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895A - 검도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검도용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895A
KR20150117895A KR1020140043617A KR20140043617A KR20150117895A KR 20150117895 A KR20150117895 A KR 20150117895A KR 1020140043617 A KR1020140043617 A KR 1020140043617A KR 20140043617 A KR20140043617 A KR 20140043617A KR 20150117895 A KR20150117895 A KR 2015011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ndo
player
shield
neck
jo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봉환
Original Assignee
설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봉환 filed Critical 설봉환
Priority to KR102014004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895A/ko
Publication of KR2015011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보다 줄이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한다.
검도용 보호구(10)는 시합에 있어서 호면(20)과 함께 경기자(90)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끈(13)(착용부재)과, 경기자(90)의 머리에 착용끈(13)이 착용된 착용상태에 있어서 착용끈(13)에서 경기자(90)의 목(92)을 따라 하측을 향해 뻗어있으며, 돌출갑상(21)과 경기자(90)의 목(92)의 사이에서 목(92)를 덮게 구성되는 요진타레(11)과, 요진타레(11)을 착용끈(13)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를 갖추고 있다. 연결부재(12)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요진타레(11)이 경기자(90)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자재 되도록 요진타레(11)을 착용끈12에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경기자(90)이 두부를 젖혔을 때에도 요진타레(11)이 경기자(90)의 목(92)을 덮어 경기자(90)의 불안감을 보다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검도용 보호구{Kendo protective equipment}
본 발명은 검도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 말하자면 경기자의 두부 및 목을 좌우 양측 및 상측에서 덮는 면포단과, 경기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면금과, 경기자의 목 전방에 위치하여 검도 시합에 있어서 찌르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돌출갑상을 갖춘 호면과 함께, 경기자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검도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검도 호구와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며나 출원번호 10-2007-0007447은 검도용 호구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면, 호환, 갑 및 갑상에 있어 탈지면, 사슴 털, 부직포, 가죽 등으로 구성되는 내부재질과 면으로 되어 있는 외부 재질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와,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천연 음이온 소재와, 항균기능과 소취기능을 갖는 소재들을 코팅함으로써, 악취 제거는 물론 항균 및활력을 촉진시킬 수 있고, 호면의 빠른 착용과 뒷머리 부분의 보호 및 호면의 머리로부터 이탈 현상을 막기 위하여 기존에 호면의 암수 끈으로만 호면과 머리 부분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던 부분을 뒷머리 보호대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격렬한 운동시 호면이 머리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어린이도 빨리 호면의 암수 끈만을 잡아당겨서 빨리 호면을 묶을 수 있으며, 갑의 주요 갑판인 동대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죽이 동대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고 있는 부분을 활용하여 갑과 갑상이 연결되도록 하는데, 아래쪽 동대의 테두리 구멍을 넓게 타공하고, 상기 동대 하단부분의 구멍을 넓혀 타공하며, 갑상의 상층 허리요판 부분을 위로부터 아래로 약간 제거한 후 위의 동대에 나있는 구멍과 결속되도록 타공을 하여 갑상과 갑의 동대 부분이 연결되도록 인조가죽 끈으로 결속 처리하여 하나의 일체형 갑과 갑상을 형성함으로써, 빠른 갑과 갑상의 착용 및 대련시 갑상의 흘러내림 및 갑상의 풀림을 없앨 수 있고, 착용의 편의도 도모하며, 갑상은 갑과의 연결시 무게와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호환의 암수 끈 자리 부분에 벨크로 형태의 찍찍이 결속부를 만들어 호환의 착용시 호환이 벗겨짐 없이 결속될 수 있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출원번호 10-2004-0088093은 검도 수련시 수련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호면, 갑상, 갑 등의 호구를 수련자의 신체에 신속하고 용이 하며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검도용 호구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 검도 수련시 수련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호면, 갑, 갑상 등의 호구를 수련자의 신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호구 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호구 착용구는 호구를 수련자의 신체에 착용시키기 위하여 호구의 호면에 구비된 한쌍의 호면끈과, 갑상에 구비된 한쌍의 허리끈과, 갑에 구비된 한쌍의 허리끈 중 적어도 어느 한쌍의 끈에 각각 결합되는 수버클과 암버클로 이루어져,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의 결합에 의해 호구를 신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출원번호 20-2005-0010230은 검도용 안면보호구 결속밴드에 관련된 것으로 검도용 안면보호구의 정면에 위치하는 얼굴보호망과 상기 얼굴보호망을 지지하면서 머리에 쓰도록 된 캡을 결속조립하도록 된 결속밴드에 있어서, 나일론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양측에는 날처럼 얇게 형성되면서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형태가 되게 한 결속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과 별도로 검도 시합에 있어서 유효로 여겨지는 타격기술은 손목호구를 때리는 손목치기 기술과, 몸통 호구를 측방에서 때리는 허리치기 기술과, 호면의 상부를 상측에서 때리는 머리치기 기술과, 호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갑상을 찌르는 찌르기 기술로 크게 구별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갑상은 경기자의 목을 앞측에서 덮듯이 위치하는 타격부위이다. 이 때문에 경기자는 상기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죽도가 돌출갑상에서 벗어나면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낄 때가 있다.
이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검도 시합에 있어서는, 상기 돌출갑상과는 별도로 경기자의 목을 앞측에서 덮는 호구인 요진타레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요진타레는 종래의 호구에 있어서 돌출갑상보다도 내부로 위치하여 상기 호구와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검도에 있어서의 타격기술 중, 상기 머리치기 기술 및 상기 찌르기 기술을 펼칠 경우에 경기자는 종종 턱을 위로 올려 두부를 젖힌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종래의 요진타레는 상기 호면과 일체로 상측을 향하므로 상기 요진타레와 경기자의 목 사이에는 간격이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요진타레에는 상기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상기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가 턱을 위로 올려 두부를 젖혔을 때 상기 요진타레와 경기자의 목 사이에 생긴 간격을 뚫고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창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기자가 턱을 위로 올려 두부를 젖혔을 때에도 요진타레가 경기자의 목을 따라 이 목을 덮은 상태가 되도록 하여,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보다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검도용 보호구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취한다.
먼저 제1의 발명은 경기자의 두부 및 목을 좌우 양측 및 상측에서 덮는 면포단과, 경기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면금과, 경기자의 목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기 검도 시합에 있어서 찌르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돌출갑상을 갖춘 호면과 함께, 경기자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검도용 보호구이다. 이 검도용 보호구는 검도 시합에 있어서 상기 호면과 함께 경기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경기자의 두부에 착용부재가 착용된 착용상태에 있어서 착용부재에서 경기자의 목을 따라 하측을 향해 늘어짐으로써 상기 호면의 돌출갑상와 경기자의 목 사이에서 이 목을 덮듯이 위치하는 요진타레와, 이 요진타레를 착용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갖추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요진타레가 경기자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자재 되도록 요진타레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시키고 있다.
이 제1의 발명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이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는 경기자의 목을 따라 이 목을 덮고, 또한 경기자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자재 되도록 위치한다. 이 때문에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를 경기자가 턱을 위로 올려 두부를 젖혔을 때에도 이 경기자의 목을 따라 이 목을 덮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보다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2의 발명은 상술한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경기자의 아래턱의 위치에서 상기 요진타레가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이 요진타레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시킨 것이다.
이 제2의 발명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를 경기자의 아래턱을 좌우양측에서 끼워 넣는 2개소의 연결부재에서 매달린 상태에 위치시킨다. 이 때문에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경기자의 아래턱과 검도용 보호구의 연결부재 및 요진타레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자의 아래턱의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의 발명은 상술한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진타레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요진타레와 호면의 면포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검도 시합에서 사용되는 죽도의 타격부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3의 발명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이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는 호면의 돌출갑상보다도 경기자에게 가까운 안쪽에 위치하여 호면의 면포단과의 사이에 죽도의 타격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큰 간격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죽도의 타격부가 호면의 돌출갑상와 면포단과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가면 상기 죽도의 타격부는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 또는 호면의 면포단의 한쪽 또는 양쪽에 닿는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호면의 돌출갑상와 면포단과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간 죽도의 타격부가, 또한 상기 면포단과 상기 요진타레와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보다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발명은 상술한 제1에서 제3의 어느 쪽의 발명에 있어서 요진타레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분과,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하측부분이 상기 상측부분보다도 무거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4의 발명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이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의 중심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경기자가 턱을 위로 올려 두부를 젖혔을 때 이 경기자의 전방 또는 상방을 향해 요진타레가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이 요진타레가 경기자의 목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는 일이 보다 적어진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더욱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5의 발명은 상술한 제1에서 제4의 어느 쪽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가 상기 호면에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이 호면과 함께 경기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검도용 보호구이다. 또한 제5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면금은 상기 호면을 두부에 착용하는 경기자에 대해 이 경기자의 얼굴 오른쪽 절반에 대응하는 오른쪽 테두리와, 상기 경기자의 얼굴 왼쪽 절반에 대응하는 왼쪽 테두리와, 상기 경기자의 두부 전방에 있어서 경기자의 이마에서 경기자의 아래턱을 향해 뻗어있는 횡금(橫金)을 각각 별체로 갖추고, 이 횡금 및 상기 오른쪽 테두리 및 상기 왼쪽 테두리는 상기 면금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5의 발명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를 호면과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검도용 보호구 및 호면을 동시에 착용하여 검도용 보호구 및 호면의 착용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호면의 면금 상부에 있어서는, 이 면금에 있어서 각각 별체로 여겨지는 횡금 및 오른쪽 테두리 및 왼쪽 테두리가 서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 때문에 상기 머리치기 기술에 의해 면금의 상부에 전해지는 충격 및 진동이 상기 횡금 또는 오른쪽 테두리 또는 왼쪽 테두리의 어느 1군데에서 2군데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머리치기 기술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이 경기자에 의해 전달되기 어려운 호면 및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검도용 보호구를 통하면,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에서 벗어난 죽도가 경기자의 목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의 불안감을 더욱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고, 머리치기 기술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이 경기자에 의해 전달되기 어려운 호면 및 검도용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임.
도 2는 그림1의 검도용 보호구를 나타낸 배면도임.
도 3은 그림1의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주요부횡면도이며, 경기자가 직립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냄.
도 4는 그림1의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주요부횡면도이며, 경기자가 턱을 위로 올리고 두부를 젖힌 상태를 나타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 및 호면을 나타낸 정면도임.
도 6은 그림5의 검도용 보호구 및 호면을 나타낸 배면도임.
도 7은 그림5의 호면의 면금을 단체로 나타낸 배면도임.
도 8은 그림7의 Ⅷ-Ⅷ선 단면도임.
도 9는 그림7의 면금에 있어서 그림8에 나타낸 부분과 같은 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사투상도임.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호면을 착용하기 위한 호면끈 및 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금구 등의 부수적이고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의 실시형태)
먼저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10)의 구성에 대해 도1 또는 도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이 검도용 보호구(1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듯이 요진타레(11)을 갖추고 있으며, 또한 검도 시합에 있어서 경기자(90)가 호면(20)과 함께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검도용 보호구이다.
여기에서 호면(20)은 도1 또는 도4에 나타내듯이 경기자(90)의 두부 및 목(92)을 좌우 양측 및 상측에서 덮는 면포단(22)과 경기자(90)의 얼굴 전방(도3에서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상부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면금(23)과 경기자(90)의 목(92) 전방에 위치하며 검도 시합에 있어서 찌르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돌출갑상(21)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호면(20)은 그림3 및 그림4에 나타내듯이 돌출갑상돌출갑상(21)과 별도로 경기자(90)의 목(92)을 내부에서 보호하는 요진타레를 갖추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경기자(90)는 필요에 따라 검도용 보호구(10)를 호면(20)과 함께 착용함으로써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21)에서 벗어난 죽도(도시 생략)가 경기자(90)의 목(92)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암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검도용 보호구(10)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경기자(90)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끈(13)과, 경기자(90)의 두부에 착용끈(13)이 착용된 착용상태에 있어서 착용끈(13)에서 경기자(90)의 목(92)을 따라 하측을 향해 뻗어있는 요진타레(11)와, 이 요진타레(11)를 착용끈(13)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착용끈(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착용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착용끈(13)은 도1 및 도3에 나타내듯이 고리(도3 참조)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자(90)의 얼굴 윤곽을 따라 꼭 댄 상태로 착용되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검도용 보호구(10)를 착용한 경기자(9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듯이 검도용 보호구(10)의 위에 호면(20)을 겹쳐 착용함으로써 이 호면(20)에 있어서 경기자(90)의 얼굴 윤곽에 위치하는 내륜(20A)이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끈(13)을 누르게 하여 착용하고 있는 검도용 보호구(10) 보다 탈락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2)는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금속제의 고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12)는 경기자(90)의 두부에 착용끈(13)이 착용된 착용상태에 있어서 경기자(90)의 아래턱(91)을 좌우 양측(도시 좌우 양측)에서 끼워 넣는 2개소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부재(12)는 도1 또는 도4에 나타나듯이 상기 2개소의 위치에서 요진타레(11)가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요진타레(11)를 착용끈(13)에 연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요진타레(11)는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호면(20)의 돌출갑상(21)과 경기자(90)의 목(92) 사이에서 (도3에서 보면 우측)에서 덮고 있고, 경기자(90)의 전후방향(도3에서 보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10)의 요진타레(11)는 경기자(90)가 서 있을 때(도3 참조)에도 검도의 머리치기 기술 또는 찌르기 기술에 맞춰 경기자(90)가 턱(91)을 위로 올려 머리를 젖혔을 때(도4 참조)에도 경기자(90)의 목(92)을 따라 덮은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21)에서 벗어난 죽도(도시 생략)가 경기자(90)의 목(92)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90)의 불안감을 줄이는 검도용 보호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10)의 요진타레(11)을 경기자(90)의 아래턱(91) 좌우 양측에서 끼워 넣는 2개소의 연결부재(12)에서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때문에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경기자(90)의 아래턱(91)과 검도용 보호구(10)의 연결부재(12) 및 요진타레(11)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자(90)의 아래턱(91)의 형상에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는 검도용 보호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요진타레(11)은 도1 또는 도4에 나타나듯이 누빔(도시 생략)을 한 천에 의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진타레(11)은 검도용 보호구(10)의 호면(20)과 함께 착용된 상태에 있어서 이 호면(20)의 돌출갑상(21)보다도 경기자(90)에 가까운 안쪽(도3에서 봐서 좌측)이 되는 위치에서 이 경기자(90)의 목(92)을 덮듯이 위치되어 진다.
또한 요진타레(11)은 도1 또는 도2가 나타내듯이 검도용 보호구(10)의 호면(20)과 함께 착용된 상태에 있어서 이 호면(20)의 돌출갑상(21)보다도 하측(도시 하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요진타레(11)과 호면(20)의 면포단(22)과의 사이의 간격이 검도 시합에 사용되는 죽도의 타격부(도시 생략)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의해 죽도의 타격부가 호면(20)의 돌출갑상(21)과 면포단(22)와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갔을 경우에, 상기 죽도의 타격부는 검도용 보호구(10)의 요진타레(11) 또는 호면(20)의 면포단(22)의 한쪽 또는 양쪽에 닿는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호면(20)의 돌출갑상(21)과 면포단(22)와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간 죽도의 타격부가, 나아가 면포단(22)과 요진타레(11)과의 사이의 간격을 빠져나가 경기자(90)의 목(92)를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90)의 불안감을 보다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도용 보호구(10)의 요진타레(11)은 호면(20)의 돌출갑상(21)보다도 하측에 돌출하여 보이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따라 경기자(90)가 검도용 보호구(10)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주위의 사람(예를 들어 경기자(90)의 대전상대 및 검도 시합을 관전하고 있는 관객)이 알아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진타레(11)은 도1 및 도2에 나타내듯이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부분(11A)과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부분(11B)으로 구성된다. 이 하측부분(11B)에는 도1 또는 도4에 나타내듯이 상기 착용상태에 있어서 전측(도3에서 봐서 우측)이 되는 바깥쪽에 포켓(11C)가 달려있다. 이 포켓11C 속에는 생가죽제 보강판(11D) 및 금속제 보강봉(11E)이 각각 출납가능 하도록 들어가 있다.
여기에서 보강판(11D) 및 보강봉(11E)는 그 강성에 의해 요진타레(11)을 보강함으로써,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의해 호면(20)의 돌출갑상(21)에서 요진타레(11)을 통해 경기자(9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보강판(11D) 및 보강봉(11E)는 요진타레(11)의 하측부분(11B)에 달린 포켓(11C)에 들어감으로써 요진타레(11)에 있어서 하측부분(11B)을 상측부분(11A)보다도 무겁게 하는 저울추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요진타레(11)에 있어서 하측부분(11B)를 상측부분(11A)보다도 무겁게 함으로써 검도용 보호구(10)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이 검도용 보호구(10)의 요진타레(11)의 중심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도의 머리치기 기술 및 찌르기 기술에 맞춰 경기자(90) 턱(91)을 위로 올려 머리를 젖혔을(도4 참조) 때에 이 경기자(90)의 전방 또는 상방(도4에서 봐서 우측 또는 상측)을 향해 요진타레(11)이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이 요진타레(11)이 경기자(90)의 목(92)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는 일이 보다 적어진다. 이에 따라 검도의 찌르기 기술에 있어서 돌출갑상(91)에서 벗어난 죽도(도시 생략)가 경기자(90)의 목(92)을 타격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경기자(90)의 불안감을 더욱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보강판(11D) 및 보강봉(11E)이 들어가는 포켓(11C)이 요진타레(11)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요진타레(11)은 도3 및 도4에 나타내듯이 보강판(11D) 및 보강봉(11E)에 의해 보강된 바깥쪽의 면보다도 부드러운 안쪽 면이 경기자(90)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요진타레(11)의 착용감이 보강판(11D) 및 보강봉(11E)에 의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호면(20)의 돌출갑상(21)에서 요진타레(11)을 통해 경기자(90)에 전달되는 검도의 찌르기 기술의 충격 및 진동을 보다 줄이는 것을 실현시키는 검도용 보호구(1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
이어서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30)의 구성에 대해 도5 또는 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검도용 보호구(30)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10)를 변형한 실시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10) 및 호면(20)의 각 구성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도용 보호구(10) 및 호면(20)의 각 구성에 붙인 부호의 숫자에 「20」을 가산한 부호를 붙여 대응시키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30)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듯이 검도 시합에 있어서 경기자(90)의 머리에 착용되는 호면(40)에 일체로 설치되는 내륜(40A)을 검도용 보호구(30)에 있어서 착용부재로 함으로써 호면(40)과 함께 경기자(90)의 두부에 착용되는 검도용 보호구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검도용 보호구(30)는 호면(40)의 내륜(40A)에 연결부재(32)를 통해 요진타레(31)을 매단 상태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용 보호구(30)를 호면(40)과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경기자(90)는 검도용 보호구(30) 및 호면(40)을 동시에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자(90)가 검도용 보호구(30) 및 호면(40)을 착용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30)에 있어서 요진타레(31)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10)에 있어서 요진타레(11)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30)에 있어서 연결부재(32)는 제1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10)에 있어서 연결부재(12)를 금속제 이중링으로 바꿔 놓은 것으로, 그 작용효과는 제1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10)에 있어서 연결부재(12)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제2의 실시형태의 검도용 보호구(30)에 있어서 요진타레(31) 및 연결부재(3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호면(40은) 경기자(90)의 두부 및 목(92)의 좌우양측 및 상측에서 덮는 면포단(42)와, 경기자(90)의 목(92)의 전방에 위치하여 검도 시합에 있어서 찌르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돌출갑상과, 경기자(90)의 얼굴 전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면금(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금(43)은 도5 또는 도7에 나타내듯이 좌우방향으로 분할된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와, 상기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의 중앙으로 도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구성되된 횡금43C으로 인해 좌우로 누뉜다. 여기에서 오른쪽 테두리(43A)는 도5에 나타내듯이 호면(40)을 두부에 착용하는 경기자(90)에 대해 이 경기자(90)의 얼굴 오른쪽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왼쪽 테두리(43B)는 호면(40)을 두부에 착용하는 경기자(90)에 대해 이 경기자(90)의 얼굴 왼쪽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횡금(43C)는 호면(40)을 머리에 착용하는 경기자(90)의 이마에서 경기자(90)의 아래턱을 향해 뻗도록 완곡한 형상(도8 및 도9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면금(43)에 있어서 횡금(43C) 및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는 도7 또는 도9에 나타내듯이 면금(43)의 상단이 되는 위쪽 부분 및 면금(43)의 하단이 되는 아래쪽 부분(도7 참조)의 각각에 겹쳐져 조임핀(43D)에 의해 죄어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면금(43)에 있어서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 및 횡금(43C)은 도5 또는 그림7에 나타내듯이 상기 횡금(43C)에 삽통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4개)의 종금이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에 건너지르듯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로 여겨지는 호면(40)의 면금(43) 상부에 있어서는 상기 면금(43)에 각각 별도로 구성된 된 횡금(43C) 및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쪽 테두리(43B)가 서로 건너지르듯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호면(40)에 있어서는 상기 찌르기 기술에 의해 면금(43)의 상부에 전해지는 충격 및 진동이 횡금(43C) 또는 (오른쪽 테두리(41A) 또는 왼쪽 테두리(41B)의 어느 1군데에서 다른 2군데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머리치기 기술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이 경기자(90)에 보다 전달되기 어려워진 호면(40) 및 검도용 보호구(3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호면(40)의 면금(43)의 상단이 되는 위쪽 부분에 있어서 횡금(43C) 및 오른쪽 테두리(43A) 및 왼족 테두리(43B)가 겹쳐진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이 면금(43)의 위쪽부분을 두껍고 튼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로 여겨지는 면금(43)의 상부 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머리치기 기술의 대한 면금(43) 및 호면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외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검도용 보호구의 연결부재는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검도용 보호구의 연결부재는, 예를 들면 임의의 소재 및 형상의 고리 또는 요진타레를 착용부재에 대해 매달린 상태로 묶는 끈 등,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상태에 있어서 요진타레가 경기자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자재 가능한 임의의 연결부재로 할 수 있다.
(2)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는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요진타레에 설치되는 포켓을 생략하고 보강판 및 보강봉을 요진타레에 심어 넣은 구성, 또는 요진타레에서 보강판 및 보강봉을 샹락하고 요진타레의 하측부분을 상측부분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이 상측부분보다도 무겁게한 구성을 채용하는 등, 검도용 보호구의 요진타레의 구체적인 구성을 적의변경할 수 있다.
(3)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부재는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검도용 보호구의 착용부재를, 예를 들면 임의의 형상의 면두건 또는 면수건 등, 호면과 함께 경기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임의의 착용부재로 할 수 있다.
10 : 검도용 보호구 11 : 요진타레 11A : 상측부분
11B : 하측부분 11C : 포켓 11D : 보강판
11E : 보강봉 12 : 연결부재 13 : 착용끈 (착용부재)
20 : 방어구 20A : 내륜 21 : 돌출갑상
22 : 면포단 23 : 면금 30 : 검도용 보호구
31 : 요진타레 31A : 상측부분 31B : 하측부분
31C : 포켓 31D : 보강판 31E : 보강봉
32 : 연결부재 40 : 호면 40A : 내륜 (착용부재)
41 : 돌출갑상 42 : 면포단 43 : 면금
43A : 오른쪽 테두리 43B : 왼쪽 테두리 43C : 횡금
43D : 조임핀 90 : 경기자 91 : 아래턱
92 : 목

Claims (4)

  1. 경기자의 두부(頭部) 및 목을 좌우 양측 및 상측에서 덮는 호면 면포단과, 전기 경기자의 얼굴 전방에 위치하여 상부가 검도 시합에 있어서 머리치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면금과, 전기 경기자의 전기 목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기 검도 시합에 있어서 찌르기 기술의 타격부위로 여겨지는 돌출갑상을 갖춘 호면으로 구성된 검도용 보호구에 있어서,
    상기 호면과 함께 상기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머리에 상기 착용부재가 착용된 착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재에서 사용자의 목을 따라 하측을 향해 늘어짐으로써 상기 호면의 상기 돌출갑상과 사용자의 목 사이에 위치하는 요진타레와,
    상기 요진타레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갖추고,
    전기 연결부재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상기 요진타레가 사용자의 전후방향으로 유동자재 되도록 상기 요진타레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도용 보호구.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사용자의 아래턱 좌우 양측의 위치에 각각 구성되어, 해당 2개소의 위치에서 상기 요진타레가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상기 요진타레를 상기 착용부재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도용 보호구.
  3.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진타레는 상기 호면과 상기 면포단 사이의 간격이 죽도의 타격부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위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도용 보호구.
  4.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진타레는 상측 및 하측부분으로 나누되 상기 하측부분이 상측부분 보다도 무겁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도용 보호구.
KR1020140043617A 2014-04-11 2014-04-11 검도용 보호구 KR20150117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17A KR20150117895A (ko) 2014-04-11 2014-04-11 검도용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17A KR20150117895A (ko) 2014-04-11 2014-04-11 검도용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95A true KR20150117895A (ko) 2015-10-21

Family

ID=5440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17A KR20150117895A (ko) 2014-04-11 2014-04-11 검도용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8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0549B2 (en) Protective athletic equipment
US7866065B2 (en) Integrated buckle strap receiver for footwear
US20110010829A1 (en) Combined neck and upper body protective garment
US9215898B2 (en) Shin guard
JP4956585B2 (ja) サッカー用ウェア
US20100162466A1 (en)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US20130185839A1 (en) Leg guard assembly
CA2617339A1 (en) Shin guard
JP2019501674A (ja) 格闘技用ボディプロテクター
US4135252A (en) Shoulder pad
CA2325681C (en) Hockey pants featuring an adjustable dorsal protector
US7874022B2 (en) Protective athletic garment
JP6643464B2 (ja) 改良型対鋸保護
CN101610818B (zh) 用于高尔夫球员的运动辅助装备
KR20150117895A (ko) 검도용 보호구
US20160374412A1 (en) Lower leg sleeve
KR20180040789A (ko)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즈
JP5438204B1 (ja) 剣道用保護具
CN205456368U (zh) 防砸马靴
JP4846349B2 (ja) スパッツ
US11178919B2 (en) Garment for motorcyclists
US1880570A (en) Breeches
KR101703687B1 (ko) 스파링 보호구
KR200494692Y1 (ko) 골프 힙턴 타이밍 연습기
TWM537810U (zh) 襪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