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201A -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201A
KR20150120201A KR1020140046150A KR20140046150A KR20150120201A KR 20150120201 A KR20150120201 A KR 20150120201A KR 1020140046150 A KR1020140046150 A KR 1020140046150A KR 20140046150 A KR20140046150 A KR 20140046150A KR 20150120201 A KR20150120201 A KR 2015012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rate
terminal
call service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795B1 (ko
Inventor
정경훈
정경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795B1/ko
Priority to PCT/KR2015/003887 priority patent/WO2015160223A1/ko
Publication of KR2015012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구성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CALL SERVICE IN OVERLOADED PACKET SWITCH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가 과 부하된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세대 이동통신이라 불리어지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도입되고 있다. 음성 통화를 IP(Internet Protocol) 기반에서 제공하는 LTE 서비스인 VoLTE(Voice over LTE) 가 완전히 지원되지 않는 단계에서 음성 서비스는 대부분 CSFB(Circuit Switched FallBack)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CSFB 방식은 LTE 기반으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즉, CSFB 방식은, 데이터 통신은 LTE 망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음성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3G 모드로 전환(FallBack)하여, 기존의 서킷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VoLTE와 같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품질에 민감한 기본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무선망에서 IP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 시스템) 에서, 단말이 통화시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비트레이트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 및 타 단말로부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의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착신 단말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구성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기적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주기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신 단말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착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기적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타 단말로부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주기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및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착신 단말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는 네트워크가 과 부하된 상황에서 단말이 음성 또는 영상통화의 비트레이트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추정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추정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2세대 통신의 예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의 예시도;
도 2은 3세대 통신시스템의 예인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의 예시도;
도 3은 4세대 통신시스템의 예인 LTE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의 예시도;
도 4는 서비스별 접속 제어 동작이 적용되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서비스별 접속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통화 비트레이트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 단말의 세션 교섭 제안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션 교섭 응답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세대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전송속도는 전송 대상(음성, 문자,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을 좌우한다. 세대의 구분은 국제연합 산하의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 의해 결정된다.
ITU에 따르면, 1세대(1G)는 음성통화만 가능한 아날로그 통신 시대를 말한다. 아날로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전송에 아날로그 주파수변조(FM: Frequency Modulation)방식을,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주파수편이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였다.
2세대(2G)는 디지털 이동전화를 말하며, 음성통화 외에 문자메시지, 전자메일(e메일) 등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수준이다. 그러나 2세대 이동통신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려 정지화상의 전송은 지원하나 동화상 전송은 서비스하지 않았다.
3세대(3G)는 ITU에 의해 144kbps~2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와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규정되었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1x EV DO,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이 3세대에 속한다. 3세대에서는 문자, 음성, 동화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현재의 유선 인터넷과 비슷한 속도와 화질로 즐길 수 있다.
4세대 이동통신은 정지 상태에서 1Gbps, 60km이상 고속 이동시 100Mbps이상의 속도를 제공한다. LTE(Long Term Evolution)가 이에 속하며, ITU는 LTE-advanced와 WiMax-evolution을 4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으로 채택하였다.
본 개시는 VoLTE 시스템을 예로 들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비트레이트를 조절할 수 있는 여타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별다른 가감 없이 적용 가능하다.
2, 3세대 회선 교환식(circuit switched; CS) 이동통신망에서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관할하는 여러 셀(cell)의 기지국에 연결된 모든 단말의 음성 비트레이트(bit rate)를 일괄적으로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통화품질 및 망 용량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퇴근 시간처럼 음성 통화를 희망하는 단말의 수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단말의 음성 비트레이트를 낮추어 다소 낮은 품질에 더 많은 단말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통화가 진행중인 단말의 음성 비트레이트는 유지하고 새로 수용하는 통화의 음성 비트레이트를 낮추어 더 많은 통화를 허용하는 등의 융통성 있는 망 운용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단말이 셀(cell)간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신호 품질이 불량할 경우,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단말의 음성 비트레이트를 낮추어 단말의 한정된 RF(radio frequency) 출력에서 각 비트레이트의 신호 대 잡음 비율(signal to noise ratio; SNR)을 증가시켜 전체적으로 통화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2, 3 세대 통신 시스템과 같은 회선 교환식 이동통신망에서는 발신 단말(originating terminal) 측의 무선 구간과 착신 단말(terminating terminal) 측의 무선 구간 양쪽에서 통화 음성의 압축과 복원이 수행되는 고유한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이 음성의 압축과 복원이 1 개의 무선 구간 양쪽에서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에 의한 중앙집중적 비트레이트의 관리는 통화 요구의 급격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2세대 통신의 예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100),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102),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04),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MS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06) 및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108)이 포함될 수 있다.
MS(100)은 기지국(102), 기지국 제어기(104), 및 이동 전화 교환국(106)을 통해 공중 교환 전화망(PSTN)(108)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108)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S(100)는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기지국(102)로 전달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는 기지국(102)에서 복호화된 후,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108)으로 전달될 수 있다(110). 또한, 상기 MS(100)는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108)로부터 전달되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02)를 통해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음성 신호로 복원할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 제어기(104)는 망 용량을 고려하여 MS(100)의 통화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115). 예를 들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GSM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104)는 상기 MS(100)에게 FR(full rate) 채널을 할당하거나 HR(half rate)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통화품질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FR 채널은 22.8k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채널이고, 상기 HR은 11.4 K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채널이다.
또한, AMR(adaptive multi-rate) 음성 코덱(codec)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102)은 각 MS(100)에 할당된 채널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음성의 비트레이트를 채널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는 동작 즉, 코덱 모드 제어(CMC: codec mode control) 또는 코덱 모드 요청(CMR; codec mode request) 등을 교환할 수도 있다(120).
다른 일 예로서, CDMA2000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비트레이트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 다중접속)기반의 CDMA2000 시스템에서는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와 같은 음성 코덱이 사용되는데, 기지국 제어기(104)는 산하 기지국(102)에 연결된 각 MS(100)의 음성 평균 비트레이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향 평균 비트레이트를 지시하는 파라미터인 'RATE_REDUC'를 MS(100)에게 전송함으로써 통화 품질과 망 용량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은 3세대 통신시스템의 예인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단말(UE: user equipment)(200), 기지국(NodeB)(202), 무선 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204),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UE(200)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206) 및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208)이 포함될 수 있다.
UE(200)은 기지국(202), 무선 망 제어기(204), 및 이동 전화 교환국(206)을 통해 공중 교환 전화망(PSTN)(208)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208)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E(200)는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206)로 전달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는 이동 전화 교환국(206)에서 복호화된 후,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208)로 전달될 수 있다(210). 또한, 상기 UE(200)는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208)로부터 전달되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 (206)을 통해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음성 신호로 복원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망 제어기(204)는 망 용량을 고려하여 UE(200)의 통화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전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220). 예를 들어, CDMA 기술 기반의 WCDMA 시스템에서 AMR, AMR-WB(wideband) 등의 음성 코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무선 망 제어기(204)는 산하 기지국(202)에 연결된 각각의 UE(200)의 최대 비트레이트를 조절하여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직접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망 제어기(204)는 각각의 UE(200)에게 할당된 채널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음성의 비트레이트를 채널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는 동작 즉, 코덱 모드 제어(CMC: codec mode control)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4세대 통신시스템의 예인 LTE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품질과 망 용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단말(UE: user equipment)(300), 기지국(eNodeB)(302), S-GW(serving gateway)(304),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306) 및 IMS 망(IP multimedia subsystem; IMS)(308)이 포함될 수 있다.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에서는, 특정 코덱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압축이 발신 단말(300)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된 음성 신호가 IMS 망(308)을 통해 착신 단말까지 전달된 후, 상기 착신 단말에서 상기 압축된 음성 신호의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310). 즉, 상기 압축된 음성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측 무선 구간과 상기 착신 단말측 무선 구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특정 무선 구간의 채널 상황만을 고려하여 음성 비트레이트를 조절할 수는 없게 된다. 따라서, 패킷 교환식(packet switched; PS)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eNodeB)이 각 단말(UE)의 음성 비트레이트를 직접 조절할 수 없다. 그러나 단말 간에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payload header의 CMR(codec mode request)명령이나 RTCP-AP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application defined) 메시지를 사용해서 음성 비트레이트의 조절을 직접 요청할 수 있다.(310).
한편, 기지국(302)은 스케쥴링, ECN 기능 또는 SIB2 전송 절차를 통해 조속히 전송되어야 할 패킷(예를 들어, 음성 패킷)에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식으로 통화품질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320).
구체적으로, 기지국(302)은 명시적 혼잡 통지(ECN: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기능을 통해 UE(300)에게 망의 과부하 혹은 상기 UE(300)과의 연결상태가 악화되는 상황을 사전에 경고할 수 있다. ECN은 기지국(302)이 UE(300)에게 과부하를 신호하는 기능이며 예를 들어, 기지국(302)이 UE(300)에게 전송하는 IP 패킷 헤더의 2 비트 영역 내 마킹(즉, ECN-CE)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300)은 ECN-CE(congestion experienced) 표시가 된 음성 패킷을 수신하면 음성 비트레이트를 낮추는 등의 통화품질 저하를 회피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02)은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타입(type) 2를 통하여, 통화요청이 급증하는 과부하 상황에서 단말(300)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의 신청을 확률적으로 허용하거나 연기하는 제어 즉, 서비스 별 접속 제어(SSAC; service specific access control)를 할 수 있다.
도 4는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에서의 서비스별 접속 제어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LTE와 같은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에는 IMS(44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400, 420)과 상기 기지국(400)에 의해 서비스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410, 41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다수의 기지국 내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기지국인 DU(digital unit)(420) 및 상기 DU(420)의 커버리지를 확장시켜주는 소형 기지국 RRH(remote radio head)(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킷 교환식 이동 통신망에는 단말과 IMS 망(440)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S-GW, P-GW(4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40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의 SIB 메시지들을 통해, 단말(410, 415)이 상기 기지국(400)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SIB는 Type 2부터 16까지 정의될 수 있으며, 각 SIB Type은 적절한 주기와 전송 방법을 통해 셀 내부의 모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단말의 음성, 영상통화 요청을 확률적으로 수용하는 기능인 SSAC는 SIB Type2(즉, SIB2)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SIB2를 수신함으로써 다음 절차와 같이 음성 또는 영상통화 요청을 지정된 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연기할 수 있다.
표 1은 단말(410)이 기지국(400)으로부터 수신하는 SIB2 메시지 구조의 일 예이다.
SystemInformationBlockType2 ::= SEQUENCE {
ac-BarringInfo SEQUENCE {
ac-BarringForEmergency BOOLEAN,
ac-BarringForMO-Signaling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ac-BarringForMO-Data AC-BarringConfig OPTIONAL -- Need OP
} OPTIONAL, --Need OP
radioResourceConfingCommon RadioResourceConfigCommonSIB,
ue-TimersAndConstants UE-TimerAndConstants,
freqInfo SEQUENCE {
ul-CarrierFreq ARFCN-ValueEUTRA OPTIONAL, --Need OP
ul-Bandwidth ENUMERATED {n6, n15n n25. n50, n75, n100} OPTIONAL, --Need OP
additionalSpectrumEmission AdditionalSpectrumEmission
},
mbsfn-SubframeConfigList MBSFN-SubframeConfigList OPTIONAL, --Need OP
timeAlignmentTimerCommon TimeAlignmentTimer,
...,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CONTAINING SystemInformationBlockType2-v8h0-lEs)
[[ ssac-BarringForMMTEL-Voice-r9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ssac-BarringForMMTEL-Video-r9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
[[ac-BarringForCSFB-r10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
}
...
AC-BarringConfig ::= SEQUENCE {
ac-BarringFactor ENUMERATED {
p00, p05, p10, p15, p20, p25, p30, p40,
p50, p60, p70, p75, p80, p85, p90, p95},
ac-BarringTimeENUMERATED {s4, s8, s16, s32, s64, s128, s256, s512},
ac-BarringForSpecialAC BIT STRING (SIZE(5))
}
...
예를 들면, 단말 A(410)가 현재 음성통화를 기지국 A(400)를 통해 진행하고 있으며, 단말 B(415)는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SIB2는 단말이 셀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특히, 영상통화를 위한 제한 정보인 ssac-BarringForMMTEL-Video-Voice-r9, 음성 통화를 위한 제한 정보인 ssac-BarringForMMTEL-Voice-Voice-r9, 접속 제한 요소인 ac-BarringFactor, 및 접속 제한 시간인 ac-BarringTime (단위: 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c-BarringFactor의 값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는 작은 값이 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p00=0, p05=0.05, p10=0.1, .... p95=0.95 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SSAC 에 따른 접속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IB 메시지(예를 들어, SIB2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절차와 같이 SSAC가 진행될 수 있다.
50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랜덤 숫자(rand1)를 생성한다. (0≤rand1<1)
50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IB2에 포함된 정보 중 ac-BarringFactor와 상기 생성한 랜덤 숫자(rand1)를 비교한다.
상기 단말이 생성한 랜덤 숫자(rand1)가 상기 ac-BarringFactor 보다 작다면, 51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즉시 타 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생성한 랜덤 숫자(rand1)가 상기 ac-BarringFactor 보다 크거나 같다면, 5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또 다른 랜덤 숫자(rand2)를 생성한다. (0≤rand2<1)
52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IB2에 포함된 정보 중 ac-BarringTime 를 이용하여 ((0.7+0.6*rand2)*ac-BarringTime)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만큼의 시간 동안 통화 연결을 연기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다시 500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표 2와 표 3은 4세대 통신 시스템인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의 발신 단말이 보내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들을 예시한다.
1 st SDP offer
m=video 49154 RTP/AVP 99
b=AS:500
b=RS:0
b=RR:2500
a=rtpmap:99 H264/90000
a=fmtp:99 packetization-mode=0; profile-level-id=42e00c; \
sprop-parameter-sets=J0LgDJWgUH6Af1A=,KM46gA==
표 2를 참조하면, 단말 A(발신 단말)가 단말 B(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인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Offer 메시지에는 단말 A가 H.264 비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최대 500kbps의 비트레이트를 영상과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IP(internet protocol) 헤더를 포함한 패킷 스트림(packet stream)에 사용하고 2500bps를 RTCP receive report(RR)에 사용하고 싶다는 제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처리 능력은 profile-level-id값이 지정하는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42e00c'은 level 1.2를 의미한다.
1 st SDP offer
m=audio 49152 RTP/AVP 97 98
b=AS: 41
b=RS:0
b=RR:0
a=tcap:1 RTP/AVPF
a=pcfg:1 t=1
a=rtpmap:97 AMR-WB/16000/1
a=fmtp:97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a=rtpmap:98 AMR/8000/1
a=fmtp:98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a=ptime:20
a=maxptime:240
표 3을 참조하면, 단말 A가 단말 B로 전송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인SDP Offer 메시지는, 단말 A가 AMR-WB 및 AMR의 두 음성 코덱을 지원하며 AMR보다는 (SDP Offer 메시지에서 상대적으로 앞에 기재된) AMR-WB로 통화하기를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AMR-WB는 6.6 ~ 23.85kbps 사이에 총 9가지 압축 방식을 지원하며 AMR(또는 AMR-NB(narrow band)로 지칭됨)은 4.75 ~ 12.2kbps 사이에 총 8가지 압축 방식을 지원한다. b=AS는 압축된 음성 1프레임에 RTP, UDP, IP헤더를 더한 값을 정수화한 수치로 통화에 필요한 최대 비트레이트를 의미하는데 b=AS:41은 AMR-WB 23.85kbps의 b=AS값이며, AMR 12.2kbps의 b=AS 값은 30이다.
이와 같이,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의 비트레이트가 수십~수백kbps의 다양한 비트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SSAC 방식은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의 허용 비트레이트가 각각 12.2kbs 및 64kbps 로 고정되어 비트레이트의 조절이 불필요했던 3세대 이동통신에는 적합하다. 그러나, 4세대 이상의 이동통신에서는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의 비트레이트가 수십~수백kbps의 다양한 비트레이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통화품질 및 망 용량의 제어를 위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을 연기(520단계)하는 방식으로 접속을 제어하기보다는 통화의 비트레이트를 낮추어 통화를 시도하는 것이 보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화의 비트레이트의 조절을 가능케 하는 융통성 있는 접속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표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B2 메시지의 구조를 예시한다.
SystemInformationBlockType2 ::= SEQUENCE {
ac-BarringInfo SEQUENCE {
ac-BarringForEmergency BOOLEAN,
ac-BarringForMO-Signaling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ac-BarringForMO-Data AC-BarringConfig OPTIONAL -- Need OP
} OPTIONAL, --Need OP
radioResourceConfingCommon RadioResourceConfigCommonSIB,
ue-TimersAndConstants UE-TimerAndConstants,
freqInfo SEQUENCE {
ul-CarrierFreq ARFCN-ValueEUTRA OPTIONAL, --Need OP
ul-Bandwidth ENUMERATED {n6, n15n n25. n50, n75, n100} OPTIONAL, --Need OP
additionalSpectrumEmission AdditionalSpectrumEmission
},
mbsfn-SubframeConfigList MBSFN-SubframeConfigList OPTIONAL, --Need OP
timeAlignmentTimerCommon TimeAlignmentTimer,
...,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CONTAINING SystemInformationBlockType2-v8h0-lEs)
[[ssac-BarringForMMTEL-Voice-r9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ssac-BarringForMMTEL-Video-r9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ac-BarringForCSFB-r10 AC-BarringConfig OPTIONAL, --Need OP ]],
[[ ssac-MaxVoiceBitRate SSAC-MaxVoiceBitRate OPTIONAL,
ssac-MaxVideoBitRate SSAC-MaxVideoBitRate OPTIONAL,
ssac-BarringTime SSAC-BarringTime OPTIONAL
]]
}
...
AC-BarringConfig ::= SEQUENCE {
ac-BarringFactor ENUMERATED {
p00, p05, p10, p15, p20, p25, p30, p40,
p50, p60, p70, p75, p80, p85, p90, p95},
ac-BarringTimeENUMERATED {s4, s8, s16, s32, s64, s128, s256, s512},
ac-BarringForSpecialAC BIT STRING (SIZE(5))
}
SSAC-MaxVoiceBitRate ::= INTEGER
SSAC-MaxVideoBitRate ::= INTEGER
SSAC-BarringTime ::= INTEGER
...
표 4는 표 1과 비교할 때, ssac-MaxVoiceBitRate, ssac-MaxVideoBitRate 및 ssac-BarringTime 정보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4를 참조하면, SIB Type 2 메시지는 특히 ssac-MaxVoiceBitRate, ssac-MaxVideoBitRate, ssac-BarringTime의 세 필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필드들의 타입은 정수(integer)이며 단위는 kbps이다.
단말은 ssac-MaxVoiceBitRate 또는 ssac-MaxVideoBitRate가 수신될 경우에,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 서비스에 사용될 영상 코덱 및 음성 코덱의 비트레이트가 각각 ssac-MaxVoiceBitRate 및 ssac-MaxVideoBitRate (kbps) 이하인 경우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한편,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말은 영상코덱 및 음성코덱의 비트레이트를 각각 ssac-MaxVoiceBitRate 및 ssac-MaxVideoBitRate (kbps) 이하로 낮추어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비트레이트가 초과한 통화의 연결 시도를 ssac-BarringTime (초)만큼 제한할 수 있다(연기시킬 수 있다).
상기 통화 연결이 제한되는 시간은 ssac-BarringTime 과 상기 단말이 임의로 생성한 수치와 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ssac-BarringForMMTEL-Voice-r9 또는 ssac-BarringForMMTEL-Video-r9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동시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의 종류 혹은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수준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필요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접속을 제한하는 기존 기술인 SSAC를 따르거나 무시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네트워크의 과부하 상태에서도 일부 단말에게는 정상적인 품질의 서비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의 통화 비트레이트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A(410)과 사용자 단말 B(415)는 기지국(400)으로부터 SIB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 A(410)과 상기 사용자 단말(415)의 서빙 기지국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SIB2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기지국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기지국을 하나의 기지국(400)으로 표시하였다.
통화를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 A(410)(즉, 발신 단말)은 기지국(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 B(415)(즉, 착신 단말)에게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인 SDP Offe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610, 615).
상기 SDP Offe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 B(415)는 상기 상기 기지국(40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A(410)에게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 SDP Answe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620, 625). 이와 같이, SDP offer 메시지와 SDP answer 메시지를 주고 받음으로써 상기 단말들(410, 415) 사이에 통화 세션이 수립되고 통화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 단말의 세션 교섭 제안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700단계에서, 발신 단말은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SIB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IB2 메시지는 상기 표 4에서 설명한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IB2 메시지는 허용 최대 음성 비트레이트인 ssac-MaxVoiceBitRate, 허용 최대 영상 비트레이트인 ssac-MaxVideoBitRate, 및 제한 시간인 ssac-BarringTime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705단계에서,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가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가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보다 크면, 710단계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의 코덱을 포함하는 SDP offer 메시지를 상대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가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면, 7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 이하의 비트레이트를 제안하는 SDP offer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거나, 일정 제한시간 동안 SDP offer 메시지 전송을 연기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한시간은 상기 ssac-BarringTime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ssac-BarringTime과 상기 단말이 임의로 생성한 수치와 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세션 교섭 응답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800단계에서, 착신 단말은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SIB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SIB2 메시지는 상기 표 4에서 설명한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IB2 메시지는 허용 최대 음성 비트레이트인 ssac-MaxVoiceBitRate, 허용 최대 영상 비트레이트인 ssac-MaxVideoBitRate, 및 제한 시간인 ssac-BarringTime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805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발신 단말로부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인 SDP offer 메시지를 수신한다.
810단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와 상기 SDP offer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의 비트레이트를 비교한다.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가 상기 SDP offer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의 비트레이트보다 크다면, 815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SDP offer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을 포함하는 SDP answer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가 상기 SDP offer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의 비트레이트보다 크지 않다면, 820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 이하의 코덱을 포함하는 SDP answer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에게 전송하거나, 일정 제한 시간동안 SDP answer 메시지의 전송을 연기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한시간은 상기 ssac-BarringTime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ssac-BarringTime과 상기 단말이 임의로 생성한 수치와 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를 위한 SDP Offer 메시지의 예시이다.
Default SDP offer
m=audio 49152 RTP/AVP 97 98
b=AS: 41
b=RS:0
b=RR:0
a=rtpmap:97 AMR-WB/16000/1
a=fmtp:97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a=rtpmap:98 AMR/8000/1
a=fmtp:98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a=ptime:20
a=maxptime:240
표 5는 SIB2 메시지를 통해 ssac-MaxVoiceBitRate가 수신되지 않는 네트워크 저부하 상황에서의 SDP Offer 메시지를 예시한다. 단말은 표 5의 SDP offer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nvite 메시지를 패킷 교환식 이통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트레이트 (b=AS)는 AMR-WB이 사용가능한 최대 비트레이트 41kbps로 설정된다(IPv4의 경우).
표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를 위한 SDP Offer 메시지의 다른 예시이다.
Modified SDP offer (ssac-MaxVoiceBitRate=30)
m=audio 49152 RTP/AVP 98
b=AS: 30
b=RS:0
b=RR:0
a=rtpmap:98 AMR/8000/1
a=fmtp:98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a=ptime:20
a=maxptime:240
octet-align=1
표 6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IB2 메시지에 ssac-MaxVoiceBitRate가 포함되고 그 값이 30 일 경우를 예시한다.
발신 단말에서 발송하는 SDP Offer는 음성 코덱의 모든 비트레이트를 지원해야 하는데, AMR-WB이 사용가능한 최대 비트레이트 41kbps 를 지원할 수 없으므로, 상기 발신 단말은 AMR-WB를 제안하지 못하며 b=AS는 AMR 코덱의 최대값인 30kbps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신 단말은 AMR-WB를 SDP offer에서 제외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발신 단말이 수신한 ssac-MaxVoiceBitRate 값이 AMR 또는 AMR-WB의 최소 비트레이트 값보다 작은 경우에 통화 연결 시도는 ssac-BarringTime (초)동안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상기 발신 단말은 SDP offer를 포함하는 SIP Invite 메시지를 발송할 수 없다.
표 7, 표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를 위한 SDP Answer 메시지의 예시들이다.
SDP answer 1 (ssac-MaxVoiceBitRate=30)
m=audio 49152 RTP/AVP 98
b=AS: 30
b=RS:0
b=RR:0
a=rtpmap:98 AMR/8000/1
a=fmtp:98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octet-align=1
a=ptime:20
a=maxptime:240
SDP answer 2 (ssac-MaxVoiceBitRate=30)
m=audio 49152 RTP/AVP 97
b=AS: 30
b=RS:0
b=RR:0
a=rtpmap:97 AMR-WB/16000/1
a=fmtp:97 mode-change-capability=2; max-red=220; octet-align=1; mode-set=0,1,2
a=ptime:20
a=maxptime:240octet-align=1
표 7, 표 8에서는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로부터 표 5의 SDP offer 메시지를 받은 경우를 가정한다. 즉, 발신 단말은 AMR-WB, AMR 코덱을 모두 지원하며 비트레이트 (b=AS)는 AMR-WB가 사용가능한 비트레이트의 최대값인 41kbps을 설정하여 SDP offer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상기 발신 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의 용량에는 문제가 없으나 상기 착신 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의 과부하로 인해 ssac-MaxVoiceBitRate=30으로 설정된 SIB 2를 방송하고 있다.
상기 착신 단말은 AMR-WB, AMR을 모두 지원할 능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표 7에서와 같이 SIB2에서 제한한 비트레이트 30 이하인 AMR로 통화요청을 수용할 수 있고, 표 8에서와 같이 AMR-WB의 최대 비트레이트를 12.65kbps로 제한하여 "mode-set=0, 1, 2"만을 수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된 ssac-MaxVoiceBitRate값이 AMR 또는 AMR-WB의 최소 비트레이트 값보다 작은 경우에 통화 연결 시도는 ssac-BarringTime (초)동안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연결 시도가 허용되지 않는 시간은 상기 ssac-BarringTime와 상기 착신 단말이 임의로 생성한 수치로 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위한 SDP Offer 메시지의 예시이다.
1 st SDP offer
m=video 49154 RTP/AVP 99
b=AS:500
b=RS:0
b=RR:2500
a=rtpmap:99 H264/90000
a=fmtp:99 packetization-mode=0; profile-level-id=42e00c; \
sprop-parameter-sets=J0LgDJWgUH6Af1A=,KM46gA==
표 9는 SIB2 메시지를 통해 ssac-MaxVideoBitRate가 수신되지 않는 네트워크 저부하 상황에서의 SDP Offer 메시지를 예시한다. 발신 단말은 표 9의 SDP offer 메시지를 포함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nvite 메시지를 패킷 교환식 이통통신 시스템을 경유하여 상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영상 비트레이트가 수신된 ssac-MaxVideoBitRate이하인 경우에도 해당 영상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SDP offer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표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위한 SDP Offer 메시지의 다른 예시이다.
1 st SDP offer (ssac-MaxVideoBitRate=400)
m=video 49154 RTP/AVP 99
b=AS:400
b=RS:0
b=RR:2500
a=rtpmap:99 H264/90000
a=fmtp:99 packetization-mode=0; profile-level-id=42e00c; \
sprop-parameter-sets=J0LgDJWgUH6Af1A=,KM46gA==
표 10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IB2 메시지에 ssac-MaxVideoBitRate가포함되고 그 값이 400 일 경우를 예시한다.
수신된 ssac-MaxVideoBitRate가 400인 상황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비트레이트 (b=AS)값이 500kbps이라면 통화 요청이 기각될 수도 있고, 상기 비트레이트 (b=AS)를 400kbps 이하로 낮추어서 SDP offer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동작 중에서 어떤 동작이 수행될 지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ssac-MaxVideoBitRate 정보가 수신되었는데 상기 수신된 ssac-MaxVideoBitRate 값이 0인 경우 통화는 ssac-BarringTime초 동안 허용되지 않으며 이 기간 동안 SIP Invite 메시지를 발송할 수 없다. 상기 메시지 발송이 허용되지 않는 시간은 상기 ssac-BarringTime와 상기 발신 단말이 임의로 생성한 수치로 결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표 11, 표 12는 각각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를 위한 SDP offer 메시지와 SDP Answer 메시지의 예시이다.
수신된 SDP offer
m=video 49154 RTP/AVP 99
b=AS:300
b=RS:0
b=RR:2500
a=rtpmap:99 H264/90000
a=fmtp:99 packetization-mode=0; profile-level-id=42e00c; \
sprop-parameter-sets=J0LgDJWgUH6Af1A=,KM46gA==
SDP answer (ssac-MaxVideoBitRate=400)
m=video 49154 RTP/AVP 99
b=AS:240
b=RS:0
b=RR:2500
a=rtpmap:99 H264/90000
a=fmtp:99 packetization-mode=0; profile-level-id=42e00c; \
sprop-parameter-sets=J0LgDJWgUH6Af1A=,KM46gA==
표 11에서 발신 단말은 영상 서비스 비트레이트 b=AS를 300kbps로 설정하였으며, 표 12에서 착신 단말의 영상 서비스 비트레이트 값도 240kbps로 설정되어 있다. SDP에 포함된 영상 비트레이트가 SIB2메시지에 포함된 ssac-MaxVideoBitRate 값 400 이하이므로 즉시 통화 연결 시도가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신 단말에서 ssac-MaxVideoBitRate 값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ssac-MaxVideoBitRate 값이 0인 경우 SDP Answer 메시지 전송을 통한 통화 연결 시도는 ssac-BarringTime(초) 동안 허용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기지국 장치(900)는 단말과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902)와 상기 송수신부(902)를 제어하는 제어부(9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4)는 본 개시에서 상술한 기지국의 비트레이트 제어 관련 모든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904)는 상기 기지국 장치(900)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 및 연결 시도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SIB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수신부(902)와 상기 제어부(904)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송수신부(902)와 상기 제어부(904)는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단말 장치(1000)는 기지국 및 타 단말 장치와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02)와 상기 송수신부(1002)를 제어하는 제어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4)는 본 개시에서 상술한 단말의 비트레이트 제어 관련 모든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4)는 상기 단말 장치(1000)가 SIB2 메시지에 포함된 허용 최대 비트레이트 및 연결 시도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 단말에게 SDP offer 메시지 또는 SDP answer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수신부(1002)와 상기 제어부(1004)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송수신부(1002)와 상기 제어부(1004)는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10이 예시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비트레이트 제어 방법의 예시도, 장치의 구성도 등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 기재된 모든 구성부, 또는 동작의 단계가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기능(Function),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동작;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구성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에서 전송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타입 2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음성 통화 서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한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 동안 통화 연결을 연기해야 함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6.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발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기적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주기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발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SIB 타입2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음성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의 값보다 클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사용할 비트레이트를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상기 단말이 사용할 비트레이트의 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 이하의 비트레이트를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와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0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 동안 연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발신 단말.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와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0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한 시간 동안 연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발신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을 지원하는 코덱 및 상기 코덱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구성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15. 패킷 교환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서비스를 위한 비트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착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기적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타 단말로부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주기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및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에 근거하여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비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착신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SIB 타입2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는, 영상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및 음성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이 요구하는 비트레이트보다 클 경우, 상기 코덱이 요구하는 비트레이트를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상기 세션 교섭 제안 메시지에 포함된 코덱이 요구하는 비트레이트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 이하의 비트레이트를 상기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비트레이트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와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0일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 동안 연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통화 서비스에 적용할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와 상기 단말의 연결 제한 시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0일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연결 제한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시간 동안 연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상기 타 단말에게 송신하는 동작 이전에,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최대 비트레이트에 의해 지시되는 값을 지원하는 코덱 또는 상기 지원하는 코덱의 전송 모드를 포함하는 세션 교섭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단말.



KR1020140046150A 2014-04-17 2014-04-17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50A KR102208795B1 (ko) 2014-04-17 2014-04-17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5/003887 WO2015160223A1 (ko) 2014-04-17 2015-04-17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50A KR102208795B1 (ko) 2014-04-17 2014-04-17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01A true KR20150120201A (ko) 2015-10-27
KR102208795B1 KR102208795B1 (ko) 2021-01-28

Family

ID=5432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150A KR102208795B1 (ko) 2014-04-17 2014-04-17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8795B1 (ko)
WO (1) WO20151602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4386A1 (en) * 2016-09-30 2018-04-05 Kyocera Corporation Ran-assisted rate adaptation under mobility
WO2020051579A1 (en) * 2018-09-07 2020-03-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ran-assisted codec adaptation capabilities in ims multimedia telephony sess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7359A1 (en) * 2016-08-11 2022-06-01 Kyocera Corporation Ran-assisted rate adaptation
WO2024036531A1 (en) * 2022-08-17 2024-02-22 Nokia Shanghai Bell Co., Ltd. Codec bitrate adap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981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システム
US20040102194A1 (en) * 2001-05-25 2004-05-27 Siamak Naghian Handover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21971A (ko) * 2011-04-28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8708A (ko) * 2012-08-30 2014-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부하 기반의 음성품질 제어장치, 이동 단말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2903A (fi) * 2000-12-29 2002-06-30 Nokia Corp Bittinopeuden määrittäminen
KR100501273B1 (ko) * 2003-02-26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영상 모드 선택에 따른 화질개선방법
CN104488246B (zh) * 2012-07-10 2018-11-02 Vid拓展公司 质量驱动串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981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システム
US20040102194A1 (en) * 2001-05-25 2004-05-27 Siamak Naghian Handover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21971A (ko) * 2011-04-28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8708A (ko) * 2012-08-30 2014-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과부하 기반의 음성품질 제어장치, 이동 단말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4386A1 (en) * 2016-09-30 2018-04-05 Kyocera Corporation Ran-assisted rate adaptation under mobility
WO2020051579A1 (en) * 2018-09-07 2020-03-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ran-assisted codec adaptation capabilities in ims multimedia telephony sessions
US11611909B2 (en) 2018-09-07 2023-03-2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ran-assisted codec adaptation capabilities in IMS multimedia telephony se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223A1 (ko) 2015-10-22
KR102208795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42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167523B1 (ko) 무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멀티-레이트 코덱 비트 레이트 제어
US8964575B2 (en) Video-communication in mobile networks
KR101050621B1 (ko) 다중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의 무선 핸드오프
KR10118187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에 있어서 호를 다루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EP2730125B1 (en) Utran to lte (rsrvcc) handover
US11799922B2 (en) Network core facilitating terminal interoperation
US2022032963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nd codec mode switching method
US87808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handover of a communications service
JP2004153620A (ja)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データ配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344933B1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system and method to disable voice over LTE (VoLTE) service of a long term evolution (LTE) base station
KR102093485B1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억세스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3834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 of a text component of a call
US20160100329A1 (en) Techniques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streaming of media content from a wireless device
KR102208795B1 (ko) 패킷 교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 부하 상황에서 통화 서비스를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804049B (zh) 一种异系统切换方法及装置
US20180279321A1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voice signal communication method
US8830853B2 (en) Signal processing
US20190141598A1 (en) Increasing network coverage using rate adaptation
EP3440871B1 (en) Codec-specific radio link adaptation
US202302626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64336B1 (en) Controlling timing of dedicated-bearer setup based on base station load
US9380497B1 (en) Controlled transition between operating modes for call initiation
KR20200034689A (ko)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억세스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