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482A -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482A
KR20150120482A KR1020157025791A KR20157025791A KR20150120482A KR 20150120482 A KR20150120482 A KR 20150120482A KR 1020157025791 A KR1020157025791 A KR 1020157025791A KR 20157025791 A KR20157025791 A KR 20157025791A KR 20150120482 A KR20150120482 A KR 20150120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unction
transmitter
connection
transmitter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392B1 (ko
Inventor
윤 두안
시우핑 지앙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0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통신 네트워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전자 장치가 전송 기능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조작 과정을 감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장치는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의 우선순위,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그 후 수신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에 의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목표 전송 기능을 가지는 전송기 장치와 접속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해결 수단은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도 알려져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은 비접촉 식별 및 상호접속(non-contact identificaton and interconnection) 기술로서, 이동 장치, 소비자 전자 제품,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지능형 제어 도구(intelligent control tool)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러한 NFC 기술을 사용하여 파일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두 개의 전자 장치가 NFC 기능을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그 전송 속도는 낮고, 전송 거리는 0 cm에서 10 cm에 이른다. 이 NFC 기술은 일반적으로 7 KB 크기 이하의 파일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속도 및 전송 거리에 대한 제한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전자 장치들의 접촉을 통해 임의의 연결이 구축되고, 두 개의 전자 장치들은, 접촉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직접 전송 Wi-Fi 다이렉트(Direct), 무선 네트워크(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블루투스(BT, Bluetooth)와 같은 동일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enable)하여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고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두 개의 전자 장치들이 자동으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조작 단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NFC 인증을 통과한 후, 전자 장치들이 동일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일종의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지만, 전자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그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전송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 데이터 전송은 실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는 전자 장치에 의한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조작 단계를 축소시킬 수 있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수신기 장치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인증 메시지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예에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이네이블 메시지를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상기 전송기 장치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상기 장치에게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증 메시지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2차원 코드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통지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함 -;
미리 획득된 전송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상기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이네이블링 모듈;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 - 상기 인증 메시지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전송기 장치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추가로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상기 수신기 장치가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전술한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도록,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이네이블 메시지를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3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 또는 제3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3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탐색하도록 구성되는 탐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상기 전송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 모듈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모듈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모듈;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접속 모듈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인증 메시지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성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2차원 코드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공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상기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이네이블링 모듈; 및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들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복원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 제4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가 더 제공되고, 제4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네이블링 모듈은 추가로,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통지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장치는 획득 모듈, 이네이블링 모듈, 전송 모듈, 및 접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는 생성 모듈, 제공 모듈, 수신 모듈, 및 접속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공 모듈은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획득 모듈에게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공 모듈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이네이블링 모듈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상기 전송 기능들의 상태,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상태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수신 모듈에게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접속 모듈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서,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그 후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 장치들은 동일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임의의 NFC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고, 전자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그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전송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의한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링하는 조작 단계들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더욱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할 때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한 것은, 이어질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창작 능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중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중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 수단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한다. 분명한 것은, 여기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작 노력 없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며, 이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는 둘 다, 이동 전화와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이동 전화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전송기 장치가 하나의 전송 기능을 가지는 경우 접속 정보가 하나의 전송 기능을 포함하고, 전송기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전송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접속 정보가 적어도 두 개의 전송 기능(즉, 전송기 장치의 모든 전송 기능)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이름(또는 코드와 같은 식별자(identifier))과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네트워크 직접 전송 Wi-Fi 다이렉트(Direct), 무선 네트워크 핫스팟(Wi-Fi, Wireless Fidelity Hotspot), 및 블루투스(BT, Bluetooth)를 포함하는 전송 기능들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인증 정보는 적어도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단계 102: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priorities),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target transmission function)을 이네이블한다.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은 전송 기능들의 전송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은 다음과 같다: Wi-Fi 다이렉트(Direct)는 Wi-Fi 핫스팟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Wi-Fi 핫스팟은 블루투스(BT)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들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수신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송기 장치에 의해 수신기 장치에게 전송된 접속 메시지는 우선순위들(즉, 우선순위들은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임)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수신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획득한다.
목표 전송 기능은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은 Wi-Fi 및 BT를 포함하고; 그리고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즉, Wi-Fi 다이렉트의 전송 속도 > Wi-Fi 핫스팟의 전송 속도 > BT의 전송 속도(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Wi-Fi 다이렉트, Wi-Fi, 및 BT),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구체적으로,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의 상태: W-Fi 및 BT는 이네이블되지 않음)에 따라 Wi-Fi를 우선적으로 이네이블한다. 다르게는,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은 Wi-Fi 및 BT를 포함하고; 그리고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즉, Wi-Fi의 전송 속도 > BT의 전송 속도(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Wi-Fi 다이렉트, Wi-Fi, 및 BT),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Wi-Fi는 이네이블되고, BT는 이네이블되지 않음)에 따라 BT를 우선적으로 이네이블한다.
단계 103: 수신기 장치와 전송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증 정보는 적어도 목표 전송 기능의 코드(또는 이름과 같은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하고;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서, 수신기 장치는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그 후,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기 장치와의 목표 전송 기능 접속을 구축한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 장치는 동일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임의의 NFC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고, 전자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전송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의한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링하는 조작 단계들을 감축시킴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전송기 장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기 장치는 이동 전화기(mobile phone)(또는 모바일 폰이라고도 함)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터치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이동 전화기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는 전송기 장치의 모든 전송 기능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이름(또는 코드와 같은 식별자(identifier))와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Wi-Fi 다이렉트(Direct), Wi-Fi 핫스팟, 및 BT를 포함하는 전송 기능들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는데, 이러한 2차원 코드는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scanning)에 의해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202: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가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203: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인증 메시지는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메시지를 포함한다. 목표 전송 기능은 접속 정보에 포함된 전송 기능들 중 하나의 전송 기능이다.
수신기 장치는 접속 정보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고, 그 후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의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204: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인증 메시지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송기 장치가 인증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것을 검출한 후에 수신기 장치에게 인증 응답을 전송하고, 그 후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획득할 수 있도록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서, 전송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기 장치에게 그 접속 정보를 제공하며; 그 후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리고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인증 메시지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 장치들은 임의의 NFC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이러한 프로토콜은 동일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고, 전자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전송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 데이터 전송이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도 2에서의 단계 201 및 단계 202에 대응되는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 둘 다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검출한다.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전송기 장치는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검출하며, 여기서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수신기 장치를 포함한다.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수신기 장치는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검출한다.
단계 302: 전송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트리거 명령(trigger instruction)을 수신한 후 그에 해당되는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전송기 장치가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인 수신기 장치를 검출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트리거 명령을 기다린다. 이 트리거 명령은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 둘 다 NFC 기능을 가지고 있고 NFC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접촉할 때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303: 전송기 장치가, 트리거 명령에 따라,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한다.
트리거 명령은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과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의 이름(또는 전송될 데이터의 코드로서의 식별자), 전송될 데이터의 양, 전송될 데이터의 경로,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와 접촉하여 그들의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는 NFC 기능을 통해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도 2에서의 단계 201 및 단계 202에 대응되는 다른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1: 전송기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트리거 명령어를 수신하고 그에 해당되는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단계 402: 전송기 장치는, 트리거 명령에 따라,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한다.
2차원 코드는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송기 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수신기 장치에게 사진을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전송기 장치에서 사진을 오픈(open)하고, 그 후 2차원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을 두드리며면)(즉, 사용자가 트리거 명령을 입력함), 그러면 전송기 장치가, 수신된 트리거 명령에 따라,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또는 생성된 2차원 코드 내의 접속 정보가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생성된 2차원 코드 내의 접속 정보가 사진에서 전송된 데이터 정보의 2차원 코드를 더 포함함)를 생성한다. 수신기 장치는 2차원 코드를 스캐닝한 후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전송기 장치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2차원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실시예는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방식 모두를 기재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경우, 전송기 장치는 우선 도 3에서의 단계 301 내지 단계 303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전송기 장치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생성된 접속 메시지를 수신기 장치에게 전송한 후 단계 501을 계속해서 수행하거나; 또는 전송기 장치가 우선 도 4에서의 단계 401 및 단계 402를 수행할 필요가 있고, 그 후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획득(스캐닝)한 후 계속해서 단계 501을 수행한다.
단계 501: 접속 정보를 획득한 후,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수신기 장치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경우,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가 참조되는 때에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것은 수신기 장치에 대한 제한에 따라 관련 제한이 또한 적용된다. 예를 들면, 일부 제조사들에 의해 제조된 장치들의 경우, Wi-Fi 다이렉트 및 Wi-Fi가 연관된다. 즉, 장치들이 Wi-Fi 다이렉트를 이네이블하는 경우, Wi-Fi가 또한 자동으로 이네이블된다. 그러나, 다른 제조사들에 의해 제조된 장치들의 경우, Wi-Fi 다이렉트와 Wi-Fi는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즉, 그 둘은 동시에 이네이블될 수 없다.
게다가, 장치에서 Wi-Fi 핫스팟 및 Wi-Fi는 상호 배타적이다. 예를 들면, 수신기 장치에 의해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이 Wi-Fi 다이렉트, Wi-Fi, 및 BT 순서대로이고;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이 Wi-Fi 다이렉트, Wi-Fi, 및 BT를 포함하며; 그리고 수신기 장치의 전송 장치가 Wi-Fi 핫스팟, Wi-Fi, 및 BT를 포함한다. 이 때, 수신기 장치가 Wi-Fi 핫스팟의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따라서, 수신기 장치는 Wi-Fi를 통해 전송기 장치에 접속할 수 없다. 즉, 수신기 장치는 전송기 장치와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해 단지 BT만을 이네이블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와 Wi-Fi가 연관되는 경우, Wi-Fi 다이렉트와 Wi-Fi 핫스팟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들 들면,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이 Wi-Fi 핫스팟, Wi-Fi, 및 BT를 포함한다. 수신기 장치에 의해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이 Wi-Fi 핫스팟, Wi-Fi, 및 BT 순서대로이고; 그리고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이 Wi-Fi 다이렉트, Wi-Fi, 및 BT를 포함한다. 따라, 수신기 장치는 우선적으로 Wi-Fi를 이네이블해야 한다. 그러나, Wi-Fi 핫스팟과 Wi-Fi가 상호 배타적이기 때문에, 수신기 장치는 BT를 이네이블하는 것을 선택한다.
단계 502: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증 메시지는 적어도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는 목표 전송 기능의 코드(또는 이름과 같은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하고;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503: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송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그의 전송 기능들의 전송 기능 상태들을 초기 상태로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가 모든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지는 않는다는 조건 하에서,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트리거 동작(operation)을 수행한 후, 전송기 장치의 모든 전송 기능들이 이네이블되고, 전송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에 의한 전송기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송기 장치들이 목표 전송 기능들 제외한 모든 전송 기능들을 디스에이블(disable)한다.
전송기 장치가 인증 정보를 수신한 후 인증 메시지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고; 전송기 장치가 인증 메시지가 정확하다는 것을 검출한 후 수신기 장치에게 인증 응답을 전송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단계 504: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 후, 선택적으로 전송기 장치는 전송될 데이터를 패키지화(pack)한 후, 그 후 전송될 데이터 패키지를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수신기 장치가, 접속 정보 내의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에 따라 전송될 데이터의 경로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모든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기 때문에, 본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다른 구현 방식에 따르면, 전송기 장치가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그의 모든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한다. 그러나, 수신기 장치는 여전히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송기 장치가 그의 모든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 장치가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데: 두 장치가 트리거 동작을 수행한 후,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현재 상태와 결합하여,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전송 기능들과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에 따라 하나의 전송 기능(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으며; 그 후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또 다른 구현 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게를 포함한다:
단계 601: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 둘 다 NFC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검출한다.
단계 602: 전송기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603: 전송기 장치가 트리거 명령에 따라 NFC 기능을 통해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더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접속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4: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 후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과정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에서의 단계 501이 참조될 수 있다.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605: 수신기 장치가 NFC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네이블 메시지는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통지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전송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가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전송기 장치와 수신기 장치가 이네이블된 NFC 기능을 통해 접촉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가 우선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그 후 수신기 장치가 수신된 접속 정보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네이블 메시지는 적어도 목표 전송 기능의 이름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단계 606: 전송기 장치는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전송기 장치는,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에 포함된 목표 전송 기능의 이름과 일치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 장치가 접속 정보에 따라 Wi-Fi 다이렉트를 이네이블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는 Wi-Fi 다이렉트의 이름을 포함하고, 전송기 장치가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한 후 Wi-Fi 다이렉트를 이네이블하거나; 또는 수신기 장치가 접속 정보에 따라 Wi-Fi를 이네이블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가 Wi-Fi의 이름을 포함하고, 전송기 장치가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한 후 Wi-Fi 핫스팟을 이네이블한다.
선택적으로,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 전송기 장치가 그의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경우,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송기 장치가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 607: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 장치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하고부터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때,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하고;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초 단위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즉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 후 1초 후에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한다. 이 때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또는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수신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후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가 성공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새로 발견된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전송기 장치가 트리거 명령어를 수신한 후 그의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경우, 전송기 장치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후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들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단계 608: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두 장치가 트리거 동작을 수행한 후, 수신기 장치는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현재 상태와 결합하여,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전송 기능들과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에 따라 하나의 전송 기능(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으며; 그 후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는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70)를 제공하며, 본 장치는 획득 모듈(701), 이네이블링 모듈(702), 전송 모듈(703), 및 접속 모듈(704)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수신기 장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신기 장치는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획득 모듈(701)은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그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본 장치 및 전송기 장치는 둘 다 이동 전화기(또는 모바일 폰이라고 함)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터치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이동 전화기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획득 모듈(701)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및/또는 획득 모듈(701)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네이블링 모듈(702)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전송 모듈(703)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모듈(704)은 전송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인증 정보는 적어도 코드(또는 이름과 같은 식별자)와 목표 전송 기능의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80)는 탐색 모듈(705)을 더 포함한다.
또한, 획득 모듈(701)은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우선순위들을 획득할 수 있고,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우선순위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전송기 장치 및 수신기 장치 둘 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NFC 기능을 가지는 경우, 이네이블링 모듈(702)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후,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703)이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이네이블 메시지는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포함한다.
이네이블 메시지는 전송기 장치가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도록,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 메시지이다.
또한, 전송 모듈(703)이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 후, 탐색 모듈(705)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탐색하며, 그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전송기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하고부터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때, 탐색 모듈(705)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하고; 탐색 모듈(705)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전송 모듈(703)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초 단위일 수 있으며 본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즉 전송 모듈(703)이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한 후 1초 후에, 탐색 모듈(705)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한다. 이 때 탐색 모듈(705)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또는 탐색 모듈(705)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탐색 모듈(705)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후 전송 모듈(703)은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가 성공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새로 발견된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도 7에 도시된 장치(70)와 도 8에 도시된 장치(80)에 따르면, 모듈들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와 모듈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과 같은 내용이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에 따라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90)를 제공하며, 여기서 본 장치는 생성 모듈(901), 제공 모듈(902), 수신 모듈(903), 및 접속 모듈(904)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전송기 장치일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는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생성 모듈(901)은 접속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 모듈(902)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그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 내의 생성 모듈(901)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 모듈(901)은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며, 그 2차원 코드는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제공 모듈(902)은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903)은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여 접속 모듈(904)에게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모듈(904)은 인증 메시지에 따라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10)는 이네이블링 모듈(905) 및 복원 모듈(906)을 더 포함하고, 제공 모듈(902)은 전송 유닛(9021) 및 디스플레이(display) 유닛(902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네이블링 모듈(905)은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고;
복원 모듈(906)은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들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신 모듈(903)은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 이네이블 메시지는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그 후 이네이블링 모듈(905)은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또한, 제공 모듈(905)에 포함된 전송 유닛(9021)은 전송기 장치가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수신기 장치에게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유닛(9022)은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장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10) 내의 모듈들을 포함하지만, 제공 모듈(902)은 전송 유닛(9021)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9022)만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장치(90) 및 도 10에 도시된 장치(10)에 따르면, 모듈들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와 모듈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과 같은 내용이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에 따라 전송 모드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본 장치는 장치(70), 장치(80), 장치(90), 및 장치(10) 내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 내지 도 10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11)를 제공하며, 본 장치는 메모리(1101), 수신기(1102), 프로세서(1103) 및 전송기(1104)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수신기 장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신기 장치는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01)는 프로그램 루틴(program routine)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01)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정적 저장 장치, 동적 저장 장치,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메모리(1101)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및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application program)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 수단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은 메모리(1101) 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4)에 의해 실행된다.
수신기(1102)는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그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1102)는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및/또는 수신기(1102)는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더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3)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해결 수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범용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를 채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기(1102)는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프로세서(1103)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103)는 메모리(1101), 수신기(1102), 및 전송기(1104)에 결합되고, 프로그램 루틴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된다.
전송기(1104)는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그 인증 메시지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3)는 전송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전송기 장치 및 본 장치 둘 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NFC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만, 전송기(1104)가 NFC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에게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기(1104)가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한 후,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하고부터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때, 프로세서(1103)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한다. 프로세서(1103)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는 경우, 전송기(1104)는,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초 단위일 수 있으며, 본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즉 전송기(1104)가 이네이블 메시지를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한 후 1초 후에, 프로세서(1103)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개시한다. 이 때 프로세서(1103)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또는 전송기(1104)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프로세서(1103)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 대한 탐색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후 본 장치 및 전송기 장치가 성공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새로 발견된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목표 전송 기능에 대응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도 11에 도시된 장치에 따르면, 모듈들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와 모듈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과 같은 콘텐츠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에 따라 전송 기능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장치(12)를 제공하며, 본 장치는 메모리(1201), 프로세서(1202), 수신기(1203), 및 전송기(1204)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전송기 장치일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는 전송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1)는 프로그램 루틴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2)는 메모리(1201), 수신기(1203), 및 전송기(1204)에 결합되고, 프로그램 루틴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접속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그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에서의 프로세서(1202)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202)는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며, 그 2차원 코드는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수신기(1203)는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202)에게 그 인증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그 인증 메시지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2)는 인증 메시지에 따라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202)는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 후, 수신기(1203)가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202)는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들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1203)는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후 프로세서(1202)는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이네이블 메시지는 수신기 장치가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통지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본 장치(12)에 따르면, 모듈들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와 모듈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과 같은 내용이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에 따라 전송 모드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서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 내지 도 10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13)을 제공하며, 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13)은 수신기 장치(1301) 및 전송기 장치(1302)를 포함한다.
수신기 장치(1301)는 획득 모듈(13011), 이네이블링 모듈(13012), 전송 모듈(13013), 및 접속 모듈(13014)을 포함하고; 전송기 장치(1302)는 생성 모듈(13021), 제공 모듈(13022), 수신 모듈(13023), 및 접속 모듈(1302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생성 모듈(13021)은 접속 정보를 생성하며, 그 접속 정보는 전송기 장치(1302)의 전송 기능들 및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제공 모듈(13022)은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획득 모듈(13011)에게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획득 모듈(13011)은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제공 모듈(13022)에 의해 제공된 접속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이네이블링 모듈(13012)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 전송기 장치(1302)의 전송 기능들의 상태, 및 수신기 장치(1301)의 전송 기능들의 상태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다.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전송 모듈(13013)은,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수신 모듈(13023)에게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며, 그 인증 메시지는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수신 모듈(13023)은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전송 모듈(13013)에 의해 전송된 인증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송기 장치(1302)에 포함된 접속 모듈(13024)은, 인증 메시지에 따라, 수신기 장치(1301)에 포함된 접속 모듈(13014)과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한다.
도 13에 도시된 시스템(13)에 따르면, 모듈들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와 모듈들 사이의 정보 상호작용과 같은 내용이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들과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반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들의 전송 기능에 따라 전송 모드의 자동 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배는 설명을 위한 예시로 사용된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는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제 구현에서, 전술한 기능들은 상이한 모듈들에 할당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세부적인 구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고,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다. 예컨대,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으로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설명된 상호 간의 연결 또는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적인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독립된 것이거나, 물리적으로 독립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이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거나, 또는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배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은, 실시예의 해결 수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적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을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이 물리적으로 독립하여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되는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그 통합 유닛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사상에 기초하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수단은 필수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그 기술적 해결 수단 모두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또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떤 매체라도 좋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생각해 낼 수 있는 변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2)

  1.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신기 장치가,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 장치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이네이블 메시지를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상기 장치에게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상기 전송기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6.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코드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기 장치가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통지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전송 기능들의 우선순위들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12.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모듈;
    미리 획득된 전송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상기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네이블링 모듈;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모듈; 및
    상기 전송기 장치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획득 모듈은 추가로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을 상기 수신기 장치가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획득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기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할 수 있도록,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이네이블 메시지를 상기 전송기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를 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탐색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는 상기 전송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한 장치에게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7.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 모듈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모듈;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기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공 모듈;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메시지를 접속 모듈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와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속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생성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2차원 코드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스캐닝에 의해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접속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 장치에게 상기 접속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유닛; 및
    상기 전송기 장치가 상기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2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기능들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네이블링 모듈; 및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제외한 전송 기능들의 전송 기능 상태를 초기 상태로 복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원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수신기 장치에 의해 전송된 이네이블 메시지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네이블링 모듈은 추가로,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에 따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네이블 메시지는 상기 수신기 장치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통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장치.
  22.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수신기 장치 및 전송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장치는 획득 모듈, 이네이블링 모듈, 전송 모듈, 및 접속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는 생성 모듈, 제공 모듈, 수신 모듈, 및 접속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 및 상기 전송 기능들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공 모듈은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획득 모듈에게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제공 모듈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이네이블링 모듈은 미리 획득된 전송 기능 우선순위들, 상기 전송기 장치의 상기 전송 기능들의 상태, 및 상기 수신기 장치의 전송 기능들의 상태에 따라 목표 전송 기능을 이네이블하며;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수신 모듈에게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전송된 상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전송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접속 모듈은, 상기 인증 메시지에 따라, 상기 수신기 장치에 포함된 상기 접속 모듈과 상기 목표 전송 기능의 접속을 구축하는,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57025791A 2013-06-28 2013-10-28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20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70387.8 2013-06-28
CN201310270387.8A CN103384369B (zh) 2013-06-28 2013-06-28 一种建立数据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PCT/CN2013/086080 WO2014205969A1 (zh) 2013-06-28 2013-10-28 一种建立数据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82A true KR20150120482A (ko) 2015-10-27
KR101820392B1 KR101820392B1 (ko) 2018-01-19

Family

ID=4949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791A KR101820392B1 (ko) 2013-06-28 2013-10-28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38309B1 (ko)
JP (1) JP5870232B2 (ko)
KR (1) KR101820392B1 (ko)
CN (1) CN103384369B (ko)
RU (1) RU2646354C2 (ko)
WO (1) WO20142059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99B1 (ko) * 2022-05-17 2023-03-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채널을 이용하는 에어갭 환경에서의 공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369B (zh) * 2013-06-28 2016-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数据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US9264901B2 (en) 2013-06-28 2016-02-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CN103780762A (zh) * 2014-02-12 2014-05-07 宁波萨瑞通讯有限公司 一种通过触摸屏实现短距离无线配对的移动终端
CN104135377A (zh) * 2014-07-29 2014-11-05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设备、传输设备以及信息共享系统
CN104168045B (zh) * 2014-08-29 2017-06-1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数据传输装置
CN105430602A (zh) * 2015-11-27 2016-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组网方法及系统
CN105554062A (zh) * 2015-11-30 2016-05-04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传输方法、相关设备和系统
CN108476542B (zh) * 2016-01-18 2022-01-11 佳能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和程序
JP6827773B2 (ja) 2016-01-18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507279A (zh) * 2016-10-31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无线热点连接装置和方法
CN106535095A (zh) * 2016-11-04 2017-03-22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自动连接蓝牙输入设备的方法
WO2018107593A1 (zh) * 2016-12-12 2018-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不同终端间共享文件的方法及设备
CN109168152A (zh) * 2018-08-27 2019-01-08 优视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文件传输的方法及其装置、设备/终端/服务器
WO2020062344A1 (zh) * 2018-09-30 2020-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10022551B (zh) * 2019-04-19 2021-10-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1849B2 (ja) * 2001-06-25 2011-10-2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式切替方法
FI120950B (fi) * 2004-03-26 2010-05-14 Anite Finland Oy Menetelmä, laite, tietokoneohjelmatuote ja järjestely radioverkon datayhteyksien testaamiseksi
EP1885141B1 (en) * 2006-08-02 2012-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orting radio access system selection by multi-mode mobile stations
JP2008172407A (ja) * 2007-01-10 2008-07-24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
JP5257312B2 (ja) * 2009-09-24 2013-08-0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における通信方法
CN103563346B (zh) * 2011-03-31 2017-10-24 索尼移动通信公司 用于建立通信会话的系统和方法
CN103138806A (zh) * 2011-11-25 2013-06-05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连接建立模块和终端设备
US9438575B2 (en) * 2011-12-22 2016-09-06 Paypal, Inc. Smart phone login using QR code
CN103384369B (zh) * 2013-06-28 2016-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数据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99B1 (ko) * 2022-05-17 2023-03-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채널을 이용하는 에어갭 환경에서의 공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44512A (ru) 2017-04-21
EP2838309B1 (en) 2020-09-09
JP5870232B2 (ja) 2016-02-24
JP2015525550A (ja) 2015-09-03
KR101820392B1 (ko) 2018-01-19
CN103384369B (zh) 2016-11-16
RU2646354C2 (ru) 2018-03-02
EP2838309A1 (en) 2015-02-18
WO2014205969A1 (zh) 2014-12-31
CN103384369A (zh) 2013-11-06
EP2838309A4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392B1 (ko)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066326B2 (en) Automatic user notification, with quick response (QR) code generation following failed NFC device pairing
KR101889848B1 (ko)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10674556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mobile terminal
US9729999B2 (en) Cross-layer context management
EP2391149A1 (en) Configuring wifi parameters via a USB connection
EP3490304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ccess point and hotspot, and related products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EP261587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813754B1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514692B1 (ko) 다중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7995247B (zh) 一种文件传输方法、服务器及系统
US20190155697A1 (en) Data backup method and terminal
EP3422798B1 (en)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direct communication
KR20210080897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GB252464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065445A1 (en) Method, cs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2m application request
US926490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US10080127B2 (en)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CN105873021A (zh) 一种为sim卡提供可靠时间源的方法、装置和终端
CN111263422A (zh) 一种发现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