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679A - 파종용 삽 - Google Patents

파종용 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679A
KR20150119679A KR1020140045392A KR20140045392A KR20150119679A KR 20150119679 A KR20150119679 A KR 20150119679A KR 1020140045392 A KR1020140045392 A KR 1020140045392A KR 20140045392 A KR20140045392 A KR 20140045392A KR 20150119679 A KR20150119679 A KR 2015011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andle
soil
shovel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462B1 (ko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식 filed Critical 최영식
Priority to KR102014004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4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을 파면서 동시에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구현된 파종용 삽에 관한 것으로, 흙을 파기 위한 삽부; 씨앗을 삽입하고 상기 삽부로 흙을 팔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삽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상기 삽부로 흙을 파서 생긴 홈에 공급해 주기 위한 자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종용 삽 {Seeding Shovel}
본 발명은 파종용 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을 파면서 동시에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구현된 파종용 삽에 관한 것이다.
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발을 이용하여 흙을 파고 뜨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서, 목재, 합성수지,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삽자루와 삽자루의 일 말단에 연결되는 삽날, 삽자루의 다른 일 말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파종은 일반적으로 단위 면적당의 수확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흙의 준비 작업에 뒤따르는 모든 농업의 가장 초보적인 작업이다. 종자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일, 이들의 생육에 알맞는 밀도를 형성하는 일은 수량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파종 작업에서는 파종량이 적당하고 결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파종 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파종기가 사용되고 있다. 파종기는 씨를 뿌리는 도구로서, 삽으로 파종홈을 파낸 뒤 그 홈에 씨앗을 일정 높이에서 낙하시킨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692호(2006.08.04 등록)는 삽자루가 손잡이에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고정되는 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삽자루와, 상기 삽자루의 일단으로 연결되는 삽날과, 상기 삽자루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로부터 대략 'Y'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의 양 상부와 연결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삽에 있어서, 상기 삽자루의 손잡이측 삽입부에, 이 삽입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둘레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이 둘레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손잡이의 삽입부 안쪽으로 상기 둘레홈에 대응하는 둘레단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과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삽자루의 삽입구가 손잡이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사출성형에서 인서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5093호(2009.04.20 등록)는 다용도 씨앗 파종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하단부가 관통 형성된 중공의 종자이송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일체로 운동하되, 상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하강운동 및 작동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한 상승운동이 이루어지는 종자이송본체부; 상기 종자이송부의 하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종자이송본체부의 상부에 관통 결합하고, 종자의 종류에 따른 파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파종량 조절부; 상기 파종량 조절부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종자이송부와 종자이송본체부 및 파종량 조절부를 통해 이송하는 종자가 배출되는 종자배출부; 및 상기 종자배출부의 배출구 개폐를 작동하는 배출구 개폐작동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삽과 파종기가 따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씨앗을 심으려면 삽으로 파종홈을 파낸 후 파종기로 씨앗을 뿌리거나, 손으로 직접 씨앗을 뿌린 후 다시 흙으로 덮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손으로 씨앗을 심으려면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69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9509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 내지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삽에 씨앗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흙을 팔 수 있으면서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형성된 파종용 삽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흙을 파기 위한 삽부; 씨앗을 삽입하고 상기 삽부로 흙을 팔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삽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상기 삽부로 흙을 파서 생긴 홈에 공급해 주기 위한 자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루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길이를 연장해 주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자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보조자루; 및 상기 자루부와 상기 보조자루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부는,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흙을 팔 때에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지부재는, 돌출된 부분에 걸기 위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부는, 흙을 파면서 파종홈이 생기도록 하기 위해 하부가 볼록한 부분 쪽으로 꺾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부는, 흙을 고르게 파도록 하기 위한 톱니 형태로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루부는, 하단에 상기 삽부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부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루부는, 측면에 형성되어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루부는, 상기 눈금에 씨앗을 심는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루부는, 내측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씨앗이 떨어질 때에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화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흙을 팔 수 있으면서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의 파종용 삽을 제공함으로써, 삽과 파종기를 따로 소지하여 이중으로 작업하지 않아도 되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을 이용하여 흙을 파면서 동시에 씨앗을 심을 수 있으므로, 씨앗을 심을 때에 서서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삽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눈금과 표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완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종용 삽(10)은, 삽부(100), 손잡이부(200), 자루부(300)를 포함한다.
삽부(100)는, 씨앗을 심기 위해 흙에 오목한 부분이 땅 쪽을 향하도록 삽입시킨 후 볼록한 부분 쪽으로 밀어 올려 오목한 부분 쪽으로 파종홈을 만들기 위한 삽으로서, 상부에 자루부(300)가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부(100)는, 가운데 부분이 약 15도~30도로 오목하게 휘어지게 형성되어, 땅에 삽입할 때에 해당 형성된 오목한 부분이 땅 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씨앗을 심기 위한 파종홈을 만들 때에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부(100)는, 하부가 꺾이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땅에 삽입하면 꺾인 방향으로 흙이 밀리면서 파종 공간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꺾이는 부분은 삽부(100)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1cm~5cm(바람직하게는, 2cm) 지점에서 삽부(100)의 볼록한 부분 쪽으로 꺾일 수 있다. 이때, 꺾이는 각도는 약 10도~50도(바람직하게는,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부(100)는, 하단이 흙을 고르게 팔 수 있도록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부(100)는, 흙에 삽입하여 파종홈을 만들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부(100)는, 씨앗을 심어 충분히 발아할 수 있을 정도로 흙을 팔 수 있는 길이인 10cm~20cm(바람직하게는, 13cm)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자루부(300)의 상부에 삽부(100)로 흙을 팔 때에 사용자가 잡고 작업할 수 있도록 "V"자 형태로 형성되며, 씨앗을 삽입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자루부(300)는, 삽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에 내부가 빈 관 형태로 고정 형성되며,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 씨앗을 삽부(100)로 흙을 파서 생긴 파종홈에 공급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자루부(300)는, 1m~1.5m(바람직하게는, 1.2m)의 길이를 가지는 통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씨앗이나 비료를 땅에 주기 위해서 땅을 팔 때에 서서 작업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해 주며, 논이나 밭에서 간이 지팡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루부(300)는, 삽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파종용 삽(10)은,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이 땅 쪽으로 향하게 삽입한 후에, 손잡이부(200)로 삽부(100)의 볼록한 부분 쪽으로 흙을 밀어줌으로써,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파종홈을 형성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손잡이부(200)에 씨앗을 삽입하게 되면 자루부(300)를 통해 관통되는 씨앗이 파종홈에 배출될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삽부(100)를 땅으로부터 빼냄으로서 삽부(100)의 볼록한 부분 쪽으로 밀려 있던 흙이 파종홈으로 다시 떨어져 덮어지게 된다. 따라서 흙을 파면서 씨앗을 심을 수 있으므로 삽과 파종기를 따로 소지하거나, 이중으로 작업하지 않아도 되어 번거로움이 없어지며, 또한 기존에 손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쪼그리고 앉아서 작업하여 불편함이 있었지만, 파종용 삽(10)을 이용하면 삽부(100)로 흙을 파면서 동시에 자루부(300)를 통해 씨앗을 배출하여 심을 수 있으므로 서서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종용 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종용 삽(10)은,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한다.
길이 조절부(400)는, 자루부(300)와 손잡이부(200)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키나 용도에 맞게 상하로 연장시키거나 줄이면서 자루부(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길이 조절부(400)는, 보조자루(410), 고정수단(420)을 포함한다.
보조자루(410)는, 자루부(30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자루부(300)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전체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자루(410)는, 자루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자루부(300)보다 둘레가 작은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자루(410)는, 자루부(300)의 둘레보다 큰 사이즈로 제작되어 자루부(300)를 삽입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자루(410)는, 약 0.65m~1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420)은, 슬라이딩시켜 길이를 조절한 보조자루(410)를 자루부(300)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420)은, 자루부(300)와 보조자루(410)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420)은, 볼트와 너트로 형성되어 자루부(300)와 보조자루(410) 사이를 쪼아서 고정시키는 구조나, 보조자루(410)에 탄력을 가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의 자루부(300)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보조자루(410)를 상하로 조절하면서 돌기와 홈을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삽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삽부(100)는, 방지부재(110), 파종간격 표시부재(111)를 포함한다.
방지부재(110)는, 삽부(100)의 상부 양측에 흙이 파이는 깊이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형성되어, 설정한 깊이 이상 흙이 파이지 않도록 방지한다. 씨앗을 너무 깊게 심으면 발아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발아할 수 있는 적당한 깊이로 파종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깊이로 흙을 파기 위해 방지부재(110)를 형성하여 설정한 깊이의 파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재(110)는, 보통 상부 양측에 형성되지만 씨앗의 종류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재(110)는, 보관 시에 벽이나 보관함에 걸어두어 보관이 간편하도록 돌출된 부분에 걸기 위한 고리 형태(예를 들어, 사각링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재(110)는, 벽이나 보관함 등에 걸 수 있도록 삽부(100)가 볼록한 부분 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종간격 표시부재(111)는, 파종하는 씨앗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파종간격(예를 들어, 오이 40cm, 토마토 50cm 등)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방지부재(110)의 일 측과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어, 파종 시에 파종 간격을 보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종간격 표시부재(111)는, 파종홈을 팔 때에 땅에 걸리지 않도록 후렉시블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종간격 표시부재(111)는, 방지부재(110)의 구멍에 삽입한 후에 나사 등으로 고정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종간격 표시부재(111)의 길이를 작물에 따른 파종간격에 알맞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루부(300)는, 배출구(310)를 포함한다.
배출구(310)는, 자루부(300)의 하단에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200)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삽부(100)가 형성한 파종홈으로 배출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구(310)는, 씨앗이 파종홈에 심어지려면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배출되어야 하므로, 하부로 갈수록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출구(310)는, 자루부(300)의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눈금과 표시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루부(300)는, 눈금(320), 표시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눈금(320)은, 자루부(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길이를 눈금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눈금(320)은, 작물별 파종 간격(예를 들어, 오이 40cm, 토마토 50cm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파종할 때 간격을 재면서 정확하게 지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눈금(320)은, 측면에 수치(예를 들어, 5cm 간격, 10cm 간격 등)를 표시하여 빠르게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있으며, 자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눈금(320)은, 삽부(100)의 말단 부분부터 0이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재(330)는, 자루부(300)의 측면에 형성된 눈금(320)에 설정하고 싶은 간격을 표시하여 작업하는 데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씨앗을 심기 위한 간격을 표시하여 해당 표시된 간격을 이용하여 씨앗을 심을 간격을 땅에 표시해 줌으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씨앗을 심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330)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고무줄, 플라스틱, 스티커 등으로 형성되어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자루부에 형성된 완화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루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화부재(350, 351)를 더 포함한다.
제1 완화부재(350)는, 삽부(100)의 10cm~30cm 정도(바람직하게는, 20cm) 위에 해당하는 자루부(300)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씨앗이 자루부(300)를 통해 떨어질 때에 충격을 흡수하여 바로 땅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땅에 떨어질 때에 받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완화부재(350)는,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밴드 등)로 형성되어, 씨앗이 땅에 바로 떨어지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여 배출함으로써, 씨앗이 한 곳에 모이지 않고 흩어져 골고루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완화부재(350)는, 삽부(100)의 볼록한 부분 반대쪽으로 자루부(300)의 내부에 자루부(300)의 둘레의 특정크기(예를 들어, 둘레의 2분의 1, 둘레의 3분의 1)의 크기로 20도~60도(바람직하게는, 40도) 정도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씨앗이 부딪힌 후에 배출구(3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완화부재(351)는, 제1 완화부재(350)의 4cm~10cm (바람직하게는, 4cm) 위에 제1 완화부재(350)와 반대 방향에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된 씨앗이 제2 완화부재(351)를 통해 일차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제1 완화부재(350)를 통해 한 번 더 이차적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씨앗이 땅에 떨어질 때에 받는 충격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는, 씨앗 삽입구(210)를 포함한다.
씨앗 삽입구(210)는, 씨앗을 삽입하기 위한 홀로서, "V"자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20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씨앗 삽입구(210)는, 손잡이부(200) 사이의 양 측에 자루부(300)와 연결 형성되는 삼각형 형태의 방지막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씨앗을 삽입할 때에 씨앗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씨앗 삽입구(210)는, 손잡이부(200)의 내측으로 형성된 홀에 연장 형성되어 큰 씨앗도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는 넓은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삽부
110 : 방지부재
111 : 파종간격 표시부재
200 : 손잡이부
210 : 씨앗 삽입구
300 : 자루부
310 : 배출구
320 : 눈금
330 : 표시부재
350 : 제1 완화부재
351 : 제2 완화부재
400 : 길이조절부
410 : 보조자루
420 : 고정수단

Claims (11)

  1. 흙을 파기 위한 삽부(100);
    씨앗을 삽입하고 상기 삽부(100)로 흙을 팔 때에 잡기 위한 손잡이부(200); 및
    상기 삽부(100)와 상기 손잡이부(200) 사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상기 삽부(100)로 흙을 파서 생긴 홈에 공급해 주기 위한 자루부(300)를 포함하는 파종용 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와 상기 손잡이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300)의 길이를 연장해 주기 위한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상부에 상기 손잡이부(200)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자루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보조자루(410); 및
    상기 자루부(300)와 상기 보조자루(410)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부(100)는,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흙을 팔 때에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110)는,
    돌출된 부분에 걸기 위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부(100)는,
    흙을 파면서 파종홈이 생기도록 하기 위해 하부가 볼록한 부분 쪽으로 꺾이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부(100)는,
    흙을 고르게 파도록 하기 위한 톱니 형태로 하단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는,
    하단에 상기 삽부(100)의 오목한 부분 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로부터 삽입된 씨앗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는,
    측면에 형성되어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는,
    상기 눈금(320)에 씨앗을 심는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는,
    내측에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씨앗이 떨어질 때에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화부재(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용 삽.
KR1020140045392A 2014-04-16 2014-04-16 파종용 삽 KR10160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92A KR101605462B1 (ko) 2014-04-16 2014-04-16 파종용 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92A KR101605462B1 (ko) 2014-04-16 2014-04-16 파종용 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79A true KR20150119679A (ko) 2015-10-26
KR101605462B1 KR101605462B1 (ko) 2016-03-22

Family

ID=5442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392A KR101605462B1 (ko) 2014-04-16 2014-04-16 파종용 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4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756A (zh) * 2016-08-09 2016-11-16 河北农业大学 利用植生袋培植猪毛菜的矿山生态修复方法
CN113207324A (zh) * 2021-05-27 2021-08-06 胡晨 一种便于种植黄豆的农用铲子
CN114916290A (zh) * 2022-03-08 2022-08-19 安徽优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番茄籽播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21Y1 (ko) 2002-07-19 2002-10-25 신경균 비료 시비기
KR100571703B1 (ko) * 2004-11-22 2006-04-18 최승권 수동식 파종기
KR101371972B1 (ko) 2012-03-05 2014-03-14 김광섭 비료 자동주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756A (zh) * 2016-08-09 2016-11-16 河北农业大学 利用植生袋培植猪毛菜的矿山生态修复方法
CN113207324A (zh) * 2021-05-27 2021-08-06 胡晨 一种便于种植黄豆的农用铲子
CN114916290A (zh) * 2022-03-08 2022-08-19 安徽优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番茄籽播种装置
CN114916290B (zh) * 2022-03-08 2024-01-30 安徽优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番茄籽播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462B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379B1 (ko) 모종기
KR101605462B1 (ko) 파종용 삽
US20110061882A1 (en) Planting tool
KR101470260B1 (ko) 다용도 파종기
US4290374A (en) Hand-held and operated seeder apparatus
US9795075B2 (en) Planting grid device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KR101782017B1 (ko) 한 손용 씨앗 파종기
WO2012007964A3 (en) A direct seed sowing machine for multiple type of seeds with adjustable seed distances
KR20160097575A (ko) 다용도 파종기
US20160073575A1 (en) Seeding machine
US4218981A (en) Seed planter
CN211909638U (zh) 一种槭树选育扩繁用施肥装置
KR102052426B1 (ko) 비료 투입기
CN204482312U (zh) 一种移栽开孔器
KR101512002B1 (ko) 비닐 피복장치용 파종기
KR200480773Y1 (ko) 파종기
KR101791361B1 (ko) 토사 제거부가 구비된 마늘 파종기
KR200472498Y1 (ko) 모종 이식기
KR102045178B1 (ko) 파종기
KR200428578Y1 (ko) 파종기
KR101597971B1 (ko) 모종 식재공 형성장치
Zhang Research and design for making a new type of mechanized and multiple functions of precision seed-drilled appliance.
KR101883183B1 (ko) 비료와 물 공급이 가능한 살포기
KR20120025906A (ko) 휴대용 소형 고체입자 배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