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589A -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589A
KR20150121589A KR1020140047672A KR20140047672A KR20150121589A KR 20150121589 A KR20150121589 A KR 20150121589A KR 1020140047672 A KR1020140047672 A KR 1020140047672A KR 20140047672 A KR20140047672 A KR 20140047672A KR 20150121589 A KR20150121589 A KR 2015012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lectrode layer
print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천욱
Original Assignee
박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욱 filed Critical 박천욱
Priority to KR102014004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589A/en
Publication of KR2015012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has a fast response speed compared to the existing commercialized display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a product like a package as having a compact and slim size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various functions like a moving picture, and can secure economic feasibility by being advantageous in cost reduction aspect.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EL display which emits a light according as electricity is applied; and a driving control part which supplies an operation voltage to the EL display. The EL display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layer comprised on the substrate; a light emitting layer which comprises an EL phosphor print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which is pri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which is prin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light generated by the operation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the driving control part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strate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Description

발광 디스플레이장치{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한 발광 장치를 이용해 보다 박형화하고 포장재 등의 제품 적용이 가능하며, 원가절감 측면에서 유리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quick response spe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mmercialized display device and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moving imag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일반적으로 포장재는 단순히 관심과 구매 욕구를 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자, 도안 등이 인쇄된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마케팅 및 홍보 전략에 부합하는 개성과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포장재 및 포장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케팅과 광고 및 홍보를 위해 LED나 LCD 등과 같은 표시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보다 박형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과 원가제조에 따른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In general, packaging materials are not used effectively as effective marketing tools because they are printed in various letters and designs in order to induce interest and purchase desire. Accordingly, in recent years, it is required to develop new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technologies that can show individuality and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marketing and publicity strategies. In order to promote such marketing and advertisement, a display device using display devices such as LED and LCD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technical aspects for thinning and the economics of cost manufactur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774호 (2003.09.13.공고) "유기 이엘소자 패널과 구동 아이씨 모듈 형성방법"Korean Patent No. 39774 (Announcement of Mar. 13, 2003) "Method of forming organic EL element panel and driving IC modu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기존의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한 발광 장치를 이용해 보다 박형화하고, 포장재 등의 제품 적용이 가능하며, 원가절감 측면에서 유리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faster response speed than a conventional commercialized display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and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디스프레이장치의 한 형태는, 전원 인가에 따라 발광하는 EL 디스플레이; 및 상기 EL 디스플레이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기판, 상기 기판에 구비된 1차전극층, 상기 1차전극층의 상부에 인쇄된 EL 형광체로 이루어진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인쇄된 2차전극층, 및 상기 발광층과 1차전극층의 사이, 또는 상기 발광층과 2차전극층의 사이에 인쇄된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상기 1차전극 및 2차전극에 인가되는 작동 전원에 의해 발생된 상기 발광층의 빛이 상기 기판 또는 2차전극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L display which emits light when a power is applied;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EL display, wherein the EL display comprises a substrate, a primary electrode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 light emitting layer composed of an EL phosphor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prin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s prin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the drive control section,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lay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source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strate or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디스프레이장치의 한 형태는, 전원 인가에 따라 발광하는 EL 디스플레이; 및 상기 EL 디스플레이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의 표면에 인쇄된 1차전극층, 상기 1차전극층의 상부에 인쇄된 EL 형광체로 이루어진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인쇄된 2차전극층, 및 상기 발광층과 1차전극층의 사이, 또는 상기 발광층과 2차전극층의 사이에 인쇄된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상기 1차전극 및 2차전극에 인가되는 작동 전원에 의해 발생된 상기 발광층의 빛이 상기 2차전극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EL display which emits light when a power source is applied;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EL display, wherein the EL display comprises: a primary electrode layer print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a light emitting layer composed of an EL phosphor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prin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s prin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the drive control section,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source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또한,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전원 공급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운드 발생부는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EL 디스플레이와 동작이 연동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sound generator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power supply. The sound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ler to control operation of the EL displa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모션, 열, 자이로, 광, 소리, 주파수, 냄새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부에서 유선과 무선 및 자가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한 이엘 디스플레이 등의 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보다 박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재 등의 제품 적용이 쉽고, 원가절감 측면에서 유리해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motion, heat, gyro, light, sound, frequency, smell, and the like in the control unit, and can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unit by wire, It has a faster response speed than a display device and can be made thinner by using a light emitting display such as an EL display capable of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moving images and is easy to apply a product such as a packaging material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이엘디스플레이와 구동제어부 및 전원 간의 연결 상태를 전기 회로적으로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엘디스플레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엘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an EL display, a driv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엘(EL) 디스플레이는, 기판(10) 위에 순차적으로 1차전극층(20), 발광층(30)(형광층), 유전체층(40) 및 2차전극층(50)이 인쇄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모듈 구조를 가지며, 이 발광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2)와 연결된다.1, an E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 a primary electrode layer 20, a light emitting layer 30 (fluorescent layer), a dielectric layer 40, and a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are printed, and is connected to a drive control unit 2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for the light emission driving.

상기 구동제어부(2)는 1차전극층(20)과 2차전극층(50)에 연결되어 배터리 등의 전원(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발광층(30)의 발광에 적합한 전압/전류로 조절하여 인가하는 구동 드라이버로서, 이 구동제어부(2)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도록 ON/OFF 동작하는 스위칭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ITO 코팅필름을 채용하지 않고 PEN 필름 위에 Ag 트레이스 1차전극층(20)이 인쇄된 경우에도 1차전극층(20)과 2차전극층(50)이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구동제어부(2)를 통해 전원(1)에 연결된다.
The drive control unit 2 is connected to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to adjus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1 such as a battery to a voltage / A switching means for ON / OFF operation to apply or cut off power to the drive control unit 2 can be connec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where the Ag trace primary electrode layer 20 is printed on the PEN film without employing the ITO coating film. To the power supply 1 via the power supply line.

이엘 디스플레이는 통상, 기판에 순차적으로 1차전극층, 발광층, 유전체층 및 2차전극층이 인쇄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이엘 디스플레이는 기판(10) 상에 인쇄된 제1도전성폴리머층(25), 이 제1도전성폴리머층(25) 상에 인쇄된 1차전극층(20), 이 1차전극층(20) 상에 인쇄된 발광층(30), 이 발광층(30) 상에 인쇄된 유전체층(40), 이 유전체층(40) 상에 인쇄된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이 제2도전성폴리머층(55) 상에 인쇄된 2차전극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L display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imary electrode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dielectric layer, and a secondary electrode layer are sequentially printed on a substrate. The EL display shown in FIG. 2 includes a first conductive polymer layer 25, a primary electrode layer 20 printed on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layer 25, a light emitting layer 30 printed on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 dielectric layer print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30 40, a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printed on the dielectric layer 40, and a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printed on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그리고, 한편, 도 2에 도시된 EL 디스플레이는 기판(10)에 ITO층(20)이 코팅된 ITO 필름을 이용할 경우, 상기 ITO층(20)이 1차전극층(20)을 이루고, 제1도전성폴리머층(25)의 인쇄가 필요 없게 되며, 상기 1차전극층(20)은 기판(10) 위에 인쇄된다. 상기 기판(10)은 필름과 같이 얇고 유연한 기판, 즉 유연성 기판(Flexible substrate)으로 이루어져 상기 EL 디스플레이(130)가 플렉시블한 필름형 디스플레이 특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1차전극층(20)은 도전성 잉크로 인쇄된 도전층이다. 이때, 도전성 잉크는 도전성 필러를 비이클에 분산한 것으로 인쇄 후의 경화막이 도전성을 나타내는 잉크이다.
2, when the ITO layer 20 is used as the ITO layer 20 on the substrate 10, the ITO layer 20 constitutes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The printing of the polymer layer 25 becomes unnecessary and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is printed on the substrate 10. [ The substrate 10 is made of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such as a film or a flexible substrate so that the EL display 130 has flexible film type display characteristics and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is made of a conductive ink It is a printed conductive layer. At this time, the conductive ink is an ink in which the conductive filler is dispersed in the vehicle, and the cured film after printing is conductive.

한편, 상기 기판(10)(PEN 필름) 위에 ITO 필름층을 구비하여 상기 1차전극층([0083] 2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ITO가 1차전극층(20)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Ag 트레이스층이 필요 없게 된다. 하지만, 접촉부의 손상이나 유연한 커넥터 적용을 위하여 ITO 필름층에 의해 1차전극층(20)을 구현하고, ITO 필름층 위에 별도로 Ag 트레이스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TO film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10 (PEN film) to form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In this case, since ITO is used as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No layer is required. However,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may be realized by the ITO film layer and the Ag trace layer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ITO film layer for the damage of the contact portion or the flexible connector application.

상기 기판(10) 위에 도전성 고분자 잉크를 인쇄하여 면발광 부분과 전극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도전성폴리머층(25)를 형성하고, 투명전극의 끝단에 Ag를 인쇄하여 면 발광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저항을 낮춰주는 기능을 하는 Ag 트레이스로 이루어진 1차전극층(20)을 형성하고, Ag트레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면을 포함하도록 EL 형광체(EL Phosphor)를 인쇄하여 발광층(30)을 형성하고, 면 발광부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상기 1차전극층(20)과 2차전극층(50)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유전체를 인쇄하여 유전체층(40)을 형성하고, 전압 인가 시 일함수(work function)의 조정과 발광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도전성 고분자 잉크를 인쇄하여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을 형성하고, 높은 전도도 및 낮은 저항을 형성하도록 Ag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2차전극층(50)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A conductive polymer ink is printed on the substrate 10 to form a first conductive polymer layer 25 includ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urface emitting part and the electrode and Ag is printed on the en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to apply voltage to the surface emitting part A primary electrode layer 20 made of an Ag trace functioning to lower the resistance is formed and an EL phosphor is printed so as to include a surface connected to the Ag trace portion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30, The dielectric layer 40 is formed by printing a dielectric material so as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in all regions including the planar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adjustment of the work function A process of forming a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by printing a conductive polymer ink to maintain light emission safety and printing the Ag paste so as to form a high conductivity and a low resistance to form a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There can be referenced.

또한, ITO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ITO 코팅층이 1차전극층(20)을 이루게 되므로, 1차전극층(20)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Ag 트레이스를 인쇄하는 과정이 필요 없고, 기판(10)과 1차전극층(20)의 사이에 도전성폴리머층(25)을 인쇄하는 과정도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ITO 코팅면에 바로 EL 형광체를 인쇄하여 발광층(30)을 형성하고, 이후에는 도 2의 EL 디스플레이(130)와 동일하게 발광층(30) 상에 유전체층(40)을 인쇄하고, 이 유전체층(40) 상에 도전성폴리머층(55)을 인쇄하고, 이 도전성폴리머층(55) 상에 Ag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2차전극층(50)을 형성하는 보다 단축된 과정을 통해 EL 디스플레이(130)를 제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the ITO film, since the ITO coating layer forms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int an Ag trace in order to form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The process of printing the conductive polymer layer 25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becomes unnecessary. Thus, the EL phosphor is printed directly on the ITO coated surface to form the light emitting layer 30. Thereafter, the dielectric layer 40 is print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30 in the same manner as the EL display 130 of FIG. 2, The EL display 130 is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olymer layer 55 on the conductive polymer layer 40 and printing the Ag paste on the conductive polymer layer 55 to form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Can be manufactured.

EL용 기판(10)은 일반적으로 투명전극인 ITO가 증착된 PET 필름이 사용된다. ITO 전극은 전극의 역할뿐 아니라 형광체에서 발광하는 빚이 나가는 창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평균 90%가 넘으면서도 저항이 200Ω이하인 투명전극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투명하면서 유연한 기판(10)인 PET를 사용하기 때문에 페이스트의 건조공정은 150˚C를 넘지 않는다.
As the EL substrate 10, a PET film on which ITO is deposited, which is a transparent electrode, is generally used. The ITO electrode plays a role not only as an electrode but also as a window through which a phosphor emits light. Therefore, a transparent electrode having a resistance of 200? Or less is widely used even when the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exceeds 90% on average. On the other hand, since PET, which is a transparent and flexible substrate 10, is used, the drying process of the paste does not exceed 150 [deg.] C.

상기 발광층(30)은 형광체 EL(Phosphor EL)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 형으로 구비된 1차전극층(20)의 형태로 인해 상기 발광층(30)의 외곽 둘레부는 1차전극층(20)에 통전되고, 발광층(30)의 나머지 면은 제1도전성폴리머층(25)과 접하도록 발광층(30)의 인쇄가 이루어진다. EL 소자는 구동 방식에 따라 직류 구동형 구조와 교류 구동형 구조로 구분된다. 소자의 두께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 방식에 의한 분말형 EL 소자와 진공에서의 증착방식에 의한 박막형 EL 소자로 분류되고, 유기의 형광물질이나 무기의 형광물질을 사용하는 여부에 따라 유기 EL 소자와 무기 EL 소자로 분류된다.
The light emitting layer 30 may be referred to as a phosphor EL.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 30 is energized to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due to the shape of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provided in a rim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lay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polymer layer The light emitting layer 30 is printed so as to contact the light emitting layer 25. EL devices are classified into a direct current drive type and an alternating current driven type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Type EL device by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a thin film type EL device by a vacuum deposition metho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device and it is classified into an organic EL device and an inorganic EL device according to whether organic fluorescent material or inorganic fluorescent material is used. Devices.

무기 EL은 크게 형광체층, 유전체층, 배면 전극층의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다. 형광체는 직경 15~30㎛의 ZnS:Cu,Cl 분말을 사용하며, 이 형광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각종 폴리머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형광체를 분산 고정시킨다. EL의 경우 외부에서 교류전압을 걸어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면 절연층과 발광층(30) 사이의 계면 준위에 포획되어 있던 전자들이 발광층(30)의 전도띠 내부로 터널링 현상이 일어난다. 외부 전기장에 의하여 충분한 에너지를 획득한 다음 발광중심의 최외각 전자와 충돌하여 충돌 여기된 전자들이 여기 상태로부터 다시 기저상태로 완화되면서 그 에너지 차이에 의하여 빛이 방출되는데 본 발명의 EL 소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EL층, 즉 발광층(30)의 인쇄에 있다.
The inorganic EL is mainly composed of three layers of a phosphor layer, a dielectric layer, and a back electrode layer. ZnS: Cu, Cl powder having a diameter of 15 to 30 μm is used as a phosphor, and various phosphors are dispersed and fixed by using various polymers as a binder so that the phosphor does not move. In the case of EL,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form a strong electric field, electrons trapped at the interface level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30 tunnel into the conductive band of the light emitting layer 30. After obtaining sufficient energy by an external electric field, the impinging excited electrons collide with the outermost electrons of the luminescent center and emit light by the energy difference as they are relaxed from the excited state back to the ground state. In the EL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 of which is in the printing of the EL layer, that is, the light emitting layer 30.

그리고, 이엘 디스플레이의 제작시 1차전극층(20)과 후술할 2차전극층(50)이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을 경우 전기적인 단락 또는 합선으로 인해 발광소자로서 구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요 부분이 서로 겹쳐서 형성되는 본 발명의 EL 소자에 있어서는 1차전극층(20)과 2차전극층(50)이 서로 직접적으로 맞물리지 않도록 중간에 유전체층(40)을 인쇄하게 된다.
When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to be described later are directly engaged with each other during fabrication of the EL display, there is a case that the device can not be driven as a light emitting device due to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Therefore, in the EL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in portions are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the dielectric layer 40 is printed in the middle so that the primary electrode layer 2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are not directly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유전체층(40)은 유전체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하여 형성한다. 유전체층(40)의 기능은 형광체 분말과 배면 전극이 직접 닿아서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예방하는 절연체 역할, 형광체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는 역할, 그리고 전하를 축적하여 형광체에 인가하는 전계를 증가시키는 유전체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전체층(40)은 TiO3과 같은 유전체 분말과 분말을 고정시키는 바인더로 형성된다. 형광체, 즉 발광층(30)으로 인가되는 전계를 충분히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상수가 높은 유전체 물질과 바인더를 사용한다.
The dielectric layer 40 is formed by printing a dielectric paste by a screen printing method. The function of the dielectric layer 40 is to prevent the unnecessary current from flowing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phosphor powder and the back electrode,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hosphor, and to increas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phosphor As well. The dielectric layer 40 is formed of a dielectric powder such as TiO3 and a binder for fixing the powder. In order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phosphor, that is, the light emitting layer 30, a dielectric material and a binder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are used.

그리고, 전도도나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전체층(40) 위에 인쇄된 도전성폴리머층(제도전성폴리머층)(55)은 전압 인가시 일함수의 조정과 발광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도전성폴리머층(25)과 동일한 잉크로 인쇄되고, 공정의 안정성이나 손쉬운 소자 구현을 위해 상기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은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차전극층(50)은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의 윗면, 또는 상기 유전체층(40)의 상면에 인쇄된다. 즉, 유전체층(40) 위에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을 인쇄하고 이러한 제2도전성폴리머층(55) 위에 2차전극층(50)을 인쇄할 수 있고, 유전체층(40) 바로 위에 2차전극층(50)을 인쇄할 수도 있다.
A conductive polymer layer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layer) 55 printed on the dielectric layer 40 for enhancing conductivity and luminous efficiency has a first conductive polymer layer 25 , And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can be omitted for the purpose of process stability and easy device implementation.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is pri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lectric layer 40. That is,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can be printed on the dielectric layer 40, and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can be printed on the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50 may be printed.

본 발명에서 전기적인 회로는 구동모듈(구동제어부)와 EL 소자(디스플레이)를 연결해 주는 선로만 있으면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EL 구동모듈을 인덕터리스로 구성하는 것은, EL 구동 소자 중 인덕터는 주로 전압변환등에 이용되는 소자인데, 본 발명의 소자가 인덕터를 가질 경우 드라이버 회로가 커지는 단점을 가진다. 통상 수동 소자 중 인덕터가 가장 큰 사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이동성이 요구되는 기기나 본 발명을 채용하는 박스에서는 소형의 드라이버가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덕터리스로 구현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ircuit can be driven only by a line connecting the driving module (driving control part) and the EL element (display). In addition, the EL driver module is constituted by an inductorless element. The inductor among the EL driver elements is mainly used for voltage conversion and the like. However, when the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ductor, the driver circuit becomes large. Since the inductor of the passive element has the largest size, it is implemented in an inductorless device because a small driver must be implemented in a device that requires mobility if possible or in a box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EL 소자와 제어부는 전기적인 극성이 같은 부분을 연결해 주면 된다. 즉, 양극으로 사용되는 ITO에는 배터리와 제어부를 통해 연결되는 양극(즉 배터리의 +극), 음극으로 사용되는 Ag에는 배터리와 제어부를 통해 연결되는 음극(즉 배터리의 -극)으로 연결시켜주면 된다. PEN 필름은 ITO 필름과는 다르게 전기적인 특성을 띠는 물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ITO 필름은 PEN 필름 위에 ITO라는 물질을 증착하여 만든 것으로 전극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ITO를 포함하고 있는 필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L elemen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having the same electrical polarity. That is, the ITO used as the anode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ie,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connected through the battery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ie, the battery electrode of the battery) . Unlike ITO films, PEN films do not have materials with electrical properties. That is, the ITO film is a film formed by depositing a substance called ITO on a PEN film and containing ITO which can be used as an electrode.

따라서, PEN 필름을 이용할 경우 1차 전극으로 사용되는 층이 필요한데, 이때 1차 전극으로 사용되는 층이 Ag 트레이스와 도전성 폴리머이다. Ag의 경우 인쇄를 했을 때 불투명한 박막을 형성하고, 양쪽으로 불투명한 전극을 형성할 경우 빛이 발광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투명한 전극으로 사용되어지는 도전성 폴리머를 인쇄하여 Ag 트레이스에서 보내지는 전기를 EL 형광체층으로 보내기 위한 전달 층으로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한다. 2차 전극도 동일한 이유로 도전성 폴리머를 이용한다.
Therefore, when a PEN film is used, a layer used as a primary electrode is required. In this case, a layer used as a primary electrode is an Ag trace and a conductive polymer. In the case of Ag, an opaque thin film is formed at the time of printing, and when opaque electrodes are formed at both sides, there is no light emitting portion, so a conductive polymer us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is printed and sent from the Ag trace A conductive polymer is used as a transmission layer for sending electricity to the EL phosphor layer. The conductive polymer is also used for the same reason as the secondary electrode.

즉, EL 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도전성폴리머층이며 전기적인 신호는 Ag 트레이스층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Ag 트레이스 1차전극층(20)은 발광 면적을 남겨놓고 테두리를 두르는 형태로 투광성의 제1도전성폴리머층(25)에 인쇄되며, Ag 트레이스 2차전극층(50)은 EL 소자의 배면으로 빛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투광성의 제2도전성폴리머층(55)의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인쇄된다.
That is, the portion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EL layer is a conductive polymer layer, and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g trace layer, and the Ag trace primary electrode layer 20 has a light- The Ag trace secondary electrode layer 50 is preferably printed on the conductive polymer layer 25 so as to prevent the light from leak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EL element. Therefore, in order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second conductive polymer layer 55 do.

일반적으로 EL 소자는 직렬저항과 콘덴서의 등가회로로 표현이 가능하고, EL 소자에서 등가 회로의 직렬 저항 값(회로의 내부 저항값)이 적을수록 밝은 밝기가 가능하다. EL 소자 자체가 직렬저항과 콘덴서로 전기적인 회로의 등가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발광소자는 전기를 빛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마치 전기를 소비하는 혹은 전기를 보유하는 건전지와 같은 콘덴서로 표현이 가능하며 더불어 모든 소자는 내부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내부 직렬저항으로 표기되었다. EL 소자 전체가 등가회로로 표현된다.
In general, an EL element can be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of a series resistor and a capacitor, and a brighter brightness is possible as the series resistance value (circuit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equivalent circuit in the EL element is smaller. The EL device itself can realize an equivalent circuit of an electric circuit by series resistance and a capacitor. Since a light emitting device converts electricity into light energy, it can be expressed as a condenser such as a battery that consumes electricity or electricity, and all devices are marked with an internal series resistance because of the presence of internal resistance. The entire EL element is represented by an equivalent circuit.

이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모션, 열, 자이로, 광, 소리, 주파수, 냄새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전원부에서 유선과 무선 및 자가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한 이엘 디스플레이 등의 발광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보다 박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재 등의 제품 적용이 쉽고, 원가절감 측면에서 유리해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motion, heat, gyro, light, sound, frequency, smell, and the like in the control unit, and to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the wired and wireless and self- In addition, it can be made thinner by using light emitting display such as EL display, which has a quick response speed and has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moving images, etc.,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product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s limit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전원 2: 구동제어부
10: 기판 20: 1차전극층
25,55: 도전선 폴리머층 30: 발광층
40: 유전체층 50: 2차전극층
1: power supply 2: drive control unit
10: substrate 20: primary electrode layer
25, 55: conductive line polymer layer 30: light emitting layer
40: dielectric layer 50: secondary electrode layer

Claims (4)

전원 인가에 따라 발광하는 EL 디스플레이; 및 상기 EL 디스플레이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기판, 상기 기판에 구비된 1차전극층, 상기 1차전극층의 상부에 인쇄된 EL 형광체로 이루어진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인쇄된 2차전극층, 및 상기 발광층과 1차전극층의 사이, 또는 상기 발광층과 2차전극층의 사이에 인쇄된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상기 1차전극 및 2차전극에 인가되는 작동 전원에 의해 발생된 상기 발광층의 빛이 상기 기판 또는 2차전극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n EL display which emits ligh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driv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EL display, wherein the EL display comprises a substrate, a primary electrode lay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 light emitting layer composed of an EL phosphor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prin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s prin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the drive control section,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lay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source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strate or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전원 인가에 따라 발광하는 EL 디스플레이; 및 상기 EL 디스플레이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상기 본체의 표면에 인쇄된 1차전극층, 상기 1차전극층의 상부에 인쇄된 EL 형광체로 이루어진 발광층, 상기 발광층의 상부에 인쇄된 2차전극층, 및 상기 발광층과 1차전극층의 사이, 또는 상기 발광층과 2차전극층의 사이에 인쇄된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상기 1차전극 및 2차전극에 인가되는 작동 전원에 의해 발생된 상기 발광층의 빛이 상기 2차전극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An EL display which emits ligh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EL display, wherein the EL display comprises: a primary electrode layer print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a light emitting layer composed of an EL phosphor pri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electrode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prin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dielectric layer is print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rough the drive control section,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gen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source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ary electrode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L 디스플레이는 전원 공급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사운드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L display further comprises a sound generator for outputting sound according to power supp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발생장치는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EL 디스플레이와 동작이 연동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발광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und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unit and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EL display.


KR1020140047672A 2014-04-21 2014-04-21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1215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72A KR20150121589A (en) 2014-04-21 2014-04-21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672A KR20150121589A (en) 2014-04-21 2014-04-21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89A true KR20150121589A (en) 2015-10-29

Family

ID=544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672A KR20150121589A (en) 2014-04-21 2014-04-21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5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803B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299371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6019045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EP3343661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EP3349267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CN105228283B (en) One kind is repeatable to utilize flexible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4158451A (en) El device with noise reduction electrod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74324A (en)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50121589A (en)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60157323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rganic Light-Emitting Component and Lighting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233483Y1 (en) an EL device for emitting light to both-side
KR20100008642A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333254B1 (en) EL devic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00422B1 (en) Lighting structure of inorganic el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1142022A (en) Organic el luminescent panel
KR100516966B1 (en) Machine concept for the OELD Panel Aging Process
CN113921584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equipment
JPH05303995A (en) Electroluminescent lamp and its manufacture
JP2002334779A (en) Luminescence control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220055123A (en) EL sheet with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0212759Y1 (en) An electro luminescence lamp of the sheet type
KR101010560B1 (en) Metho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sheet for keypad backlight
CN115963668A (en) Liquid metal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216106Y1 (en) An electro luminescence lamp of the tape type
JP2010135175A (en) Distributed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and distributed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complex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