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230A -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 - Google Patents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230A
KR20150121230A KR1020157027298A KR20157027298A KR20150121230A KR 20150121230 A KR20150121230 A KR 20150121230A KR 1020157027298 A KR1020157027298 A KR 1020157027298A KR 20157027298 A KR20157027298 A KR 20157027298A KR 20150121230 A KR20150121230 A KR 2015012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application session
communication device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4224B1 (ko
Inventor
사미 카이-이바트
아르주나 시바시탐바레산
징후아 링
아자이쿠마르 에스. 굽타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12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음성 접속을 서비싱하기 위해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시키는 CSFB 절차에 참여하는 단계; CSFB 절차 전에 그리고/또는 CSFB 절차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음성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여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는 단계; 데이터 전송 시의 갭 동안에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는 단계;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선택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는 단계; 및 재선택을 완료한 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FACILITATING RETURN TO A FIRST WIRELESS NETWORK FROM A SECOND WIRELESS NETWORK AFTER PERFORMANCE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대체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회선 교환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 새로운 RAT(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들, 예컨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표준화된 바와 같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들 및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들이 개발 중에 있고, 효율적으로 사용 중에 있다. 제4 세대(4G)로 지칭될 수 있고 RAT들을 넘어서는 이들 더 새로운 RAT들을 이용하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들은, 종종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들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들을 비롯한, 제2 세대(2G) 및 제3 세대(3G) RAT들과 같은 레거시 RAT들에 기초한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들보다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 및/또는 더 새로운/상이한 서비스 세트들을 지원한다. 그러나, 일부 배치에서, 더 새로운 RAT들에 기초한 LTE 및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는 일부 서비스들을 전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무선 네트워크들은 패킷 교환 통신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일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회선 교환 음성 접속들을 직접적으로는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LTE 무선 네트워크들은 종종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과 중첩되는 영역들에 공동 배치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서비스들 또는 커버리지가 요구할 수 있는 바와는 상이한 RAT들을 이용하는 것 사이에서 천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배치에서, LTE 무선 네트워크들은 음성 접속들을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데이터 세션들을 지원하지만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음성 접속을 수신하거나 개시하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발신 음성 접속을 개시하거나 모바일 착신 음성 접속을 수신하기 위해,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는 회선 교환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CSFB 절차들을 이용하면, LTE 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서비스들만을 제공할 것이고, 반면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음성 서비스들 및 데이터 서비스들 양측 모두를 제공할 것이다. LTE 무선 네트워크들과 같은 더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들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보다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LTE 무선 네트워크들 상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대체로, 더 양호한 사용자 경험, 예컨대 LTE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활성 음성 접속을 서비싱하지 않는 한, 이용가능하다면, LTE 무선 네트워크들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그러나, CSFB 절차가 종료된 후에 그리고 LTE 무선 네트워크로 복귀하기 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예컨대 CSFB 절차 동안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와의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에 참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되고 있는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이 또한 끝날 때까지 CSFB 절차의 종료 후에 LTE 무선 네트워크로 복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LTE 무선 네트워크로 복귀하기 위해 시스템 재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데 소정 양의 "유휴"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음성 접속의 종료 후의 소정 기간 동안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 상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예컨대 진행 중인 데이터 접속 상에서 서비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은 더 빠른 LTE 무선 네트워크에 비해 더 느린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바람직한 것 미만의 데이터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더 낮은 성능의 데이터 접속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보다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는 LTE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이용가능한 경우에도,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들은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은 CSFB 음성 접속의 완료에 이어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진행 중일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다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제1 무선 네트워크와의 CSFB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본래 확립된 패킷 교환 데이터 접속을 이용하여 지속될 수 있고, 그리고 CSFB 절차가 시작된 후에, 예컨대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된 후에 지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킷 교환 접속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CSFB 절차가 프로세스 중에 있는 동안에, 예컨대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와의 CSFB 음성 접속 동안에 시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초기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CSFB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또는 유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데이터 전송의 중지 또는 유예는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하는 한편, CSFB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잠재적으로 인지가능한 서비스 인터럽션을 감소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수행을 적응시키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하기 전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와 확립된 데이터 접속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재선택이 발생하는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인지가능한 인터럽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선택 프로세스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킬 수 있다. 재선택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데이터 전송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제1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재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들에 대한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술되는 실시예들 및 이들의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이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지는 않으며, 기술되는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 당업자에 의해 기술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 및 세부사항의 임의의 변경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4 세대(4G) 무선 네트워크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의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 따른 신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른 대표적인 방법에 따른 신호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방법들 및 장치의 대표적인 응용물들이 본 섹션에서 기술된다. 이들 예들은 단지 내용을 부가하도록 그리고 기술되는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서만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이들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지되어 있는 공정 단계들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다른 응용예들이 가능하며, 따라서 하기의 예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취해져서는 안 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고,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예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CSFB 절차를 수행한 후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재접속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CSFB 음성 접속의 완료에 이어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진행 중일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다룬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CSFB 음성 접속의 종료 후의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의 진행 중인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그리고/또는 유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유예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에 "유휴" 시간 갭을 제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 절차를 수행할 기회를 허용하게 할 수 있다.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한 후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무선 네트워크와의 새롭게 확립되거나 재확립된 접속을 통해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재선택을 허용하는 한편, CSFB 음성 접속의 종료 후의 "사용자 인지가능한" 인터럽션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프로세싱을 적응시키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하기 전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재선택 프로세스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인지가능한 인터럽션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재선택 프로세스 동안,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킬 수 있다.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재선택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데이터 전송은 제1 무선 네트워크와의 새롭게 확립되거나 재확립된 접속을 통해 재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무선 네트워크보다 더 느린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제1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의 재개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에서 제4 세대(4G) 무선 네트워크(102)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의 중첩되는 커버리지를 도시한다. 4G 무선 네트워크(102)는, 예를 들어, 3GPP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 예컨대 LTE 무선 네트워크 또는 LTE-A 무선 네트워크, 또는 제2 세대(2G) 및 제3 세대(3G) 무선 네트워크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보다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4G 무선 네트워크(102)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성 접속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회선 교환 음성 접속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4G 무선 네트워크(102)는 단지 패킷 교환 접속들을 통해서만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패킷 교환 접속들을 통한 음성 서비스들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4G 무선 네트워크(102)는 제한사항이 아니라 일례로서 예시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존재하거나 미래에 개발될 수 있고,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들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회선 교환(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4G 무선 네트워크(102)를 대체할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는 CS 도메인을 갖는 임의의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3G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다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CDMA2000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1xRTT 무선 네트워크, 또는 3GPP2(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표준화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CS 도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2G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3GPP GSM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4G 무선 네트워크(102)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각자의 원에 의해 표현되는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4G 무선 네트워크(102)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들은 도 1에서 원의 중첩 부분들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4G 무선 네트워크(102)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 양측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중첩 커버리지의 소정 영역에 있는 경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진행 중인 데이터 세션에 참여하는 동안에, 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4G 무선 네트워크(102)에 접속될 수 있고, 모바일 발신 음성 접속 또는 모바일 착신 음성 접속의 개시에 응답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와 접속하는 CSFB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접속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갖는 예시적인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셀룰러 전화, 예컨대 스마트폰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양측 모두 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패킷 교환(PS) 데이터 세션들을 지원하지만 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기 위한 CS 도메인을 갖지 않는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보다 더 높은 이론상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LTE 네트워크, LTE-A 네트워크, 또는 다른 현재의 또는 미래에 개발되는 LTE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4G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4G 무선 네트워크(102)일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는 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는 CS 도메인을 갖는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는 UMTS 무선 네트워크, 3GPP2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3G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는 GSM 무선 네트워크, 다른 2G 무선 네트워크, 또는 CS 음성 접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른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는 도 1에 도시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104)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를 위한 기지국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위한 기지국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양측 모두의 시그널링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의 중첩되는 커버리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에 접속할 수 있다. CS 음성 접속(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해 개시되는 모바일 발신 음성 접속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발생되는 모바일 착신 음성 접속)의 개시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음성 접속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SFB 절차에 참여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부터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천이할 수 있다. CSFB 절차는, 예를 들어,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23.272의 소정 버전, 예컨대 3GPP TS 23.272 버전 11.2.0(2002년 9월 14일)에 정의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버전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CSFB 절차는 3GPP TS 23.272의 하나 이상의 이전 및/또는 미래 버전들에 따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CSFB 절차는 3GPP 외의 표준화 단체들 및/또는 산업 그룹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공표될 수 있는 CSFB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현존하는 또는 미래의 방법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상에 구현될 수 있는 장치(3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구현될 때,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가 시스템(200)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고 그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들, 또는 요소들은 의무적인 것이 아닐 수 있고, 이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들, 또는 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은 도 3에 도시되고 그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것들 이상으로 추가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들, 또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3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프로세싱 회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싱 회로(31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그리고/또는 그들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장치(300)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 및 관리 서비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치(300) 또는 그의 일부분(들) 또는 컴포넌트(들), 예컨대 프로세싱 회로(31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칩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칩셋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300)의 프로세싱 회로(3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일부 경우에, 칩셋 상에 일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이 칩셋으로 구현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칩셋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구현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가 시스템(200)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칩셋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셀룰러 무선 기저대역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310)는 프로세서(312)를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3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0)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 및/또는 선택 제어 모듈(318)과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그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2)는 다양한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싱 수단,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코프로세서, 제어기, 또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과 같은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프로세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프로세서(312)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복수의 프로세서들은 서로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총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2)는 메모리(314)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세서(312)에 액세스가능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로 구성되든 아니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든, 프로세서(312)는 그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면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프로세서(3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14)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4)는 고정식 및/또는 착탈식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14)는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모리(314)는 장치(300)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들, 명령어들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14)는 장치(3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프로세서(312),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 및 선택 제어 모듈(318)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는 장치(300)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로 무선 RF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 그리고 그로부터 RF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양쪽 모두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단일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송수신기,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 통신하도록 장치(30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무선 회로 세트의 일부분으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일부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수신기(316)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300)는 선택 제어 모듈(31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제어 모듈(318)은 회로, 하드웨어, 프로세싱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로세서(312))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314))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과 같은 다양한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2)(또는 프로세싱 회로(310))는 선택 제어 모듈(318)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제어 모듈(318)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CSFB 절차로부터 비롯된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재선택하는 재선택 절차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SFB 절차는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음성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부터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를 천이시키도록 수행되었을 수 있다. 선택 제어 모듈(318)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과 프로세싱 회로(310) 사이에(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프로세싱 회로 내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확립되거나, 유예되거나, 중단되거나, 수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화하는 "하위 계층" 접속들의 표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위 계층" 접속들은 물리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 이상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들을 확립, 제어, 및 제거하는 데 이용되는 다른 중간 통신 계층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는 접속의 유형,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유형, 또는 서비스의 품질,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또는 다른 "상위" 계층들)으로의 접속을 통한 서비스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특성의 표시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위 계층" 프로세싱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316) 내에서 발생할 수 있고, 반면에 "상위 계층" 프로세싱은 프로세싱 회로(310) 및/또는 선택 제어 모듈(318)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프로세싱 회로(310), 프로세서(312), 메모리(314), 송수신기(들)(316), 또는 선택 제어 모듈(318)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도 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의 세트는 모두가 의무적인 것은 아닐 수 있고,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적인 방법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배제될 수 있다.
동작(4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초기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사이에 발생하는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지원 시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에 참여할 수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세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예컨대 스트리밍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예컨대, YouTube®), 스트리밍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예컨대, Pandora®)을 위한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유사한 세션일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Apple® FaceTime®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실시간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세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온라인 게이밍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세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패킷 교환 접속을 제공하지만, 회선 교환 음성 접속들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음성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게 레거시 회선 교환 무선 네트워크로 "폴백"할 것을 지시하는 것에 의해 음성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동작(410)은 음성 접속의 서비싱을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부터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를 천이시키는 CSFB 절차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접속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해 개시될 수 있거나(예컨대, 모바일 발신 음성 접속), 또는 원격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발생되는 음성 접속일 수 있다(예컨대, 모바일 착신 음성 접속).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의 시그널링 접속을 여전히 유지하면서(또는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접속들 및/또는 데이터 접속들을 적어도 해제하지 않으면서) 음성 접속을 서비스하도록 천이할 수 있다.
동작(42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CSFB 절차 후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되는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음성 접속 동안에 사용자 레벨에서 중지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된 패킷 교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음성 접속 중에 중지되는 동안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해 버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실시간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의 재현이 사용자 레벨에서 중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동작(41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CSFB 음성 호(call)의 종료 후에 그리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을 완료하기 전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수신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음성 접속의 개시에 응답하여 CSFB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부터 수신된 소정 양의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의 음성 접속과 병행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병행 데이터 접속이 실현되지 않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재선택할 때까지 유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달성가능한 데이터 레이트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를 통해 달성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와는 상이하며,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예컨대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사이에서 끊김없이 천이하기 위해 적응시킨 레이트만큼, 활성 데이터 접속이 존재하게 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능력들을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CSFB 절차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조절하며, CSFB 절차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재조절하여 CSFB 절차 동안에 그리고 CSFB 절차 후에 이용가능한 상이한 데이터 접속들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도모한다.
동작(43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음성 접속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430)은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및/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동작(44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여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지하여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재선택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는 것 및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는 것은 추가적인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패킷 데이터 유닛(PDU) 교환들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중지하여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45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의 갭 동안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재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450)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위치 영역 업데이트(location area update, LAU)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450)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SCRI)를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전송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해제 절차를 트리거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재선택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가 UMTS 무선 네트워크인 실시예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45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Cell_PCH(셀 페이징 채널) 상태로 천이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재선택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46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동작(420) 동안에 축적된 버퍼링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재선택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음성 접속 동안에 유예되는 경우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는 (예컨대,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CSFB 절차 전에 저장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천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일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인 경우, 버퍼링된 데이터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 절차 동안, 새로운 패킷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사용자에게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게 하도록 사용자 레벨에서 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음성 접속 동안에 중지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퍼링된 패킷 데이터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재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동작(47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을 완료한 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버퍼링된 데이터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의 완료에 이어서 데이터 전송이 재개될 때까지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서비스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재선택 동안에 그리고 재선택 후에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사이에서 재개될 때까지, 버퍼링된 데이터가 데이터 전송 시의 갭을 브리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사용자 경험은 연장된 기간 동안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유지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성능, 또는 더 빠른 데이터 레이트들, 더 높은 비트 레이트(예컨대, 더 높은 해상도) 비디오의 수신 및 재생, 및 더 높은 비트 레이트 오디오의 수신 및 재생과 같은 다른 "인지가능한" 이득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방법들 및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CSFB 음성 접속 동안에 그리고/또는 CSFB 음성 접속 후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 파라미터들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수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FaceTime® 접속과 같은 실시간 통신 세션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CSFB 접속을 준비 시에 그리고/또는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을 준비 시에 상이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도록 코덱을 조절할 수 있다. 코덱의 특성들, 또는 데이터 레이트들, 데이터 품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실시간" 동작들을 조절함으로써, 실시간 통신 세션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상이한(예컨대, 더 낮은) 비트 레이트들로의 동작에 대해 그리고/또는 음성 접속의 해제에 이어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 동안(예컨대, 동작(440) 내지 동작(450) 동안)에 데이터 전송 시의 인터럽션에 대해 더 강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세션들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및/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도록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예컨대 제1 데이터 레이트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를 통해 그리고/또는 제2 데이터 레이트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접속에 적응한다. 다른 예로서,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데이터 전송의 인터럽션 동안의 캐릭터 이동을 추정하는 보간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 동안에 평소처럼 지속되더라도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실행이 사용자에게 보이게 함으로써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 동안(예컨대, 동작(440) 내지 동작(450) 동안)에 데이터 전송 시의 인터럽션에 대비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예로서, 채팅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새로운 채팅 세션의 개방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위" 계층 기능들의 세트의 일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음)과 기저대역 계층(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위" 계층 기능들의 세트의 일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있음) 사이의 협력을 활용하여 CSFB 접속의 종료 후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복귀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 따른 신호도(500)를 도시한다.
동작(510)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내의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서 진행 중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로/로부터 데이터가 통신될 수 있게 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에 접속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패킷 교환 데이터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를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로 기저대역 계층(504)에서 인입하는 것일 수 있고, 패킷 교환 데이터는 기저대역 계층(50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51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의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 접속이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활성 상태일 수 있다. 동작(515)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를 위한 음성 접속의 개시에 응답하여 기저대역 계층(504)이 CSFB 접속 셋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를 위한 음성 접속들에 대한 능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음성 접속들을 제공하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 "폴백"할 것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게 요구할 수 있다. 기저대역 계층(504)은, 동작(520)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2)가 음성 접속의 서비싱을 위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천이하고 있다는 표시를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동작(525)에서, 기저대역 계층(504)에 의해 제공된 표시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 파라미터들을 수정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에 적응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과 같이 중지될 수 있는 비실시간 세션인 경우, 동작(525)은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이, (예컨대,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중지시키는 것, 새로운 접속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확립될 때까지(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복귀할 때까지 어떠한 접속도 확립되지 않는 경우) 기저대역 계층(504)에 제공할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 확립되고 있는 동안에 또는 확립되었을 때, 확립될 접속과 일치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것,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도달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525)은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이, 예컨대 상이한 코덱으로 스위칭하는 것, 더 낮은 비트 레이트 데이터 스트림으로(예컨대, 더 낮은 해상도 비디오 스트림으로) 스위칭하는 것 등에 의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더 낮은 비트 레이트들에 적응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동작(528)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데이터 접속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의 음성 접속과 병행하여 확립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데이터 접속은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적어도 일부분의 지속을 지원하기 위해 기저대역 계층(504)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데이터 접속이 확립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음성 접속 동안에 유예될 수 있다.
동작(530)은 기저대역 계층(50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의한 CSFB 음성 접속의 종료를 포함할 수 있다. CSFB 음성 접속의 종료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의 결과로서 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할 수 있다. 기저대역 계층(504)은, 동작(535)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중지하라는 표시를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제공하여,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재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동작(540)에서, 표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영향을 주면서 재선택 절차 동안에 데이터 전송 시의 인터럽션을 견디도록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적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동작(525)에서 버퍼링된 임의의 데이터에 더하여, 또는 동작(525)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 대신에)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버퍼링된 데이터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다시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접속의 천이 동안에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의 CSFB 음성 접속 동안에 유예되는 경우, 예컨대, CSFB 음성 접속 동안에 어떠한 데이터 접속도 제공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CSFB 음성 접속의 종료 후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재개"할 수 있으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접속이 재선택 프로세스에 의해 달성되는 동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지속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음성 접속 동안에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중지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예컨대,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접속의 종료 후에 재개될 수 있다.
동작(545)은 기저대역 계층(504)이 데이터 전송 시의 갭 동안에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재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502) 및/또는 기저대역 계층(504)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한 사전정의된 길이의 갭을 데이터 전송 시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갭 길이는, 예를 들어, 무선 반송파,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특성들, 하나 이상의 시장 특성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구성, 및/또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사이의 재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길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인자들에 의존할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에 이어서, 동작(550)에서, 기저대역 계층(504)은 재선택이 완료되었다는 표시를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제공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이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재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예컨대 더 낮은 해상도 코덱으로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또는 더 낮은 비트 레이트 스트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상에서 더 낮은 비트 레이트들을 이용하도록 수정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더 높은 비트 레이트/해상도 스트림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SFB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 따른 다른 신호도(600)를 도시한다. 도 6은 CSFB 절차가 시작될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사이의 활성 데이터 접속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도 5와는 상이하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204) 및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양측 모두와 관련될 수 있지만, 시작 시에 음성 또는 데이터 접속에 의해 능동적으로 접속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의 (시그널링을 위한) 무선 리소스 제어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동작(602)에서 CSFB 절차를 개시한다. CSFB 접속 셋업은, 사용자 입력의 결과로서, 예컨대 음성 접속을 확립하도록, 또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에 의해, 예컨대 음성 접속을 수신하기 위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폴백"하도록,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예컨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의 호출 메시지들을 청취하는 "튠어웨이(tune away)"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기저대역 계층(504)은, 동작(604)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천이하고 있다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통지할 수 있다.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 천이한 후(또는 천이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 상에서 동작(606)에서 시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패킷 데이터가 무선 네트워크와 교환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접속을 요구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동작(608)에서,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여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기능을 지원하라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504)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610)에서, 기저대역 계층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사이의 데이터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동작(612)에서, 기저대역 계층(504)은 데이터 접속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와 확립되어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나타낼 수 있다. 단계(614)에서, 데이터 접속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 사이에서 활성 상태일 수 있다. 동작(616)에서, 기저대역 계층은, 예컨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를 위한 음성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단계(612)에서 셋업된 CSFB 접속의 일부분으로서 확립된 CSFB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데이터 접속은 CSFB 접속 종료(616)가 시작되는 때에 여전히 활성 상태일 수 있다. 기저대역 계층(504)은, 단계(618)에서, CSFB 접속(및 그에 따른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의 임의의 접속)이 종료될 수 있다는 표시를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제공할 수 있다. 기저대역 계층(504)은,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요구되거나 적용가능하다면,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이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의 버퍼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에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은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 천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간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유예시킬 수 있거나, 중지할 수 있거나, 수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대한 데이터 접속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 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데이터 접속에 대해 더 높은 데이트 레이트들, 더 높은 서비스 품질, 또는 다른 바람직한 속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시작될 수 있는 동안,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시작되었을 때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가 CSFB 절차 중에 있었기 때문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는, 이용가능하다면, CSFB 절차가 종료될 때 실현될 수 있는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의 데이터 접속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대한 데이터 접속은, 버퍼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이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재선택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동작(62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예될 수 있거나, 종료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기저대역 계층(504)은 동작(62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의 갭 동안에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할 수 있다. 재선택의 완료 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이 기저대역 계층(504)에 의해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 확립될 수 있는데, 새로운 데이터 접속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206)로의 데이터 접속에 의해 제공된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 서비스 품질, 또는 다른 성능 특성을 갖는다. 기저대역 계층(204)은 단계(626)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것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나타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은 동작(628)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무선 네트워크(204)를 통해 활성 상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제1 무선 네트워크(204)로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의 하나 이상의 성능 특성들을 일치시키도록, 예컨대, 더 높은 비트 레이트들을 적응시키도록, 상이한 서비스 품질을 적응시키도록, 상이한 비트/패킷/블록 에러 레이트를 적응시키도록, 상이한 레벨의 신호 대 잡음/간섭 비를 적응시키도록 등을 하도록 무선 통신 디바이스(202)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속성들을 적응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대역 계층(504)은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특성들의 적응을 가능하게 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204)와 확립된 새로운 데이터 접속과 일치시키도록 애플리케이션 계층(502)으로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태양들, 실시예들, 구현예들, 또는 특징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태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이후에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CD-ROM들, HDD들, DVD들, 자기 테이프,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형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 기술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특정 세부사항들이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시된다. 이들은 총망라하는 것으로 또는 설명된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교시 내용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43)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음성 접속의 서비싱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천이시키는 회선 교환 폴백(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절차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CSFB 절차 후에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의 상기 음성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여,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는 단계;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시의 상기 갭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완료한 후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SCRI)를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해제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접속 해제 후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음성 접속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중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상기 음성 접속 중에 중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접속을 해제한 후에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기 전에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수신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고 있다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기 위한 준비 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음성 접속의 해제에 이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교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중지하여 상기 재선택을 가능하게 하라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버퍼링된 패킷 교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도메인을 갖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음성 접속은 상기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의 상기 회선 교환 도메인에 의해 다루어지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CSFB 절차가 종료된 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후속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사용되는 코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실시간 통신 세션 또는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을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무선 네트워크 및 제2 무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그리고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과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제1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의 상기 제1 데이터 접속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천이시키는 회선 교환 폴백(CSFB) 절차에 참여하게 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데이터 세트를 버퍼링하게 하도록;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하도록;
    상기 버퍼링된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게 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제2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데이터 접속을 재확립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의 상기 제2 데이터 접속을 통한 또는 상기 재확립된 제1 데이터 접속을 통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레거시 제3 세대(3G) 또는 제2 세대(2G)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음성 접속들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조절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접속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CSFB 절차 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재조절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조절하게 하는 것은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게 하는 것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사용되는 코덱을 조절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CSFB 절차에 참여할 것이라는 제1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의 상기 제1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기 위한 준비 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동작을 조절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와의 음성 접속의 해제에 이어서, 상기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제2 표시를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버퍼링된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중지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CSFB 절차에 이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재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와 확립된 데이터 접속을 통해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SCRI)를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해제를 트리거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RRC 접속 해제 후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제1 무선 네트워크와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천이시키는 회선 교환 폴백(CSFB) 절차에 참여하게 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데이터 세트를 버퍼링하게 하도록;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CSFB 절차에 참여하는 동안에 또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는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CSFB 절차에 의해 확립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되는 동안의 패킷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음성 접속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중지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상기 음성 접속 중에 중지되는 동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는 상기 음성 접속을 해제한 후에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SCRI)를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해제를 트리거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RRC 접속 해제 후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고 있다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기 위한 준비 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파라미터를 수정하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음성 접속의 해제 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중지하여 상기 재선택을 가능하게 하라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도메인을 갖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CSFB 절차가 종료된 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후속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구현된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사용되는 코덱을 조절함으로써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게 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실시간 통신 세션 또는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와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천이시키는 회선 교환 폴백(CSFB) 절차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데이터 세트를 버퍼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버퍼링된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CSFB 절차에 참여하는 동안에 또는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는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CSFB 절차에 의해 확립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의 음성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음성 접속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동안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요청들을 중단하여,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다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게 되는 동안의 패킷 데이터 전송 시에 갭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접속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이 상기 음성 접속 중에 중지되는 동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는 상기 음성 접속을 해제한 후에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 재선택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장치.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 접속 해제 표시(SCRI)를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 해제를 트리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RRC 접속 해제 후에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8.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고 있다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로 천이하기 위한 준비 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의 파라미터를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9.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접속의 해제 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패킷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중지하여 상기 재선택을 가능하게 하라는 표시를 기저대역 계층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버퍼링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재선택 동안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지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0.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도메인을 갖는 레거시 무선 네트워크인, 장치.
  41.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FB 절차 동안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CSFB 절차가 종료된 후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의 후속 데이터 접속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에 의한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생성 또는 패킷 데이터 소비를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 동안에 사용되는 코덱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세션은 실시간 통신 세션 또는 스트리밍 미디어 세션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57027298A 2013-04-02 2014-04-01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 KR101744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7729P 2013-04-02 2013-04-02
US61/807,729 2013-04-02
PCT/US2014/032467 WO2014165475A1 (en) 2013-04-02 2014-04-01 Facilitating return to a first wireless network from a second wireless network after performance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230A true KR20150121230A (ko) 2015-10-28
KR101744224B1 KR101744224B1 (ko) 2017-06-07

Family

ID=5162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298A KR101744224B1 (ko) 2013-04-02 2014-04-01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38648B2 (ko)
EP (1) EP2959720B1 (ko)
JP (1) JP6174240B2 (ko)
KR (1) KR101744224B1 (ko)
CN (1) CN105103611B (ko)
TW (1) TWI552555B (ko)
WO (1) WO2014165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4022B2 (ja) * 2010-11-18 2015-09-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9215639B2 (en) 2012-12-21 2015-12-15 Apple Inc. Transitioning a video call between networks
US20140359735A1 (en) * 2013-05-29 2014-12-04 Sap Portals Israel Ltd Maintaining application session continuity across devices
KR20160014382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앵커 게이트웨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065535A1 (zh) * 2014-10-28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选择方法和用户设备
US10117145B2 (en) 2015-01-28 2018-10-30 At&T Mobility Ii Llc User equipment based fast return to LTE
US10231275B2 (en) 2016-10-06 2019-03-12 T-Mobile Usa, Inc. Last come, first served treatment of communication session requests
CN106507307A (zh) * 2016-11-24 2017-03-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送信息、获取信息的方法、通话端及通信对端
CN108696382B (zh) * 2017-04-12 2022-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链路恢复方法、装置和通信节点
US10231282B1 (en) * 2017-09-13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tune-away management
CN110741681B (zh) * 2018-12-06 2022-02-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建立连接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2543464B (zh) * 2019-09-23 2022-09-16 中国移动通信集团安徽有限公司 返网方法、装置及计算设备
CN110933704B (zh) * 2019-12-18 2023-07-18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20118135A (ko) * 2021-02-18 2022-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Pdu 세션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5825B (zh) 2004-03-12 2016-01-20 美商内数位科技公司 在wtru中实施的用于切换无线技术的方法及设备
US20060105764A1 (en) * 2004-11-16 2006-05-18 Dilip Krishnaswamy Adaptive wireless network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multimedia in a proactive enterprise
US7623493B2 (en) * 2005-04-29 2009-11-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layer assisted handoff
WO2010024350A1 (ja) 2008-08-28 2010-03-0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通信端末
US8868087B2 (en) 2008-10-20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technology interworking
US20100297979A1 (en) 2009-04-14 2010-11-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s
US8903390B2 (en) 2009-05-13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single-mode and multimode system selection parameters and service management
GB2471871B (en) * 2009-07-15 2011-12-14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rtual dance floor
CN101959269B (zh) 2009-07-15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和装置
US8369253B2 (en) * 2009-08-14 2013-0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voice solutions for data centric terminals
CN102714818B (zh) * 2009-10-30 2016-06-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无线通信的信令
US20110182272A1 (en) 2010-01-25 2011-07-28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layer handoff of an access terminal from a first system of an access network to a second system of the access network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929284B2 (en) 2010-02-03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inter-system transfer of a packet switched session
CN102823318B (zh) * 2010-03-26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管理电路交换回退请求之间的竞争条件
JP5774022B2 (ja) * 2010-11-18 2015-09-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20120182912A1 (en) * 2011-01-14 2012-07-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local internet protocol access connection handling dur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and handover
US20130034080A1 (en) * 2011-08-02 2013-0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fast return to source rat (radio access technology) after redirection to target rat
US9578554B2 (en) 2011-09-21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call fallback user experience
KR102123091B1 (ko) * 2013-01-04 2020-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에 강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9720A4 (en) 2016-08-10
US20140293961A1 (en) 2014-10-02
EP2959720B1 (en) 2017-11-08
KR101744224B1 (ko) 2017-06-07
TW201445949A (zh) 2014-12-01
CN105103611B (zh) 2018-11-02
US10038648B2 (en) 2018-07-31
TWI552555B (zh) 2016-10-01
EP2959720A1 (en) 2015-12-30
CN105103611A (zh) 2015-11-25
JP2016519891A (ja) 2016-07-07
JP6174240B2 (ja) 2017-08-02
WO2014165475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24B1 (ko) 회선 교환 폴백 절차의 수행 후에 제2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로의 복귀의 가능화
US9635596B2 (en) Transitioning a video call between networks
EP3316659B1 (e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at support sharing of rf processor by multiple sim cards
EP2732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s
US9338718B2 (en) Voice call resumption on a legacy network
US9456395B2 (en) Resume handling after tune-away
US8942707B2 (en) Handover
KR101937737B1 (ko)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부터 회로 교환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8890921B2 (en) Supporting continuation of a data session after performance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JP2013514705A (ja) Gsm回線交換呼を確立する場合のlteにおけるパケット交換セッションの維持
CN113875287B (zh) 一种ims语音通信方法、无线通信装置及通信系统
US113947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transitions continuity between wireless protocols
US20140018079A1 (en) Assisting return to a first network from a second network after performance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procedure
EP2564634B1 (en) Improvements to handover
US9204092B2 (en) Internet protocol video telephony with carrier grade voice
EP2858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voice service fallback
EP325721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ducing media gap when connecting independent bearer paths
CN114640958A (zh) Ims过程处理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