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968A -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968A
KR20150117968A KR1020140043825A KR20140043825A KR20150117968A KR 20150117968 A KR20150117968 A KR 20150117968A KR 1020140043825 A KR1020140043825 A KR 1020140043825A KR 20140043825 A KR20140043825 A KR 20140043825A KR 20150117968 A KR20150117968 A KR 20150117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put
input tool
spa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규
박태건
진평규
김무영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968A/ko
Priority to US14/684,225 priority patent/US20150293691A1/en
Publication of KR2015011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CHANGING A FUNCTION ACCORDING TO INPUT DIR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을 선택받은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택받은 특정 영역에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는 선택받은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받은 오브젝트를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오브젝트를 저장 또는 삭제시키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존하는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는 선택받은 특정 오브젝트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기능, 발췌하는 기능 및 삭제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지 않다. 즉,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모드로 전환하여 하나의 기능씩 수동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현존하는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는 특정 오브젝트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추가적인 인터랙션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현존하는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는 특정 오브젝트를 연속적인 발췌하는 기능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에 제공되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선택받은 영역에 대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모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입력도구로부터 감지한 입력방향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기능, 연속적으로 발췌하는 기능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입력도구로부터 감지한 입력방향에 따라 선택받은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연동하는 기능,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기능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줄여 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선택받은 영역에 대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모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입력도구로부터 감지한 입력방향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기능, 연속적으로 발췌하는 기능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설정된 메뉴에 따라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저장 및 삭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스마트 가전(smart whit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등),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2)는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134)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33)는 애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0)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160)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162)(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예: 같은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 (예: 다른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200)의 블록도이다. 상기 하드웨어(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드웨어(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214), 메모리(220), 통신 모듈(230), 센서 모듈(240), 사용자 입력 모듈 250, 디스플레이 모듈 260, 인터페이스 270, 오디오 코덱 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또는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예: 프로세서 12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211)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2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AP(211) 및 CP(213)가 프로세서(2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AP(211)와 CP(2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AP(211) 및 CP(2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210)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으로 도달한 경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고,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거나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드래그 된 방향이 제1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킬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드래그 된 방향이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며,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한 경우, 페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드래그 된 방향이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며,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한 경우, 페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드래그 된 방향이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P(211)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2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AP(21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213)는 하드웨어(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P(213)는,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P(2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CP(213)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21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단말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P(213)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P(213)는 통신 모듈(23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CP(213), 전력관리 모듈(295) 또는 메모리(220) 등의 구성요소들이 AP(211)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P(211)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CP(21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AP(211) 또는 CP(2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AP(211) 또는 CP(2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SIM 카드(21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현한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SIM 카드(21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내장 메모리(222) 또는 외장 메모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30)일 수 있다. 내장 메모리(22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222)는 Solid State Drive (SSD)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외장 메모리(224)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무선 통신 모듈(231) 또는 RF 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모듈(160)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1)은, 예를 들면, WiFi(233), BT(bluetooth, 235), GPS(237)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23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231)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231)은 하드웨어(2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234)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RF 모듈(234)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234)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RGB(red, green, blue) 센서(240H),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2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254), 키(key, 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25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 모듈(140)일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 인식도 가능하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2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키(256)로서,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터치 키가 이용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펜을 통해, 단말에서 마이크(예: 마이크(2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200)는 통신 모듈(23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패널(262) 또는 홀로그램(26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일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2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패널(262) 또는 홀로그램(26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72), USB(universal serial bus, 274), 프로젝터(276) 또는 D-sub(D-subminiature, 2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미도시)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280)은 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코덱(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화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렌즈 또는 후면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LED(flash LED,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관리 모듈(295)은 하드웨어 2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력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게이지(battery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전기를 생성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하드웨어(200)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21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MCU (299)은,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드웨어(2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도이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예: 메모리(130))에 포함(예: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하드웨어(예: 하드웨어(200))에 구현되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또는 운영체제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예: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커널(310), 미들웨어 (330),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360) 또는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310)(예: 커널(131))은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는, 예를 들면, 프로세스관리부(313), 메모리관리부(315) 또는 파일시스템 관리부(3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14), 카메라 드라이버(316), 블루투스 드라이버(318),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320), USB 드라이버(322), 키패드 드라이버(324), WiFi 드라이버(326) 또는 오디오 드라이버(3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는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미도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32))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346), 패키지 매니저(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 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상기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 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가 전화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는,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일부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API(360)(예: API(133))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예를 들면, 플랫폼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70)(예: 상기 애플리케이션(134))은, 예를 들면,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제 삼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6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 (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예: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object)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웹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화면(웹 브라우저 화면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401, 402)가 포함된 화면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40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40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403)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최초 입력받은 영역(403)에 다시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404)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404)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401)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404)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감지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해 보겠다. 상술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404)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을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에서 가장 많이 로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로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전원이 켜지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가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화면(대기 화면 및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501, 502)가 포함된 화면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503)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503)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503)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최초 입력받은 영역(503)에 다시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4)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4)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501)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4)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계속 입력도구에 의하여 특정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페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연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특정 영역에 대한 1차 선택을 받은 후 다른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연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 및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최초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4)을 설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한 후, 모드 전환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도구로부터 연속적인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특정 영역을 연속적으로 선택받아 저장하는 기능의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505)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505)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505)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505)에 다시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6)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6)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502)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506)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함과 동시에 계속 입력도구에 의하여 특정 영역을 선택받기 위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두 번의 연속적인 발췌를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발췌하는 동작의 종료를 입력받기 전에는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발췌하는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서는 화면이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연속적으로 발췌하여 설정된 저장 영역에 손쉽게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601, 602)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603)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603)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603)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플릭(flick) 됨을 감지하는 동작 및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동작 등의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이벤트를 추가로 감지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입력도구로부터 감지한 입력방향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기능 및 연속적으로 발췌하는 기능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기능과의 방향성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과의 방향성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이벤트를 입력도구가 설정된 방향으로 플릭 됨을 감지하는 동작 및 드래그 됨을 감지하는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플렉 동작 및 드래그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과 구별하기 위한 동작이라면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a) 및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최초 입력받은 영역(603)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604)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삭제된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과 상술한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과의 차이점은 선택받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존재하는지 여부이다. 즉, 전자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은 선택받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되지 않지만,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선택받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되는 차별점이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오브젝트만을 삭제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상술한 선택받은 영역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 번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605)을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605)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새롭게 선택받은 영역(605)이 더블 클릭 되는 동작 등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새롭게 입력받은 영역(605)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입력도구에 의하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606)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606)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602) 및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606) 내에 포함된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한 후, 설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701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된 후 다시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오브젝트 및 배경화면을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드래그 된 후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오브젝트 및 배경화면을 감지할 수 있다.
704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감지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최근에 가장 많이 실행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로딩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바로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임을 감지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801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8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8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804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감지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페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연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특정 영역에 대한 1차 선택을 받은 후 다른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연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80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특정 영역을 연속적으로 선택받아 저장하는 기능의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8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상술한 801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8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802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임을 감지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방향을 감지하여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901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9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9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904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90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오브젝트만을 삭제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9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901 동작을 반복하여, 상술한 선택받은 영역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 번 반복할 수 있다.
9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902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임을 감지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도구로부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경우, 설정된 메뉴에 따라 선택받은 영역을 연속적으로 저장 및 삭제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001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역 중 임의의 영역을 입력받은 후, 입력도구에 의하여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할 수 있다.
10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다시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0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또는 연속적으로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004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감지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페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저장 영역에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연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특정 영역을 연속적으로 선택받아 저장하는 기능의 종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상술한 1001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종료를 입력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1002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임을 감지한 경우, 본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1003 동작에서, 전자 장치에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1006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전자 장치에서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을 연속적으로 저장 기능 및 삭제하는 기능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로부터 구획된 영역을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에 특정 이벤트를 부가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하나의 회전방향(예: 제1 회전방향)으로 입력도구로부터 구획된 영역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로딩하는 실시 예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실시 예의 조합도 가능하다.
1007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한 오브젝트와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내에 위한 주변 영역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1008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1101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됨을 감지한 후,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가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입력도구가 입력도구에 의하여 최초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오브젝트 및 배경화면의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로딩하거나 연속적으로 저장 및 연속적으로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02: 전자 장치
104: 전자 장치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31: 커널 132: 미들웨어
13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40: 사용자 입력모듈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통신 모듈 162: 네트워크
164: 서버 200: 전자 장치
210: 프로세서 21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13: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214: SIM 카드
220: 메모리 222: 내장 메모리
224: 외장 메모리 230: 통신 모듈
231: 무선 통신 모듈 234: RF 모듈
233: WiFi 235: BT
237: GPS 239: NFC
240: 센서 모듈 240A: 제스처 센서
240B: 자이로 센서 240C: 기압 센서
240D: 마그네틱 센서 240E: 가속도 센서
240F: 그립 센서 240G:근접 센서
240H: RGB 센서 240I: 생체 센서
240J: 온/습도 센서 240K: 조도 센서
240M: UV 센서 250: 사용자 입력모듈
252: 터치 패널 254: 펜 센서
256: 키 258: 울트라 소닉
260: 디스플레이 모듈 262: 패널
264: 홀로그램 270: 인터페이스
272: HDMI 274: USB
276: 프로젝터 278: D-SUB
280: 오디오 코덱 282: 스피커
284: 리시버 286: 이어폰
288: 마이크 291: 카메라 모듈
295: 전력 관리 모듈 296: 배터리
297: 인디케이터 298: 모터
300: 전자 장치 310: 커널
311: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312: 디바이스 드라이버
330: 미들웨어 341: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342: 윈도우 매니저 343: 멀티미디어 매니저
344: 리소스 매니저 345: 파워 매니저
346: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347: 패키지 매니저
348: 연결 매니저 349: 통지 매니저
350: 위치 매니저 351: 그래픽 매니저
352: 보안 매니저 355: 런타임 라이브러리
360: API 370: 애플리케이션
371: 홈 372: 다이얼러
373:SMS/MMS 374: IM
375: 브라우저 376: 카메라
377: 알람 378: 컨텐트
379: 음성 다이얼 380: 이메일
381: 달력 382: 미디어 플레이어
383: 앨범 384: 시계
401: 오브젝트 402: 오브젝트
403: 입력받은 영역 404: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501: 오브젝트 502: 오브젝트
503: 입력받은 영역 504: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505: 입력받은 영역 506: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601: 오브젝트 602: 오브젝트
603: 입력받은 영역 604: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605: 입력받은 영역 606: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1)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
    (2)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3)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동작 및 (3)동작은,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1)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2)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를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3)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4)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동작 내지 상기 (4)동작은,
    적어도 한 번 수행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영역을 시작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력도구에 의하여 구획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며,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또 다른 영역으로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작을 적어도 한 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며,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상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된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저장 및 삭제하는 동작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삭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도구로부터 입력받은 또 다른 영역을 시작으로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 되어,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또 다른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도구가 상기 입력받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 도달함과 동시에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폐 영역 내의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삭제하며, 상기 삭제된 폐 영역 내의 공간을 설정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40043825A 2014-04-11 2014-04-11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17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25A KR20150117968A (ko) 2014-04-11 2014-04-11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684,225 US20150293691A1 (en) 2014-04-11 2015-04-1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data on a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25A KR20150117968A (ko) 2014-04-11 2014-04-11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968A true KR20150117968A (ko) 2015-10-21

Family

ID=5426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25A KR20150117968A (ko) 2014-04-11 2014-04-11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93691A1 (ko)
KR (1) KR201501179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64134A1 (en) * 2015-06-12 2016-12-15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028162B (zh) * 2016-05-16 2020-06-12 上海幻电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弹幕动态适配方法
US11076042B2 (en) 2017-02-27 2021-07-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Favorite-object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12188067B (zh) * 2020-10-06 2021-12-10 深圳云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可转动的5g智能终端的控制方法及系统
CN114466228B (zh) * 2021-12-31 2023-09-05 山东信通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投屏显示流畅度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8644A (en) * 1988-05-17 1991-11-26 Apple Computer, Inc. Color graphics system
JP4337062B2 (ja) * 2007-02-13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55112B2 (en) * 2012-06-08 2014-02-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workflow for digital image edi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3691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948B1 (ko)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02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KR102162836B1 (ko) 필드 속성을 이용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4413A (ko) 시선 데이터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25613A (ko)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869253A1 (en)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50026652A (ko) 전자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2276A (ko) 이미지 파일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1663A (ko)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1043292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57858B1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06053B1 (ko) 입력 도구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4410A (ko) 디스플레이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6687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51078A (ko) 전자 장치의 락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27934A (ko) 다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43894A (ko) 복수의 영상의 프리뷰 영역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1278A (ko)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50117968A (ko) 입력방향에 따라 기능을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54430A (ko) 복수의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19813A (ko) 컨텐츠 무결성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0633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pee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26257A (ko) 액세서리의 정보를 업 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3033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content change
KR20150086808A (ko) 폴더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