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889A -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889A
KR20150121889A KR1020140048057A KR20140048057A KR20150121889A KR 20150121889 A KR20150121889 A KR 20150121889A KR 1020140048057 A KR1020140048057 A KR 1020140048057A KR 20140048057 A KR20140048057 A KR 20140048057A KR 20150121889 A KR20150121889 A KR 20150121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music
images
s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889A/ko
Priority to PCT/KR2014/010259 priority patent/WO2015163552A1/ko
Priority to US14/898,343 priority patent/US10339176B2/en
Publication of KR2015012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04N21/811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comprising music, e.g. song in MP3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무드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상하는 음악의 분위기나 음악을 감상중인 사용자의 환경과 어울리는 배경 이미지를 사용자와 연관된 이미지들로 구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며 이미지와 관련된 기억이나 이미지를 저장했을 당시의 상황을 회상할 수 있어 보다 친숙한 느낌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RELATED IMAGE OF PLAYBACK MUSIC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 중인 음악과 어울리거나 적합한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해서 개인의 단말기를 통해 음원 재생, 이미지 감상, 웹 서핑, SNS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기능들 중 단말기에서 음악을 재생하거나 음악 서비스를 통해 특정 음악을 추천 받아 재생하는 경우, 대부분 해당 음악에 대한 가사의 내용이나 앨범 이미지 등이 배경 영상으로 첨부되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이용하여 멀티 태스킹을 하거나 음악 재생기만을 실행한 채 다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할 때 앨범 이미지 대신에 음악 및 사용자와 연관된 다양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사용자 별로 선호하는 곡이나 특정한 곡과 어울리는 이미지들과의 관계를 구축하며, 관련 이미지로부터 추천할 실물 상품을 연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관련 상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6-0037043A호, 2006년 5월 3일 공개 (명칭: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할 때 음악의 분위기나 사용자의 환경과 어울리는 배경 영상을 사용자와 연관된 이미지들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과 배경 영상을 제공할 때 연계할 수 있는 실물 상품을 함께 노출시켜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할 수 있는 적합한 상품에 대해 편리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상기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상기 무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상기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상기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풀 생성부는 상기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음악의 템포의 속도를 판단하여, 상기 템포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맑은 날에 상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 중 현재 날씨에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채도 및 명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조작한 정보인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하는 조작 정보 수집부; 및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수집하여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하는 이미지 추출 규칙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추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음악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상품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무드 정보는 상기 음악의 템포, 인기도 및 발표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상태, 주변 소음, 현재 날씨, 현재 계절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상기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상기 무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분위기나 음악을 감상하고 있는 사용자의 환경 상태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며 이미지와 관련된 기억이나 이미지를 저장했을 당시의 상황을 회상할 수 있어 보다 친숙한 느낌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과 관련된 이미지를 제공할 때 이미지와 함께 연계된 실물 상품을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에 대해서 편리하게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음악 재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 조작 정보 수집부(120), 풀 생성부(130), 이미지 추출 규칙 생성부(140), 이미지 추출부(150), 이미지 출력부(160) 및 상품 추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10)는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무드 정보는 음악의 템포, 인기도 및 발표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악의 무드 정보는 음악에 대한 메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고, 템포가 빠른 음악, 인기 음악 및 최신 음악 등의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상태, 주변 소음, 현재 날씨, 현재 계절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소음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 주위에 사람들이 많은지, 소음이 많은 곳에 있는지, 조용한 곳에 있는지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간대별 기지국 접속 정보나 위치 정보의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 활동지를 파악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측정한 현재 위치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조작 정보 수집부(120)는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을 조작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했다가 추후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조작 정보는 사용자 ID, 음원 ID, 곡 ID, 조작정보 ID 및 날짜 등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풀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은 단말의 사진 앨범 혹은 갤러리 등에 저장되어 있고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찍거나 저장한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와 PC를 연결해서 이용하는 계정이나, 기타 다른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들을 열람하는 경우에도 아이디 연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다면 추가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한 시간을 해당 이미지와 연동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올린 이미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열람, 즐겨찾기 및 '좋아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시간을 해당 작업을 수행하며 추출된 이미지들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된 시간 및 SNS에 게시된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한 시간을 통해 해당 시각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된 이미지와 연동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SNS에 이미지를 업로드 한 시간을 통해 해당 시각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고 SNS에 업로드 한 이미지를 추출할 때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추출 규칙 생성부(140)는 음악 별로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이용하여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생성하고, 음악 별 사용 이력을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하여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오는 날 느린 음악에 비오는 날 촬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재생할 때의 사용자의 반응이나, 반대로 비오는 날 오히려 빠른 음악에 맑은 날 촬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재생할 때의 사용자 반응을 검사하는 등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반응율에 대한 검증을 통해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개별 사용자에 대해 이러한 반응율을 누적하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배경 이미지 조합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미지 추출부(150)는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무스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변 소음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주위에 사람이 많은지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현재 위치 등을 파악하여 개인적인 공간에 머물러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공개적인 이미지일 수 있으므로 공공적인 환경에서 노출되어도 사용자에게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은 사용자 개인적인 이미지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개인적인 환경이라고 판단될 경우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 및 SNS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결하여 사용자가 SNS에 올린 이미지들을 소스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올린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열람했거나, 즐겨찾기 했거나, '좋아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을 소스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템포의 속도를 판단하여, 템포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맑은 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속도가 bpm 100이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청취하는 음악의 템포가 bpm 100이상일 경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채도나 명도가 높은 맑은 날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과거 날씨 데이터들 중 현재 날씨에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 및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채도 및 명도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비가 온다고 가정한다면,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과거에 비가 왔던 날을 검색하고,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검색한 날과 연동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채도나 명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단말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보던 중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노출된다면,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이미지가 지나갔을 때 다시 보려고 조작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배경으로 오래 보고 싶은 이미지가 나온 경우에 해당 이미지를 고정하는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 규칙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음악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들의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수집하였을 때, A라는 음악에 대해서는 사용자들이 주로 '풍경'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고정하는 경향이 있다거나, B라는 음악에 대해서는 사용자들이 주로 '연인'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고정하는 경향을 이용하여 음악 A 및 B에 대하여 각각 '풍경' 및 '연인'에 관련한 이미지를 추출한다는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경우에는 전체 화면에 영상을 뿌려주거나 음악 플레이어의 재생 기능들을 제외하고 이미지만을 노출하는 형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의 좌/우로 직접 사용자가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노출된다면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이미지가 지나갔을 때 다시 보려고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배경으로 오래 보고 싶은 이미지가 나온 경우, 해당 이미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음악에 배경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단말에서 추출한 이미지와 SNS에서 추출한 이미지 각각에 대한 동작을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가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가 추출된 당시의 SNS의 작업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서 노출된 이미지를 클릭한 경우, 단말에 탑재된 이미지 뷰어를 통해 해당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나 장소 등을 보여줄 수 있다.
상품 추천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인물이 존재하는지, 풍경에 대한 이미지 인지, 이미지에 동물이 존재하는지, 실외 영상인지 실내 영상인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이와 같은 이미지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는, SNS에서 기반한 이미지에 경우 각 사용자들의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상위 단계의 컨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이 존재하는 이미지인지 아닌지, 풍경에 대한 이미지인지 아닌지, 동물이 존재하는 이미지인지 아닌지, 실외 이미지인지 실내 이미지인지 등의 상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기술의 접목에 따라, 아기가 있는 이미지인지, 아이들이 있는 이미지인지, 옷에 대한 이미지인지, 특정 상품 군이 포함된 이미지인지 아닌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음악에 따라서 '풍경' 이미지들이 주로 어울린다고 판단된 음악을 사용자가 청취하기 시작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나 SNS에서 추출할 수 있는 이미지들에서 '풍경'류의 이미지들이 배경 화면으로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할인 여행 상품'등의 실물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천은 별도의 영역을 이용하거나 팝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배경 이미지로 재생 중인 각 이미지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위치나 해당 위치와 가까운 곳의 여행 상품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가 음악에는 상관없이 주로 '아기'가 포함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다면, 해당 이미지의 저장 시간을 기초로 하여, 저장 시간이 현재 시점과 멀지 않으면 '유아 용품'을 추천할 수 있고, 저장 시간이 현재 시점과 차이가 난다면 시간을 계산하고 만일 그 사진이 6~8년 전 사진이라면 '초등학생 용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현재 사용자가 주로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음악의 배경으로 선호한다면, 타 서비스의 가입정보나 단말기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성/연령을 추정하고, 추정한 성/연령을 기초로 하여 '상대 이성에 대한 선물 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할 때 음악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이미지나 사용자의 환경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음악의 배경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며 이미지와 관련된 기억이나 이미지를 저장했을 당시의 상황을 회상하며 음악에 대해 보다 친숙한 느낌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기존의 음악 재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음악 재생기(210, 22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기본으로 탑재된 음악 재생기(210)와 별도의 음악 서비스를 통한 음악 전용 앱의 음악 재생기(220)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에 기본으로 탑재된 음악 재생기(210)에서는 기본적인 사용자 조작 UI와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음원 정보 및 가사를 배경 영상에 나타낼 수 있다.
별도의 음악 서비스를 통한 음악 전용 앱의 음악 재생기(220)는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으로 탑재된 음악 재생기(210)와 모양은 상이하지만 비슷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조작 UI와 음악을 수록한 앨범 사진을 배경 영상에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었던 음악 재생기(210, 220)에서는 재생 음악과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위한 UI 또한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재생 중인 음악의 태그 정보에 기반한 가사 및 앨범 이미지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재생되는 음악에 대해 보다 친숙한 느낌을 제공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 사용자가 SNS를 통해 공유한 이미지,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공유한 이미지 및 임의의 이미지 소스 등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저장한 이미지나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캡쳐하고 저장한 이미지 등, 사용자의 단말기의 사진 앨범 및 갤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일 수 있다.
사용자가 SNS를 통해 공유한 이미지 및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공유한 이미지는 사용자가 SNS에 올린 이미지들이나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올린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열람했거나, 즐겨찾기 했거나, '좋아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단말기와 PC를 연결해서 이용하는 계정이나, 기타 다른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를 열람하는 경우에도 아이디 연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420)는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410)에 포함된 다양한 소스 이미지들 중에서 음악의 분위기나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관련 이미지(431, 432, 433)를 추출할 수 있다.
관련 이미지(431, 432, 433)는 특별한 사용자 조작 정보가 없다면 음악 재생기(42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관련 이미지가 있다면 좌우 이동 버튼(441, 442)을 통해 지나간 이미지를 다시 보거나 다음 이미지를 먼저 확인하는 등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이미지 고정 버튼(443)으로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고정시켜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미지 또는 특정한 음악에 선호하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이미지를 추출할 때 특정 규칙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기(510)는 음악에 어울리거나 사용자의 상태에 상응하는 배경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배경 이미지에 상응하는 실물 상품을 추천하는 상품 추천 팝업(52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경' 이미지들이 주로 어울린다고 판단된 음악을 사용자가 청취하기 시작하였을 때, 음악 재생기(510)는 '풍경'에 상응하는 관련 이미지들을 배경 화면으로 제공하며, 이와 함께 관련 실물 상품인 '할인 여행 상품'에 대한 상품 추천 팝업(520)을 제공할 수 있다. 추천 내용으로는 제공되는 '풍경'에 대한 관련 이미지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위치나 해당 위치와 가까운 곳의 여행 상품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음악의 분위기와 상관없이 주로 '아기'가 포함된 관련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다면, 관련 이미지와 함께 '유아 용품'과 관련된 상품 추천 팝업(520)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610).
이 때, 무드 정보는 음악의 템포, 인기도 및 발표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악의 무드 정보는 음악에 대한 메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고, 템포가 빠른 음악, 인기 음악 및 최신 음악 등의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상태, 주변 소음, 현재 날씨, 현재 계절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소음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 주위에 사람들이 많은지, 소음이 많은 곳에 있는지, 조용한 곳에 있는지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간대별 기지국 접속 정보나 위치 정보의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 활동지를 파악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GPS를 이용하여 측정한 현재 위치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무드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620).
이 때,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변 소음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주위에 사람이 많은지 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현재 위치 등을 파악하여 개인적인 공간에 머물러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공개적인 이미지일 수 있으므로 공공적인 환경에서 노출되어도 사용자에게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은 사용자 개인적인 이미지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개인적인 환경이라고 판단될 경우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 및 SNS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결하여 사용자가 SNS에 올린 이미지들을 소스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올린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열람했거나, 즐겨찾기 했거나, '좋아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을 소스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템포의 속도를 판단하여, 템포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맑은 날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속도가 bpm 100이라고 한다면, 사용자가 청취하는 음악의 템포가 bpm 100이상일 경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채도나 명도가 높은 맑은 날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과거 날씨 데이터들 중 현재 날씨에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 및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채도 및 명도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비가 온다고 가정한다면,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과거에 비가 왔던 날을 검색하고,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검색한 날과 연동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채도나 명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우선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단말에 제공되는 이미지를 보던 중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노출된다면,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이미지가 지나갔을 때 다시 보려고 조작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배경으로 오래 보고 싶은 이미지가 나온 경우에 해당 이미지를 고정하는 등의 사용자 조작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추출 규칙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음악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들의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수집하였을 때, A라는 음악에 대해서는 사용자들이 주로 '풍경'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고정하는 경향이 있다거나, B라는 음악에 대해서는 사용자들이 주로 '연인'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고정하는 경향을 이용하여 음악 A 및 B에 대하여 각각 '풍경' 및 '연인'에 관련한 이미지를 추출한다는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대해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슬라이드 쇼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경우, 단말기의 화면을 켜는 경우에는 전체 화면에 영상을 뿌려주거나 음악 플레이어의 재생 기능들을 제외하고 이미지만을 노출하는 형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영상의 좌/우로 직접 사용자가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노출된다면 사용자가 임의로 해당 이미지가 지나갔을 때 다시 보려고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해당 노래를 배경으로 오래 보고 싶은 이미지가 나온 경우, 해당 이미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음악에 배경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단말에서 추출한 이미지와 SNS에서 추출한 이미지 각각에 대한 동작을 나누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가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이미지가 추출된 당시의 SNS의 작업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의 단말에서 노출된 이미지를 클릭한 경우, 단말에 탑재된 이미지 뷰어를 통해 해당 이미지가 촬영된 날짜나 장소 등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을 조작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했다가 추후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조작 정보는 사용자 ID, 음원 ID, 곡 ID, 조작정보 ID 및 날짜 등과 같은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은 단말의 사진 앨범 혹은 갤러리 등에 저장되어 있고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찍거나 저장한 사진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와 PC를 연결해서 이용하는 계정이나, 기타 다른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들을 열람하는 경우에도 아이디 연계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다면 추가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한 시간을 해당 이미지와 연동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SNS 지인들이 올린 이미지에 대해서 사용자가 열람, 즐겨찾기 및 '좋아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시간을 해당 작업을 수행하며 추출된 이미지들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된 시간 및 SNS에 게시된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 어플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한 시간을 통해 해당 시각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된 이미지와 연동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SNS에 이미지를 업로드 한 시간을 통해 해당 시각의 날씨 데이터를 획득하고 SNS에 업로드 한 이미지를 추출할 때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음악 별로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이용하여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생성하고, 음악 별 사용 이력을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하여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오는 날 느린 음악에 비오는 날 촬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재생할 때의 사용자의 반응이나, 반대로 비오는 날 오히려 빠른 음악에 맑은 날 촬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재생할 때의 사용자 반응을 검사하는 등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반응율에 대한 검증을 통해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개별 사용자에 대해 이러한 반응율을 누적하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배경 이미지 조합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인물이 존재하는지, 풍경에 대한 이미지 인지, 이미지에 동물이 존재하는지, 실외 영상인지 실내 영상인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이와 같은 이미지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는, SNS에서 기반한 이미지에 경우 각 사용자들의 태그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개별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상위 단계의 컨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이 존재하는 이미지인지 아닌지, 풍경에 대한 이미지인지 아닌지, 동물이 존재하는 이미지인지 아닌지, 실외 이미지인지 실내 이미지인지 등의 상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기술의 접목에 따라, 아기가 있는 이미지인지, 아이들이 있는 이미지인지, 옷에 대한 이미지인지, 특정 상품 군이 포함된 이미지인지 아닌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음악에 따라서 '풍경' 이미지들이 주로 어울린다고 판단된 음악을 사용자가 청취하기 시작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나 SNS에서 추출할 수 있는 이미지들에서 '풍경'류의 이미지들이 배경 화면으로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할인 여행 상품'등의 실물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천은 별도의 영역을 이용하거나 팝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배경 이미지로 재생 중인 각 이미지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위치나 해당 위치와 가까운 곳의 여행 상품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사용자가 음악에는 상관없이 주로 '아기'가 포함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다면, 해당 이미지의 저장 시간을 기초로 하여, 저장 시간이 현재 시점과 멀지 않으면 '유아 용품'을 추천할 수 있고, 저장 시간이 현재 시점과 차이가 난다면 시간을 계산하고 만일 그 사진이 6~8년 전 사진이라면 '초등학생 용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현재 사용자가 주로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들을 음악의 배경으로 선호한다면, 타 서비스의 가입정보나 단말기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성/연령을 추정하고, 추정한 성/연령을 기초로 하여 '상대 이성에 대한 선물 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음악에 어울리는 배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이미지와 연계된 실물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 개인에게 필요한 상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품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판매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높은 구입자에게 상품을 노출시킴으로써 매출 증가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무드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악에 어울리는 배경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관련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관련 이미지와 연계된 실물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상품을 효과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100: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10: 정보 수집부 120: 이미지 추출부 130: 이미지 출력부
140: 상품 추천부 150: 풀 생성부 160: 조작 정보 수집부
170: 이미지 추출 규칙 생성부 210, 220: 기존 음악 재생기
410: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 420, 510: 음악 재생기
431, 432, 433: 관련 이미지 441, 442: 좌우 이동 버튼
443: 현재 이미지 고정 버튼 520: 상품 추천 팝업

Claims (20)

  1.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상기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상기 무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은
    상기 SNS에 업로드 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상기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풀 생성부는
    상기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에 각각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음악의 템포의 속도를 판단하여, 상기 템포의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맑은 날에 상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과거 날씨 데이터들 중 현재 날씨에 상응하는 과거 날씨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채도 및 명도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조작한 정보인 사용자 조작 정보를 수집하는 조작 정보 수집부; 및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음악 별 사용 이력을 수집하여 이미지 추출 규칙을 생성하는 이미지 추출 규칙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및 음악 별로 선호도가 높은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추출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 중인 음악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상품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드 정보는
    상기 음악의 템포, 인기도 및 발표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상태, 주변 소음, 현재 날씨, 현재 계절 및 현재 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15. 재생 중인 음악의 무드 정보 및 상기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서 상기 무드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사용자의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환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들 위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저장된 시간 및 상기 SNS에서 추출된 이미지들이 상기 SNS에 게시된 시간을 각각 상응하는 이미지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이미지 소스 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이미지의 이미지 종류에 따라 여행 상품, 연령별 용품, 선물용 상품 및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물 관련 제품을 포함하는 실물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방법.
  20. 청구항 15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48057A 2014-04-22 2014-04-22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50121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57A KR20150121889A (ko) 2014-04-22 2014-04-22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CT/KR2014/010259 WO2015163552A1 (ko) 2014-04-22 2014-10-29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4/898,343 US10339176B2 (en) 2014-04-22 2014-10-29 Device for providing image related to replayed music and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57A KR20150121889A (ko) 2014-04-22 2014-04-22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89A true KR20150121889A (ko) 2015-10-30

Family

ID=5433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057A KR20150121889A (ko) 2014-04-22 2014-04-22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9176B2 (ko)
KR (1) KR20150121889A (ko)
WO (1) WO201516355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77B1 (ko) * 2020-09-29 2021-02-03 오성윤 동영상 자동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220043925A (ko) * 2021-01-12 2022-04-05 (주)알지비 인물을 고려한 동영상 비주얼 이펙트 합성 방법
KR20220043811A (ko) * 2020-09-29 2022-04-05 (주)알지비 동영상 내의 인물을 고려한 동영상 합성 방법
US11445144B2 (en) 2017-12-29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linking music to photograph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6102A1 (en) * 2017-12-29 2019-07-04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content
US20190208158A1 (en) * 2018-01-03 2019-07-04 Plantronics, Inc. Three-Dimensional Visual Display Including Directly Lit Diffusers
US10872115B2 (en) * 2018-03-19 2020-12-22 Motorola Mobility Llc Automatically associating an image with an audio track
CN112417183A (zh) * 2019-08-22 2021-02-26 北京峰趣互联网信息服务有限公司 音乐的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59179A (zh) * 2019-12-31 2020-06-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输出设备
JP2022080436A (ja) * 2020-11-18 2022-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サーバ、通信端末、撮影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4201136A (zh) * 2021-10-26 2022-03-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62B1 (ko) 1999-12-07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뮤직기능 구현방법
US6529209B1 (en) * 2000-01-12 2003-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privately viewable data in a publically viewable display
US6611206B2 (en) * 2001-03-15 2003-08-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independent person requiring occasional assistance
JP4221308B2 (ja) * 2004-01-15 2009-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止画再生装置、静止画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78357B1 (ko) 2004-10-27 2006-05-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6244002A (ja) * 2005-03-02 2006-09-14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104057B1 (ko) 2005-03-11 201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엠피3 단말기의 음악 스킨 설정 방법
WO2007115224A2 (en) * 2006-03-30 2007-10-11 Sri International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media streams
CA2672666C (en) * 2006-12-15 2016-09-27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Cross channel optim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7890874B2 (en) 2007-02-23 2011-02-15 Dkc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ly displaying user images
US20090034786A1 (en) * 2007-06-02 2009-02-05 Newell Steven P Application for Non-Display of Images Having Adverse Content Categorizations
US20080320036A1 (en) * 2007-06-22 2008-12-25 Winter Gentle E Automatic data collection
US8115698B2 (en) * 2007-08-28 2012-02-14 Dell Products, L.P.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US8195598B2 (en) * 2007-11-16 2012-06-05 Agilence,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hierarchical human/crowd behavior detection
US20100030578A1 (en) * 2008-03-21 2010-02-04 Siddique M A Sami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business and entertainment
US8326630B2 (en) * 2008-08-18 2012-12-0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 based online advertising
KR101460612B1 (ko) 2008-10-10 2014-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0210179B2 (en) * 2008-11-18 2019-02-19 Excalibur Ip, Llc Dynamic feature weighting
US8260912B2 (en) * 2008-11-21 2012-09-0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Hypothesis based solicitation of data indicating at least one subjective user state
KR101057919B1 (ko) 2009-02-20 2011-08-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들의 재생 목록 분석을 통한 맞춤형 음악 추천 방법
US20110188742A1 (en) 2010-02-02 2011-08-04 Jie Yu Recommending user image to social network groups
KR20110097151A (ko) 2010-02-24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88917A1 (en) * 2010-05-21 2011-11-24 James Wanek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targeted advertisements
US9507413B2 (en) * 2010-12-03 2016-11-2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ailoring vehicle human machine interface
US20120158503A1 (en) * 2010-12-17 2012-06-21 Ebay Inc. Identifying purchase patterns and marketing based on user mood
US9819711B2 (en) * 2011-11-05 2017-11-14 Neil S. Davey Online social interaction, education, and health care by analysing affect and cognitive features
KR20140027826A (ko) * 2012-08-27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5942803B2 (ja) * 2012-11-14 2016-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行動提案装置
US20140164940A1 (en) * 2012-12-07 2014-06-12 Displaylink (Uk) Limited Application windows and display devices
KR102071576B1 (ko) * 2012-12-21 202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454604B2 (en) * 2013-03-15 2016-09-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Motion-based music recommendation for mobile devices
WO2014142951A1 (en) * 2013-03-15 2014-09-18 Intel Corporation Display privacy with dynamic configuration
US20140298364A1 (en) * 2013-03-26 2014-10-02 Rawllin International Inc. Recommendations for media content based on emotion
EP2997444A4 (en) * 2013-05-16 2016-12-14 Intel Corp PROCESS FOR NATURAL USER INTERFACE ENTRY ON THE BASIS OF A CONTEXT
US9386432B2 (en) * 2013-08-12 2016-07-05 Yahoo! Inc. Displaying location-based images that match the weather conditions
US9792003B1 (en) * 2013-09-27 2017-10-17 Audible, Inc. Dynamic format selection and delivery
US20150135067A1 (en) * 2013-11-14 2015-05-14 Wells Fargo Bank, N.A. Intelligent data presentation
KR101657975B1 (ko) * 2014-03-25 2016-09-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앱 기반의 실시간 영상의 배경음악 생성방법
US20150286698A1 (en) * 2014-04-07 2015-10-08 Microsoft Corporation Reactive digital personal assista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144B2 (en) 2017-12-29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linking music to photograph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12077B1 (ko) * 2020-09-29 2021-02-03 오성윤 동영상 자동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2367574B1 (ko) * 2020-09-29 2022-02-25 오성윤 동영상 편집에서 음악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KR102367576B1 (ko) * 2020-09-29 2022-02-28 (주)알지비 동영상 합성을 통해 동영상 내의 노출되는 정보를 동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7581B1 (ko) * 2020-09-29 2022-02-28 (주)알지비 동영상 합성을 위한 자동 툴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367579B1 (ko) * 2020-09-29 2022-02-28 (주)알지비 효율적인 동영상 합성 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20043811A (ko) * 2020-09-29 2022-04-05 (주)알지비 동영상 내의 인물을 고려한 동영상 합성 방법
KR20220043925A (ko) * 2021-01-12 2022-04-05 (주)알지비 인물을 고려한 동영상 비주얼 이펙트 합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2533A1 (en) 2016-05-12
WO2015163552A1 (ko) 2015-10-29
US10339176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889A (ko) 재생 음악 관련 이미지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576239B2 (e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80239503A1 (e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karaoke-relat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60041981A1 (en) Enhanced cascaded object-related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CN110110203A (zh) 资源信息推送方法及服务器、资源信息展示方法及终端
TW20094507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3)
KR101492249B1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TW20100760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2)
KR20160027486A (ko) 광고 제공 장치, 광고 표시 장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표시 방법
US20230156885A1 (e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TWI640913B (zh) 具改良式伴唱機相關之使用者介面的數位點唱機裝置、及相關聯方法
TW20094589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1)
Puwar mediations on making Aaj Kaal
KR20170017583A (ko) 컨텐츠 제공 장치
JP6121139B2 (ja) カラオケ歌唱映像の歌唱音声選択システム
JP6472216B2 (ja) カラオケ連携システム、デジタルサイネージ、およびその広告選択方法
CN117425033A (zh)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uriya et al. Implementation of a Marker Type Augmented Reality-based Free Music Trial Listening Application at Physical Music Stores
JP2023141808A (ja) 動画配信装置
JP2022191559A (ja) 広告媒体、広告媒体セ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2963465A1 (fr) Dispositif d'aide a la visite d'exposition
JP2002077853A (ja) テレビジョン番組をインターネットマガジンにする方法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