향하여도 절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ding means can be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toward the back side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은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has a curved shape.
KR1020140175132A 2014-04-22 2014-12-08 Mobile Terminal Devices KR201501220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1043 WO2015163567A1 (en) 2014-04-22 2015-01-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36 2014-04-22
KR20140047836 2014-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047A true KR20150122047A (en) 2015-10-30

Family

ID=5443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132A KR20150122047A (en) 2014-04-22 2014-12-08 Mobile Terminal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04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131A (en) * 2018-04-16 2019-10-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2131A (en) * 2018-04-16 2019-10-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0112S1 (en) Display module
KR102297615B1 (en) A Portable Folding Virtual Reality Device
KR101913887B1 (en) A portable virtual reality device
KR102464948B1 (en) Hinge Structure for Mobi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installed
IES20180182A2 (en) Computer game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in maximized size
CN105827903A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04635404A (en) Optical zooming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optical zooming camera module
CN10475422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aking photos by using cameras of mobile terminal
CN103873693A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photo shooting angle according to gravitational acceleration
CN106231175A (en) A kind of method that terminal gesture is taken pictures
CN207720213U (en) Mobile phone self-shooting bar
KR101840741B1 (en) linked phone type selfie apparatus
CN205121152U (en) Panorama ware of taking photo by plane
CN203608282U (en) Mobile phone screen amplification projector
CN208636505U (en) A kind of pressure ring and lens module
KR102399513B1 (en)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4669468U (en) Mobile terminal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KR20150122047A (en) Mobile Terminal Devices
CN106254582B (en) Camera and mobile terminal containing it
CN204291174U (en) Mobile terminal
US10705411B2 (en) Document camera
WO2020211335A1 (en) Screen bendable electronic device
CN207766297U (en) Projective mobile phone
US20160349597A1 (en)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