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045A -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045A
KR20150120045A KR1020140045638A KR20140045638A KR20150120045A KR 20150120045 A KR20150120045 A KR 20150120045A KR 1020140045638 A KR1020140045638 A KR 1020140045638A KR 20140045638 A KR20140045638 A KR 20140045638A KR 20150120045 A KR20150120045 A KR 2015012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lock
current collecting
collecting panel
end plate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455B1 (ko
Inventor
허용석
서정도
김덕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455B1/ko
Priority to US14/488,716 priority patent/US10033061B2/en
Publication of KR201501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몸체를 형성하며, 연료전지 셀을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메인 블록; 상기 메인 블록보다 높은 환원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인 블록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서브 플레이트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END PLATE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이 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다른 환원성을 가지는 금속체를 구비하여 중량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지지체의 산화를 방지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은 다수개의 연료전지 셀이 적층되고, 적층된 연료전지 셀의 양 끝단에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연료전지 셀을 가압하며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연료전지 스택의 각 연료전지 셀이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면압을 유지하며 마찰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바,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는 지속적으로 연료전지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종래의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틸(Steel) 블록을 깎아서 엔드 플레이트를 완성하는 모노코크 방식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스틸 패널을 리벳팅 또는 필름접착시켜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샌드위치 방식으로 생산되어 왔으나, 상기 모노코크 방식은 제작 단가가 비싸고 제작 시간이 길어 양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상기 샌드위치 방식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접합 품질에 따라서 균일하지 못한 강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방식들은 모든 소재를 스틸로 구성함으로써 중량이 무겁고 부식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던 것이다.
종래의 KR10-2009-0126979 A "연료전지의 엔드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유리섬유와, 판상의 나노 클레이(nano clay) 입자가 첨가되어 상기 유리섬유에 함침(含浸)되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엔드플레이트"를 제시하여 강도와 기계적, 열적 물성이 강화된 엔드플레이트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126979 A (2009.12.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환원성을 가진 소재를 적층시켜 엔드 플레이트의 부식을 방지한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는 몸체를 형성하며, 연료전지 셀을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메인 블록; 상기 메인 블록보다 높은 환원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인 블록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서브 플레이트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측면이 상기 절연부와 밀착되고 타측면이 연료전지 셀과 접촉하는 집전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 중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내주면이 집전패널 둘레의 외주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절연부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 중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이 삽입되도록 상기 집전패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 중 상기 집전패널과 상기 메인 블록 사이 부분의 두께는 상기 집전패널과 상기 메인 블록 사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집전패널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블록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전패널의 일측면에는 집전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블록과 절연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PPA 수지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에 따르면, 메인 블록의 부식을 방지하여 메인 블록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부식에 따른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의 커버링을 통해 메인 블록과 서브 플레이트 사이의 접합과정 없이도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상기 절연부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여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조립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조립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는 몸체를 형성하며 연료전지 셀(500)을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메인 블록(100); 상기 메인 블록(100)보다 높은 환원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인 블록(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서브 플레이트(200); 및 상기 메인 블록(100)과 서브 플레이트(200)를 감싸는 절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가 상기 메인 블록(100)보다 환원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메인 블록(100) 대신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가 갈비니 부식으로 대신 산화되며, 이로써 상기 메인 블록(100)의 부식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원성의 정도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비교될 수 있으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산화환원전위 값을 통해서도 비교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 블록(100)을 구성하는 소재보다 환원전위 값이 낮은 소재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메인 블록(100)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가 상기 메인 블록(100)과 함께 연료전지 셀(5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의 스틸만으로 이루어진 엔드플레이트와 비교할 때, 전체강성은 유지 또는 증가되지만 무게는 감소 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블록(1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측면이 상기 절연부(400)와 밀착되고 타측면이 연료전지 셀(500)과 접촉하는 집전패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패널(300)은 연료전지 셀(500)에서 생성된 전류를 외부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절연부(400)에 의해 차체와는 절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절연부(400) 중 상기 집전패널(300)에 대응되는 위치, 구체적으로 상기 집전패널(300)이 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300)이 삽입되도록 삽입홈(3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홈(320)은 상기 집전패널(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집전패널(300)이 상기 절연부(400)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하중이 상기 집전패널(300)에 집중되거나 상기 집전패널(300)이 상기 절연부(400)의 내측으로 함입되어 연료전지 셀(500)과 접촉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 중 상기 집전패널(3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300)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2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연부(400)는 상기 메인 블록(100)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400)는 상기 메인 블록(100)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가 서로 밀착하여 일체의 모듈이 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메인 블록(100)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0)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나머지 부분보다 더 두꺼워지게 되므로 상기 삽입홈(320)의 형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320)에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400) 중 상기 집전패널(300)과 상기 메인 블록(100) 사이 부분의 두께가 상기 집전패널(300)과 상기 메인 블록(100) 사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두께로 사출될 시 사출시 불량 발생률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물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두께의 차이는 발생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210)은 내주면이 집전패널(300) 둘레의 외주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상기 절연부(400)가 사출될 시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절연부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또한 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두께의 차이는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의 두께는 상기 집전패널(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절연부(400)에서 상기 삽입홈(320)에 의해 함입되는 깊이와 상기 관통홀(210)에 의해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절연부(400)의 두께가 일정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블록(100)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는 서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부(400)에 의해 감싸짐으로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400)의 두께가 특정부분에서 얇아짐 없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합수단 없이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접합을 위한 공정이 필요없어지므로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생산성 향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전패널(300)의 일측면에는 집전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310)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블록(100)과 절연부(400)에는 상기 돌기(31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0,4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상기 절연부(400)는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PPA) 수지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는 전기 절연성이 높고 흡습성이 낮으며 고온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 흡수 및 연료전지 셀(500)의 발열에 의한 상기 메인 블록(100) 및 서브 플레이트(20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에 따르면, 메인 블록(100)의 부식을 방지하여 메인 블록(100)의 수명을 증대시키고 부식에 따른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400)의 커버링을 통해 메인 블록(100)과 서브 플레이트(200) 사이의 접합과정 없이도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에 의해 상기 절연부(400)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여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메인 블록 200 : 서브 플레이트
210 : 관통홀 300 : 집전패널
310 : 돌기 320 : 삽입홈
400 : 절연부 500 : 연료전지 셀
110,410 : 삽입홀

Claims (12)

  1. 몸체를 형성하며, 연료전지 셀을 소정의 압력으로 지지하는 메인 블록;
    상기 메인 블록보다 높은 환원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인 블록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서브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블록과 서브 플레이트를 감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측면이 상기 절연부와 밀착되고 타측면이 연료전지 셀과 접촉하는 집전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 중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내주면이 집전패널 둘레의 외주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절연부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 중 상기 집전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집전패널이 삽입되도록 상기 집전패널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 중 상기 집전패널과 상기 메인 블록 사이 부분의 두께는 상기 집전패널과 상기 메인 블록 사이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집전패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은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서브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집전패널의 일측면에는 집전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블록과 절연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PPA 수지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KR1020140045638A 2014-04-16 2014-04-16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KR10162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638A KR101628455B1 (ko) 2014-04-16 2014-04-16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US14/488,716 US10033061B2 (en) 2014-04-16 2014-09-17 End plate for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638A KR101628455B1 (ko) 2014-04-16 2014-04-16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045A true KR20150120045A (ko) 2015-10-27
KR101628455B1 KR101628455B1 (ko) 2016-06-09

Family

ID=5432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638A KR101628455B1 (ko) 2014-04-16 2014-04-16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33061B2 (ko)
KR (1) KR101628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26A (ko)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엔드 플레이트의 부식 방지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내식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7974B2 (ja) * 2016-01-12 2020-03-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金属樹脂一体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1046B1 (ko) * 2016-07-15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셀 히터
CN109216610A (zh) * 2018-07-25 2019-01-15 东莞塔菲尔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CN109560315A (zh) * 2018-12-25 2019-04-02 浙江锋源氢能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取电装置
GB202013308D0 (en) * 2020-08-26 2020-10-07 Daimler Ag Fuel cell unit with end plate for combined use as part of a housing and electric power conduction means
DE102021123176A1 (de) 2021-09-07 2023-03-09 MTU Aero Engines AG Brennstoffzellenvorrichtung und End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n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856A (ko) * 1997-10-02 2001-04-16 풀루오루 다니엘, 인코포레이티드 음극 보호 방법 및 장치
JP2006134802A (ja) * 2004-11-09 2006-05-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KR20090126979A (ko) 2008-06-05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엔드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7743A (ko) * 2011-09-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샌드위치 인서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372B1 (en) * 2000-02-11 2002-04-16 Plug Power Inc. Clamping system for a fuel cell stack
KR100538053B1 (ko) 2004-05-17 2005-12-20 (주)퓨얼셀 파워 향상된 전류집전체 실링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JP5079994B2 (ja) 2004-11-25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060204824A1 (en) * 2005-03-08 2006-09-14 Hydroge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urrent in an electrochemical cell stack
JP2007258124A (ja) * 2006-03-27 2007-10-04 Hitachi Ltd 燃料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
DE102007021309A1 (de) * 2007-05-07 2008-11-13 Valeo Klimasysteme Gmbh Antriebsbatteriebaugruppe eines Elktro-, Brennstoffzellen- oder Hybridfahrzeugs
KR100901563B1 (ko) 2007-09-17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고분자-금속 복합구조 엔드플레이트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05118B1 (ko) 2010-11-12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282627B1 (ko) * 2011-09-07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휨 방지 플레이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856A (ko) * 1997-10-02 2001-04-16 풀루오루 다니엘, 인코포레이티드 음극 보호 방법 및 장치
JP2006134802A (ja) * 2004-11-09 2006-05-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KR20090126979A (ko) 2008-06-05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엔드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7743A (ko) * 2011-09-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샌드위치 인서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26A (ko)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엔드 플레이트의 부식 방지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내식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3061B2 (en) 2018-07-24
KR101628455B1 (ko) 2016-06-09
US20150303493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455B1 (ko) 연료전지용 엔드플레이트
US20150236315A1 (en) Fixing battery cells in place by compressed cell fixture
US8481194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1201741B1 (ko) 이차 전지
JP4537353B2 (ja) 二次電池
US20170222199A1 (en) Motor Vehicle Battery Module
Mai et al. Enabling fast charging of lithium-ion batteries through secondary-/dual-pore network: Part II-numerical model
US10056657B2 (en) Energy storage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prismatic storage cells
US20150207181A1 (en) Housing for a Battery Cell with a Housing Cover having Monitoring Electronics,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Vehicle
EP2235769A4 (en) BATTERY WITH ENHANCED ELECTRICAL ISOLATION CAPACITY
US8628874B2 (en) Secondary battery
KR20120091113A (ko) 절연 디바이스 및 절연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CN104272498A (zh) 电池组件
KR20120039543A (ko) 회전자 철심
KR101315739B1 (ko) 샌드위치 인서트를 갖는 연료전지용 엔드 플레이트
JP2010536128A (ja) バッテリー用個別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13361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蓄電装置並びに電源装置用セパレータ
KR20190066874A (ko) 차량용 배터리팩 구조
DE102011077295A1 (de) Lithium-Ionen-Batteriezelle mit verbessertem Wärmetransport
KR101800513B1 (ko) 조전지
KR102603036B1 (ko) 자동차 구동모터용 인버터
KR101596263B1 (ko) 전지 두께 측정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하여 전지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US20140212743A1 (en) Secondary battery
US20160111691A1 (en) Battery cell assembly
KR20150032077A (ko) 더미셀을 구비한 배터리모듈 및 상기 배터리모듈용 더미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