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063A -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063A
KR20150117063A KR1020140042311A KR20140042311A KR20150117063A KR 20150117063 A KR20150117063 A KR 20150117063A KR 1020140042311 A KR1020140042311 A KR 1020140042311A KR 20140042311 A KR20140042311 A KR 20140042311A KR 20150117063 A KR20150117063 A KR 2015011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security
cr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764B1 (ko
Inventor
김영우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티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티, 김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4004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7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비상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에 놓인 위난자의 호출과 음성을 손실 없이 정확하게 방범 관제 센터로 빠르게 전달하고, 위난자와 상담원을 빠르게 연결하여 범죄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난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과 지도를 표시하여 위난에 처한 위난자를 빠르게 구난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Security emergency bell system using internet protocol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범 비상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에 놓인 사람(이하 "위난자"라 함)의 호출과 음성을 손실 없이 정확하게 방범 관제 센터로 빠르게 전달하고, 위난자와 상담원을 빠르게 연결하여 범죄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난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과 지도를 표시하여 위난에 처한 위난자를 빠르게 구난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각박해짐에 따라 묻지마 폭행, 우발적 폭행 및 성폭력 등의 다양한 범죄들이 발생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들 중 하나가 길거리이다.
길거리 범죄를 최대한 예방하고, 일어난 범죄에 대해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인적인 드문 우범지대의 길거리를 위주로 다양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들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단말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길거리의 건물 또는 기둥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범 단말부(10) 및 방범 관제부(50)를 포함한다.
방범 단말부(10) 및 방범 관제부(50)는 유무선 인터넷망(40)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40)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망으로, 인터넷망을 가상으로 사설망처럼 사용하는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VPN) 등을 포함하는 망이다.
방범 단말부(10)는 호출 신호 및 음성을 송수신하는 호출부(20)와, 카메라(32)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32)를 통해 촬영되는 방범영상과 상기 호출부(20)로부터 수신되는 호출신호 및 음성을 IP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이하 "IP 신호" 또는 "인터넷 신호"라 함)로 변환하여 유무선 인터넷망(40)을 통해 방범 관제부(50)로 제공하고, 상기 방범 관제부(50)로부터 송신된 음성을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40)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호출부(20)로 출력하는 카메라부(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부(30)는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하여 방범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32) 및 상기 방범영상만을 유무선 인터넷망(40)을 통해 방범 관제부(50)로 전송하고, 호출부(20)로부터 입력되는 호출버튼의 눌림에 의한 호출 이벤트 신호의 발생 시 방범영상과 함께 방범 관제부(50)로 전송하며 호출부(20)로부터 음성신호의 입력 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방범영상과 함께 방범 관제부(50)로 전송하며, 방범 관제부(5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신호 및 경보 신호를 호출부(20)로 출력하는 카메라 처리부(31)로 구성된다.
호출부(20)는, 호출버튼(22)의 눌림 시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상기 카메라 처리부(31)로 출력하고, 카메라 처리부(31)를 통한 방범 관제부(50)의 상담원과 통화로가 형성된 경우 마이크(24)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카메라 처리부(31)로 출력하고, 카메라 처리부(3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음성신호 및 경보신호를 스피커(23)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호출신호 및 음성이 카메라부를 거쳐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방범 관제부로 제공되므로 카메라부와 호출부 간의 접속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호출부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카메라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호출부 또한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방범 단말부 전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부에서 발생되는 호출 이벤트 신호, 음성신호 및 경보 신호가 카메라부를 통해 송수신됨에 따라 호출부와 카메라부 간의 접속에 이상이 없어도, 카메라부가 수신되는 호출 이벤트 신호 및 음성신호를 제때에 해당 영상신호와 결합하여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호출 이벤트 신호 및 음성신호가 망실되어 방범 관제부(50)로 전송되지 못해 위난자를 구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더 위험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233229호(1999.9.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급 상황에 놓인 위난자의 호출과 음성을 손실 없이 정확하게 방범 관제 센터로 빠르게 전달하고, 위난자와 상담원을 빠르게 연결하여 범죄의 발생을 예방하고, 위난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과 지도를 표시하여 위난에 처한 위난자를 빠르게 구난할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카메라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부와 호출부에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실시간 촬영된 방범영상 및 해당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영상신호, 위난자의 구난 요청에 의한 호출 이벤트 발생 시 호출 이벤트 신호와 호출부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 및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송신에 따른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담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범 단말부; 및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영상신호로부터 방범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호출 신호에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부와 상담원 단말기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담원과 위난자간 통화를 제공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에서 촬영된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방범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범 단말부는, IP주소가 할당되며, 설치된 주변 영역을 실시간 촬영하여 방범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범영상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영상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상기 카메라부; IP주소가 할당되며, 위난자의 구난 요청에 의한 호출 이벤트 발생 시 호출이벤트 신호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가 IP 주소에 의해 상담원과 통화로를 형성한 후, 상기 상담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상기 호출부; 및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가 할당되며,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호출부에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IP 영상신호, IP 호출신호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IP 호출신호의 IP 주소에 의해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상담원의 상담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호출 이벤트의 발생 시 경보 신호, 상기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응답 신호를 상기 방범 단말부를 통해 호출부로 제공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IP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보신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인터넷 교환기;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와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하는 GIS 서버; 및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방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범 관제 서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부;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 이벤트 발생 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는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음원을 포함하는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이상음원에 대한 특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의 특징과 상기 이상음원의 특징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이면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상기 방범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음원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교환기;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와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하는 GIS 서버; 및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GIS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방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인터넷 교환기; 및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GI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IS 서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 방범 단말부들 각각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시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부;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 이벤트 발생 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는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음원을 포함하는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이상음원에 대한 특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의 특징과 상기 이상음원의 특징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이면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상기 GIS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음원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교환기; 및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 제공하는 GI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음원은 구난을 요청하는 위난자가 발성한 음성 및 위난 상황임을 나타내는 위난 상황 음성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카메라 및 호출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범 단말부와 상기 방범 단말부들과 IP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각 방범 단말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방범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의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VMS 서버를 포함하는 방범 비상벨 시스템에 있어서, 위난 상황에 처한 위난자가 임의의 방범 단말부의 호출부를 통해 구난을 요청하면 상기 호출부가 호출 이벤트 신호, 상기 호출부 IP 주소 및 상기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전송하여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 요청 과정; 및 통합 방범 관제부가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영상신호로부터 방범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호출 신호에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부와 상담원 단말기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담원과 위난자간 통화를 제공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에서 촬영된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구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 GIS 서버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송신하는 지도데이터 획득 단계; 및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 단계;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호출부와 통화로가 형성된 상담원 및 상담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를 인터넷 교환부로부터 획득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상담원 연결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방범 관제 서버가,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 및 상기 각 위치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이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상담원 단말기로 제공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상담원 단말기가 상기 방범영상이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상담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과정은, 이상음원 서버가 상기 호출부의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음원의 특징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상음원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인 경우 호출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GIS 서버로 출력하는 이상음원 호출 이벤트 발생 단계; GIS 서버가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호출 이벤트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 제공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 상기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 및 GIS 서버가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과 영상을 이원화하여 각각의 IP주소를 가지는 IP 신호로 방범 관제 센터로 제공하므로 카메라부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호출 이벤트 신호 및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호출 이벤트 신호 및 음성신호의 망실 없이 빠르게 방범 관제부로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위난자를 위난으로부터 빠르게 구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음원 서버를 구축하여 방범 단말부가 설치된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소리로부터 위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음원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음원의 검출 시 카메라를 통해 해당 방범영역 및 주변 방범영역을 촬영하고 호출부를 통해 경보음 및 상담원의 음성을 출력하여 위난자를 위난으로부터 구난하고,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위난자가 호출 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호출 버튼을 누를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경황이 없고 위급한 위난자에 대해 빠른 구난 처리를 수행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단말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단말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그 시스템에서의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단말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은 다수의 방범 단말부(100)들과 통합 방범 관제부(200)로 구성된다.
방범 단말부(100)는 카메라부(110), 호출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건물의 상단부 또는 기둥 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주변 일정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IP 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방범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범영상,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30)로 출력한다.
호출부(120)는 호출버튼(121), 마이크(122), 스피커(123)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 및 호출 처리부(125)를 포함한다.
호출버튼(121)은 위난자가 누를 경우 호출 버튼 신호를 생성하여 호출 처리부(125)로 출력한다.
호출 처리부(125)는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IP 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한다. 호출 처리부(125)는 상기 호출버튼(121)으로부터 호출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출 이벤트 신호,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30)로 출력하고, 통화로 형성 시 상기 마이크(122) 및 스피커(123)를 통해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상담원과 IP 기반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출 처리부(125)는 실시예에 따라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를 항시 구동하여 방범 단말부(110)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를 통해 수신되는 주변의 소리(이하 "음원"이라 함)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원, 단말 식별정보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30)로 출력한다.
통신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 및 호출부(120)에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한다. 상기 카메라부(110) 및 호출부(120)에 할당되는 IP 주소는 로컬 IP 주소일 것이다.
상기 통신부(130)는 또한, 상기 로컬 IP 주소와 구분되는 광대역 IP 주소를 유무선 인터넷망(40)으로부터 할당받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 및 호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생성하여 유무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통합 방범 관제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부(120) 및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상담원 단말기 간 IP 기반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맥(MAC) 어드레스 등 또는 고유의 단말 식별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신부(130)에서 송신되는 IP 방범 신호는 통신부(130)의 IP 주소 및 목적지 주소인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광대역 IP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신호들은 전송되어야 할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해당 서버의 로컬 IP 주소를 포함할 것이다. 이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합 방범 관제부(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방범 관제 서버(300), 비디오 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VMS) 서버(400),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서버(600) 및 인터넷 교환기(700)를 포함하고, 제2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관리 시스템(Video Management System: VMS) 서버(400),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서버(600) 및 인터넷 교환기(700)를 포함하며, 제3실시예에 따라 이상음원 서버(500)를 더 포함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 따른 통합 방범 관제부(200)는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방범 관제 서버(300)가 구성된다. 이에 따른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인터넷 교환기(700)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710)들과 IP 기반 및/또는 회선 기반으로 연결되어 방범 단말부(100)들과 IP 기반의 음성통신을 제공한다. 상담원 단말기(710)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화단말기와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된다.
인터넷 교환기(700)와 상담원 단말기(710)의 전화 단말기는 도 3과 같이 회선(전화라인) 기반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IP 기반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 교환기(700)와 컴퓨터 단말기는 IP 기반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담원 단말기(710)의 전화 단말기 및 컴퓨터 단말기 둘 모두 인터넷 교환기(700)와 IP 기반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담원 단말기(710)의 전화단말기 및 컴퓨터 단말기가 IP 기반으로 연결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인터넷 교환기(700)는 로컬망(40)을 통해 IP 방범 신호의 IP 호출 신호를 수신받고, IP 호출 신호에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IP 호출 신호의 수신 시 IP 호출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하고, 상담원 단말기(710)들 중 통화 가능한 대기 상태에 있는 상담원 단말기(710)로 링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링 신호에 대해 응답한 상담원 단말기(710)와 상기 IP 호출 신호를 송신한 방범 단말부(100)의 호출부(120) 간 IP 기반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하여 위난자와 상담원간의 통화를 제공한다.
VMS 서버(400)는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광대역 IP 주소를 가지는 로컬망(800)을 통해 방범 단말부(100)들로부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P 영상 신호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영상을 검출하고, 단말 식별정보별로 방범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VMS 서버(400)는 방범 관제 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한다.
GIS 서버(600)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 각각이 설치된 위치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방범 관제 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범 단말부(100)들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100)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상기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한다.
방범 관제 서버(300)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호출 이벤트 발생에 의한 단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단말 식별정보의 수신 시 GIS 서버(600)로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100)에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100: 이하 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 단말부의 식별부호를 100-1로, 상기 방범 단말부(100-1)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인접 방범 단말부의 식별부호를 100-2로 표기한다.)들의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VMS 서버(400)를 통해 상기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에 대한 방범영상을 획득하여 대형 스크린(360)에 표시하고,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와 연결된 상담원 단말기(710)에 대한 상담원 연결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상기 상담원 단말기(710)로 상기 방범영상 및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 방범 관제부(200)는 방범 관제 서버(300)가 구성되지 않고, 방범 관제 서버(300)의 동작을 GIS 서버(600)가 수행한다.
이에 따른 통합 방범 관제부(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인터넷 교환기(700)는 IP 호출 신호가 수신되고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 식별정보를 GIS 서버(600)로 제공한다.
GIS 서버(600)는 방범 단말부(100)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 단말부(100)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100-1)의 위치 및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시킨 방범 단말부(100-1) 및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400)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100)들을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리정보의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상음원 서버(500)를 더 포함하여 방범 단말부(100)의 주변에서 이상음원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음원의 발생 여부에 따라 위난자의 구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상음원 서버(500)는 이상음원들에 대한 특징데이터들을 가지고 있으며, 방범 단말부(100)의 호출부(120)의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를 통해 방범 단말부(100) 주변의 음원을 수집한다. 상기 이상음원이란 구난을 요청하는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도둑이야", "강도야" "저 놈 잡아라." 등과 같은 위난자가 발성한 음성 및 위난 상황임을 나타내는 "쿵", "쾅" "끽" 등과 같은 위난 상황 소리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음원 서버(500)는 호출부(120)의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를 통해 음원이 수집되면 수집된 음원의 특징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상음원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면 수집된 음원에 이상음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호출 이벤트 신호, 단말 식별정보 및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를 실시예에 따라 방범 관제 서버(300) 또는 GIS 서버(600)로 제공한다.
그러면 방범 관제 서버(300) 또는 GIS 서버(600)는 이상음원 서버(500)로부터 IP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IP 호출 신호가 수신된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검색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에 대한 영상을 VMS 서버(400)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100-1)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를 인터넷 교환기(700)로 제공한다.
인터넷 교환기(700)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그 이후의 동작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의 방범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GIS 서버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실시예)
방범 관제 서버(300)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 GIS 정보 획득부(320), 영상 획득부(330),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는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호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해당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 단말 식별정보의 수신 시 GIS 정보 획득부(320), 영상 획득부(330) 및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로 제공한다.
GIS 정보 획득부(320)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로부터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GIS 서버(600)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단말 식별정보 및 지리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응답하여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단말 식별정보 및 지리정보가 GIS 서버(600)로부터 수신되면 GIS 정보 획득부(320)는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영상 획득부(330)로 제공하고 지리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영상 획득부(330)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 및 GIS 정보 획득부(320)로부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1)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단말 식별정보들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신호를 VMS 서버(400)로 전송하여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에 대한 방범영상을 요청한다.
이에 대한 방범영상들이 수신되면 영상 획득부(33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로 제공한다.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는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인터넷 교환기(700)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는 제3실시예에 따라 이상음원 서버(500)로부터 호출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를 인터넷 교환기(700)로 제공한다.
상기 제1실시예의 상담원 연결 정보 요청 신호 또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해 상담원 연결 정보가 수신되면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상기 상담원 연결 정보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와 통화로가 형성된 상담원의 이름, 상담원 단말기 식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담원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담원 단말기(710)에 할당된 IP 주소 및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담원 연결 정보에는 상담원과 위난자 간의 통화 음성이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통화 음성이 포함되는 경우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통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담원 연결 정보는 인터넷 교환기(700)가 상담원 연결 후 무조건적으로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는 GIS 정보 획득부(320)로부터 입력되는 방범 단말부(100)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리정보(지도데이터)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360)에 표시하고, 영상 획득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의 방범영상을 입력받아 해당 지리정보의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는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로부터 입력되는 상담원 연결 정보를 지리정보 상에 또는 지리정보와 분리된 별도의 위치에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60)에 표시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GIS 서버(600)는 방범 관제 서버(30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GIS 서버(600)의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 영상 획득부(330),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34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GIS 정보 획득부(320)는 방범 대상 영역에 대한 지도데이터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의 지도데이터 상에서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310)로부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지리정보에서 상기 방범 단말부(100-1)와 인접한 위치에 있는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지도데이터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또한, GIS 정보 획득부(320)는 상기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단말 식별정보와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를 영상 획득부(330)로 제공하고, 이에 대한 상기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의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제어부(350)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범 단말부(100)는 평상 시 카메라부(11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방범영상을 IP 영상 신호에 실어 영상 관리 서버(400)로 제공한다(S111). 다시 말하면, VMS 서버(400)는 방범 단말부(100)로부터 방범영상을 수신하고 각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방범영상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방범 관제 서버(300)는 일반적으로 지리정보 서버(600)를 통해 방범 영역의 지리정보를 지리정보 서버(600)로부터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장치(360)에 표시한다(S113).
인터넷 교환기(700)는 방범 단말부(100)들로부터 호출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호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7).
이때 호출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S115) 인터넷 교환기(700)는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를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한다(S119).
인터넷 교환기(700)는 호출 이벤트의 발생 시 대기 상담원을 검색하고,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710)로 링 신호를 보낸 후 응답하면 상기 방범 단말부(100)의 호출부(120)와 해당 상담원 단말기(710)간 IP 기반의 통화로를 형성한다(S121, 122). 이때 인터넷 교환기(700)는 대기 상태에 있는 모든 상담원 단말기(710)들로 링 신호를 전송하고, 가장 빠르게 응답한 상담원 단말기(710)와 방범 단말부(10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한 방범 관제 서버(300)는 GIS 서버(600)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지리정보를 요청한다(S123).
그러면 GIS 서버(600)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100-1) 위치를 찾고, 그와 일정 거리 이내의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위치 및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위치 정보, 단말 식별정보 및 지도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한다(S125).
방범 관제 서버(300)는 방범 단말부(100)에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에 대한 위치 정보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은 저장하고 상기 지도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360)에 표시한다.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와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방범 관제 서버(300)는 VMS 서버(400)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방범 단말부(100)들에 대한 방범영상을 요청한다(S127).
그러면 VMS 서버(400)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제공한다(S129).
방범 관제 서버(300)는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한 방범영상이 수신되면 각 방범영상을 해당 방범 단말부(100)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한다.
방범 관제 서버(300)는 인터넷 교환기(700)로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담원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S130), 이에 대한 상담원 연결 정보를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한다(S131). 여기서는 방범 관제 서버(300)가 상담원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인터넷 교환기(700)가 상담원 단말기 연결 시 방범 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방범 관제 서버(300)는 상담원 연결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상담원의 상담원 단말기(710)로 상기 획득된 방범영상이 매핑된 지리정보를 제공한다(S133). 그러면 상담원 단말기(710)는 상기 방범 영상이 매핑된 지리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 도 6과 동일한 절차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다른 절차와 관련된 절차만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서 GIS 서버(600)는 인터넷 교환기(700)로부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S119) 가지고 있는 지리정보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100-1)와 일정 거리 이내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인접 방범 단말부(100-2)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100-2)의 단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100-1) 및 인접 단말부(100-2)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획득하여 표시한(S211) 후, 상기 방범 단말부(100-1, 100-2)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요청 신호를 VMS 서버(400)로 전송한다(S123).
그러면 VMS 서버(400)는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한 방범영상들을 GIS 서버(600)로 제공한다(S127). 그러면 GIS 서버(600)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100-1, 100-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들을 표시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로 GIS 서버가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절차를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절차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상음원 서버(500)는 방범 단말부(100)의 호출부(120)의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124)를 통해 상기 방범 단말부(100) 주변의 음원을 수집한다(S311).
음원이 수집되면 이상음원 서버(500)는 방범 단말부(100)별로 수집된 음원의 특징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원의 특징정보와 미리 가지고 있는 다수의 이상음원의 특징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음원에 이상음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3).
판단결과, 수집된 음원에 이상음원이 있으면 이상음원 서버(500)는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이벤트 신호를 GIS 서버(600)로 전송한다(S315).
GIS 서버(700)는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100-2)들을 검색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100-1, 100-2)들의 위치 및 단말 식별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360)에 디스플레이한다(S317).
상기 지리정보가 획득되면 GIS 서버(600)는 상기 방범 단말부(100-1, 100-2)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영상 요청 신호를 VMS 서버(400)로 전송하여 방범 영상을 요청하고(S319), 인터넷 교환기(700)로 방범 단말부(100-1)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한다(S321).
상기 방범 영상 요청에 대해 VMS 서버(400)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100-1, 100-2)들에 대한 방범 영상들이 수신되면(S323), GIS 서버(600)는 상기 지리정보의 해당 방범 단말부(100-1, 100-2)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상기 방범 단말부(100-1) 단말 식별정보를 GIS 서버(600)로부터 수신한(S323) 인터넷 교환기(700)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와 동일하게 대기 중인 상담원을 검색하고(S121), 검색된 상담원의 상담원 단말부(710)와 상기 방범 단말부(100-1) 간 통화를 형성하여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S122). 이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방범 단말부 110: 카메라부
120: IP 호출부 121: 호출버튼
122: 마이크 123: 스피커
124: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
125: 호출 처리부 130: 통신부
200: 통합 방범 관제부 300: 방범 관제 서버
310: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 320: GIS 정보 획득부
330: 영상 획득부 340: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부
350: 디스플레이 제어부 360: 디스플레이 장치
400: VMS 서버 500: 이상음원 서버
600: GIS 서버 700: 인터넷 교환기
710: 상담원 단말부 800: 로컬망

Claims (17)

  1. 카메라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는 호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부와 호출부에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카메라부에서 실시간 촬영된 방범영상 및 해당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영상신호, 위난자의 구난 요청에 의한 호출 이벤트 발생 시 호출 이벤트 신호와 호출부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 및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송신에 따른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상담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방범 단말부; 및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영상신호로부터 방범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호출 신호에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부와 상담원 단말기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담원과 위난자간 통화를 제공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에서 촬영된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방범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단말부는,
    IP주소가 할당되며, 설치된 주변 영역을 실시간 촬영하여 방범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범영상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영상신호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상기 카메라부;
    IP주소가 할당되며, 위난자의 구난 요청에 의한 호출 이벤트 발생 시 호출이벤트 신호 및 상기 IP 주소를 포함하는 IP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가 IP 주소에 의해 상담원과 통화로를 형성한 후, 상기 상담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상기 호출부; 및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가 할당되며,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호출부에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IP 영상신호, IP 호출신호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IP 호출신호의 IP 주소에 의해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상담원의 상담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호출 이벤트의 발생 시 경보 신호, 상기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응답 신호를 상기 방범 단말부를 통해 호출부로 제공하고,
    상기 호출부는 상기 IP 응답 신호에 포함된 경보신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인터넷 교환기;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와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하는 GIS 서버; 및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방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관제 서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부;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 이벤트 발생 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는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음원을 포함하는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이상음원에 대한 특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의 특징과 상기 이상음원의 특징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이면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상기 방범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음원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교환기;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와 인접한 인접 방범 단말부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제공하는 GIS 서버; 및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GIS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방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인터넷 교환기; 및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GI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IS 서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
    방범 단말부들 각각에 대한 단말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와 상기 위치정보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시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부;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부는 상기 호출 이벤트 발생 시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는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수집되는 음원을 포함하는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통합 방범 관제부는,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영상 신호를 수신받고 , 상기 IP 영상신호에 포함된 방범영상을 상기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영상 요청 시 상기 각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제공하는 VMS 서버;
    이상음원에 대한 특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의 특징과 상기 이상음원의 특징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이면 상기 IP 음원 모니터링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이벤트 신호를 상기 GIS 서버로 전송하는 이상음원 서버;
    서로 다른 IP 주소가 할당되는 다수의 상담원 단말기들을 구비하고,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교환기; 및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 제공하는 GI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음원은 구난을 요청하는 위난자가 발성한 음성 및 위난 상황임을 나타내는 위난 상황 음성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11. 카메라 및 호출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방범 단말부와 상기 방범 단말부들과 IP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각 방범 단말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방범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의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VMS 서버를 포함하는 방범 비상벨 시스템에 있어서,
    위난 상황에 처한 위난자가 임의의 방범 단말부의 호출부를 통해 구난을 요청하면 상기 호출부가 호출 이벤트 신호, 상기 호출부 IP 주소 및 상기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IP 방범 신호를 전송하여 구난을 요청하는 구난 요청 과정; 및
    통합 방범 관제부가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영상신호로부터 방범영상을 검출하여 상기 고유의 단말 식별정보별로 저장하고, 상기 IP 방범 신호의 IP 호출 신호에 호출 이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호출부와 상담원 단말기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담원과 위난자간 통화를 제공하고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에서 촬영된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구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
    GIS 서버가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송신하는 지도데이터 획득 단계; 및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방범 단말부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상기 VMS 서버로 전송하여 방범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수신받아 상기 GI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호출 이벤트에 따른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 단계;
    상기 호출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 식별정보의 방범 단말부에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가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획득하여 출력하는GIS 정보 획득 단계;
    상기 VM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인접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GIS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된 상기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정보 표시 단계는,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호출부와 통화로가 형성된 상담원 및 상담원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를 인터넷 교환부로부터 획득하는 상담원 연결 정보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상기 상담원 연결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방범 관제 서버가,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위치 및 상기 각 위치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이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상담원 단말기로 제공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상담원 단말기가 상기 방범영상이 매핑된 지도데이터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상담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과정은,
    이상음원 서버가 상기 호출부의 이상음원 모니터링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음원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음원의 특징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상음원의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음원이 이상음원인지를 판단하고, 이상음원인 경우 호출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GIS 서버로 출력하는 이상음원 호출 이벤트 발생 단계;
    GIS 서버가 상기 이상음원 서버로부터 호출 이벤트 신호의 수신 시 상기 호출 이벤트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방범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 제공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
    상기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GIS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가 발생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 과정은,
    상기 통합 방범 관제부의 인터넷 교환기가 상기 IP 방범 신호에 포함된 IP 호출 신호를 호출 이벤트 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IP 호출 신호의 호출부의 IP 주소 및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의해 대기 중인 상담원 단말기와 상기 호출부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IP 기반 음성 통신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통화로 형성 단계; 및
    GIS 서버가 상기 인터넷 교환기로부터 상기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의 단말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의 위치 및 인접한 방범 단말부들을 검색하고, 호출 이벤트를 발생한 방범 단말부 및 검색된 방범 단말부들의 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상기 VMS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받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들에 대응하는 방범 단말부들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지도데이터의 상기 방범 단말부들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방범영상을 표시하는 구난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042311A 2014-04-09 2014-04-09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2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1A KR101628764B1 (ko) 2014-04-09 2014-04-09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1A KR101628764B1 (ko) 2014-04-09 2014-04-09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63A true KR20150117063A (ko) 2015-10-19
KR101628764B1 KR101628764B1 (ko) 2016-06-09

Family

ID=5439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11A KR101628764B1 (ko) 2014-04-09 2014-04-09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20B1 (ko) 2018-12-27 2020-06-24 (주)지니가치 비상벨 시스템에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29B1 (ko) 1997-05-31 1999-12-01 김석기 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7757B1 (ko) * 2006-10-27 2008-02-28 오상원 음성인식 자동경보시스템
KR101273654B1 (ko) *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1345270B1 (ko) *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229B1 (ko) 1997-05-31 1999-12-01 김석기 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7757B1 (ko) * 2006-10-27 2008-02-28 오상원 음성인식 자동경보시스템
KR101345270B1 (ko) *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273654B1 (ko) * 2012-12-05 2013-06-27 주식회사 시큐인포 아이피 카메라가 부착된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20B1 (ko) 2018-12-27 2020-06-24 (주)지니가치 비상벨 시스템에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764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2997A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된 화재 대피 장치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JP2014044641A (ja) 犯罪情報管理装置および犯罪情報管理システム
IT201800007995A1 (it) Sistema di sorveglianza di luoghi pubblici
JP2013238969A (ja) 避難情報提供装置
KR1016287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3860B1 (ko) 방범기능을 갖는 이동형 광고 표시장치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JP7118806B2 (ja) 不審者監視システム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75861B1 (ko) 가족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90342524A1 (en) Visual and/or video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488741B1 (ko)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US20230196489A1 (en) Mission Critical Neighborhood Safety & Security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nsors, Robotics & Telecommunication
JP2005151436A (ja) 警備システム
KR20180123765A (ko) 신변 보호를 위한 안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3419B1 (ko) 영상통화 자동전환을 이용한 재난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1299B1 (ko)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추적촬영 방법
JP2004221736A (ja) ドアホン装置
TWI606426B (zh) 個人週遭環境安全通報系統與方法
AU2018100039A4 (en) A system and a method that identifies and tracks, either indoors or outdoors, a person or persons causing a threat to public safety. It provides emergency personnel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or groups of individuals relative to the threat either indoors or outdoors. It provides individual users with their location relative to the threat. It further provides dynamic and updated visual and audible information to users of an evacuation route away from the threat.
KR101663603B1 (ko) Asterisk 서버 SIP, IAX2 프로토콜, CCTV 기능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안전 안심기능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용 플랫폼
JP4540456B2 (ja) 不審者検出装置
KR20170040974A (ko) 상체 보호용 재킷을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호시스템
JP2021164008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