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594A -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594A
KR20150118594A KR1020140043954A KR20140043954A KR20150118594A KR 20150118594 A KR20150118594 A KR 20150118594A KR 1020140043954 A KR1020140043954 A KR 1020140043954A KR 20140043954 A KR20140043954 A KR 20140043954A KR 20150118594 A KR20150118594 A KR 20150118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information
input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551B1 (ko
Inventor
전휴완
Original Assignee
(주)메쏘드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쏘드소프트 filed Critical (주)메쏘드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04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5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rt therapy information}
본 발명은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을 그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 치료는 심리 치료사의 주제 제시에 따라 치료 대상자가 그림을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심리 치료 효과를 유도하며, 그 과정과 결과를 심리 치료사가 옆에서 지켜 본 후 치료 대상자의 심리, 성격, 지능 등 임상 심리에 대한 진단과 평가를 내리는 치료의 한 방법이다.
이러한 미술 치료 방법은 그림을 그리는 치료 대상자와 이를 지켜 보는 심리 치료사가 항상 같이 있어야 하므로,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간적으로 치료 대상자와 심리 치료사가 함께 할 수 없는 경우, 치료 대상자가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동영상 등으로 촬영하고 나중에 이를 심리 치료사가 확인하여 치료 대상자의 심리에 대한 분석 및 진단을 내리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대용량의 파일 저장공간이 필요하고 치료 대상자가 그린 그림을 선명하게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미술 치료를 위한 분석 및 진단을 위해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치료 대상자가 그림을 그리고 이를 저장하여 추후 심리 치료사가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미술 치료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심리 치료사는 치료 대상자가 그린 최종 그림을 보고 그림의 색상, 패턴 등의 요소만을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므로, 치료 대상자가 실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분석할 수 없으므로 치료 대상자의 심리, 증상 등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그림을 그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림을 그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심리 분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심리 분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심리 분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심리 분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필압 정도 등을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림을 그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필압 정도 등을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미 완성된 그림에 대한 별도의 영상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그림을 입력 받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그림의 입력을 마쳤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부(110), 정보 추출부(120), 메모리부(130), 심리 분석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그림 입력, 그림 저장 등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추출부(120)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시간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그림에서 각종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시간 정보는 실제 그림이 입력되는 순간의 절대 시각을 의미하고, 펜 정보는 실제 그림이 입력될 때에 선택된 펜의 종류, 펜의 굵기, 펜의 색상, 펜의 투명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좌표 정보는 실제 그림이 입력될 때에 사용자 입력부(110)(후술할 디스플레이부(111))에서 인식되는 평면 상의 X 좌표, Y 좌표를 의미한다.
정보 추출부(120)가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30)는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30)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각종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부(1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드 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 및 저장이 가능한 다양한 저장 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이나, 필요에 따라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외부로 분리될 수도 있다.
심리 분석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심리 분석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읽어들인 후,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생하여 그림을 입력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거나, 시간에 따른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통해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160)를 이용하여 그림을 입력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60)는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에 따라 기존에 분석된 자료들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160)는 분석 이론, 분석 대상자 및 분석 전문가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 정보 추출부(120), 메모리부(130) 및 심리 분석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가 펜 정보를 입력 받거나 그림을 입력 받도록 제어하고, 정보 추출부(120)가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며, 메모리부(130)가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도록 제어하고, 심리 분석부(140)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와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160)를 이용하여 그림을 입력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개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S21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그림을 입력 받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11), 펜 정보 입력부(112) 및 명령 입력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출력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FPD)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1)가 그림을 그릴 대상에 대한 아웃라인(E0)을 미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펜 정보 입력부(112)는 사용자가 그림을 입력할 때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정보 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그릴 펜의 종류(예를 들어, 연필, 크레용, 붓, 지우개 등), 펜의 굵기, 펜의 색상, 펜의 투명도 등의 펜 정보를 선택 받은 후 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펜 정보는 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할 때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명령 입력부(113)는 그림을 입력하는 과정이나 그림의 입력을 완료한 후에 사용자로부터 해당하는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입력부(113)는 그림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그림을 새로 입력하기 위해 '다시하기' 선택을 입력 받을 수도 있고, 그림의 입력을 완료한 후에 완성된 그림을 저장하거나 인쇄하기 위해 '저장하기' 또는 '인쇄하기' 선택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펜 정보 입력 또는 '저장하기' 등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커서 포인터(C)를 이용하여 펜 정보 입력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111)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11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펜의 종류를 '연필'로, 펜의 굵기를 '17'(픽셀 단위)로, 펜의 색상을 '파랑'으로 선택하여 미리 표시된 사람 모양의 아웃라인(E0)을 따라 '옷 부분(E1)'을 그린 후, 펜의 색상을 '황갈'과 '주황'으로 변경해 가며 '목 부분(E3)'과 '얼굴 부분(E5)'를 순차적으로 그리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10)가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은 후(S210), 정보 추출부(120)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220).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의 예에서 옷 부분과 목 부분을 그린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의 예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랑' 색상과 굵기 '17'의 '연필'로 '옷 부분(E1)'을 그리는 동안,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점이 5 개(P1 내지 P5)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옷 부분(E1)'을 그리는 동안(t1 ~ t5)에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1(t1, x1, y1), ..., P5(t5, x5, y5)이다. 여기서, 단위 시간은 각 점들이 추출된 시간 차이(예를 들어, t2-t1)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펜의 색상을 '황갈'로 변경(E2)할 때에 3 번의 단위 시간(t6 내지 t8)이 경과한다고 가정하면,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3 개의 점(P6, P7, P8)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6(t6, x6, y6), ..., P8(t8, x8, y8)이다. 이 때, 사용자가 펜의 색상을 변경할 경우에는, 시간 정보와 펜 정보의 변화는 있지만 좌표 정보의 변화는 없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P5 내지 P8의 좌표는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펜의 색상을 '황갈'로 변경하여 '목 부분(E3)'을 그리는 동안,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점이 3 개(P8, P9, P10)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목 부분(E3)'을 그리는 동안(t8 ~ t10)에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8(t8, x8, y8), ..., P10(t10, x10, y10)이다.
이후, 사용자가 펜의 색상을 '주황'으로 변경(E4)할 때에 3 번의 단위 시간(t11 내지 t13)이 경과한다고 가정하면,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3 개의 점(P11, P12, P13)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11(t11, x11, y11), ..., P13(t13, x13, y13)이며, 이 경우에도 점 P10 내지 P13의 좌표는 모두 동일하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가 펜 정보를 변경하는 구간, 즉, 시간 정보와 펜 정보의 변화는 있으나 좌표 정보의 변화는 없는 구간은 사용자가 입력한 그림을 복수의 단위 개체로 분할하기 위한 휴지 기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4의 예에서 얼굴 부분을 그린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6b는 도 6a의 예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황' 색상과 굵기 '17'의 '연필'로 '얼굴 부분(E5)'을 그리는 동안,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점이 5 개(P13 내지 P17)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얼굴 부분(E5)'을 그리는 동안(t13 ~ t17)에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13(t13, x13, y13), ..., P17(t17, x17, y17)이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상태(E6)에서 2 번의 단위 시간(t18 내지 t19)이 경과한다고 가정하면,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2 개의 점(P18, P19)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18(t18, x18, y18), ..., P19(t19, x19, y19)이며, 이 경우 시간 정보의 변화만 있을 뿐, 펜 정보와 좌표 정보의 변화는 없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P17 내지 P19의 좌표는 모두 동일하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상태(E6)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어떠한 명령도 입력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나, 펜 정보와 좌표 정보의 변화 없이 시간 정보의 변화만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얼굴 부분(E7)'을 그리는 동안,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추출한 점이 6 개(P20 내지 P25)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얼굴 부분(E7)'을 그리는 동안(t20 ~ t25)에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좌표 정보는 각각 P20(t20, x20, y20), ..., P25(t25, x25, y25)이다.
후술하겠지만,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없는 구간, 즉, 펜 정보와 좌표 정보의 변화 없이 시간 정보의 변화만 있는 구간은 사용자가 입력한 그림을 복수의 단위 개체로 분할하기 위한 휴지 기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추출부(120)가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한 후(S220),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그리고, 단계 S23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단계 S230에서의 예), 제어부(150)는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S240).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그림의 입력을 마쳤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더 이상 그림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정보 추출부(120)가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그림이 입력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추출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가 실제로 그림을 입력한 구간(E1, E3, E5, E7, E9, E11, E13, E15 및 E17)와 사용자가 펜을 변경하거나 입력을 멈춘 구간(E2, E4, E6, E8, E10, E12, E14 및 E16)으로 나누어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는 이러한 정보들을 메모리부(130)에 도 5b 및 도 6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어부(150)가 사용자 입력부(110)의 명령 입력부(113)를 통해 '저장하기'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그림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입력된 그림에 대하여,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휴지 기간을 추출한 후, 입력된 그림을 휴지 기간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위 개체로 분할한 후, 복수의 단위 개체 각각에 대해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휴지 기간은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었던 기간이나,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기간을 의미한다. 즉, 휴지 기간은,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펜 정보를 변경하는 구간(시간 정보와 펜 정보의 변화는 있으나 좌표 정보의 변화는 없는 구간)이나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구간(펜 정보와 좌표 정보의 변화 없이 시간 정보의 변화만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도 5a 내지 도 6b, 도 7의 예에서, 휴지 기간은 사용자가 펜의 색상을 변경한 구간(E2, E4, E14 및 E16)과, 사용자의 그림 입력을 멈춘 구간(E6, E8, E10 및 E12)으로 볼 수 있으며, 도 7의 예에서는 전체 그림은 모두 8 개의 휴지 기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단위 개체란 그림 전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서, 그림을 이루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개체를 의미한다. 도 5a 내지 도 6b, 도 7의 예에서, 그림을 구성하는 단위 개체는 사용자가 실제로 그림을 입력한 부분(E1, E3, E5, E7, E9, E11, E13, E15 및 E17)으로 볼 수 있으며, 도 7의 예에서는 전체 그림은 모두 9 개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로, 도 8의 (a)에서는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을 때,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전체 그림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 중, 사용자가 실제로 그림을 입력한 단위 개체(E1, E3, E5, E7, E9, E11, E13, E15 및 E17)와 사용자가 펜을 변경하거나 입력을 멈춘 휴지 기간(E2, E4, E6, E8, E10, E12, E14 및 E16)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도 8의 (b)에서는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을 때,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전체 그림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 중, 사용자가 펜을 변경하거나 입력을 멈춘 휴지 기간(E2, E4, E6, E8, E10, E12, E14 및 E16)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그림을 입력한 단위 개체(E1, E3, E5, E7, E9, E11, E13, E15 및 E17)에 대한 정보 만을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어부(150)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한 후(S240), 심리 분석부(140)는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250).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심리 분석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읽어들인 후,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생하여 그림을 입력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거나, 기존에 분석된 데이터베이스(160)를 이용하여 그림을 입력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펜의 종류, 펜의 굵기, 펜의 색상 등을 알 수 있는 펜 정보와, 사용자가 그림을 입력할 때의 그림의 공간, 방향, 위치, 표현 크기 등을 알 수 있는 좌표 정보는 물론,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속도, 표현의 머뭇거림 등을 알 수 있는 시간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미술 치료 대상자인 사용자의 기질, 마음 상태, 지시에 대한 협조성, 자신감, 주의 집중력, 표현 대상에 대한 인식과 감정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에는, 입력된 그림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가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전체 그림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하는 것 이외에, 입력된 그림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심리를 분석하는 당사자가 사용자에 의해 실제 그림을 입력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 들여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1), 펜 정보 입력부(112), 명령 입력부(113) 이외에도 도 9와 같은 재생 조작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그림 정보는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이외에도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압 정보는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때에 화면을 누르는 압력 값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인자로서, 사용자의 심리적 압박, 스트레스 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때에 화면을 누르는 압력인 필압(筆壓)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110)의 디스플레이부(111)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10)는 필압을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테블릿(Tablet) 등(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필압을 측정하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S310). 그리고, 정보 추출부(120)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다는 것은 그림의 입력을 완료했다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이유(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뭇거림)에 의해 그림의 입력이 잠시 중단되었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그림의 입력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거나,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시간 정보와 펜 정보의 변화는 있으나 좌표 정보의 변화는 없는 경우)나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펜 정보와 좌표 정보의 변화 없이 시간 정보의 변화만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계 S33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단계 S330의 예),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S340). 이 때,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일 예로, 도 11의 (a)에서는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중단된 경우(t5, t10, ..., t(n-1), tn)마다,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중단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모두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로, 도 11의 (b)에서는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중단된 경우(t5, t10, ..., t(n-1), tn)마다, 정보 추출부(120)에 의해 중단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추출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 중, 사용자가 펜을 변경하거나 입력을 멈춘 휴지 기간(E2, E4, E6, E8, E10, E12, E14 및 E16)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그림을 입력한 단위 개체(E1, E3, E5, E7, E9, E11, E13, E15 및 E17)에 대한 정보 만을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어부(150)가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모습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 모든 그림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었을 때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휴지 기간)마다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S350),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단계 S350에서의 아니오),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50)는, 단계 S35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단계 S350에서의 예), 심리 분석부(140)는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360).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그림 정보는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이외에도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는,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S410). 그리고, 정보 추출부(120)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420).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0). 그리고, 단계 S43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단계 S430에서의 예), 제어부(150)는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S440). 마지막으로, 심리 분석부(140)는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4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그림 정보는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이외에도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부(150)는,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S510). 그리고, 정보 추출부(120)는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520).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530). 이 때, 제어부(150)는, 단계 S53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단계 S330의 예), 입력된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S540).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S550),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단계 S550에서의 아니오),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50)는, 단계 S55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단계 S350에서의 예), 심리 분석부(140)는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S3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 정보 추출부(120)가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정보 추출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 제어부(150)가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경우, 그림 정보는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이외에도 단위 시간 간격으로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필압 정도 등을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저장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그림을 그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 펜 정보, 좌표 정보, 필압 정도 등을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미 완성된 그림에 대한 별도의 영상 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미술 치료를 위한 그림 생성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그림의 생성 정보가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정보 추출부
130: 메모리부 140: 심리 분석부
150: 제어부 160: 데이터베이스

Claims (21)

  1.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하여,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휴지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상기 휴지 기간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위 개체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개체 각각에 대해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기간은,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었던 기간이나, 상기 그림 정보 중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정보는 상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5.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거나, 상기 그림 정보 중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림에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정보는 상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9.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림 전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하여,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휴지 기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그림을 상기 휴지 기간을 중심으로 복수의 단위 개체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위 개체 각각에 대해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기간은,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었던 기간이나, 상기 그림 정보 중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정보는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3.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기간 이상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없거나, 상기 그림 정보 중 펜 정보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그림에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정보는 상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필압(筆壓)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17. 사용자로부터 그림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시간 정보, 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그림 정보의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정보 추출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심리 분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단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그림으로부터 입력 좌표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상기 입력되는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쳤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그림의 입력을 마친 경우, 상기 입력된 그림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21.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되었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그림의 입력이 중단된 시점까지 입력된 단위 개체에 대한 그림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치료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40043954A 2014-04-14 2014-04-14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5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54A KR101654551B1 (ko) 2014-04-14 2014-04-14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954A KR101654551B1 (ko) 2014-04-14 2014-04-14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94A true KR20150118594A (ko) 2015-10-23
KR101654551B1 KR101654551B1 (ko) 2016-09-07

Family

ID=5442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954A KR101654551B1 (ko) 2014-04-14 2014-04-14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5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586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네오펙트 재활 훈련 장치
CN107708815A (zh) * 2016-05-27 2018-02-16 株式会社耐奥飞特 康复训练装置
KR102240485B1 (ko) *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통합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WO2022065604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알에프캠프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62918A (ko) * 2020-11-09 2022-05-17 조홍승 만다라 미술심리치료 diy 키트 및 만다라 미술심리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컴퓨터 구현 방법
KR20220124549A (ko) * 2021-03-03 2022-09-14 (주)알에프캠프 관리 서버, 모방 드로잉 데이터들 사이의 상대적인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4071678A1 (ko)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이미지 생성과정을 반영한 심리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069B1 (ko) * 2019-09-04 2023-03-17 (주)알에프캠프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41804B1 (ko) * 2019-09-04 2021-04-19 (주)알에프캠프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31766B1 (ko) * 2021-01-04 2022-08-16 (주)알에프캠프 사용자 별 감정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4204B1 (ko) * 2021-06-30 2023-06-16 (주)알에프캠프 전자 장치, 알림 신호들에 대한 반응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 값을 산출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06947B1 (ko) 2021-07-13 2023-03-06 이성옥 Ai 기반 그림을 이용한 부모와 아동이 자체 제작하는 내그림 동화책 제작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30011012A (ko) 2021-07-13 2023-01-20 이성옥 그림을 이용한 아동정서, 심리, 행동 사전 점검 및 치유 솔루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동정서, 심리, 행동 사전 점검 및 치유 방법
KR102640350B1 (ko) 2023-09-26 2024-02-2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색채분석모듈을 이용한 사용자의 정서 분석 방법
KR102655270B1 (ko) 2023-10-19 2024-04-09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색채정서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638B1 (ko) * 1992-05-29 2000-06-01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작성 장치
JP2010131280A (ja) * 2008-12-08 2010-06-17 Hitachi Ltd 精神状態判定支援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638B1 (ko) * 1992-05-29 2000-06-01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작성 장치
JP2010131280A (ja) * 2008-12-08 2010-06-17 Hitachi Ltd 精神状態判定支援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586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네오펙트 재활 훈련 장치
CN107708815A (zh) * 2016-05-27 2018-02-16 株式会社耐奥飞特 康复训练装置
US10293199B2 (en) 2016-05-27 2019-05-21 Neofect Co., Lt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US10888726B2 (en) 2016-05-27 2021-01-12 Neofect Co., Lt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US11529538B2 (en) 2016-05-27 2022-12-20 Neofect Co., Lt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WO2022065604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알에프캠프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드로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40485B1 (ko) * 2020-11-06 2021-04-15 주식회사 메이팜소프트 신청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 이미지 통합 분석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
KR20220062918A (ko) * 2020-11-09 2022-05-17 조홍승 만다라 미술심리치료 diy 키트 및 만다라 미술심리치료 애플리케이션의 컴퓨터 구현 방법
KR20220124549A (ko) * 2021-03-03 2022-09-14 (주)알에프캠프 관리 서버, 모방 드로잉 데이터들 사이의 상대적인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4071678A1 (ko) * 2022-09-28 2024-04-04 주식회사 벡스인텔리전스 이미지 생성과정을 반영한 심리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551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551B1 (ko) 미술 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009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input sensing, rendering, and display to minimize latency
Kurzhals et al. Evaluating visual analytics with eye tracking
Dingen et al. RegressionExplorer: Interactive exploration of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subgroup analysis
JP5787843B2 (ja) 手書き描画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89642B2 (en) Handwriting auto-complete function
US1072553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machine learning-based cyber sickness prediction model for virtual reality content
US10646172B2 (en) Multi-level executive functioning tasks
Blascheck et al. Triangulating user behavior using eye movement, interaction, and think aloud data
EP3398033A1 (en) Gestures visual builder tool
US20160019350A1 (en) Visually rendering longitudinal patient data
JP2018524736A (ja) 円形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20200527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Twose et al. Early-warning signals for disease activity in patients diagnosed with multiple sclerosis based on keystroke dynamics
CN108369486B (zh) 通用涂墨支持
CN109147927B (zh) 一种人机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Quek et al. Spatial and temporal attention modulate the early stages of face processing: behavioural evidence from a reaching paradigm
US9881409B2 (en) Visualization for blood flow in skin image data
US20170139898A1 (en) Updating hint list based on number of strokes
US20160188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it test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3432148A1 (en) Simul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simulation reproduction program
CN113792553A (zh) 用于自然语言处理神经网络模型的可视化分析方法和系统
US20170154159A1 (en) Synchronized multimedia system for therapy recording, playback, annotation and query in big data environment
US20170192753A1 (en) Translation of gesture to gesture code description using depth camera
WO2017116878A1 (en) Multimodal interaction using a state machine and hand gestures discrete val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