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50A -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50A
KR20150121350A KR1020140046727A KR20140046727A KR20150121350A KR 20150121350 A KR20150121350 A KR 20150121350A KR 1020140046727 A KR1020140046727 A KR 1020140046727A KR 20140046727 A KR20140046727 A KR 20140046727A KR 20150121350 A KR20150121350 A KR 2015012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graphene
electronic
graphene oxide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171B1 (ko
Inventor
전용석
윤용주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xides or carbo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한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섬유 등을 이용해서 경제적이고 간편한 공정에 의해 전도성, 유연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전자섬유로 만들 수 있을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섬유 산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의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ONIC TEXTIL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생체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한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섬유는 휴대용 유연 디스플레이 기능, 생체 신호 진단 기능, 위험 가스 센싱 기능, 에너지 저장 기능 등을 비롯해 입는 컴퓨터 (Wearable computer)의 구현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여 아주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자섬유는 전도성을 포함한 내구성, 휘어짐, 착용 및 세탁 가능, 소재의 경량성이 우수해야 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그래핀 (Graphene) 섬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전자섬유는 기존 섬유에 적용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생체 접착물질을 이용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섬유 즉, 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을 그래핀 산화물로 감싸게 한 후, 화학적 방법으로 그래핀 산화물을 환원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존 섬유 혹은 신섬유인 나노 섬유 등을 손쉽게 전자섬유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현 의류 산업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자섬유 제조기술은 미래 전자 및 섬유 산업 관련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의류 개발에 표준화를 선도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33818호(그래핀이 처리된 섬유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전자섬유를 제조함에서 있어서 기존의 방법들은 기존 섬유에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되어왔던 접착물질(인산염 등)은 섬유와의 접착성이 약하여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전자섬유의 전기전도도가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있음을 개선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생체 접착 물질(보바인 세럼 알부민 등)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할 경우 기존섬유에 손쉽게 적용하여 전도성, 유연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전자섬유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인삼염을 접착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1,000배 내지 10,000배 이상의 높은 전기전도도가 확보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그랜핀층을 포함하거나 금속나노입자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와 상기 섬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는 면, 마, 비단, 양모,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접착 물질은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카제인(casein), 키토산(chitos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래핀층은 그래핀 산화물을 접착층이 형성된 섬유에 처리한 후 상기 그래핀 산화물을 환원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래핀은 그래핀 양자점, 탄소나노튜브,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나노입자층은 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나노선 또는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에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섬유는 면, 마, 비단, 양모,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접착 물질은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카제인(casein), 키토산(chitos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한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섬유 등을 이용해서 경제적이고 간편한 공정에 의해 전도성, 유연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전자섬유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섬유 산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의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자섬유 제조 과정 중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사시도.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 한 가닥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3c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 표면에 형성된 그래핀 고유의 주름과 잔물결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4a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Raman 데이터.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데이터.
도 4c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전기전도도 데이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ED 소자 점등 사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400회의 물리적 구부림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데이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전자섬유의 9회 세탁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데이터.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직물 전자 섬유의 가스 측정데이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섬유;와 상기 섬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생체 접착물로 이루어진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를 포함하는 전자섬유 및 상기 전자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섬유는 면, 마, 비단, 양모,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면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접착 물질은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폴리라이신(polylisin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카제인(casein), 키토산(chitosan)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생체 접착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보바인 세럼 알부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그래핀 양자점, 탄소나노튜브,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금속나노입자층은 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나노선 또는 나노튜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의 경우에는 섬유에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섬유에 그래핀 산화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산화물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금속나노입자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를 제조하는 과정은 섬유에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포함하는 단계;와 접착층이 형성된 섬유에 금속나노입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e albumine)을 이용한 전자섬유의 제조
ⅰ) 1 wt% 보바인 세럼 알부민 용액을 제조하였다.
ⅱ) 상기 준비된 1 wt% 보바인 세럼 알부민 용액에 면사 혹은 폴리에스터 실을 30 분간 담구어 코팅하고, 2시간 동안 후드내에서 건조한 다음, 면사에 코팅되지 않은 잔여 보바인 세럼 알부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에 담구어 헹군후 2시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ⅲ) 그래핀 산화물은 베이카본(Bay carbon) 사에서 구입한 그라파이트분말(SP-1 graphite)을 모디파이드휴멀스(modified Hummers)와오픈만스(Offenmans)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그래핀 산화물 분말을 증류수에 대하여, 1 wt% 의 중량비로 첨가한 후, 상기 용액을 2 시간동안 초음파 방법으로 분산하여 그래핀 산화물 함유 용액을 제조하였다.
ⅳ) 상기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 (pH)를 약 3~4로 조정한 후, 보바인 세럼 알부민이 코팅된 면사를 2시간 이상 담가 주었다. 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아마이드 그룹과 그래핀 산화물의 수산화기 및 카르복실기가 정전 반응하여 그래핀 산화물 코팅된 섬유가 완성되었다.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꺼내어, 후드내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ⅴ) 그래핀 산화물이 코팅된 섬유를 환원하여 전도성을 가진 전자 섬유를제조하였다. 그래핀 산화물 복합섬유를 HI-AcOH (hydroidic acid with acetic acid) 용액을 이용하여 전자 섬유로 변환하였다. 더욱 자세하게는, 2 ㎖ 요오드화수소산과 5 ㎖ 초산 혼합용액이 담긴 밀폐된 유리 반응기에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넣고 증기환원하거나, 담그는 방법으로 40도 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실시예 2. 폴리라이신(polylysine)을 이용한 전자섬유의 제조
ⅰ) 0.1 wt% 폴리라이신 용액을 제조하였다.
ⅱ) 상기 폴리라이신 용액에 면사를 30 분간 담구어 코팅하고, 2시간 동 후드내에서 건조하였다. 그 후 면사에 코팅되지 않은 잔여 폴리라이신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에 담구어 헹군후 2시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ⅲ) 그래핀 산화물은 베이카본(Bay carbon) 사에서 구입한 그라파이트분말(SP-1 graphite)을 모디파이드휴멀스(modified Hummers) 와오픈만스(Offenmans)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그래핀 산화물 분말을 증류수에 대하여, 1 wt% 의 중량비로 첨가한 후, 상기 용액을 2시간 동안 초음파 방법으로 분산하여 그래핀 산화물 함유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용액에 폴리라이신이 코팅된 면사를 2시간 이상 담가 주었다. 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아마이드 그룹과 그래핀 산화물의 수산화기 및 카르복실기가 자기조립하여 그래핀 산화물 코팅된 섬유가 완성되었다.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꺼내어, 후드내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ⅳ) 상기 그래핀 산화물이 코팅된 섬유를 환원하여 전도성을 가진 전자섬유를 제조하였다. 그래핀 산화물 복합섬유를 HI-AcOH (hydroidic acid with acetic acid) 용액을 이용하여 전자 섬유로 변환하였다. 더욱 자세하게는, 2 ㎖ 요오드화수소산과 5 ㎖ 초산 혼합용액이 담긴 밀페된 유리 반응기에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넣고 증기환원하거나, 담그는 방법으로 40도 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실시예 3. 폴리도파민(polydopamine)을 이용한 전자섬유의 제조
ⅰ) 도파민 클로라이드 파우더를 증류수에 넣어 2 ㎎/㎖ 폴리도파민 용액을 제조하고, 10 mM Trizma 염산을 이용하여 pH 8 로 조절하였다.
ⅱ) 준비된 폴리도파민 용액에 면사를 30 분간 담구어 코팅하고, 2시간 동안 후드내에서 건조하였다. 그 후 면사에 코팅되지 않은 잔여 폴리라이신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에 담구어 헹군 후 2시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ⅲ) 그래핀 산화물은 베이카본(Bay carbon) 사에서 구입한 그라파이트분말(SP-1 graphite)을 모디파이드휴멀스(modified Hummers) 와오픈만스(Offenmans)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그래핀 산화물 분말을 증류수에 대하여, 1 wt% 의 중량비로 첨가한 후, 상기 용액을 2시간 동안 초음파 방법으로 분산하여 그래핀 산화물 함유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용액에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면사를 2시간 이상 담가 주었다. 섬유의 표면에 형성된 아마이드 그룹과 그래핀 산화물의 수산화기 및 카르복실기가 자기조립하여 그래핀 산화물 코팅된 섬유가 완성되었다.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꺼내어, 후드내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ⅳ) 그래핀 산화물이 코팅된 섬유를 환원하여 전도성을 가진 전자 섬유를제조하였다. 그래핀 산화물 복합섬유를 HI-AcOH (hydroidic acid with acetic acid) 용액을 이용하여 전자 섬유로 변환하였다. 더욱 자세하게는, 2 ㎖ 요오드화수소산과 5 ㎖ 초산 혼합용액이 담긴 밀페된 유리 반응기에 그래핀 산화물 섬유를 넣고 증기환원하거나, 담그는 방법으로 40도 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실시예 4. 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자섬유의 제조
ⅰ) 1 wt% 보바인 세럼 알부민 용액을 제조한다.
ⅱ) 준비된 1 wt% 보바인 세럼 알부민 용액에 면사 혹은 폴리에스터 실을 30 분간 담구어 코팅하고, 2시간 동안 후드내에서 건조하였다. 그 후 면사에 코팅되지 않은 잔여 보바인 세럼 알부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에 담구어 헹군후 2시간 동안 다시 건조하였다.
ⅲ) 1 ㎎/㎖ 의 20 ㎚ 금나노입자 용액에 준비된 보바인 세럼 알부민이 점착된 면사 혹은 폴리에스터 사를 30분 동안 담군 후, 쉐이커 (shaker)를 이용하여 분당 60번의 속도로 흔들어 주었다.
ⅳ) 금나노입자가 코팅된 실을 꺼내어, 2시간 동안 후드 내에서 건조하였다.
실험예 1.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측정
도 3c.의 데이터 결과와 관련하여 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그래핀 전자 섬유를, 고분해능의 전자현미경(FEI Sirion 200)으로 전자 섬유의 표면을 측정하였다. ⅱ) 그 결과 표면에 다수의 물결과 주름 무늬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섬유 표면에 그래핀이 잘 코팅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험예 2.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측정
도 4a.의 라만 데이터 결과와 관련하여 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그래핀 전자 섬유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위치한 후, 514 ㎚ 파장의 라만분광기(LabRAM HR, Horiba scienctific) 를 이용하여, 1000 ~ 3500 cm-1 범위내에서 수행하였다. ⅱ) 그래핀 섬유의 경우, 1340 ㎝-1 D-peak 과 1580 ㎝-1 G-peak 생성되는데, 라만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3.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측정
도 4b.의 XPS 데이터 결과와 관련하여 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그래핀 전자 섬유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위치한 후, 광전자 분석기(ESCALAB 200R, Thermo VG Scientific) 를 이용하여, 280 ~ 294 eV binding energy 영역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ⅱ) 본 분석을 통해서 산소를 함유하는 기능기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그래핀 산화물 섬유에서 전도성 그래핀 전자 섬유로 환원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실험예 4. 전자섬유의 전기전도도 측정
도 4c.의 전기전도도 측정 결과와 관련하여 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그래핀 산화물 섬유와 그래핀 섬유에 사단자 측정을 위한 전극을 형성하였다. ⅱ) 그래핀 섬유의 경우, 환원전 그래핀 산화물 섬유에 비해, 전기전도도가 100,000 배 이상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전자섬유의 반복적 구부림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측정.
도 6.의 반복적 구부림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결과와 관련하여 i)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전자 섬유를 구부림과 동시에 전기전도도 측정이 가능한 섬유 평가 장비에 연결하였다. ⅱ) 400회 구부림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결과는 그래핀 전자 섬유가 반복적인 구부림과 같은 물리적인 힘에도 전기전도도의 저하가 없음 보여준다.
실험예 6. 전자섬유의 세탁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측정
도 7.의 일반 세제를 이용한 다수의 세탁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결과와 관련하여 i)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전자 섬유를 일반 세제 용액에 넣고, 회당 30 분간 세탁하였다. ⅱ) 총 9회의 세탁을 수행하였고, 전기전도도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결과는 그래핀 전자 섬유가 다수의 세탁에도 전기전도도의 저하가 없음 보여준다.
실험예 7. 전자섬유의 가스측정
도 8.의 가스 측정 결과와 관련하여 ⅰ)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준비된 그래핀 섬유에 가스 측정을 위한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였다. ⅱ) 측정가스는 이산화질소 가스를 사용하였고, 가스농도는 0.25 ppm ~ 1.25 ppm 에서 상온에서 수행하였다. 본 결과는 그래핀 전자 섬유가 실생활에 고위험성 가스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섬유;
    상기 섬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그래핀층 또는 금속나노입자층;을 포함하는 전자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면, 마, 비단, 양모,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접착 물질은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카제인(casein), 키토산(chitos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층은 그래핀 산화물을 접착층이 형성된 섬유에 처리한 후 상기 그래핀 산화물을 환원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그래핀 양자점, 탄소나노튜브, 플러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층은 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나노선 또는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7. 섬유에 생체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섬유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면, 마, 비단, 양모,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생체 접착 물질은 보바인 세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폴리라이신(polylysine), 폴리도파민(polydopamine), 카제인(casein), 키토산(chitos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섬유 제조방법.
KR1020140046727A 2014-04-18 2014-04-18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27A KR101635171B1 (ko) 2014-04-18 2014-04-18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727A KR101635171B1 (ko) 2014-04-18 2014-04-18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50A true KR20150121350A (ko) 2015-10-29
KR101635171B1 KR101635171B1 (ko) 2016-07-11

Family

ID=5443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727A KR101635171B1 (ko) 2014-04-18 2014-04-18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7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2026A (zh) * 2015-12-02 2016-02-24 上海烯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远红外智能理疗服
KR20170130882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래핀-그래핀 융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그래핀-그래핀 융합체를 이용한 그래핀-기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80012095A (ko)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에스제이피일렉 전도성 섬유의 제조 방법
CN108071019A (zh) * 2016-11-15 2018-05-25 天津工业大学 一种聚多巴胺诱导层层自组装抗紫外聚丙烯无纺布的制备方法
CN109811541A (zh) * 2019-04-08 2019-05-28 福建华彩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涂层导电纤维及其制备方法
CN111395002A (zh) * 2020-03-18 2020-07-10 闽江学院 纺织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纺织电极材料
CN114775267A (zh) * 2022-04-12 2022-07-22 南通大学 一种电磁屏蔽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KR20230004168A (ko) * 2021-06-30 2023-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섬유
KR102578611B1 (ko) 2023-02-07 2023-09-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코팅 공정을 이용한 대면적 섬유형 발광소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725A (ko) * 2005-01-05 2007-09-13 아르끄마 프랑스 전도성 유기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용도 및상기 조성물의 적용
KR101233818B1 (ko) * 2011-06-07 2013-02-1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이 처리된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30063769A (ko) * 2011-12-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섬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KR20130116598A (ko) * 2012-04-16 2013-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핀 섬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725A (ko) * 2005-01-05 2007-09-13 아르끄마 프랑스 전도성 유기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용도 및상기 조성물의 적용
KR101233818B1 (ko) * 2011-06-07 2013-02-1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이 처리된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30063769A (ko) * 2011-12-07 2013-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섬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KR20130116598A (ko) * 2012-04-16 2013-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래핀 섬유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2026A (zh) * 2015-12-02 2016-02-24 上海烯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远红外智能理疗服
KR20170130882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그래핀-그래핀 융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그래핀-그래핀 융합체를 이용한 그래핀-기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80012095A (ko)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에스제이피일렉 전도성 섬유의 제조 방법
CN108071019A (zh) * 2016-11-15 2018-05-25 天津工业大学 一种聚多巴胺诱导层层自组装抗紫外聚丙烯无纺布的制备方法
CN109811541A (zh) * 2019-04-08 2019-05-28 福建华彩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墨烯涂层导电纤维及其制备方法
CN111395002A (zh) * 2020-03-18 2020-07-10 闽江学院 纺织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纺织电极材料
CN111395002B (zh) * 2020-03-18 2022-11-04 闽江学院 纺织电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纺织电极材料
KR20230004168A (ko) * 2021-06-30 2023-01-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섬유
CN114775267A (zh) * 2022-04-12 2022-07-22 南通大学 一种电磁屏蔽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KR102578611B1 (ko) 2023-02-07 2023-09-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코팅 공정을 이용한 대면적 섬유형 발광소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71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171B1 (ko) 전자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Yun et al. E-textile gas sensors composed of molybdenum disulfide and reduced graphene oxide for high response and reliability
CN106705829B (zh) 一种柔性可穿戴导电纤维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heng et al. In situ hydrothermal growth of Cu NPs on knitted fabrics through polydopamine templates for heating and sensing
Cai et al. Flexible and wearable strain sensing fabrics
Wu et al. Highly sensitive, stretchable, and wash-durable strain sensor based on ultrathin conductive layer@ polyurethane yarn for tiny motion monitoring
Cai et al. Large-scale production of highly stretchable CNT/cotton/spandex composite yarn for wearable applications
Ju Yun et al. Ultrasensitive and highly selective graphene-based single yarn for use in wearable gas sensor
Shateri-Khalilabad et al. Fabricating electroconductive cotton textiles using graphene
Ehrmann et al. Nanosensors and nanodevices for smart multifunctional textiles
Hansora et al. Performance of hybrid nanostructured conductive cotton materials as wearable devices: an overview of materials,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Lin et al. Superior stretchable conductors by electroless plating of copper on knitted fabrics
Zhao et al. A wearable sensor based on gold nanowires/textile and its integrated smart glove for motion monitoring and gesture expression
Lee et al. Bio-inspired electronic textile yarn-based NO2 sensor using amyloid–graphene composite
Ke et al. Layer-by-layer assembly for all-graphene coated conductive fibers toward superior temperature sensitivity and humidity independence
Tian et al. Coating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MWCNTs) on three-dimensional, bicomponent nonwovens as wearable and high-performance piezoresistive sensors
Nag et al. Recent progress in the fabrication of graphene fibers and their composites for applications of monitoring human activities
Feng et al. Multifunctional wearable strain sensor made with an elastic interwoven fabric for patients with motor dysfunction
CN112127147A (zh) 多功能导电纱线及其制备和在柔性可穿戴电子织物中的应用
Hossain et al. Durability of smart electronic textiles
Li et al. Ultrastretchable and wearable conductive multifilament enabled by buckled polypyrrole structure in parallel
Tang et al. Biomass-derived multifunctional 3D film framed by carbonized loofah toward flexible strain sensors and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Yang et al. Formation of large-area stretchable 3D graphene–nickel particle foams and their sensor applications
Benlikaya et al. Enhanced strain-dependent electrical resistance of polyurethane composites with embedded 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networks
Luo et al. Preparation and tensile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polyurethane nanofiber conductive films based on the centrifugal spin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