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002A - 영상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002A
KR20150122002A KR1020140048319A KR20140048319A KR20150122002A KR 20150122002 A KR20150122002 A KR 20150122002A KR 1020140048319 A KR1020140048319 A KR 1020140048319A KR 20140048319 A KR20140048319 A KR 20140048319A KR 20150122002 A KR20150122002 A KR 2015012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r
camera
mobile communication
internet
communication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트론
Priority to KR102014004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002A/ko
Publication of KR2015012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보안 시스템{Video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영상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를 일반 보안장비와 함께 구성하여 비상시에 가입자가 스마트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을 영상으로 확인하면서 대처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서비스는 가입자의 댁내에 열선센서 등 각종 센서와 주장치를 설치하고 중앙관제센터를 운영하면서 침입자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중앙관제센터에 통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댁내에 설치한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영상보안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가입자의 댁내에 설치된 각종센서와 주장치와 카메라가 유기적으로 연동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통신회선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카메라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영상을 녹화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는 카메라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P2P 서버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는 카메라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는 제어장치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는 도어락과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는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모뎀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3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제2공유기 및 이동통신모뎀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제2공유기와 제3공유기 및 이동통신모뎀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서버의 중계로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이동통신모뎀은,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와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의 영상을 녹화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카메라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P2P 서버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카메라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제어장치와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버는 도어락과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는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모뎀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3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 제2공유기 및 이동통신모뎀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카메라, 제2공유기, 이동통신모뎀 및 제3공유기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영상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어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센서들의 상태와 카메라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들의 상태와 카메라의 영상을 끊김없이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평상시에는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통신을 하고,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에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통신비용 절감효과가 있다.
넷째, 유해가스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할 때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1000)은 카메라(1100),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제1공유기(1400), 서버(1500), 단말기(1600) 및 저장장치(170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0)는 제2공유기(1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단말기(1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및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1200) 및 이동통신모뎀(1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1500)의 중계로 단말기(1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제1공유기(1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제1공유기(1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1600)가 서버(1500)의 중계로 카메라(1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카메라(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단말기(1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카메라(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서버(1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1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1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1200)는 이동통신모뎀(1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1200)는 이동통신모뎀(1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1200)는 카메라(1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1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1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제2공유기(1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공유기(1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과 제2공유기(1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한 서버(1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1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1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1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1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14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1300)과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1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1500)는,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제1공유기(1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1200), 이동통신모뎀(1300), 제1공유기(1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1600)가 카메라(1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1500)는 이동통신모뎀(1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1500)는 단말기(1600)와 카메라(1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1500)는 카메라(1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1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1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1500)는 카메라(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1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1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1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1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1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1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1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1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1500)의 중계로 카메라(1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1700)는 카메라(1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1700)는 제2공유기(1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1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2000)은 카메라(2100),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제3공유기(2900), 제1공유기(2400), 서버(2500), 단말기(2600) 및 저장장치(2700)를 포함한다.
카메라(2100)는 제2공유기(2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단말기(2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및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2200) 및 이동통신모뎀(2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2500)의 중계로 단말기(2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제1공유기(2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제1공유기(2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2600)가 서버(2500)의 중계로 카메라(2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2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카메라(2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단말기(2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카메라(2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서버(2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2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2200)는 이동통신모뎀(2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2200)는 이동통신모뎀(2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2200)는 카메라(2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2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2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제2공유기(2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3공유기(29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과 제2공유기(2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한 서버(2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2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2900)와 제1공유기(2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2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2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29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2300)과 연결되고 무선으로 제1공유기(2400)와 연결되며 클라이언트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29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2400)는 무선으로 제3공유기(2900)와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2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2500)는,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제1공유기(2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2200), 이동통신모뎀(2300), 제1공유기(2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2600)가 카메라(2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2500)는 이동통신모뎀(2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2500)는 단말기(2600)와 카메라(2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2500)는 카메라(2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2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2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2500)는 카메라(2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2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2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2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2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2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2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2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2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2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2500)의 중계로 카메라(2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2700)는 카메라(2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2700)는 제2공유기(2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2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3000)은 카메라(3100),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제1공유기(3400), 서버(3500), 단말기(3600), 저장장치(3700) 및 제어장치(3800)를 포함한다.
카메라(3100)는 제2공유기(3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단말기(3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및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3200) 및 이동통신모뎀(3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3500)의 중계로 단말기(3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제1공유기(3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제1공유기(3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3600)가 서버(3500)의 중계로 카메라(3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3800)와 단말기(3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제어장치(3800) 또는 서버(3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3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3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3200)는 이동통신모뎀(3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3200)는 이동통신모뎀(3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3200)는 카메라(3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3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3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제2공유기(3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공유기(3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과 제2공유기(3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한 서버(3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3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3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3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34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3300)과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3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제2공유기(3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및 제1공유기(3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서 서버(3500)의 중계로 단말기(36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제어장치(3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3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서버(3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서버(3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3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31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3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제어장치(3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할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서버(3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장치(3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38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제1공유기(3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3200), 이동통신모뎀(3300), 제1공유기(3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3600)가 카메라(3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이동통신모뎀(3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3500)는 단말기(3600)와 제어장치(3800)간 통신과 단말기(3600)와 카메라(3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카메라(3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3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3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카메라(3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3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3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제어장치(3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3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3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3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3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3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3500)는 제어장치(3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3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3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3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3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3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3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3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3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38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3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3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3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3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3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3500)의 중계로 카메라(3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3700)는 카메라(3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3700)는 제2공유기(3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3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4000)은 카메라(4100),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3공유기(4900), 제1공유기(4400), 서버(4500), 단말기(4600), 저장장치(4700) 및 제어장치(4800)를 포함한다.
카메라(4100)는 제2공유기(4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단말기(4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및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4200) 및 이동통신모뎀(4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4500)의 중계로 단말기(4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1공유기(4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1공유기(4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4600)가 서버(4500)의 중계로 카메라(4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4800)와 단말기(4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제어장치(4800) 또는 서버(4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4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4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4200)는 이동통신모뎀(4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4200)는 이동통신모뎀(4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4200)는 카메라(4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4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4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제2공유기(4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3공유기(49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과 제2공유기(4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한 서버(4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4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4900)와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4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4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49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4300)과 연결되고 무선으로 제1공유기(4400)와 연결되며 클라이언트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49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4400)는 무선으로 제3공유기(4900)와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4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제2공유기(4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3공유기(4900) 및 제1공유기(4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서 서버(4500)의 중계로 단말기(46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제어장치(4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4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서버(4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서버(4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4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41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4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제어장치(4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할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서버(4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장치(4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48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1공유기(4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4200), 이동통신모뎀(4300), 제1공유기(4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4600)가 카메라(4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이동통신모뎀(4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4500)는 단말기(4600)와 제어장치(4800)간 통신과 단말기(4600)와 카메라(4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카메라(4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4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4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카메라(4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4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4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제어장치(4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4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4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4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4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4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4500)는 제어장치(4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4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4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4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4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4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4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4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4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48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4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4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4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4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4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4500)의 중계로 카메라(4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4700)는 카메라(4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4700)는 제2공유기(4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4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5000)은 카메라(5100),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제1공유기(5400), 서버(5500), 단말기(5600), 저장장치(5700), 제어장치(5800) 및 도어락(5910)을 포함한다.
카메라(5100)는 제2공유기(5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단말기(5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및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5200) 및 이동통신모뎀(5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5500)의 중계로 단말기(5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제1공유기(5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제1공유기(5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5600)가 서버(5500)의 중계로 카메라(5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와 단말기(5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제어장치(5800) 또는 서버(5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5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5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5200)는 이동통신모뎀(5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5200)는 이동통신모뎀(5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5200)는 카메라(5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5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5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제2공유기(5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1공유기(5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과 제2공유기(5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한 서버(5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5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5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5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54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5300)과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5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제어장치(58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도어락(59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생성하는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고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고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제어장치(5800)에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제어장치(58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제어장치(5800)로부터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받아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591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제2공유기(5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및 제1공유기(5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서 서버(5500)의 중계로 단말기(56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제어장치(5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5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서버(5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서버(5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5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51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5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제어장치(5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할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서버(5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장치(5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도어락(59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도어락(5910)으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와 닫힘신호를 수신하여 서버(5500)에 송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연동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서버(5500)로부터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받아 도어락(5910)에 전달하여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58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제1공유기(5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5200), 이동통신모뎀(5300), 제1공유기(5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5600)가 카메라(5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이동통신모뎀(5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5500)는 단말기(5600)와 제어장치(5800)간 통신과 단말기(5600)와 카메라(5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카메라(5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5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5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카메라(5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5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5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제어장치(5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5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5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도어락(591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5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5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5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5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5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제어장치(5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5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단말기(5600)로부터 수신한 제어장치(5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5500)는 제어장치(5800)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와 닫힘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5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5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5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5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5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591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5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5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서버(5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5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5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5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58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591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5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5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5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59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5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5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5500)의 중계로 카메라(5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5700)는 카메라(5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5700)는 제2공유기(5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5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안 시스템(6000)은 카메라(6100),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3공유기(6900), 제1공유기(6400), 서버(6500), 단말기(6600), 저장장치(6700), 제어장치(6800) 및 도어락(6910)을 포함한다.
카메라(6100)는 제2공유기(6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단말기(6600)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및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6200) 및 이동통신모뎀(6300),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6500)의 중계로 단말기(660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도록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1공유기(6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동작할 때에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1공유기(6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6600)가 서버(6500)의 중계로 카메라(6100)에 접속할 수 있는 P2P카메라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와 단말기(6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하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제어장치(6800) 또는 서버(6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6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61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6200)는 이동통신모뎀(63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제2공유기(6200)는 이동통신모뎀(6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6200)는 카메라(6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공유기(62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공유기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통신모뎀(6300)은 라우터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제2공유기(62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3공유기(69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과 제2공유기(620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한 서버(6500)와의 접속 가능여부로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면서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하여 제2공유기(6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3공유기(6900)와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제2공유기(6200)와 인터넷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모뎀(630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6900)는 유선으로 이동통신모뎀(6300)과 연결되고 무선으로 제1공유기(6400)와 연결되며 클라이언트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공유기(69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6400)는 무선으로 제3공유기(6900)와 연결되고 라우터 모드로 동작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공유기(6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제어장치(68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도어락(69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생성하는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고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출입문 개폐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고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제어장치(6800)에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 닫힘신호와 같은 이벤트를 제어장치(68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제어장치(6800)로부터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받아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어락(691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제2공유기(6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3공유기(6900) 및 제1공유기(6400)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거나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면서 서버(6500)의 중계로 단말기(66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를 제어장치(6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6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서버(6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서버(6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카메라(6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6100)로부터 수신하여 서버(65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제어장치(6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부합할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서버(6500)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장치(6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도어락(69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도어락(6910)으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와 닫힘신호를 수신하여 서버(6500)에 송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에 연동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서버(6500)로부터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받아 도어락(6910)에 전달하여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장치(68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1공유기(6400) 등이 라우터 모드로 작동하고, 제2공유기(6200), 이동통신모뎀(6300), 제1공유기(6400) 등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때에도 단말기(6600)가 카메라(6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P2P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이동통신모뎀(65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6500)는 단말기(6600)와 제어장치(6800)간 통신과 단말기(6600)와 카메라(6100)간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카메라(6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6600)로부터 수신하고 카메라(6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카메라(6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6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6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제어장치(6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6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6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도어락(691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단말기(6600)로부터 수신하고 제어장치(6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61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6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6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제어장치(6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열선센서, 유해가스센서, 가연성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6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단말기(6600)로부터 수신한 제어장치(68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버(6500)는 제어장치(6800)로부터 출입문의 열림신호와 닫힘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660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는 앱(미도시)을 탑재한 데스크탑PC, 태블릿PC, 스마트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61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6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680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6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6910)의 이벤트 통보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키는 설정정보를 서버(6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691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설정정보를 서버(6500)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6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카메라(6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61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68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6910)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카메라(6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카메라(6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제어장치(6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도어락(69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센서I(미도시)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제어장치(68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6600)에 탑재된 앱(미도시)은 서버(6500)의 중계로 카메라(6100)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6700)는 카메라(6100)의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6700)는 제2공유기(67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저장장치(6700)는 하나 이상의 HDD를 내장하거나 외장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없음

Claims (21)

  1.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2.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상기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3.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4. 제어장치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상기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5.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6.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도어락과;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의 중계로 상기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제1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공유기와;
    상기 제3공유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해 있으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이동통신모뎀; 및
    상기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이동통신모뎀과 통신하기 위하여 경유하는 제2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3공유기와 상기 제1공유기를 경유한 인터넷 접속이 비정상일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녹화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P2P 서버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0. 제3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1. 제5항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락과 상기 단말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3. 제3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설정정보에 따라 이벤트 통보기능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4.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5.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모뎀은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6.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7.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8. 제2항, 제4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유기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19. 제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정상동작하는 영상보안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2공유기 및 상기 이동통신모뎀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
  21. 제2항, 제4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2공유기와 상기 제3공유기 및 상기 이동통신모뎀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영상보안 시스템.
KR1020140048319A 2014-04-22 2014-04-22 영상보안 시스템 KR20150122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19A KR20150122002A (ko) 2014-04-22 2014-04-22 영상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19A KR20150122002A (ko) 2014-04-22 2014-04-22 영상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002A true KR20150122002A (ko) 2015-10-30

Family

ID=5443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319A KR20150122002A (ko) 2014-04-22 2014-04-22 영상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0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5263B2 (en) Emergency video camera system
EP3729391B1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11694494B2 (en)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 system
US10127798B1 (en) Monitoring system control technology using multiple sensors, cameras, lighting devices, and a thermostat
US10127797B2 (en) Alternative inexpensive cloud-based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EP2930702B1 (en) Security system access detection
EP3241194B1 (en) Alarm arming with open entry point
EP2817890B1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860568B1 (en) Home floor safe security system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KR101658362B1 (ko) 방범용 cctv 카메라 그물망식 비상호출 시스템 시공방법
KR101404254B1 (ko) 방범용 비상호출 시스템
JP2008077185A (ja) 省電力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906880B1 (ko) 무선랜 파라미터 동요에 기초한 모션 감지 방법
KR20140089020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가정보안방법
KR100674574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84352B1 (ko) 모듈형침입감지유니트와 이벤트촬영수단을 이용한 스마트기반 지능형 방범시스템
KR20120064414A (ko)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1057150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cable connectivity in a smart home environment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22002A (ko) 영상보안 시스템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WO2019068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SERVICES
CN205318559U (zh) 基于无线传输的家用智能安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