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974A - 배기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974A
KR20150117974A KR1020140043838A KR20140043838A KR20150117974A KR 20150117974 A KR20150117974 A KR 20150117974A KR 1020140043838 A KR1020140043838 A KR 1020140043838A KR 20140043838 A KR20140043838 A KR 20140043838A KR 20150117974 A KR20150117974 A KR 2015011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water
sensor
amount
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299B1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2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동시에 처리하면서도 수처리에 필요한 물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부식문제를 해결한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키는 산화부, 상기 산화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에 우레아를 분사하여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이 산화된 수용성 가스를 중성염 상태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우레아 분사부 및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포함한 배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용해시켜 배출하는 습식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 장치{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동시에 처리하면서도 수처리에 필요한 물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부식문제를 해결한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배기가스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2015년부터 ECA(EMISSION CONTROL AREA)지역 내 선박의 연료의 황산화물의 함유량이 1%에서 0.1%로 90%를 감소시켜야 하는 SECA(Sulfur Emission Control Area) 0.1% 규제가 발효되며, 2016년부터 질소산화물(NOx) 배출량도 현재의 Tier II 규정 대비 약 80% 감소해야 하는 Tier III 규정이 발효될 예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크랭크축 분당 회전수가 130이하인 경우, 현재 Tier II 규정에 따라 14.4g/kWh으로 제한되지만, 2016년부터 Tier III 규정에 따라 3.4g/kWh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SOx)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선행기술로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산화시켜 이산화질소, 아질산, 질산, 이산화황 및 아황산수소(Hydrogensulfite)라디칼(HSO3)등의 형태로 정화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산화질소, 아질산, 질산, 이산화황 및 아황산수소(Hydrogensulfite)라디칼(HSO3)가 물에 녹을 경우, 강한 산성의 산성도를 지니게 되어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금속부분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황의 용해도는 9.4g/100ml로서 대량의 수처리 용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선박에 대량의 물을 적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437301 (공개일: 2001.11.08)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중성상태인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로 변환 후 처리하여,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금속부분의 부식문제를 해결한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키는 산화부, 상기 산화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에 우레아를 분사하여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이 산화된 수용성 가스를 중성염 상태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우레아 분사부 및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포함한 배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용해시켜 배출하는 습식 스크러버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은 수산화기의 라디칼에 의해 상기 수용성 가스로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산화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상기 수용성 가스로의 산화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아 분사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의 측정량에 따라 상기 우레아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아 분사부를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 내 포함된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제3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의 양에 따라 상기 습식 스크러버의 물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부는 플라즈마, 자외선 또는 오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상기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센서와 제어부를 통해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로 변환시키므로 수처리 용량을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수처리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박의 무게를 줄이거나 그만큼 다른 화물을 더 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우레아 분사부를 통해 중성인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을 생성시켜 부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국제해사기구의 질소산화물 배출규제 규정의 한 예를 나타낸 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가가스 처리 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가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산화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우레아 분사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3의 습식 스크러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 다른 장치나 설비, 예를 들어 육상에 설치된 설비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부(100), 우레아 분사부(200) 및 습식 스크러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부(100)는 엔진(6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을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는 수용성 가스에 우레아(UREA)를 분사하여, 수용성 가스를 중성의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는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을 포함한 배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을 용해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화부(100) 및 우레아 분사부(200) 및 습식 스크러버(300)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엔진(6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상기 산화부(100)와 우레아 분사부(200) 및 습식 스크러버(3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산화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110)와 오존 발생부(120)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6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산화시켜 수용성 가스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10)는 상기 엔진(6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상기 산화부(100)를 통과하기 전 상기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10)는 고체전해질 방식 또는 반도체식 가스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110)는 측정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 발생부(120)는 상기 산화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가스내에 오존(O3)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배기가스내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과 반응시켜 수용성가스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 발생부(120)는 플라즈마(PLASMA) 또는 자외선의
광양자 에너지(
Figure pat00001
)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고에너지를 인가하여 오존을 발생시켜 수산화기 라디칼(OH)과 오존 및 산소원자(O) 등을 통해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수용성 가스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 발생부(120)가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수용성 가스로 변환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오존 발생부(120)는 공기 중 산소를, 파장이 240NM이하의 자외선에 노출시켜 산소원자로 분해할 수 있다. 그 후 산소원자와 산소분자는 서로 결합하여 오존이 생성될 수 있고, 산소원자와 공기 중의 수분(H2O)이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 때 질소산화물의 약 90%정도가 일산화질소(NO)로 존재하고, 나머지가 이산화질소(NO2)로 존재하며, 일산화질소는 물에 녹지 않지만 이산화질소는 물에 녹을 수 있다. 일산화질소는 산소원자 또는 오존과 결합하여 이산화질소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과산화수소는 파장이 370NM보다 작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OH라다칼을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또한, 공기 중 산소는 파장이 240NM보다 작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산소 원자로 분해될 수 있다. 산소 원자는 공기 중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기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생성된 수산화기 라디칼은 이산화질소와 반응하여 질산을 형성할 수 있고, 이산화황(SO2)와 반응하여 아황산수소(Hydrogensulfite)라디칼(HSO3)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아황산수소(Hydrogensulfite)라디칼(HSO3)는 수산화기 라디칼과 한번 더 결합하여 황산이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즉,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은 수산화기 라디칼 또는 오존과 반응하여, 아질산(HNO2) 또는 질산(HNO3), BISULFITE(HSO3)의 형태의 수용성 가스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은 동시에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센서(110)에서 측정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상기 산화부(100)의 산화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센서(110)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상기 오존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오존량을 제어하며, 상기 오존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오존량에 따라 상기 산화부(100)에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이 수용성 가스로 산화되는 산화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110)에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가 높다고 측정되면 상기 오존발생부(120)에서 발생시키는 오존의 양을 증가시키며, 상기 제1센서(110)에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가 낮다고 측정되면 상기 오존발생부(120)에서 발생시키는 오존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산화(Oxidation)량은, 어떤 물질(예를 들어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이 전자를 상실하여 산소원자 또는 수산화기 라디칼과 반응하여 산화된 양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센서(210) 및 우레아 스프레이어(220)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산화부(100)에서 변환된 수용성 가스에 우레아를 분사하여 수용성 가스를 중성의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10)는 상기 산화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500)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센서(210)에서 측정된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의 측정량에 따라 상기 우레아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서(210)에서 측정된 수용성 가스의 농도가 높거나 또는 산성도가 높은 경우 상기 우레아의 분사량을 증가시키며 반대로 상기 제2센서(210)에서 측정된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가 낮은 경우 상기 우레아 분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아 스프레이어(220)는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가스내에 우레아를 분사하여 발생된 암모니아(NH3)를 배기가스내 수용성가스와 반응시켜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때 분사된 우레아(CO(NH2)2)는 열분해하여 암모니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레아에 열을 가하면, 대기중 수분 또는 요소수 내의 수분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가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우레아에 열을 가하기 위해 별도의 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배기가스의 자체 열로서 우레아가 암모니아로 열분해될 수 있다.
생성된 암모니아는 질산 및 황산과 결합하여, 염상태의 질산암모늄(NH4NO3)과 황산암모늄((NH4)2SO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가 산성인 질산과 황산을 중성인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9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은 물에 용해되면 중성의 산성도를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용해된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이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의해 정화될 때,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금속부분은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센서(310) 및 물 스프레이어(320)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에서 변환된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에 물을 분사하여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을 용해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3센서(310)는 상기 우레아 분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 또는 양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500)에 송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310) 역시 상기 제1센서(110)와 마찬가지로, 고체전해질 방식 또는 반도체식 가스센서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센서(310)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물 스프레이어(320)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이 제어되며, 상기 물 스프레이어(320)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에서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이 용해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은 상기 제3센서(310)에서 측정된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높으면 상기 물 스프레이어(320)에서 분사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상기 염 상태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낮으면 상기 물 스프레이어(320)에서 분사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물 스프레이어(320)는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가스내에 물을 분사하여 배기가스내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을 용해 시킬 수 있다. 입자상태의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은 물을 분사하면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이 포함된 배기가스는 습식 스크러버(300)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은 중성상태이므로 금속재질의 습식 스크러버(300)에 부식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질산암모늄의 용해도는 1024.0g/100ml, 황산암모늄의 용해도는 103.8g/100ml일 수 있다. 반면에, 이산화황의 용해도는 9.4g/100ml일 수 있다.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과 같은 염상태의 입자상 물질은 이산화황(SO2)과 같은 황산화물에 비해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질산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을 용해시키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이 이산화황 및 이산화질소를 용해시키는데 필요한 물의 양보다 크게 적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처리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습식 스크러버(300)를 통과하면서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이 제거된 후 대기로 방출될 수 있으며, 상기 질산암모늄과 황산암모늄을 용해시킨 물은 회수되어 재처리 후 재사용 되거나 또는 저장되어 추후 정박지에서 육상시설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산화부 110: 제1센서
120: 오존 발생부 200: 우레아 분사부
210: 제2센서 220: 우레아 스프레이어
300: 습식 스크러버 310: 제3센서
320: 물 스프레이어 400: 배기가스 배관
500: 제어부 600: 엔진

Claims (6)

  1.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키는 산화부;
    상기 산화부를 통과한 배기가스에 우레아를 분사하여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이 산화된 수용성 가스를 중성염 상태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우레아 분사부; 및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포함한 배기가스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을 용해시켜 배출하는 습식 스크러버
    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은 수산화기의 라디칼에 의해 상기 수용성 가스로 산화되는 배가가스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농도를 각각 측정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농도에 따라, 상기 수용성 가스로의 산화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 분사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상기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수용성 가스의 농도 또는 산성도의 측정량에 따라 상기 우레아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 분사부를 통과한 상기 배기가스 내 포함된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제3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중성염 상태의 물질의 양에 따라 상기 습식 스크러버의 물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부는 플라즈마, 자외선 또는 오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을 상기 수용성 가스로 산화시키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20140043838A 2014-04-11 2014-04-11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157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38A KR101571299B1 (ko) 2014-04-11 2014-04-11 배기가스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38A KR101571299B1 (ko) 2014-04-11 2014-04-11 배기가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974A true KR20150117974A (ko) 2015-10-21
KR101571299B1 KR101571299B1 (ko) 2015-11-24

Family

ID=5440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38A KR101571299B1 (ko) 2014-04-11 2014-04-11 배기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2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491B1 (ko) * 2019-03-13 2020-07-14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KR102175005B1 (ko) * 2019-06-10 2020-11-05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KR20220114235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냄새뚝 배기가스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313B1 (ko) * 2017-12-15 2022-05-27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4512B2 (ja) 1999-10-19 2008-04-30 ヤンマー株式会社 排ガス脱臭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491B1 (ko) * 2019-03-13 2020-07-14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WO2020184980A1 (ko) * 2019-03-13 2020-09-17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JP2022525609A (ja) * 2019-03-13 2022-05-18 ネムセドゥ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船舶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方法
KR102175005B1 (ko) * 2019-06-10 2020-11-05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WO2020251194A1 (ko) * 2019-06-10 2020-12-17 주식회사 냄새뚝 선박 배기가스 정화장치 및 방법
CN114096744A (zh) * 2019-06-10 2022-02-25 纳姆萨伊杜克股份有限公司 船舶废气净化设备及方法
JP2022537924A (ja) * 2019-06-10 2022-08-31 ネムセドゥ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船舶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方法
KR20220114235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냄새뚝 배기가스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299B1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299B1 (ko) 배기가스 처리 장치
Skalska et al. Intensification of NOx absorption process by means of ozone injection into exhaust gas stream
Zhou et al. Study on efficient removal of SOx and NOx from marine exhaust gas by wet scrubbing method using urea peroxide solution
US79984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nitrogen oxides using an ozone and catalyst hybrid system
EP0962247B1 (en) Removal of NOx and SOx emissions from gaseous effluents
Hao et al. Follow-up research of ultraviolet catalyzing vaporized H2O2 for simultaneous removal of SO2 and NO: Absorption of NO2 and NO by Na-based WFGD byproduct (Na2SO3)
KR101910880B1 (ko)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서 질소 산화물 및 황 산화물의 환원 방법
US8383074B2 (en) Process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desulfurizing and denitrating the flue gas with the seawater
CA1110830A (en) Process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from gaseous mixtures
US11060431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x emissions
WO2014113312A1 (en)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exhaust gases
CA2672301C (en) Method of cleaning flue gases from combustion plants with the subsequent production of urea
DK3012010T3 (en) Process and plant for cleaning the exhaust gases from an engine of a marine vessel
KR20120069270A (ko) 선박의 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동시 처리방법
CN207856647U (zh) 一种气相氧化协同吸收烟气多污染物净化装置
An et al. New application of seawater and electrolyzed seawater in air pollution control of marine diesel engine
JPH04247218A (ja) 排気ガス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6111602A (ja) 安定化された尿素水溶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51917A (ja) 排煙脱硫脱硝方法
Kordylewski et al. Influence of Oxidizing Reactor on Flue Gas Denitrification by Ozonation and Possibility of by-Product Separation
KR102259593B1 (ko) 오존기포를 이용한 배가스 처리장치
KR100471977B1 (ko) 흡수탑에서 흡수액내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조절방법
KR102164367B1 (ko) 촉매 재생시 에너지 절감을 위한 scr 시스템
JPH08108172A (ja) 酸化態窒素を含む廃水の処理方法
CN108771953A (zh) 一种等离子体结合硫酸盐的VOCs气体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